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네트워크 중심전쟁시대의 군수지원체제 발전방향

        이연수 한남대학교 경영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방개혁 2020의 목표인 “국민과 함께 하는 선진 정예강군 육성”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국방부는 국방의 문민기반 확대, 군의 전투임무수행 전념, 현대전 양상에 부합된 군 구조 및 전력체계 구축, 저비용·고효율의 국방관리체제로 혁신, 시대 상황에 부흥하는 병영문화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추진 과제의 기본은 한정된 국방비로 전력강화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현존위협과 미래의 불특정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21세기형의 첨단 정보·기술군 육성·무기체계별 책임 있는 군수지원체제 확립을 위하여 현재 한국군에서 운영되고 잇는 군수지원체제를 분석·발전시켜 업무수행 체계를 일원화 및 단순화하고 책임성, 효율성, 전문성을 보장하여 네트워크중심전쟁시대의 군수지원체제를 확립하고 미래전쟁 환경하에서 군사적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군수지원체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래 전쟁환경과 전쟁양상의 변화를 고찰하여 군수분야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발전방안을 제사하는 것이 본고의 주요 내용이다. 이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몇가지 문제를 제기하여 분석하였다. 즉, 미래 전장환경과 전쟁양상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새로운 전장환경 하에서 군수분야가 구비해야 라 요구능력이 무엇인지, 이같은 관점에서 미래 군사적전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현 군수지원체제의 개선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현 군수지원 관리의 제한사항을 해결하고, 동시에 네트워크 중심전쟁 시대 군수분야의 요구능력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아울러 군수인력관리와 군수물류 체계의 구축기법은 적용하는 것은 가능한지 등이다. 위에 제기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먼저 새로운 군사기술의 등장과 최근 작전술 이론이 어떻게 논의 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중심전쟁 시대 전장환경과 전쟁양상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고찰하여 네트워크 중심전쟁 시대에서 군수분야의 요구능력을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중심전쟁 양상에 대비한 새로운 군수지원체계 도입 필요성이다. 최근 첨단 무기기술의 발전으로 전장환경과 전쟁수행 방식이 바뀌어 짐에 따라 전쟁양상이 근본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지금까지 유지되어온 접적·선형전투는 비접적·비선형전투로 변모되고 있으며, 대량파괴에 의한 소모전 양상이 정밀파괴에 의한 효과위주의 전쟁양상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같이 네트워크 중심전쟁 시대는 전장이 확대되고 다양한 전투요소가 투입되어 작전상황이 신속히 전개되는 양상으로 변화 될 것이기 때문에 군수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체계를 구축하여 적시·적소·적량의 지원을 실현할 수 있는 속도중심 군수, 자산가시화 군수, 고객만족 군수, 절약형 군수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지원체계로 발전해야 한다. 둘째,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네트워크 중심전쟁 시대에서 군수지원의 좋은 방안이 된다는 점이다. 민간분야에서 적용한고 있는 “신속한 유통 정보망은 중간 창고시설의 재고를 감소시키면서도 고객에게는 오히려 빠르게 제품을 제공해 줄 수 있어 경제성과 서비스 측면에서 훨씬 유리함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현 물량중심의 군물류체계는 다단계·수직적 지원구조로 복잡하고 지원속도가 지연되어 비선형·동시 통합작전이 주가 되는 네트워크 중심전쟁 환경하에서 전투부대에 대한 적시지원이 제한된다는 점이다. 특히 물량중심의 지원시스템은 많은 재고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반응속도는 상대적으로 늦어지는 비효율·고비용의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어 네트워크 중심전쟁에 적응할 수 있는 군수지원체제의 발전요구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군수지원체제는 21세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전쟁양상의 변화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있는 분야는 네트워크 중심전쟁이며, 빠른 작전템포, 신속한 전투적응, 효과집중, 저위험·저비용·고효과 등의 장점을 지닌 네트워크 중심전쟁에서 주도적으로 발전될 분야로 전망되고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Defense Transformation 2020 "Nurturing Strong & Elite Force with the People of Korea" Ministry of Defense is promoting an expansion of civilian foundation in security, dedicated execution of mission by the military, establishment of military structure and system that conforms to modern warfare, innovation to a cost-effectiv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improvement of barrack life conforming to culture of its generation. These goals' fundamental is strengthening of forces with limited defense budget.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new plan of applying logistics support system in order to aid military operations effectively in future war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objective is to establish logistics support system in this time of network centric warfare by analyz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logistics support system for simplification and unification and by ensuring responsibility, effectiveness, and expertise. By doing so we may establish an up to date 21st century logistics support system that is able to effectively prepare this nation for future unknown threats. Consequently the main subject matter discussed in this thesis is to propose a plan for improvement after finding problems in logistics fiel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future war environment and aspec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s and issues as the following are discussed and analyzed: How is the future battlefield environment and war aspects changing? What are some of the required capabilities of logistics in new battlefield? What are some of the areas that need improvement to conduct military mission in the future? What measures can be taken to resolve the limitations of logistics support management and implement requirement of logistics fields in network centric warfare? Lastly, is it possible to apply the technique of building a logistics personnel management and logistics distribution system? This thesis has examined discussions of new military technology and theory of tactics and summarized the capabilities required in logistics fields in the time of network centric warfare in order to analyze the above issues. The conclusion drawn through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new logistics support system in preparation for a condition in network centric warfare. Recently, with a development of high-tech weapon technology a change in a method of conducting a war and a battlefield environment was made which has drastically changed the war aspects. Contact and linear battle which have been maintained until today are transforming into non-contact and non-linear combat, and war of attrition through mass destruction is shifting to deliberate attack for effectiveness. Since in the time of network centric warfare battlefields will be expanded and various elements of battle will be committed developing a situation of war rapidly, as it is shown, the current logistics support system should develop into a system that is asset visualization, customer-satisfaction, economization, and speed oriented establishing a network capable of supporting a correct location with a correct amount in a timely manner. Second, the high tech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n excellent measure for a logistics support in a time of network centric warfare. The fast transportation system and information network for distribution used in civilian fields not only decrease the stock in intermediary depot facilities but it provides products to customers in a swift manner showing superiority in economization and service. Third, the current military distribution system which is focused on materiel is too complex with a structure of graded and vertical support with a delayed speed. This system cannot support the combat units in a timely manner in a network centric warfare where a non-linear and simultaneous integrated operation take the main role. Even though the materiel centered support system has much stock on hand, it has issues with a relatively slow response time with non-effective and high-cost structural problems. Hence,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support system that may cope with network centric warfare is essential. The area that stands out the most in the change of war aspects due to 21st century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 network centric warfare with an advantage of quick operation tempo, swift combat adaptation, effectiveness centered, low-risk, low-cost, high-efficiency. The logistics support system introduced in this thesis is thought to be a leading field of growth in network centric warfare.

      • 군수지원체제의 효율화 방안 사례연구

        김재구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선진국들은 군사기술혁명(MTR)을 통한 군사분야혁명(MRA)을 통하여 새롭게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군사체계를 개발하고, 이에 상응하는 운영혁신과 조직혁신을 추구하여 전투효과를 증폭시키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우리군도 다양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 하에서 군수지원의 즉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한된 능력으로 적시·적소·적량의 군수지원을 위해서는 물량의 확보는 최소화하고, 미래전의 전쟁양상과 군수 관련 환경의 변화에 상응하도록 군수지원의 속도는 높이는 군수지원체제로 전환되어야 한다. 속도중심의 신속·집중화 군수지원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군단 중심의 군수지원체제의 구축과 중앙통제에 의한 지원체제와 수평보급체제로 발전하고, 정비계단의 축소와 정비단계의 하향조정과 One-Stop 정비개념의 도입과 야전정비와 창정비의 역할의 정립이 필요하다. 군수지원 대비태세를 위해서는 비교우위에 있는 민간기술과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의 질을 향상시키며 핵심역량을 확보하는 것이다. 군수자원관리를 위해서는 자산 가시화를 위하여 통합군수지원체계 개발을 조속하게 추진하여 실시간대 전 자산을 파악 및 지원하고, 지휘 및 참모결심을 지원한다. 인력양성 및 확보를 위해서는 군수전문요원의 활용체계의 정립과 전문성을 제고하며, 군외 기술 인력의 양성을 확대하고 다기능 복합무기체계의 정비를 위하여 고가품 및 초정밀 장비는 간부위주의 정비팀 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제한된 국방예산으로 미래의 첨단 전력을 창출·운영·유지하기 위해서는 군수분야 전반에 걸친 혁신을 통한 저비용·고효율의 군수물류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 중의 하나가 민간 기업의 물류관련 혁신기법 등을 벤치마킹하고 물류와 관련한 국토종합계획과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것이다. 즉, 미래 군수물류체계의 발전계획을 국가의 전자상거래 종합계획, 국토종합발전계획, 물류추진계획, IT 분야 발전계획과 연계·시행하면 군수분야로서는 일종의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군도 미래전과 안보환경에 상응하는 「강한 군대」의 이상을 실현하며, 이러한 군대를 지원하는데 적합한 미래의 군수발전전략을 실현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문은 참고자료가 일부 비문으로서 공개하기 어려운 사항이 있어 그 내용을 충분하게 분석되고 활용되지 못한 점이 있다. 그 결과 여기에서 제시된 내용 중 보급지원분야는 예시차원에서 제시할 수밖에 없어서 우리군의 군수정책과제로 제기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구과정중 군수환경을 선정함에 있어서 전쟁의 양상 이외에도 수많은 고려요소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한 점, 연구내용이 지상군에 국한된 점 등은 본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고려사항을 포함하고, 육군, 해군, 공군 3군 통합 차원에서 연구가 된다면 보다 현실적이고 정책지향적인 대책제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이나 논점의 오류 특히, 현실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실상을 재현하여 기술한 부분은 오로지 저자의 한계에서 오는 것임을 밝히고, 좀 더 심도 있는 연구는 차후 과제로 연구하게 될 것이다.

      • CIPP 평가모형에 의한 한국군 군수지원체제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방대선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군 군수지원체제의 역사적 태동과 시대적 발전에 관한 고찰을 통해 그 역할과 의미를 밝혀보고, 미래 군수지원체제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육군 군수지원체제를 중점으로 하였으며, 시기적으로는 창군기로부터 최근까지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군수지원체제의 특성과 변화를 규명하고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하여 상황평가, 투입평가, 과정평가, 산출평가를 통해 시기별 군수지원체제의 특성과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탐색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군수지원체제는 해방(1945) 이후 미군의 제도를 기초로 병과중심으로 운영되었다가 한국군 특성에 적합한 지원체제를 정착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였다. 둘째, 군수지원체제의 변화요인은 국내외 안보환경 뿐만 아니라 국방환경이 군수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군수분야 조직 및 인력과 제도, 정보체계가 보급·정비·수송·조달지원체계와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발전의 원동력 되었다. 셋째, 군수지원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군수지원 원칙은 주로 통합성에 중점을 두었다가 최근에는 효율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미래전의 양상과 산업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무기체계의 변화, 지속되는 국방경영효율화는 적시성과 효율성에 중점을 둔 군수지원체제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이를 위해 군수지원체제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정책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미래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군수지원체제 마련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구조중심 협동학습 학습지도안 작성을 위한 전자수행지원체제(EPSS) 개발

        황선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PSS(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for creating lesson plans of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The EPSS provides teachers with contents in just-in-time manner, which allows for teachers to create lesson plans with minimal help from experienced teachers. It is an infrastructure for forming a learning organization that aggregates the know-how of an organization in a huge infobase and helps its members to share informatio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EPSS is as follows. First, the elements of the system for creating lesson plans of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were found by interviewing one teacher specialized in cooperative leaning, four general teachers and one educational technology expert. Second, functions of the EPSS were extracted by performing literature reviews on learning plans and by analyzing lesson plan web sites for contents, functions, and roles. Lastly, the interface of the EPSS and databas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design, the proposed system was implemented and then assessed by two educational technology experts and one teacher. The overall results of the assessment was positive. First, the EPSS was assessed as a useful tool by the assessors because it was easy to adapt various learning structures of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to lesson plans and to utilize the existing lesson plans to create a new one. Second, its interface was assessed positively. Its menu bar was well organized and easy to see at a glance because its main menu had only a few submenus. It could also easily add and delete learning activities in all three area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losing of a lesson. This was assessed as a convenient function, for it helped to add a variety of activities in a lesson plan. This study of development was assessed positively on providing users with convenience for creating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using the EPSS. Once the EPSS adds more sophisticated functions suggested by the evaluators for increasing users' convenience, its utilization may be expanded for broader use.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위한 전자수행지원체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전자수행지원체제는 교사가 필요로 하는 내용을 필요한 순간에 제공하여 타인으로 부터 최소한의 도움을 받아서 학습지도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학습조직을 형성하는 인프라로 제공되어 방대한 정보베이스를 통해서 한 조직의 노하우를 저장하고, 조직원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데 도움을 준다. 위와 같은 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개발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전문가 교사 1인, 일반 교사 4인, 교육공학 전문가 1인을 대상으로 본 구조중심 협동학습 학습지도안 작성을 위한 시스템을 요소들을 조사한다. 둘째, 문헌 조사를 통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학습지도안의 분석, 개발된 학습지도안 사이트의 기능, 내용, 역할을 분석하여 본 체제가 갖추어야 할 기능들을 추출한다. 셋째, 본 체제의 전체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다. 설계에 따라 제안된 체제를 구현하고 교육공학 전문가 2인, 일반 교사 1인의 전문가 평가를 통해 본 체제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의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구조중심 협동학습 학습지도안 작성 전자수행지원체제는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다양한 학습 구조를 수업에 어떻게 적용시키는지 알아 볼 수 있고, 기존의 것을 수정하여 활용할 수 있어서 교사, 예비교사들에게 유용한 도구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주었다. 둘째, 전체적인 인터페이스 부분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메뉴가 잘 정돈되고 필요한 메뉴만 눈에 띄게 나와 있어서 한눈에 알아보기 쉬웠으며, 또한 도입, 전개, 정리의 세 단계에서 학습 활동들을 쉽게 가감할 수 있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 받았다. 한 차시의 전개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 활동의 경우 두 가지 이상의 활동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쉽게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학습지도안을 작성하는데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므로 개발된 시스템에 전문가들이 제시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세심한 기능들을 추가한다면 더 나은 시스템으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산업기술개발의 지원체제에 관한 연구 : 기술개발제도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이종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경제학자들이 산업기술개발지원과 기술진보가 경제발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에 대체로 동의하고 있음을 감안, 그간 우리나라가 산업기술개발에 많은 자원을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경쟁력이 점점 떨어지고 급기야 '97년말 외환위기로 극심한 경기침체를 맞아야 했던 비효율적인 산업기술개발시스템을 개선하여 연구개발이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율적인 과학기술시스템을 재구축하기 위하여 개념적이나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였다. 산업기술 경제론과 정부의 역할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살펴보면 산업기술 함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는 수요견인, 과학기술개발, 기업가정신, 기대수익율이라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구개발자본 투입을 통한 기술혁신은 실물자본 투입보다 한계생산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기술혁신으로 평균생산과 한계생산곡선이 상향이동하는 반면 평균비용과 한계비용곡선은 하향 이동하여 고품질 저가격의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적 효율과 경쟁에 의한 X-효율이 달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외부효과가 큰 시장실패 영역에 대해서 지원하여야 하며, 특히 산업기술개발에 있어서는 시장실패를 보정할 수 있는 많은 기능을 보유하고, 대기업보다 연구개발자금력이 부족하나 연구개발투자의 한계생산력이 높은 중소기업에게 집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효율적 기술개발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선진국인 미국, 일본, 독일 그리고 러시아의 기술개발체제와 자원을 분석하였다. 미국과 일본은 연구개발을 각 부처별로 수행하고 있으며, 통수권자 직속으로 종합 조정기능이 있어 부처별 중복됨이 없이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독일과 러시아는 과학기술관련 부처에서 종합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해서 모든 국가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냉전체제 종식에 따라 미국과 러시아는 군수기술 및 기초기술개발 중심에서 생산기술개발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비슷한 환경을 가진 독일과 경기침체에 허덕이는 러시아의 경우 국가가 전략적으로 개발해야 될 기술개발영역을 선택하고 한정된 정부의 연구개발자원을 집중 투자하는 「선택과 집중화」 전략과 부품중심의 중소기업을 중점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 기술선진국의 연구개발은 정부가 주도하고 있으며, 후발국인 우리나라보다 기술도입 및 개발연구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고 있음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는 점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이론과 선진국의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 산업기술개발제도의 비효율적인 면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술정책수립과 기술개발시행제도 그리고 국가연구자원의 효율적 활용으로 나누어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산업기술개발체제 개편방안으로 과학기술 개발체제는 정부부처별로 분산된 기능을 정비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정비하고, 연구소에 대한 독일 정부의 역할과 같이 '연구자유의 원칙'과 아울러 후원자의 역할을 담당하여야 할 것이며, 지금과 같이 무모한 경쟁지상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과학기술자들이 마음놓고 연구만 전념할 수 있도록 연구수행주체별로 연구기능 및 연구자원에 대한 배분체제를 재정립하여야할 것이다. 또한 연구관리체제 역시 한국적 환경과 연구풍토를 감안하여 효율적인 제도로 개선한 다음 연구자들이 미래환경에 대하여 예측가능하여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일관성을 유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첨단기술, 자체기술개발에서 벗어나 첨단기술과 생산기술을 조화롭게 연계하여 강화해나가야 하며, 자체 기술개발과 기술도입은 상호보완적 관계에서 상승효과가 있음을 감안하여 적절한 기술도입과 아울러 정부의 관심과 정책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둘째, 산업기술개발제도 시행방안으로는 연구개발기획, 연구개발 수행 및 결과평가로 나누어 살펴본다. 우선 연구개발기획은 산업간 공평한 자원배분의 정책에서 벗어나 한정된 연구개발자원을 투입하여 효과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목표에 의해 연구프로그램이 선정되어야 하며, 선택 된 연구과제에 연구개발자원이 집중되는 '선택과 집중화' 전략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개발 수행은 무모한 기술소유욕에서 벗어나 국가 경제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특히, 기술개발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사회적으로 기술개발효과가 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기술개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수행주체별 핵심능력을 서로 공유하여 결합상승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산·학·연 공동연구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기술혁신에 막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민간연구소, 특히 중소기업연구소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출연(연)의 연구인력과 장비 그리고 연구공간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평가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각 부처별로 실시하고 있는 국가 연구개발사업 시행에 대한 운영 및 평가지표를 통일시켜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실시된 평가결과는 반드시 차년도 예산편성과 연계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가연구개발자원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우선 기술개발이 산업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첩경임을 인식하여 정부는 적극적으로 연구개발비 투자에 앞장서야 함은 물론 기술혁신에 있어서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사기업이 연구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 투자할 수 있도록 유인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정부는 기술혁신을 주도할 기술인력양성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고 있지만 기존 교육제도에 한계점이 있음을 감안하여 이론과 강의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실사구시를 실현하기 위해서 독일의 교육제도와 같이 대학과 출연(연)이 전략적으로 협조하여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서 기술혁신주체로서 즉시 활용가능 한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개발제도는 어느 개별제도 각각의 개선으로 문제점이 개선되는 것이 아니라 제도간 상호작용을 고려하면서 기술개발제도 전반을 하나하나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효과적임을 감안하여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하겠다. In line with the general belief among economists that technological advances play a pivotal role in economic progress, Korea has invested considerable labor and capital into technology development . Despite these efforts, the nation'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has been eroding. Korea's inefficient technology development system was one of the culprits behind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at struck in 1997 and the ensuing recession. This paper examines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system and presents suggestions for the formulation of an enhanced scheme that would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Earlier studies on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 role of the government reveal that a function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innovation 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demand-pull, science-technology push, entrepreneur ship, and expected rate return. The studies also show that productivity limit is higher than the input of real capital. This is because average production and production limit lines move upward towards technological innovation, whereas the average cost and cost limit lines move downward. This gives rise to the x-efficiency, in which technological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enable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low-cost goods. Subsequentl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pport in areas where the market mechanism fails. Government support should be concentrated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which possess more functions to correct market failures, but have less R&D funds at their disposal and a higher productivity limit compared to big businesses. This study also looks at the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 systems in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In the case of U.S. and Japan, various government ministries over see R&D. To prevent redundant research, the agencies' activities are coordinated under the direct supervision of the countries' respective leaders. In Germany and Russia, science and technology related ministries oversee the nations' R&D activities. Futhermore, many countries are expending greater efforts to promote technology transfer s while the U.S. and Russia have shifted their focus from the military and basic technologies to industrial technology following the end of the Cold War era. Germany, which has a similar environment as Korea, and Russia, which is struggling with economic difficulties of its own, have opted for a "select and focus" strategy and are concentrating their support on key selected areas as well as SMEs in the component-manufacturing industry. The government is at the forefront of research efforts in many advanced nations and these countries are investing considerably more money and effort into technology development than Korea. These points provide meaningful insights for technology development in Korea. On the basis of theory and established practices in advanced nations, this paper identifies the shortcomings of Korea's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structure. This study pinpoints problems and proposes solutions in three areas, namely policy formulation, implementation, and efficient use of public resources. Starting off with a look at policy formulation, various R&D functions are currently dispersed among numerous government agencies. A major overhaul is needed to facilitate rational and efficient decision-making related to R&D. As it is the case in Germany, the principle of autonomous research should be upheld while the government's role as supporter should be clearly defined. Furthermore, the strict adherence to he principle of competition should be replaced by an attitude that would help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researcher s can concentrate solely on their research.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new scheme of dividing research functions and distribution of resources, while the research management system should take into account customs and conditions peculiar to Korea. The new system should provide consistency and eliminate uncertainty for researchers. A harmonious mix of innovative and manufacturing technologies would als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research structu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should complement the other to ensure optimal results. As for actual research, this stag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research planning, actual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oremost, Korea needs to move away from the concept of evenly distributing resources among the various industries. Since the government has to work under a constraint of limited resources, it should select a research program based on national objectives and assistance should be focused on the selected areas. Another change that is required is the attitude on technology possession. A clear focus is essential to maximizing economic gains from technology development. In particular, public aid should largely flow to SMEs which have relatively weak research capabilities but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ety.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esearch entails a cooperative network between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The cooperation would help maximize the synergy of shared capabilities and efforts. In addition, seriou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granting private research centers access to space and facilities owned by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since the private secto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overall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erms of evaluation, indices prepared by individual government agencies that conduct separate assessments should be integrated, and the evaluations should be more strongly reflected in the following year's budget formulation. Finally, to maximize gains from the use of public resources,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invest in R&D with the awareness that technological advance is the road to increase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government should also adopt measures to promote such spending in the private sector. Labor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government has shown a strong interest in fostering technical manpower, but Korea's existing education system has its limits. Taking this into account, the current emphasis on theory and lectures should be shifted to practical training. One model to learn from is the one in Germany where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allows new graduates to contribute to the industry immediately upon graduation. As revealed above, enhances in one area are not sufficient in correcting existing problems. Many issues factor in when determining the efficiency of technology development. Improvements in all related areas together with the continued support of the government are crucial to ensuring technological advance and economic growth.

      • 디지털시대의 軍需支援體制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호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군수지원체제의 활성화 방향은 군수자원관리측면에서는 현재의 군수지원중심의 개별적 군수관리에서 사용자 중심의 군사별요소별 통합관리로 군수지원개념을 전환하여야 한다. 즉 각 군수기능별, 제대별로 설정하고 있는 또는 기능 내에서 공통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관리목표를 군의 전투준비태세 제고라는 단일의 공동목표를 지향하도록 각 기능별 특성에 따른 군수지원목표를 설정하여 목표에 의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목표에 의한 관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군수지원의 성과를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업무를 개선하고, 자원을 분배하고 통제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지원 실적 위주의 성과측정으로는 군의 전투준비태세와의 연계가 불가능하여 군수지원의 성과를 제대로 측정할 수 없으므로 피지원부대의 전투준비태세에 의한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군수지원의 투입자원과 성과를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물자관리체제는 무기체계의 가용도 또는 전투준비태세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무기체계의 운용유지에 필요한 모든 물자(수리부속, 유류, 시험장비, 수공구 등)와 군수지원활동(보급, 정비, 수송)을 무기체계별로 통합관리 하여 군수지원의 최종 수요자인 전투부대의 가치를 극대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의 기능화, 전문화체제도 무기체계별 책임지원체제로 전환하여 현행 근무지원부대중심의 군수지원체제에서 사용자 중심의 군수지원체제로 발전되어야 한다. 앞으로는 군수계통을 단순화/통합화하고 각 군수기능 및 제대 간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체제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군수지원전체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속도를 높여야 한다. 지원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군수지원체제의 단순화/통합화, 군수지원업무의 자동화 및 불필요한 업무의 제거, 품목의 중요도에 의한 차등관리, 무기체계별 통합관리에 의한 기능간, 제대간의 장벽을 제거하여 업무절차, 업무단계 등을 축소하거나 신속하게 하도록 하는 방법들이 있다. 이러한 군수지원속도는 지속적인 업무개선 노력에 의해서 계속 향상시켜야 할 분야이다. 한편, 군수지원체제는 현재의 인력/물량중심의 다단계 군수지원체제에서 보다 적은 규모로 보다 많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근무지원체제로의 발전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즉 군수지원체제도 미래의 기술집약형 소수정예군에 맞도록 자동화/정보화/기동화를 통해 소수정예의 군수지원제체로 발전되어야 한다. 전시군수지원체제의 가장 큰 목표는 군수지원의 준비성, 즉응성 및 융통성을 갖는 것으로 군수자원의 중앙통제에 의한 군수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군수지원부대의 전방배치 및 모듈화를 통해 제한된 자원을 이용하여 적시에 군수지원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군수지원의 속도화, 군수지원계통의 단순화/통합화, 전시군수자원소요판단의 과학화 및 적정화가 필수적이다. 전시 군수지원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군수지원의 기동화, 자산의 가시화와 신속한 의사결정시스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디지털시대의 군수지원체제의 발전의 문제는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던 시스템의 문제를 보다 세부적으로 검토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파악하겠다는 운용권자들의 생각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판단하며, 몇 가지 제시한 부분은 좀 더 시간을 두고 검토하여야 할 것이나 내용상 미진한 부분이나 좀 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못한 부분은 차후 연구를 기약한다.

      • 군 가족 여성평생교육의 실태 및 지원체제 방안 탐구

        우원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오늘날 평생교육은 국가 정책적 차원의 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물론 학습자 개개인이 “요람에서 무덤까지”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평생학습에 참여함으로써,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라도” 자기 학습과 자기 개발을 통하여 스스로의 지식과 능력을 배가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학습자들이 늘어남으로써 평생학습사회를 구축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교육과 학습은 이에 참가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자기학습과 자기교육을 통하여 얼마나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관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생학습을 위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은 국가와 사회의 몫이다. 구체적으로 국가와 사회(군당국)는 학습자들이 평생 동안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인프라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바로 이러한 교육인프라 구축이 평생학습 지원체제의 수립으로 귀결된다.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군 가족 여성평생교육 지원체제방안의 수립을 목표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두 단계의 연구 과정을 수행했다. 첫째, 군 가족 여성평생교육의 현 실태를 파악하였다. 실태파악을 위한 니즈 조사(Needs Analysis)로서 먼저 학습자요구 조사를, 그리고 교육인프라의 현실과 교육현장 전문가 대상의 설문 조사 및 인터뷰 그리고 자료 등을 통하여 환경 조사 및 분석을 시도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이러한 니즈조사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군 가족 여성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제방안을 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서 모색할 수 있었다.첫째, 군 가족 여성평생교육의 목적 및 가치 확립을 위한 지원이어야 한다.둘째, 프로그램 및 방법의 다양성, 탄력성의 증대를 위한 지원이어야 한다.셋째, 학습문화(풍토) 및 학습여건 조성을 위한 지원이어야 한다.넷째, 행·재정적 지원의 강화가 중요하다.다섯째, 군 가족 여성 학습자 지원서비스의 확대를 위한 지원이어야 한다.여섯째, 학습기회의 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이어야 한다.일곱째, 여성평생교육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원이어야 한다.여덟째, 학습결과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지원이어야 한다.한편, 본 연구는 군 가족이 이용하고 있는 군부대 지역의 평생교육기관 전문가들과 군 가족 여성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환경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군 가족 여성평생교육 지원체제가 네트워크 체제(network system)로 구축되어야만 ‘효율성 체제’로 운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효율성 체제로서 네트워크 체제 구축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았다.첫째, 여성평생교육체제 제안과 건의를 위한 통로가 없다. 둘째, 기관 간 프로그램의 중복 개설을 조정하고, 기관별 교육영역별 프로그램을 차별화할 수 있는 주체와 경로가 불명확하다. 셋째, 기관 간 자원 및 정보교류 활성화가 불가능하다. 넷째, 지역 내 공동 사업 협의 및 추진(요구조사, 홍보, 정보 및 상담 서비스) 주체가 불명확하다. 이를 테면, 탁아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간부연수, 프로그램 간 연계(교육과 아동 노인복지 서비스 연계, 직업교육프로그램 간 연계 등), 군내 취업기관과 연계, 공동 교육행사 개최 등을 담당할 주체가 불분명하다. 다섯째, 군 내부 기관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이해관계의 조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정부와 군 당국은 여성평생교육센터 및 군가족 여성평생교육협의회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지원체제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니즈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군가족 여성평생교육의 지원체제도<그림 V-1>를 완성할 수 있었다.아울러 본 연구는 니즈분석에서 나타난 요인들의 가중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이유는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볼 때 네트워크 지원체제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예상되는 시간적, 물리적, 환경적 제약성을 예상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가중치 분석의 결과를 보면, 학습자는 학습여건의 기회마련에 대한 필요성(여성교육 참여요소 해소, 탁아서비스제공)을 가장 우선으로 꼽고 있으며, 평생교육기관은 행·재정적 지원,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담당자(전문가)는 학습결과의 효율성 방안(학습정보, 서비스제공, 프로그램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가중치 분석은 군 가족 여성 평생교육에 대한 정부 및 군 당국이 지원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안의 긴급성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중장단기 정책수립 시의 우선 순위 같은 것이다. 또한 가중치 분석은 학습자, 기관, 전문가의 3자 간에 의견일치가 필요한 경우 또는 타협을 해야 할 경우 합리적인 의사소통과 절충을 위하여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Today, lifelong education is rising hastily to subject of country political dimension. Of course, 'from cradle to grave' learner''s each person is active in studying whole life voluntarily, to construct whole life studying society by learners who does so that double oneself''s knowledge and ability through 'Who, when, where' own studying and own development, ultimately increase is desirable. Because education and studying grow people who take part hereupon how through own studying and own education and cause to change is pivotal point. But, it is country and social share to mak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se whole life studying. Country and society (the Military authorities) must ready the education infra so that learners may study actively and voluntarily for whole life concretely. Justly this education infra construction is ended by establishment of studying support system whole life.This study aims establishment of military family woman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plan ultimately. This study achieved study process of two steps for this. First, grasped present actual conditions of county family woman lifelong education. As 'Needs Analysis' for actual conditions grasping, first, learner request investigation, and attempted environment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rough actuality of education infra and education spot expert target''s questionnaire and interview data etc.. Second, this study could grope support system plan for activation of military family woman lifelong education under following condition with result that is deduced through this Needs Analysis.First, it must be objective and support for value establishment of military family woman lifelong education.Second, it must be support for enlargement of program and variety of way, flexibility.Third, it must be studying culture (climate) and support for studying situation furtherance.Fourth, Strengthening of financial support is important.Fifth, it must be support for extension of military family woman learner application form.Sixth, it must be support for catch-up of a studying opportunity.Seventh, it must be support for professionalism raising of woman lifelong education.Eighth, it must be support for raising for practical use with studying results.On the other hand, this study drew conclusion that can be applied as ''Efficiency system'' though military family woman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is constructed to network system to whole life educational institution experts of military bases area and operation person in charges of Military family woman lifelong education program who Military family is utilizing through a environmental research and analysis. Necessity of network system construction was as following as efficiency that is deduced in this study.First, there is no passageway for woman lifelong education system proposal. Second, subject and path that can control repetition general observation of program for period, and differentiate program by education area by institution are indefinite. Third, resource and information interchange activation between institution are impossible. Fourth, joint enterprise conference and propulsion (request investigation, public relation, information and consultation service) subject in area are indefinite. If will arrive, subject to take charge of their children at da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executive research study, (with child old people''s welfare service link,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liver link with education) link that go program, link with employment institution in military, cooperation education event holding etc. is indefinite. Fifth, intercession of interest that can occur between military internal organs is impossible. Therefore, government and the military officials will have to construct woman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network support system that pivot military family woman lifelong education conference on these necessity. This study could complete <picture V-1> support system of military family woman lifelong education on the basis of result of this needs analysis conclusively.This study executed weight Test that appear in needs analysis. The reason the country in process than in political dimension when expected time, physical, environmental conditionality that establish network support system expect. If see weight analytical sequence enforcing in this research, learner is counting necessity (education of women participation element solution, their children at day service an offer) about opportunity preparation of studying situation most by priority, and whole life educational institution is the financial support, lifelong education program operation expert in charge (expert) was emphasizing in efficiency plan (studying information, service offer, program development) with studying results. These weight analysis can act by the important index in dimension that government and the military officials about military family woman lifelong education decide urgency and priority order of private plan in process that proceed support policy. It''s like a priority order middle part of a song short term policy-making right time. Also, weight analysis may act on essential constituent for when need opinion identity between three of learner, institution, expert in case of must do compromise reasonable communication and compromise.

      • 국내 사이버 대학의 현황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 학습자 지원체제를 중심으로

        황정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평생교육과 사회 재교육에 대한 수요 확대에 따라 대학에서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학습자가 접근할 수 있는 평생교육형태의 사이버 대학이 구축,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평생교육형태의 국내 사이버 대학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는데, 학습자 지원체제를 중심으로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사이버 대학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국내 사이버 대학의 학습자 지원체제 현황은 어떠한가? 1) 학습자 중심 서비스를 뒷받침하기 위한 학습자 지원체제로서 전자도서관, 온라인 서점, 기술지원, 입학안내, 취업안내, 게시판, 신청 및 등록서비스, 학사행정 서비스를 갖추고 있는가, 또한 그 운영은 어떠한가? 2) 학습자 지원체제의 대표적 형태인 게시판의 이용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국내 사이버 대학의 전반적인 운영현황과 학습자 지원체제의 현황 분석결과, 사이버 대학이 개선해 나가야 할 점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선행연구를 통한 문헌분석에 의해 분석 항목을 추출하였으며, 평생교육법에 의해 인증된 국내 사이버 대학을 대상으로 웹사이트를 살펴보고 사이버 대학 운영자와의 인터뷰를 실시, 게시판 이용실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인 9개의 국내 사이버 대학 중 4개 대학이 컨소시엄 형태로, 5개 대학이 학교법인 또는 재단법인 단독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교육방법은 온라인 수업을 원칙으로 하되,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고 있었고,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관련학과와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외국어학과가 주요 교과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실정이었다. 둘째, 게시판과 입학안내, 신청 및 등록 서비스, 전자도서관 등 학습자 지원체제는 대부분의 대학에 갖추어져 있었으나, 기술지원 서비스와 취업안내, 온라인 서점, 학사행정 서비스는 일부의 대학에서만 갖추고 있었다. 셋째, 게시판 이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운영자의 응답이 전반적으로 60%이상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사이버 대학이 전통적인 대학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특화된 전문영역들을 교육과정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외국의 사이버 대학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학점교류가 가능한 교육과정을 운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 지원체제 구비를 위한 법적인 제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전자도서관은 참고문헌이나 자체자료 등 멀티미디어의 방대한 정보가 저장 가능해야 하고, 입학안내와 취업안내 서비스도 학습자를 위한 상담이나 조언을 포함하는 서비스체제가 필요하다. 게시판의 운영에 있어서는 세분화하여 학습자에게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신청 및 등록서비스, 학사행정 서비스는 사이버 상에서 등록이 가능해야 하며, 학습자를 위해 증명서 발급 업무 및 휴·복학 등의 모든 학사업무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수용할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need for continuous education in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ducational system to unlimit time and space. The student can easily access to the system's course, it needs to be provided for student a degree. To meet such needs, cyber universities have emerged around us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cyber universities in Korea as the type of a continuous education system. The university with the online classes could be more competitive(because the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services). Also,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status of student support services and its improvemen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What are the administrative status of the cyber universities in Korea? 2. What are the present student support services of the cyber universities in Korea? a) Does the university have the services(library, on-line bookstore, study aids, guide for registration, employment guide, a bulletin board, enrollment services, educational services) based on the student support. b) How is the bulletin board, the most representative of student support, provided? 3. What are the improvement s of the present student support services ? Data was obtained with an interview with managers at cyber universities. Researches and web sites of cyber universities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bulletin boards of the cyber universities were visited and the frequencies were check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among the nine universities four universities were managed as consortium and the other five universities were managed independently as a school system or the organization. Parallel to the online classes, there were also off- line classes. Among the courses offered, computer classes related to the multimedia and globalization are dominant. Second, all the universities have student support services for bulletin boards, guide for registration, enrollment services. Most cyber universities have the digital libraries. On the other hand, study aids, employment guide, on-line bookstore, educational services were provided by some universities . Third, approximately 60% of bulletin boards were replied. Most cyber universities have replied students questions frequently. Nonetheless, some improvements are provided in this study. First, unique and professional curriculum is need be made. The consortium and credit exchange with other foreign cyber universities need to be made. There is special need to increase student support services with legal format. There should be student support services including a digital library with multimedia dat abase. Enrollment and employment guide need to be developed in student services. The bulletin board needs to provide a more professional and support for students. Enrollment services and certification for the students and all the other student service should be available through the online system. Most of all, the need of students should be realized in student support services.

      • 사이버대학의 교수자 지원체제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조사 연구

        윤아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사이버대학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대표적 요인으로 질 관리가 중시되고 있다. 사이버대학에서 e-Learning을 실행에 옮기는 e-Learning 교수자들은 질 관리의 핵심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수자 지원체제의 방향과 지침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의 e-Learning 교수자들이 생각하는 교수자 지원체제에 대한 중요도는 어떠한가? 둘째, 사이버대학의 e-Learning 교수자들이 생각하는 현 교수자 지원체제의 실행도는 어떠한가? 셋째, 사이버대학에서 e-Learning 교수자들이 생각하는 교수자 지원체제 구성요소의 중요도와 이들 항목들에 대해 실제 교수자들이 느끼는 실행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하여 e-Learning 교수자들의 역할과 그 역할 수행을 지원하는 사이버대학의 교수자 지원체제의 구성요소를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e-Learning 교수자들이 생각하는 사이버대학의 교수자 지원체제에 대한 '중요도(importance)'와 '실행도(presence)' 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활용하여 9개 사이버대학 84명의 e-Learning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문제 1과 2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연구 문제 3을 알아보기 위해 종속(대응) 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의 교수자 지원체제의 중요도는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이는 영역은 학습자 평가 지원 영역,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이는 영역은 상호작용 지원 영역이었다. 둘째, 사이버대학의 교수자 지원체제의 실행도 조사 결과, 가장 높은 실행도를 보이는 영역은 학습자 평가 지원 영역, 가장 낮은 실행도를 보이는 영역은 보상 시스템 지원 영역이었다. 셋째, 사이버대학의 교수자 지원체제의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실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교수자 지원체제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행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넷째, 교수자 지원체제의 영역별 '중요도-실행도 분석' 매트릭스 결과 보상 시스템 지원, 교수자 연수 지원, 코스 운영 지원 영역이 노력 집중 지향 영역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자 지원체제의 항목별 '중요도-실행도 분석' 매트릭스 결과, 우선 노력 집중 지향 항목으로서 11개 항목이 규명되었다. 교수자 연수 지원 영역에서 e-Learning 및 사이버대학의 이해, 교수 설계, 효과적인 사이버 강의 기법, 상호작용 촉진법 이해, 사이버 수업 운영 항목이 나타났다. 코스 운영 지원 영역에서는 학습자 질의 응답과 사무 보조, 진도 및 학습 관리를 담당하는 조교 지원 항목이, 보상 시스템 지원 영역에서는 보상과 인센티브 항목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의 질 관리를 위해 교수자 지원체제의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수자 지원체제의 영역별 총체적 접근을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즉, 체계적인 교수자 지원체제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별도 교수자 지원 전담 인력이 e-Learning 교수자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정확히 수렴하고 그들의 요구 사항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9가지 교수자 지원체제 영역을 중심으로 체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둘째, e-Learning 교수자의 자격 요건과 수행 업무, 역량을 모델링(modeling)하고 그에 따른 평가 기준을 공시, 일정 프로세스를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결과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체계적인 보상 시스템 지원을 가동해야 한다. 셋째, 체계적인 교수자 연수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설계 및 개발 전문가가 참여하여 요구분석을 통해 e-Learning 교수자들의 역할 수행에 효과적인 양질의 교육 컨텐츠를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전문 인력을 통해 학기전이나 학기 중에 정기적·비정기적 교육을 실시하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교육 컨텐츠로는 e-Learning 및 사이버대학 이해, 교수 설계, 효과적인 사이버 강의 기법, 상호작용 촉진법 이해에 대한 사항을 포함해야 한다. 넷째, e-Learning 교수자의 사이버 코스 운영을 지원하는 전담 인력을 배치하되 이들을 e-Learning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배치,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사이버 코스 운영 시 학습자의 질의에 대한 즉각적인 답변, 코스 운영에 대한 교재 준비나 보고서 업무 보조, 학습자의 진도 및 학습 관리를 보조하는 조교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The quality management is emphasized for the success of cyber university which is expanded rapidly through apply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cyber university the e-Learning instructor who implements the e-Learning is the core factor of the quality manage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irection and guideline for the instructor support service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cyber university. The role of e-Learning instructor and the elements of the cyber university instructor support service supporting this role are clarified through pre-study. The importance, presence of the cyber university instructor support servic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resence of the cyber university instructor support service are surveyed and analyzed through collecting the answers of prepa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mportance of the cyber university instructor support service is highly expressed at all aspect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are evaluation and the interaction is lowest evaluated. Secondly, the survey result of the presence of cyber university instructor support service can be summarized by; the highest presence is evaluation and the lowest is reward system. Thirdly, the importance is highly evaluated than the presence on every element of the cyber university instructor support service and meaningful differences are surveyed. The importance is recognized comparatively highly recognized than the presence. Fourthly, the analyzing result of 'importance-presence analysis' matrix shows that reward system, instructor training and course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ifthly, the analyzing result of 'importance-presence of every element of the cyber university instructor support service' matrix shows that 11 elements are classified as the attention should be most urgently paid. The e-Learning, understanding of cyber university, instructional design, effective instruction methodology, understanding of facilitating interaction and cyber instruction implementation are importantly recognized for the instructor training element, and for the course implementation the student questionnaire, paper work support, aid and tutor for progress and instruction; for the reward system, reward and incentive. Through this study it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instructor support service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cyber university: Firstly, the systematic support is required through the integrated approach of every element of the instructor support service. For installing the systematic instructor support service process, 9 elements of the instructor support service should be supported systematically for rapidly handling the instructor's requirements with collecting those of e-Learning instructors. Secondly, with modeling the qualification, performance of the e-Learning instructor,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opened and the fair reward system should be operational with scientific and systematic evaluation process. Thirdly, the systematic instructor training system is required. By the group consisted of educational specialists the education program equipped the high quality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with reflecting the requirements of e-Learning instructor. And the systematic educational process should be operational with providing the education regularly or irregularly by the specialist before and during semester. The education contents include e-Learning, understanding cyber university, instruction design, effective cyber instruction methodology, and understanding of facilitating interactive. Fourthly, dedicated manpower for cyber course implementation should be prepared, however those manpower are controlled by the e-Learning instructor. Especially aid or online tutor are required for instantaneous answer of student question, for preparing the material, for managing the student progress and for repor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