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미국의 외국인 유학생 이동에 관한 비교

        한정훈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407

        현대 세계는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유사 이래 가장 빠른 변화의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의 확장으로 사람들은 자국의 정보뿐만 아니라, 타국의 정보에 대해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자국과 타국의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해외 유학이라는 결정을 하는 사람의 숫자는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 유학은 전통적으로 소위 주변국가라 불리는 개발도상국가에서 중심국가라 불리는 서구의 선진국들로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에는 중심국가로 분류되어져 온 선진국들로의 유학뿐만 아니라, 주변국으로 분류되었던 나라들 간에도 활발한 유학생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분류에 따른 중심국인 미국 내 외국인 유학생들과 최근 유학대상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결정요인 및 유학대상국 선택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와 대학의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과 미국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주요 유학결정요인은 무엇이며, 그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한국과 미국에서 유학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대상국 주요 선택요인은 무엇이며, 그 차이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 153명, 미국 내 외국인 유학생 86명, 총 239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유학결정요인과 유학대상국 선택요인에 대해 Likert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로 문항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그리고 독립표본 T검정으로 처리 및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 모두 유학결정요인은 경제적 요인-학업적 요인-사회적 요인 순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외국 문화를 경험해 보고 싶은 것이 유학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해외 유학 후에는 더 나은 직업과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해외에서 취득한 학위가 본국보다 더 높게 평가해 줌 등의 순으로 유학결정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학결정요인이 출신 지역, 현재 수학하고 있는 국가 등과 관계없이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말해준다. 둘째, 한국과 미국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 간 주요 유학대상국 선택요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사회적 요인-학업적 요인-주변인의 추천-경제적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미국은 학업적 요인-주변인의 추천-사회적 요인-경제적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대한 응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국에 있는 유학생들이 미국의 유학생보다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한국을 선택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방안을 제안해보면, 먼저 학업적인 부분 뿐 아니라 문화적 특색과 경험을 접목시켜 정부와 대학, 그리고 기업의 협력 하에 학업부터 취업까지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하고,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한국의 사회적 요인들을 부각시키고 활용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아시아 지역 학생들에게 적합한 홍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외국인 유학생을 우리나라에 성공적으로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외국인 유학생 이동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고재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407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국인 유학생의 변화를 주요한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우리나라에 입국한 외국인 유학생 출신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우리나라와의 관계를 파악한 것이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전공과 한국유학을 선택한 배경을 출신국가별로 구분하여 공간적으로 해석하였고 그들의 일상생활 장소의 특성을 경관을 중심으로 분석·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 유입한 유학생은 1980년, 2004년, 2010년을 급변점(break point)으로 상승하였다. 통계자료 확인이 가능한 1965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외국인 유학생 변화를 이 3개의 급변점을 중심으로 크게 4개 시기로 구분하여 그린 그래프에서 2000년 이전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고, 이후로는 급격한 상승곡선을 그렸다. 특히, 2004년을 급변점으로 매년 평균 10,000명씩 급격한 상승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급상승은 2010년을 급변점으로 주춤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국인 유학생의 변화는 각 시기별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관련된 국제적 위상변화와 정부와 각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영향으로 공간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출신 국가 배경은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유학생 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각 국가의 GDP와 경제규모, 우리나라와의 교역량 등의 경제적 배경 요소와 외국인 유학생 수와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한국과의 교역량은 r=.842로서 절대종속의 정적상관관계로 확인되었다. 이는 물적 교류가 증가할수록 그만큼 인적 교류도 활발함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각 국가의 인구수와 우리나라에 입국한 여행자 수 모두 국내 입국한 유학생 수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1인당 GDP와의 관계는 r=-.057로 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출신 국가의 거리 역시 낮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아시아대륙에서 유학생의 유입이 가장 많으나, 해외 유학생의 흐름은 항공교통이나 해상교통에 따른 시간거리 측면의 영향도 크고, 정치·경제·문화·학술적 교류가 이러한 지리적인 거리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본 연구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체로 한국의 전공분야와 연구시설 및 교육과정이 본국보다 뛰어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한국 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장학금 혜택은 한국 유학을 선택하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했지만, 지인과 이전의 한국 관광 경험의 영향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응답자들은 전공분야에 대한 한국유학이 유학 후 한국보다는 본국에서의 취업에 크게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입국한 유학생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학생들의 전공 분야에 대한 인식들을 단계적회귀분석(Stepwise)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본국 취업을 가장 염두에 두는 요인으로 확인 되었다. 한편,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 유학을 선택한 배경과 목적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에서 전체적으로 한국의 경제발전과 연구 환경, 과학기술, 기업경영, 문화, 정치·행정에 대하여 배우고 싶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경제발전과 정치·행정요소, 문화(종교, 민족, 언어)에 대해 알고 싶다는 비율이 높아 주목되는 부분이다. 이에 비해 한국의 고용기회, 농업기술에 대해 배우고 싶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국에 입국한 유학생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학생들의 한국 상황에 대한 인식들을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이 우리나라에 입국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선택한 배경과 목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일상생활은 평일 주간에는 전공연구(43%), 여가활동(22%),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20.4%), 파트타임 잡(7.8%), 종교 활동 및 봉사활동(6.2%) 순으로 조사되었다. 평일 야간에는 여가활동(39.2%), 전공연구(34.5%),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17.4%), 파트타임 잡(6.9%), 종교 활동 및 봉사활동(2%)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평일에는 60%이상이 교내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평일 주간의 전공 연구 활동이 야간에는 여가 활동으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일은 평일과 달리 학교 밖의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유학생들이 즐겨 찾는 장소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휴일 주간에 외국인 유학생의 일상생활은 여가활동(46%),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33.2%), 전공연구(11.9%), 종교 활동 및 봉사활동(4.9%), 파트타임 잡(4%) 순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이 평일 주간에 가장 비율이 높았다. 휴일 주간에 이루어지는 외국인 유학생의 일상생활 장소는 대체로 강북의 신촌과 홍대 일대, 도심권 일대, 이태원과 용산 일대에 집중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휴일 야간에는 전공 연구(30.7%),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27.3%), 여가 생활(18.3%), 종교 활동 및 봉사활동(3%), 파트타임 잡(2%) 순으로 조사되었는데 휴일 야간에는 숙소에 머무는 학생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OECD 국가의 유학생들은 다른 유학생들에 비해 전공 연구 활동은 대체로 평일에 더 많이 하고 휴일에는 주로 한국어 및 한국문화 체험과 여가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과 관련해서는 비OECD 국가 학생들은 주로 주간에 비교적 많이 활동하고, OECD 국가 유학생들은 주로 야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교 활동 및 봉사 활동은 OECD 국가 유학생들의 활동이 더 높게 나타났고, 파트타임 잡 활동도 평일 주간을 제외하고는 OECD 국가 유학생들이 더 많이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비율은 모두 비OECD 국가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륙별로는 아시아 출신의 학생들의 활동장소는 교내와 숙소를 제외하면, 명동, 신촌, 이태원, 영등포, 종로 등지에서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유럽 학생들은 홍대, 신촌, 종로, 이태원 활동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 체험 활동과 지방 여행, 종교 활동의 비율이 다른 대륙과 비교하여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특히 종교 활동 장소는 여의도, 신촌, 신림동, 이태원 등지의 교회나 성당이었는데 이들의 활동 목적은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 체험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을 볼 때, 종교 활동을 통한 한국인들과의 교류 및 한국문화 체험을 고려한 활동으로 해석된다. 북아메리카 학생들은 평일에 교내활동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파트타임 잡의 경우 대부분 언어를 활용하여 어학학원이나 방문 수업, 번역, 통역 등의 종류가 많았는데 이는 유럽의 학생들도 마찬가지였다. 일상생활 장소는 교내와 지방 여행지를 제외하면 종로를 비롯한 도심 일대, 홍대, 신촌, 용산 등지가 높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1차 설문에서 50개국 195명의 유학생, 2차 설문에서 33개국 출신의 102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전공 선택 및 한국 유학 선택 배경, 일상생활 장소를 출신국가별로 해석하기에 각 국가를 대표하는 사례 학생 수가 적어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륙별로 해석한 점이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각 대륙별로 유학생을 만나 심층 면담을 실시하려다 보니 전공별로 학교별로 고르게 분포하지 않는 점도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의 학위논문 초록 비교 연구 : 경영학 박사학위논문 초록 텍스트 구조를 중심으로

        곽기동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3295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has increased sharply since 2014, the number of those in graduate schools, the top educational institution, is also increasing. International students in graduate school must write their dissertation in a manner agreed upon by the discourse community for each major in order to obtain a degree. However, the research on genre analysis of dissertation for them has been limited 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educational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dissertation writing to be established,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in various majors. In order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on genre analysis of dissertat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abstrac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which domestically holds the largest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al discuss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dissertation writing b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abstracts between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and those of other majors and the difference of abstracts between Korean writers and international writers. For this purpose, 70 business administration doctoral dissertation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30 business administration doctoral dissertations of Korean students from 2011 to 2020 were gathered through a dissertation search site ‘Riss’. The framework utilized in this research is ‘Analytical framework for move structure’ from Pho (2008). For the reliability, 20 abstracts out of the total sample were extracted for individual analysis by three reviewers including the researcher, and after this the reviewers gathered for negotiation and reached Kappa number 1.0. From that point on, the researcher single-handedly analyzed the remaining part of the sample.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dissertations in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and those of other fields showed as follows. First, abstracts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belongs to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its department which is a mandatory use of the move 'A, R, C', but the difference was in that typ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bstracts use move ‘B’ selectively whereas the move ‘B’ was used mandatorily in business administration abstracts. In addition, business administration abstracts showed higher use of the move ‘M’, a generally used move in the abstract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when compared to the typ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bstrac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moves that the students used the most in their abstracts, business administration students used ‘5-move structure’ the most at a rate of 66.7%, which is relatively a higher figure to the 44.4% in the Korean education field (4-move structure) and the 45% in the engineering field (3 move structur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usage percentage of the move structure type, the most used in the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was 'B-A-M-R-C (46.7%)', which is relatively a higher figure as well when compared to 'A-B-M-R-C (22.2%)'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and 'B-A-M-R-C (17%)’ in the engineering field. Next,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students and international students show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umber of letters, it showed that Korean students wrote their abstracts 500 letters longer in average than international students, and main cause was found to be the move ‘C’.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ccurrence frequency of moves, Korean students essentially used move B, A, R, C, where as international students essentially used move A and R, and the usage of the move C differed up to 30%.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of moves used, both groups, Korean students (66.7%) and international students (37.5%), used ‘5-move structure’ the mos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ypes of moves, Korean students used 9 types and international students used 17 types with the structure 'B-A-M-R-C' as the most used type in both groups. Abstracts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bstracts, while at the same time showing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at cannot be found in the two aforementioned fields. Compared to other fields, the proposed model is clear, a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typical use of the move structure 'B-A-M-R-C'.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need genre education on the abstract of business administration dissertation. It is supposed that using the writings of Korean students for genre education, which suggest a clear model regarding the format, can help international students to write in the way the business administration discourse community expects. In particular, the ‘B-A-M-R-C’ type,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structure in both groups,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move structure in the abstract of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and it is thought that using the very structure as a main type for education seems to be effectiv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s reflected the practical needs and expanded the research scope by analyzing moves of abstracts in the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s which have not yet been researched even though the field holds the largest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 foundation of resource for Korean dissertation writing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by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sertation abstracts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I anticipate that diverse resource for international students’ dissertation writing will be established through follow-up research.

      •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계획 영향 요인 분석 : 서울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임희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00639

        한국은 2004년 Study Korea Project 도입을 시작으로, 고등교육 국제화를 위한 우수 유학생 유치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그 결과 유학생 10만 명 시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 수의 비약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졸업 후 한국에 남아 정착하는 외국인 학생의 수는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외국인 학생들의 유학 동기 및 유학 국가 선택 과정에 주목하고 있을 뿐, 이들이 졸업 후 어떠한 진로를 선택하고 어디로 이동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진로 선택 실태를 살펴보고, 이들이 졸업 후 한국에 체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진로 선택을 진학과 취업으로 세분화하고, 각각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외국인 학생들의 유학동기와 대학생활, 취업경험, 진로계획 등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대학교의 정규 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 30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대상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계획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ANOVA,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학생들의 진로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졸업 후 한국에 남기를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영어권 국가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한국에 남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경우, 진학보다는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학생들은 한국인 학생들과의 교우 관계가 친밀할수록, 한국의 취업시장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이공계열 학생일수록, 영어 및 한국어 구사 능력이 탁월할수록,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점이 낮을수록 졸업 후 한국에 체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졸업 후 진로를 진학과 취업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결과, 한국이 1순위의 유학 희망 국가였던 학생일수록,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한국인 학생들과의 교우 관계가 친밀할수록, 학점이 낮을수록 한국에서의 진학을 희망하였다. 그리고 이공계열의 박사과정 학생일수록, 한국어 및 영어 구사 능력이 탁월할수록, 한국의 취업시장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한국인 학생들과의 교우 관계가 친밀할수록 한국에서의 취업을 더욱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 및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이 졸업 후 진로계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바,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 및 진로지원 활동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인 학생들과의 교우관계는 진학과 취업 모두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학생 간 교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와 영어 구사 능력이 졸업 후 한국에서의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재학 기간 중 외국인 학생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졸업 후 상위 교육과정으로의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경우 한국보다는 미국을 비롯한 서구 선진국을 보다 선호하고 있는 바, 한국에서의 진학을 보다 촉진할 수 있도록 대학 교육의 질 제고와 함께 한국 대학에서의 학위의 가치를 높여나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Over the last decade,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put enormous efforts and resources in recruiting international students to come and study in Korea. ‘Study Korea Project’, a state-led initiative was introduced in 2004 and as a result, Korea became a country that has one of the highest increase rates o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mong OECD countries. However, in contrast to the huge and rapid influx of international students, those who stay in Korea after completion of their study is found to be very low. Even though such career plan, which can also be expressed as ‘stay or leave’ decision, is widely acknowledged to be as important as international students' motivation to choose a host country, there has been lack of interest from previous studie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realities of international students' career plan and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ntion to stay in Korea. Also, career plan was specified into ‘work’ and ‘to continue study’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fluential power of variables based on each choice that international students make. Survey was developed for the analysis, and it contained questions regarding international students' motivation to come to Korea, their experience in university, work experience and future plans. As a resul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a regular degree program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otal 306 survey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Crosstab, ANOVA, t-test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career plans between students’ nationality, degree stage and major program. Also,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international students' career plans. Followings are notabl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international students' rate of intention to stay in Korea were found to be lower compared to countries such as U.S or UK. Second, among the students who wish to stay, there were more students who wish to get a job compared to students who wish to continue their study in Korea. Third, peer relation with Korean students, level of information on labor market in Korea, major program (Science and Engineering), language proficiency (both Korean and English), satisfaction on university life and GPA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influence on international students' intention to stay in Korea. Among these variables, GPA score was the only variable which exerted negative influence. Fourth, when specifying career plan into ‘work’ or ‘study’, variables such as having had Korea as first choice study destination, faculty interaction, peer relation with Korean students and GPA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or their intention to stay and study in Korea. Once again, GPA score was found to exert negative influence, which means that those who perform better academically wish to leave to other countries for their further study. Also, as for intention to stay and work in Korea, language proficiency (both Korean and English), doctoral students in S&E field, level of knowledge in Korean labor market and peer relation with Korean students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Based from these results,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or government and university's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First, it was found that factors related to students' university life were significantly more influential compared to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factors. Therefore, effective support system for these students are needed in all perspective that they encounter in university, including academic and career counselling. Peer relation with Korean students was found to have biggest influential power for both career plans (study and work), hence, more active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vitalize interaction among students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 Second, since to have higher level of both Korean and English proficiency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on increasing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stay and work in Korea, various language support programs offered by university may help their students to be better prepared for future recruitment opportunity in Korea. Third, instead of staying in Korea for their further education, mor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ish to continue their education in western countries, notably U.S. Based from such result, more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promote the general perception and value of the degrees produced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current status of ‘stepping stone’ study destination.

      • 외국인 유학생 노동에 관한 실증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노동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LE VI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51519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living in South Korea exceeded 140,000 in 2018.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pecific programs in place to attract foreign students with the objective to have 200,000 foreign students by 2020.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do not pay enough attention to foreign students, and the discourse on foreign students in Korean society is distorting and marginalizing the existence of foreign students. In this atmosphere,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foreign students, especially labor issues. And how to understand and categorize them in the global political and economic frame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ght on the reality of foreign students living in Korea, to find out what problems they experienced in social life and labor process as foreign students who entered Korean societ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se problem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Vietnamese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eply analyze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labor and their survival strategies by gather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on the migration process, labor activities, and lif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from Vietnam.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hat foreign students face in Korea. They are experiencing various problems such as adaptation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work together to survive, and difficulties related to unemployed employment procedures and work environments. In addition, there are complaints that foreign students face due to their grievances an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because they do not know Korean law and system. First, it is a problem in the process of admission. Foreign students are exposed to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many opportunity costs such as expenses for studying abroad during the admission process. Second, in social life such as the residential area, school and everyday life, foreign students are discriminated against due to the weakness of their status as a foreign student, racial awareness of foreigners and lack of language skills. Third, many foreign students are working in blind spots where the law does not apply. In the course of labor, they work while enduring various problems such as overdue wages, low wages, industrial accidents, illnesses, long hours of work, poor working conditions, and are unable to cope with abuse, assault, sexual harassment and intimidation by an employer. Foreign students showed a low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while only recognizing exploitation in labor, despite being discriminated against by prejudice or distorted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in daily life and labor. Students who study abroad have overcome social exclusion personally to adjust to Korean society, and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Korean society and studying abroad. Finally, while foreign students are in the victim status due to the institutional and social exclusion of Korea, they are not the passive victims but actively utilize the social network to adap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He was established as a main player in Korean society that was developing his own survival strategy. Their commitment to Korean society seems to be very strong. This study described the difficulties that foreign students face while working and studying in Korean society and also have confirmed that in the global political and economic framework, foreign students who combine work with study can be classified as a new category of 'student-worker' and emphasizes that the international movement of foreign students is related to the migration of labor force, and the study of them needs to be seen in the flow of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Keywords: Foreign student, work rights, Foreign student's labor issue, Living Conditions, work rights, student-worker, international migration of foreign students,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migrant labor, Vietnamese students. 2018년 한국에서 살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 수는 14만 여명을 넘어섰고 교육부는 2020년까지 유학생 20만 명을 유치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하지만 한국 정부와 시민사회는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충분히 관심을 가지지 않고 한국 사회의 담론은 외국인 유학생의 존재를 왜곡시키고 주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현실, 특히 노동 문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나아가 글로벌 정치경제학적 구조에서 그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범주화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생활세계의 현실을 밝히고 그들이 한국사회에 유입되면서 유학생의 지위로서 사회생활과 노동과정에 무슨 문제를 겪었는지 알아보고 이 문제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인천지역에서 거주하는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실시했다. 베트남 출신 유학생들의 이주과정, 노동활동, 한국 생활 경험을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하여 이들이 노동 과정에 겪은 문제점과 이들의 생존전략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생활을 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다양하다. 낯선 환경에서의 적응, 생존을 위해 취업을 병행해야 하는 상황, 특히 경험해 보지 못한 취업절차 및 업무환경과 관련된 어려움 등 다양한 고충을 경험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법과 제도를 몰라서 겪는 고충과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겪는 고충 등이 있다. 첫째, 입학 과정에서의 겪는 문제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입학 과정에서 유학경비 등 많은 기회비용 지출로 경제적인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다. 둘째, 사회생활에서는 주거영역,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유학생이라는 신분적인 약점, 외국인에 대한 인종주의적 인식, 언어 능력 부족의 이유 등으로 인해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 셋째,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법이 적용되지 않는 사각지대에서 노동을 하고 있다. 노동과정에서 이들은 각종 문제 즉 임금체불 𐩐 저임금 𐩐 산업재해 𐩐 질병 𐩐 장시간 노동 열악한 근로조건을 견디면서 근무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폭언과 폭행, 성희롱, 협박 등에 시달려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일상생활이나 노동현장에서 한국사회의 편견이나 왜곡된 인식으로부터 차별대우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착취 받는다는 것만을 인식 할 뿐이고, 다른 형태로 드러나는 차별에 대해서는 불만을 가질 뿐, 낮은 인식의 정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유학생들은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사회의 배제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한편, 동시에 한국사회와 유학생활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의 제도적·사회적 배제로 인해 피해자 지위에 처해있지만 수동적인 피해자의 위치가 아니라 한국사회에 적응해나가기 위해 사회적 연결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나름의 생존전략을 만들어가는 한국사회내의 한 주체로서 자리를 잡고 있었다. 이들의 한국사회 편입의지는 매우 강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하지 못하고 노동을 겸하고 있는 현실을 묘사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글로벌 정치경제학적 구조에서 공부를 하면서 노동을 병행하는 중간적인 존재로서 자리 매겨지는 그들을 ‘유학생-노동자’라는 새로운 범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유학생의 국제이동은 노동력이동과 연관되는 것이고 앞으로 이들에 대한 연구는 국제노동력이동의 흐름 속에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주요 어: 외국인 유학생, 유학생의 노동문제, 유학생의 생활실태, 유학생의 근로 권리, 유학생-노동자, 유학생의 국제이주, 국제노동력이동, 이주 노동, 베트남 유학생

      •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 대화에 나타난 담화 구성 양상 연구 : 소집단 동료 세미나를 중심으로

        이승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18735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학문 담화 공동체 내 동료로 이루어진 소집단 세미나의 사례로부터 외국인 유학생의 동료 간 학습 대화를 수집하여 대화분석을 통해 그 양상을 분석하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습 대화의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는 대표적인 학술 담화 유형인 발표와 토론 중심으로 다루어져 왔다. 학문적 맥락에서의 학습 대화는 동료의 연구를 돕고, 지식의 공유와 탐구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는 점에서 발표나 토론과는 다른 특수한 담화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 이상의 교육과정에 진학하고자 하거나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동료 간의 학습 대화를 제2언어 학습을 지원하는 도구 이상의 위상, 즉 하나의 학문적 담화 유형으로서의 위상을 부여하여 다룰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크게 학습 대화의 이상적인 대화 원형 재구성, 실제 학습 대화에서 문제 종류와 원인 연구, 학습자 배경 요인 분석,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습 대화의 교육 방안 설계의 네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III장에서 먼저 대화문법론의 연역적 분석 절차에 따라 학습 대화의 원형을 재구성한 결과, 핵심 기능 단계인 ‘지식 점검하기’ - ‘지식 탐색하기’ - ‘지식 구성하기’가 도출되었다. 각각의 부분 용도로는 ‘검토하기’와 ‘이해 확인하기’, ‘정교화하기’와 ‘정당화하기’, ‘비판적 수용하기’와 ‘정리하기’를 도출하고 각각의 사고 수준을 구현하였다. 대화이동 연속체의 원형으로는 ‘질문’ - ‘대답’ - ‘이해표시’의 구조를 재구성하였으며, 학습 대화의 핵심 대화이동으로서의 ‘질문’이 학습 대화를 추동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실제 학습 대화 26개를 분석한 결과 문제 발생 유형은 총 11가지로, ‘탐색하기 진입 지연’, ‘바꿔말하기 회피’, ‘질문 생성 회피로 인한 불균형’, ‘의미 협상 회피로 인한 누적 대화’, ‘종합 발화 회피’, ‘정리 발화 생략’. ‘질문의 명료화 실패’, ‘대답의 유기적 구성 실패’, ‘이해 표시 재진술 회피’. ‘보조적 언어장치 사용 미숙’, ‘반박을 위한 반박 질문’이 도출되었다. 대화분석 결과와 참여자 면담을 토대로 기능 단계에서의 사고 수준 이해와 이에 상응하는 핵심 질문 역량이 외국인 유학생에게 가장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여 이를 중심으로 한 동료 간 학습 대화 교육의 내용으로 공통 기본 수업과 질문 생성 훈련 수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습 대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한국어 학습 대화 교육 내용 범주를 체계화하기 위한 대화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동료 간 학습을 단순히 다른 언어 기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으로 보지 않고, 장르적 접근에 기반하여 학습 대화가 가진 특수한 의사소통 목적과 맥락을 파악하였다. 둘째, 실제 대학원 세미나 장면을 통해 살아있는 언어 수행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기존의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영역인 ‘질문하기’를 학습 대화의 필수 대화이동으로 재발견하고 이에 대해 탐구하였다. 넷째, 사례 연구를 통해 학습 대화의 양상에 영향을 미친 학습자 배경 요인을 탐색하였다. 다섯째, ‘수단으로서의 동료 학습 활동’이 아닌 ‘목적으로서의 학습 대화’의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학문 담화 공동체 내에서 구성원 간의 자발적인 참여와 상호 조력을 강조하는 다양한 학습 모델의 개발에도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제2언어로서의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이 실제 학문적 맥락에서 실천하는 유의미한 다양한 담화 유형을 발굴하고 교육적 장르로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같은 노력들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