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아의 도덕적 지위 문제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메를로-퐁티 철학으로부터의 기여

        박신화 한국현상학회 201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1 No.-

        Today, the question of moral status of human embryos is becoming more and more acute as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has enabled innovation in regenerative medicine. However, it raises ethical issues in that the embryo is destroyed in the course of research. The question of the moral status of embryo is that of reason for the moral status. We first examined the core logic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major theories of moral status. In Merleau-Ponty's philosophy, we have found a new perspective on human being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xisting theories. Merleau-Ponty did not regard man as a mixture of body and consciousness. He perceived human beings as a unified being prior to distinguishing between 'body' and 'consciousness'. We have shown how Merleau-Ponty's analysis of human beings gives new clues to the question of the moral status of embryo. At the conclusion,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our analysis on the issues raised by today's biotechnology. 오늘날 인간배아의 도덕적 지위 문제는 의생명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보다 첨예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재생의료의 혁신을 가능하게 했지만 연구와 사용의 과정에서 배아가 파괴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다. 배아의 도덕적 지위는 도덕적 지위의 근거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달려 있다. 이에 우리는 먼저 도덕적 지위의 근거에 대해 지금까지 제시된 몇 가지 대표적인 이론들을 그 핵심적 논리와 각각의 문제점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검토했다. 우리는 지금까지 제시된 견해들이 나름의 인간 개념에 기초해 있다는 점에 주목했고, 이 인간 개념(들)이 과연 타당한가를 물었다. 분석의 결과 도덕적 지위 문제에 접근하는 기존의 인간 개념(들)에 문제가 있음을 깨달았고, 메를로-퐁티의 철학에서 이를 대체할, 인간과 인간 신체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발견했다. 메를로-퐁티는 인간을 신체와 의식의 결합물로 파악한 것이 아니라 ‘신체’와 ‘의식’의 구분 이전에 존재하는 통일적 존재로 파악했다. 우리는 인간과 인간 신체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분석이 배아의 지위 문제에 대해 어떤 새로운 생각과 근본적인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지를 밝혔다. 결론부에서 우리는 오늘의 의생명과학기술이 제기하는 문제들에 대해 우리의 분석이 가지는 의의를 논의했다.

      • KCI등재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 차별성과 배아편집 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중심으로

        김광연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0 No.1

        과학 기술 발전 이전, 수정란과 배아와 태아는 동등한 인간생명으로서 존엄한 가치를 가졌다. 그렇지만 현재 기술로서 수정란과 배아 사이에는 불연속과 연속적인 면의 미묘한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정란과 배아는 모두 ‘잠재적’ 인간 생명체로서 공통점을 가진다. 수정란은 착상 이전 단계에서 인간 생명으로 나아가는 과정이고 배아는 착상을 거쳐 태아로 접어드는 단계에 놓여있다. 그러나 수정란은 착상 이전 ‘자연적으로’ 소멸할 가능성이 있는 반면, 배아는 태아에 이르기까지 자연적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연속성을 지닌 존재이다. 이들에게서 발견된 지위에 관한 미묘한 차이는 인간생명과 관련해서 지위의 동등성과 차별성을 우리에게 과제로 남겨두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물음을 시작으로 수정란과 배아의 ‘생명의 동등성’과 ‘선천적 지위’의 차이점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검토한 후, 배아의 지위에 나타난 ‘연속성’의 함의와 그것의 존엄성을 검토하고, 존엄한 존재로서의 배아 실험을 할 때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게 될 것이다. 배아복제 실험은 인간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이라는 점에서 그것의 지위와 윤리적 논의가 불가피하다. 이러한 실험의 과정을 염두에 두고 배아복제와 인간복제가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생명복제 시대에 우리는 어떠한 윤리적 과제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할 것이다. In the past that was not benefited any help from biotechnology, a fertilized egg, sperm, and embryo have same value in terms of human dignity. From a today’s perspective, however, a subtle difference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fertilized egg and embryo. Both of them have a common ground in terms of potential human life. A fertilized egg is the part of being a human being from the beginning, while an embryo is being placed at a certain point to be a fetus. Here a fertilized egg has a natural possibility to be destroyed like before coupled stage, while an embryo has a continuity to grow to the fetus without any natural loss. Such a subtle difference between them give us to find out more ab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life equality' and difference of 'innate status' by questioning what is the substance of them, on the such a basis, will figure out a continuity in embryo’s dignity and its status with some ethical issues in it. Embryo cloning inevitably accompanies ethical debate as long as it test with a embryo reckoned as a human. So this paper will examine to search how the embryo and human cloning affect on human race, and what is our response to that questions.

      • KCI등재

        인간 배아의 정체성과 생명권

        구인회(Inhoe Ku)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4 인간연구 Vol.0 No.26

        많은 그리스도교인들, 특히 가톨릭교회는 배아를 우리 모두처럼 동일한 보호를 받을 가치가 있는 인간 그리고 이웃으로 보며, 특히 배아는 작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더 보호해야 한다고 본다. 어떤 사람들은 인간 배아를 인격체로 생각지 않고 분할하고 성숙하여 인간으로 될 특별한 잠재성을 가진 세포로 보기때문에 현 상태에서는 아기보다 가치가 적은 존재라고 본다. 이전 세대와 달리 지금은 단지 과학 연구 목적을 위해, 더 효과적인 의학적 치료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배아를 만들기도 한다. 복제된 것이든, 체외 수정에 의한 것이든 배아는 접시 안에서 위험에 노출된 채 우리 앞에 있다. 배아가 하나의 물건으로 우리 앞에 놓여 있을 때 그것은 더 이상 신비한 생명의 발전 과정에 속하거나 배아를 보호하며 영양 공급을 하는 여성에 속하지도 않으며, 그것을 만들어낸 실험실에, 배아의 비밀을 밝혀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에 속한다. 그들은 실험을 마치면 마치 그렇게 할 권리가 있는 듯 그것을 폐기해 버린다. 불임 부부에 의해 불임클리닉에서 만들어진 배아일지라도 그것은 아마도 많은 것들 중에 하나이므로 선택될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선택되지 않으면 그것은 액체질소에 저장되거나 폐기되거나 어쩌면 연구를 위해 기증될 것이다. 우리는 가까이 그리고 멀리 이웃들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아는 이웃이 있으며, 우리가 전혀 만나보지 못한 이웃도 있다. 이웃 중에는 우리의 친구도 있으며, 우리의 적도 있다. 더 나아가 생소한 이웃을 만날 때, 우리는 최소한 우리 서로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의해 상호 유대를 나눈다고 전제하거나 전제해야 하기도 한다. 그런데 질적으로 다르더라도 그 존재가 있다고 증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간단히 말해 어떤 존재가 인간을 의미하는지 배우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동료 인간을 이웃으로서 대우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대우는 그들이 누구이든 우리가 그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는 하느님의 계명에 의한 것임을 우리는 항상 기억해야만 한다. 어떤 사람은 배아와 상호 작용할 수 없고, 또 관계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배아들이 우리의 이웃인 것처럼 진지하게 대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좋은 이웃이라는 것은 항상 상호관계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아주 보잘것없고 취약한 이웃들을 아주 잘 보호할 수 있으며, 친절과 자비 행위를 보임으로써 우리가 결코 만나거나 직접 조우하지 않은 사람들을 돕기도 한다. Many Christians, especially those within the Catholic church, look at the human embryo and see a member of the human family, a neighbor, a being that is human and worthy of the same protection as any of us, all the more so because it is tiny and vulnerable. Some people see the human embryo not as another human person, but as a cell with the extraordinary potential to divide and develop into a person, and therefore of less value in its present state than as a baby. Unlike previous generations, we may now create embryos for the sole purpose of conducting scientific experiments, presumably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more efficacious medical treatments. The embryo, whether cloned or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s now out in front of us, in a dish and vulnerable. When it is placed in front of us as an object, it belongs no longer to the mysterious processes of life or to the woman whose body nourishes it in hiding, but to the laboratory that created it, to researchers who hope to open its secrets and, when they are through, discard it, as they seem to have a right to do. Even if the embryo is created by an infertile couple at a reproductive clinic, it is probably one of many, and it may or may not be chosen. If it is not chosen, it may then be stored in liquid nitrogen, destroyed, or perhaps donated for research. We have neighbors near and far. We have neighbors we know and neighbors wehave never met. We have neighbors who are our friends and neighbors who are our enemies. Moreover, when encountering unfamiliar neighbors, we presume ? or at least should presume ? that we share a mutual bond due to the fact that we both exist, however qualitatively different that existence might prove to be. In short, learning what being human means requires that we treat our follow human beings as neighbors, and we must always remember that this treatment is predicated on God’s command that we love our neighbors, whoever they might be. Being a good neighbor does not always require reciprocity or even interaction. We are quite capable of protecting nameless and vulnerable neighbors, and even assisting those we never meet or directly encounter, as demonstrated by our acts of kindness and charity.

      •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 윤리지침

        권복규,안경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7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1

        NT-hESC research has been receiving much attention, because it holds an immense potential to cure incurable diseases. However, many ethical debates are waged concerning NT-hESC. The debates center around the issue of destroying embryos and acquiring egg donations, because in order to get stem cell lines, the artificial making and destroying of embryos are necessary. Many stem cell scientists around the world continue NT-hESC research within the boundaries of their country’s laws, policies and ethical guidelines. In this article, I first examine the recent NT-hESC research and the naturally accompanying ethical debates regarding the moral status of embryos.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oral status of embryos stemming from various cultures, religions and social structures enhance the debate as current scientific technology requires the artificial creation and destruction of embryos in order to get stem cell lines. Second, I examine the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research materials such as egg donation. I explore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Guidelines for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which contains detailed articles related to policy and ethical considerations. Based on this, I propose that Korea extend the basic ethical and practical regulations in determining ethical and policy guidelines for NT-hESC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