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말기 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박재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05

        과거에는 대부분의 사망이 자택에서 일어났으나, 현재 산업화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병원 및 시설에서의 사망이 보편화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자택 사망률은 급감하여 2009년 현재 20%를 하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지만, 사람들의 희망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여러 선행연구 및 본 연구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최소 절반 가량의 사람들은 여건만 충족된다면 자택에서 생의 마지막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한다. 병원 사망률의 과도한 증가는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문제를 낳는다. 사망하는 환자나 그 가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사회 전체의 의료비 부담도 가중시킨다. 때문에 일부 선진국에서는 병원 사망률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 혹은 시행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의 희망을 실현시켜 준다는 측면과, 가망 없는 말기 환자에게 행해지는 과도한 의료 이용을 억제함으로써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측면 때문이다. 일본, 영국, 미국, 캐나다 등 여러 나라의 사례는 정책적 개입을 통해 사람들의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의료비 절감의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단서를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자택 사망률 제고를 위한 정책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논의조차 진행되지 않고 있지만, 향후 이러한 정책 도입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첫째 자택에서 편안한 임종을 맞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의 희망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둘째 말기 환자들에게 요양의 장소 및 방법에 대한 선택권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셋째 말기 환자를 위한 인본주의적 배려 차원에서, 넷째 나날이 위축되어 가고 있는 일차의료기관의 역할을 강화하고 보건의료전달체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 다섯째 의료비 절감을 위해서 등이다. 이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검토해야 할 사항으로는, 첫째 재택의료 서비스 제공 체계의 기본 틀의 구성, 둘째 재택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 책정, 셋째 말기 재택 케어의 대상자 선정과 관련한 규정이나 절차의 마련, 넷째 사망진단서 통계와 다른 보건의료 통계를 연결하여 집계하는 시스템 마련, 다섯째 이와 관련된 연구용역 및 시범사업의 실시 추진 등이 있다. 이러한 정책의 추진은 대상자 선정과 관련한 명확한 절차 및 가이드라인의 마련, 환자 본인의 의사를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문서의 사전 작성 등 몇 가지 장치를 마련한다는 전제 하에 특별한 법적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일차의료기관 등 의료공급자가 이 정책에 자발적으로 호응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건강보험 수가 책정 등이 이루어진다면 공급 인프라의 구축 측면에서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비록 현재보다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그 선택 자체는 온전히 말기 환자 본인 및 그 가족들에게 맡겨져야 하며, 그들에게 제공되는 말기 케어의 ‘수준’은 환자 및 가족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비용효과적이어야 하므로, 다양한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과 스트레스 완화와의 관계 : 심리적 행복감과 신체적 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숙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167

        By being aware of the utility expressed by beauty care behavior, it promotes positive emotions such as happiness and satisfaction and reduces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relevance or causality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beauty care behavior and various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nd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psychological effectiveness of beauty care behavior in order to develop beauty care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happiness and physical respect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and stress relief.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combined with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First,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beauty care behavior,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ll ages was skin care and body care. It was a time of beauty care, when people in their 20s wanted to change their mood, and people in their 30s and 50s said that they usually do it in their spare time. The purpose of beauty care behavior was self-satisfaction among all age groups, and the frequency of beauty care behavior was the highest among all age groups. Beauty care behavior that relieves stress is hair treatment in 20s and 30s, and skin care treatment in 40s. In their 50s, it turned out to be body type managemen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psychological happiness, physical respect, and stress relief, the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showed that freelancers showed higher confidence and concentration than office workers. Among the stress relief factors, freelanc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elf-confidence mitigation and anxiety mitigation than office workers. In terms of psychological happiness factors, freelancers showed higher self-realization, immersion, and enjoyment factors than office workers, men showed higher respect for appearance and weight than women in physical respect factors, and freela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pect for health and appearance than office workers.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which analyzed interrelationship and multicollinearity among th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ower factors of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and the lower factors of stress relief. However, the psychological uti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respect of beauty care behavior showed partia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lower 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ch factor among each variable,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efficacy factors of beauty care behavior on the stress relief factors, the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and concentration al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mitigating factors of self-confidence and anxiety, and the improvement of mood change and concentration affected the relaxation of depress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efficacy factors on psychological happiness factors of beauty care behavior, it was found that mood change and confidence improvement affected immersion, and mood change and concentration improve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elf-realization and enjoyment factors.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beauty care behavior on physical respect factor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respect,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and self-confidence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ppearance respect factors, and improvement of mood and confid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weight respect facto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happiness factors on stress relief factors, self-realization, immersion, and enjoyment factors all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elf-confidence mitigation and anxiety mitigation factors, and self-realization and enjoy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mitigation factors. The effects of physical respect on stress relief factor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elf-confidence, depression and anxiety mitigation factors. Fifth, the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ress relief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stress relief through the medium of psychological happiness and physical respect. The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respect.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respec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tress relief. Sixth, the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with stress relief showed positive (+) effects in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respect, indic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um effects. In this study, the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has a direct effect on stress relief, but it has been identified that it can indirectly affect through psychological happiness and physical res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the basic cornerstone of beauty therapy's application program and expand the psychological utility of beauty care behavior to research as beauty therapy. 뷰티케어행동을 했을 때 느끼는 심리적 효용성은 행복감, 만족감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증진시키고 스트레스, 우울,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킨다. 이에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과 다양한 사회·심리적 변인 간에 관련성 또는 인과성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완화와의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행복감과 신체적 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과 스트레스 완화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첫째, 뷰티케어행동의 실태 조사 결과, 모든 연령에서 뷰티케어행동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피부관리와 체형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뷰티케어행동을 하는 시기로 20대는 기분전환을 하고 싶을 때였고 30대-50대에서는 여가시간에 주로 한다고 하였다. 뷰티케어행동의 목적은 모든 연령대에서 자기만족이었고, 뷰티케어행동의 빈도는 모든 연령대에서 자주 한다가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 해소하는 뷰티케어행동 방법은 20, 30대에서는 헤어시술, 40대에서는 피부미용시술, 50대에서는 체형관리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 심리적 행복감, 신체적 존중감, 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평균 차이 분석 결과,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은 프리랜서가 회사원보다 높은 자신감과 집중력이 나타났다. 스트레스 완화 요인중에서 프리랜서가 회사원보다 자기신뢰 완화와 불안 완화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행복감 요인에서 프리랜서가 회사원보다 자아실현감, 몰입감, 즐거움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고, 신체적 존중감 요인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외모존중감 및 체중존중감이 높게 나타났고, 프리랜스가 회사원보다 건강존중감과 외모존중감 요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변인 간 상호관련성과 다중공선성을 분석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의 하위요인과 스트레스 완화의 하위요인 간 유의하게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과 심리적 행복감 그리고 신체적 존중감은 모든 하위요인 간 부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각 변인 사이에서 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 요인이 스트레스 완화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분전환, 자신감 향상, 집중력 향상 모두 자기신뢰 완화와 불안완화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기분전환과 집중력 향상은 우울 완화에 영향을 미쳤다.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 요인이 심리적 행복감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기분전환, 자신감 향상은 몰입감에 영향을 미쳤고, 기분전환과 집중력 향상은 자아실현과 즐거움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 요인이 신체적 존중감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기분전환, 자신감 향상, 집중력 향상 모두 건강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중력 향상과 자신감 향상은 외모존중감 요인에, 기분전환과 자신감 향상은 체중존중감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행복감 요인이 스트레스 완화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아실현, 몰입감, 즐거움 요인 모두 자기신뢰 완화와 불안 완화 요인에, 자아실현과 즐거움은 우울 완화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존중감 요인이 스트레스 완화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건강존중감과 외모존중감 요인은 자기신뢰 완화, 우울 완화, 불안 완화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이 심리적 행복감, 신체적 존중감을 매개로 스트레스 완화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은 스트레스 완화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은 심리적 행복감과 신체적 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행복감과 신체적 존중감 모두 스트레스 완화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여섯째,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과 스트레스완화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 신체적 존중감 모두에서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이 스트레스 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심리적 행복감과 신체적 존중감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뷰티테라피의 응용 프로그램에 기초적인 초석이 되어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이 뷰티테라피로서의 연구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뷰티케어행동의 심리적 효용성을 높이는 뷰티케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