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안정한 삶과 예술 노동 : 무용수의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조형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2

        이 연구는 제도권 교육 체제 안에서 교육받은 무용수의 예술 노동에 대한 탐구이다. 한국에서 무용은 강한 제도권 교육과 재생산 시스템을 갖춘 순수예술의 형태로 예술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무용수들과 안무가들이 어떤 방식을 통해 직업적 정체성을 가지고 자신의 예술 작업들을 정체화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문화연구적 접근이 이루어진 바가 없다. 여기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무용 제도권 교육이 형성하고 있는 예술 장을 바탕으로 무용수가 어떻게 자신의 직업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의 무용 작업들을 하나의 예술 노동으로서 인식하는지 연구하였다. 이 연구 과정에서, 젊은 무용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예술계 내부에서의 노동 현실을 드러내고, 그들이 그 구조적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협상해 나가는지 고찰하였다. 주로 20대에서 30대에 걸쳐있는 아홉 명의 무용수와 안무가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반구조화된 심층 면접 인터뷰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분석한 사실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먼저 무용수들은 제도권 교육을 통해 예술가의 직업적 정체성을 만들어가며, 예술계 내부의 아비투스를 습득하게 된다. 특화된 중등교육기관과 대학 무용과라는 제도권 교육을 거치며 무용수는 완벽하게 예술계의 내부인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에서 형성된 도제적 권력관계는 무용수의 예술 노동을 왜곡하는 근거가 된다. 다음으로, 무용수와 안무가의 비예술 노동은 예술 노동을 지속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때로는 예술가의 예술 노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삶을 영위하기 위해 비예술 노동을 병행할 수밖에 없는 예술가들은 이 과정에서 비예술 노동으로 인해 예술 노동이 소진되거나, 훼손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무용수들에게 있어 가장 접근성 높은 ‘비예술’ 노동은 레슨이지만, 제도권 교육이라는 문화자본을 형성하지 못하였거나 혹은 제도로부터 탈주하기를 원하는 무용수들은 예술과 완벽하게 상관없는 노동을 통해 생존 전략을 모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왜곡된 노동 상황에서 무용수와 안무가는 자기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과 경합하고 ‘창조적 욕망’을 통해 그것을 극복해 나간다.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작업을 지속하게 만드는 정동은 비물질노동을 가능하게 하는 ‘창조적 욕망’이다. 여기에서 예술가들의 정동적 노동이 하나의 새로운 ‘노동’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예술 노동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무용수와 안무가의 예술 노동을 문화연구적으로 접근하면서, 이전까지 노동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았던 예술이 하나의 노동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특히 문화산업의 조직적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순수예술에 대한 문화연구를 통해, 기존의 문화산업 노동자 연구에서 노동자성에 가려 완전히 드러내지 못했던 창작에 대한 욕구와 그 정동을 자세히 살펴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예술가라는 정체성을 하나의 직업적 정체성으로 구체화하고 무용수와 안무가들이 스스로에게 가지는 노동자성과 그 왜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예술가들이 처해있는 상황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논의를 시도했다. 더 나아가 예술가들의 복지와 노동 상황에 대한 인식이 이제 막 시작된 한국 사회에서, 본 연구는 예술 노동과 그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This is an cultural study on artistic labor of dancers who have been trained in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systems. In South Korea, dance, as a form of fine art, is sustained by standardized institutional systems of education that perpetuate this education practice. However, there has been no cultural study on how dancers and choreographers obtai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define their artistic work as in terms of a lab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dancers establish professional identities and how they acknowledge their dancing as artistic labor in this field of art that is based on such institutionalized education systems. In particular, I analyzed the labor climate and the systematic problems of the art world to which young dance artists encounter, and how they deal with these conditions. Apply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9 dancers or choreographers who have experienced institutionalized educa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main finding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dancers obtain habitus of the art world to which they belong while they have establishe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rtists based on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rained in art-specialized secondary schools and colleges, dancers have well-developed as insiders of the art world. In apprenticeship of this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master and the dancer provides grounds to deteriorate value of artistic labor; price for artistic labor. Next, dancers’ and choreographers’ non-artistic labor is an crucial factor that upon occasion determines whether they are able to continue their artistic labor. Many artists engaging in non-artistic labor for their living experience their art labor seems to disbenefit because they are exhausted or depleted in engaging in their non-artistic labor. The most feasible non-artistic labor for dancers is giving lessons. However, dancers who do not have the cultural capital of institutionalized education or who want to avoid these institutions have to seek labor that is completely irrelevant to their art practice in order to earn a living. Last, dancers and choreographers struggle to overcome their inner conflicts regarding disadvantageous labor situation by pursuing their own creative desire. An affect that allows dancers and choreographers to continue their art work is this ‘creative desire', which has art work to be included the boundary of non-material labor. In order to have artists' affective labor be acknowledged as a new form of labor, social agreement concerning artistic labor is necessary. Approaching dancers’ and choreographers’ artistic labor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how art work has been established as a kind of labor. By performing cultural research on fine art, which is less-industrialized, I aimed to analyze artists’ yearning and affect for creation, which were mostly ignor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labor of the cultural industry. We attempted to generate discussions that may change labor situations artists faces in reality, by investigating how artists establish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an artis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discussion of artistic labor and its social values in South Korea, which has recently started to pay attention to artists’ welfare and labor.

      • 디지털 복제 시대 문화 생산과 향유에 대한 연구 : 1998-2007 한국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이충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18

        This thesis is an ethnography on Cultural Production and Enjoymentin the Era of Digital Reproduction. Over the past decade, digital technologies have permeated(undermined) the music industry. The Interet is bringing new key players and business models into the music industry.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emergence of industry standards is accelerating such changes. Music has been encoded in digital form and stored on CDs, laser discs, and digital versatile discs.Recent technological innovations allow internet users to access and trade digital music files without paying those who have produced music. The new technologie are turning recorded music into a public good, since no one can be prevented from enjoying and inexhaustible supply of digital copies. With no costs of manufacturing packaging, shipping, or retailing CDs, downloads can be offered at a marginal cost of virtually zero and can be enjoyed by music fancs at the cost of just a few minutes of computer times. Internet music trading thus represents a tremendous potential efficiency gain in music distribution. And Web's liberating potential by radically accelerating toward narrower market segmentation and more fine-grained product. The prevalence of technologies supporting specific industry standards also facilitates development of the new music distribution paradigms. 이 논문은 최근 10년간의 한국 대중음악이 디지털 복제 및 전송이라는 신기술로 인한 산업 인프라의 이행기를 맞아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음악산업은 비물질적 재화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비물질노동에 속하며, 편곡과 연주, 녹음 과정에서 디지털 기기의 비중이 크다. 또한 비물질 상품의 형태를 지니며 유통 및 최종소비도 비물질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음악산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다가오고 있는 비물질 노동 및 산업의 성격에 대해 대강이나마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연구들은 작가론이나 수용자론, 혹은 이데올로기로서의 음악에 집중하고 있어 한 시대의 지배적인 기술적 환경 및 그것과 시장 주체들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잘 분석해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복제기술이 소비뿐 아니라 유통과 생산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기술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공통점과 연관성을 밝혀내려 하였다.

      • 사이버 공간의 지식 생산 방식과 참여 주체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고찰 : 2008년 미국 쇠고기수입 재협상 관련 아고라 사이트 사례를 중심으로

        편도욱 서강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4

        사이버 공간을 통한 사회 운동의 전개는 웹 2.0 출현과 함께 영향력이 확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2008년 상반기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관련된 촛불집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던 DAUM 아고라 토론 사이트는 2008년 이후에도 다양한 담론들을 생산하면서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떻게 아고라가 2008년 사회적 현상을 주도했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것과 그 결과, 파생된 현상들에 대한 사회적 함의를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된 청원 베스트 게시판의 총 151개 아고라의 생산물들과 아고라 이용자들이 모여 발간한 ‘대한민국 상식 사전 아고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 대상을 토대로 아고라의 공간적 특성, 생산물, 주체라는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아고라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고는 이중 깔때기 모형과 사이버 공간의 지식 생산 방식을 방법론적으로 결합하여 아고라 사이트가 2008년 상반기 때 촛불집회를 일으키게 되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아고라의 생산물을 고찰한 결과, 아고라의 생산물들은 정보-암묵적 지식-재정보화의 형태로 순환적으로 발전하면서 지식 체계를 형성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되어진 지식 체계는 외부와의 갈등 상황이 지속되면서 신념체계(아고라의 상식)로 발전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 아고라의 상식을 토대로 아고라 참여주체의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참여 주체를 아고라 ‘생산물의 생산 과정에 동참한 집단’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아고리언은 다양한 견해와 사회적 배경, 그리고 다양한 사고를 가지고 있는 개체이지만 사회적 문제나 이슈에 대해서는 공통의 견해를 찾고 문제의 해결점을 제시하려는 사회적 동인인 ‘다중’임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2008년도 상반기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관련된 ‘다중적 현상’과 관련하여 참여 주체의 유형과 노동방식을 고찰한 결과, 의도적인 목적을 가지고 아고라의 지식 생산 방식에 참여한 ‘알바’와 아고라의 생산물을 맹신하는 ‘좀비’, 그리고 아고라의 지식 생산 방식을 신뢰하는 ‘다중’이라는 세 유형의 존재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본고는 자발적 참여에 기초하여 비 물질적 생산물을 생산해낸 다중의 노동 방식을 가리키는 용어로 ‘비 물질 참여 노동’을 제안하였다.

      • 문화백수의 정체성과 정치성에 대한 탐구 : 독립영화 제작인들을 중심으로

        김숙현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02

        Having been a film enthusiast since a childhood, I have, at last, made my own film. It seems that the dream has come true. But even now I am preoccupied with a term; I step back and look back, and dub myself 'A Cultural Nomad'. 'A cultural nomad' is a term embodying the concerns over insecure youths who try to vigorously show their creativity. These are my peers and myself. They value labor and they voluntarily take a path in which they grope for their living and perform cultural,immaterial labor. However, they are inferior in the economy of production and disregarded in general society. So I became curious about what motivates them, what is their identity, and what continues to maintain this identity.Current twenty and thirty year-olds have been described as 'the video generation'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1990s. They have been raised by cultural producers the institutional boundaries they could turn to are poor in comparison to their overloaded desire for cultural production. Still, they are both an investment target and profit group for corporations, which are also objects of the larger national institution. It is the Korean film world where we see the big, macroscopic changes that have given birth to this generation with new desires.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is and with a concern for independent film production, I interviewed both acquaintances and personal friend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 might be called the cultural nomads. The main issues in the study were: first, where their desire for film production grew from, second, how they constructed their self-identities and third, what potential their work and labor could have given their constructed identities.Let us further consider then, the macroscopic and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reality that forms the background here and that of cultural nomads, as well as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of this study. The 'post-era' in which the cultural nomads are living suggests that their identities will be may be quite complex, made up of a multitude of sources. On the contrary, their resultant insecurity and their dynamicity can be a source of positive energy. Each of the three territories in which the cultural nomads were observed show growth in the Korean film industry.. This arena is the environment of their activities and the domain of cultural practi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below.The growth of the Korean film genre came through the expansion of policies, industries, human resources, and various discourses. Individual desires when it comes to film production that were overlooked in studies relating to the growth of the Korean film correspond directly with the factors of that growth, but the details were prominent in the area of consumption, specifically. With the growth of the Korean film, the cultural nomads aroused the desire of film producers and simultaneously constructed their identities more politically through a territory of reality or a relation between industries and policies. It is true, industries and policies interconnect with individual consumption of film positively but when it comes to independent film production, they tend to either exploit or alienate individual desires. Therefore, the cultural nomads have worked out a discriminative strategy on their own. They ask an introspective question, using a contradictory signifier, an independent film. In doing this, they make a point of contact that cannot be reduced as one poi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and then they construct their own identity using that very system.. Meanwhile, the politics of individual identities occurs in the area of cultural production. Resingularized identities connect with a new film and the territorialization of the new film. To structure identities through the signifier of the independent film connects a film, specifically with one's individual desire, not a mass, institional ethos. The identities are structured through a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but area also now linked to experimental practices of flight.After all, a macroscopic territory is deeply correlated with individual identities on a microscopic level. The Post-era, the Korean film genre, the independent film industry, and the cultural nomad these gross axes penetrate each other intermittently. Thus I observed that the junction itself is trembling imperfectly and obscurely because, the axis of the macroscopic change might, on one hand, affect the structuring of their identities obviously but in the end, these links branch off in all directions through an individual's process and practice of cultural privatization. They merge but they also diverge. Their tension and branching practice of flight would be seen as multiple practice of labor. They are nomads economically but producers of puissance for their cultural producers. Therefore, their dynamic and insecure construction of identities touches a macroscopic and known territory only briefly and then leads into experimental life practices, generating a self-variation in the direction of an amplified difference.An argument on the cultural nomad, derived from my own experience, might not be easily generalized. It may be seen as too subjective. However, I have expressed the process of my inquiry honestly. This study focused on the people who were almost unknown to the film field so far and connected their desire and cultural practice with the macroscopic changes around them. However, I want to lay more emphasis not on territories or the minutiae of desires of a multitude or even on living politics, but on the ongoing process of their reorganization. 어린시절부터 무척이나 영화를 좋아하던 나는 결국 내 영화를 만들었다. 꿈을 이루어낸 것 같지만, 나는 스스로를 ‘문화백수’라고 칭하며, 한 걸음 물러나서 나를 살펴본다. 사람들은 ‘문화백수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할 것이다. ‘문화백수’는 생소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단어는 아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화백수'는 나를 비롯한 내 주변의 사람들, ‘집 나온 아이들’처럼 불안하지만 문화 분야 어딘가에서 자신의 창의성을 힘차게 발휘하고자 하는 젊은 사람들에 대한 관심으로 구체화한 용어이다. 특히 이들은 경제적인 열악함과 곱지 않은 사회의 시선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의 경로를 모색하는데 노동을 중시하며, 문화적인 비물질적 노동을 자발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그래서 나는 궁금해졌다. 이들은 어떤 욕망을 가진 채 성장했으며,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정체성을 유지하는 힘은 무엇일까.1990년대 한국 대중문화의 팽창 속에서 현재의 20-30대는 ‘영상세대’라고 묘사되었다. 그리고 현재 이들은 문화생산자로 성장했다. 하지만 이들의 과부화된 문화생산 욕망에 비해, 기댈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은 부실하다. 또 이들은 기업들의 투자 대상이면서 이윤 창고이며, 동시에 국가 정책의 대상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욕망을 가진 세대의 탄생을 보여주는 지점이 한국의 영화판이다. 그리고 나는 그 중에서 문화백수라고 불릴 수 있는 20-30대의 독립영화 생산자들, 나의 지인들과 그 친구들에 관심을 가지며, 인터뷰했다. 이 때 중요 연구문제는 첫째, 이들이 어떻게 영화생산의 욕망을 키워왔으며 둘째, 현재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셋째, 구성된 정체성으로 실천하는 이들의 작업과 노동은 어떠한 잠재력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나는 연구문제의 배경이 되면서, 동시에 문화백수가 발붙인 거시적이고 복잡한 현실구성과 이를 바라 볼 연구의 이론적인 관점을 밝혔다. 문화백수들이 발 디딘 ‘포스트시대'는 이들의 정체성이 복잡하게 엮일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지만 또 이들의 역동성과 불안정성은 오히려 긍정적인 힘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 문화백수를 살펴보는 영역은 세 군데이다. 문화백수 개인들의 욕망형성의 배경이 되는 한국영화의 성장과 이들의 활동 범위인 독립영화판과 개별적인 문화실천의 영역이다.그래서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영화의 도약은 정책, 산업, 인력, 담론의 발전에 있었다. 하지만 한국영화 발전의 기록에서 누락된 개인의 영화 생산 욕망은 한국영화 발전의 요소들과 상응하지만, 그 관계는 소비영역에서 두드러지고 있었다. 한국영화의 도약 아래, 문화백수 개인들은 담론과 교육의 소비를 통해 영화 생산의 욕망을 키웠고, 현실의 영역 즉 산업과 정책과의 관계를 통해 좀 더 정치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했다. 하지만 산업과 정책은 개인의 영화소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만, 막상 개인이 영화를 생산할 때는 이들의 욕망을 착취하거나 소외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 가운데 안정을 주는 것은 스스로 조직한 커뮤니티, 네트워크이다. 그래서 독립영화판 속에서 문화백수는 개별적인 차별 전략을 취한다. 이들은 독립영화라는 모순적인 기표를 취하면서, 성찰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들은 제도와 소통을 통해 하나로 환원될 수 없는 접합점을 만들어 내며 자기 정체성을 구축한다. 한편 문화생산을 실천하는 지점에서, 개인들의 정체성의 정치가 본격적으로 일어난다. 재특이화를 이룬 정체성은 새로운 영화, 새로운 영화의 영토 만들기와 연결되고, 독립영화의 기표를 통한 정체성 형성은 자기 욕망을 바탕으로 한 영화 만들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도와의 소통을 통해 형성한 정체성은 탈주적인 실험적 실천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화 실천의 모습은 전략적이고, 실험적인 형태로 모색된다.거시적인 영역은 미시적인 차원의 개인들의 정체성에 깊은 연관을 준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포디즘으로 대표되는 포스트시대, 한국영화, 독립영화와 문화백수 개인이라는 큰 축은 간헐적으로 상호 침투한다. 그래서 내가 주목한 부분은 불완전하고 불명확하게 흔들리는 접속면 그 자체이다. 이 거시적인 변화의 큰 축은 분명 이들의 정체성 형성에 깊은 영향을 줄 것이지만, 이러한 접속은 결국 개인의 문화적 사유화 과정과 실천을 통해 다양하게 분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도와의 간극 속에서 분화하는 개인의 탈주적 실천은 다중적인 노동실천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들은 경제적으로는 ‘백수’이지만, 이들이 ‘문화’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활력의 생산자이다. 그래서 이들의 역동적이며 불안정한 정체성 구상은 거시적인 영역과 거친 접촉면을 가지면서 차이를 증폭하는 방향으로 자기 변주를 일으키며 삶의 험적 천으로 이어간다.나의 경험에서 이어나간 ‘문화백수’에 대한 논의는 쉽사리 일반화하기는 힘들겠지만, 나는 나의 연구과정을 최대한 솔직하게 풀어 놓았다. 이 연구는 그 동안 가시화되지 않았던 사람들을 불러 세우고, 이들의 욕망과 문화실천을 거시적인 변화와 연결시켜보았다. 하지만 여전히 내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다중의 분자적 욕망 혹은 삶 정치의 영역이 아니라, 이들이 재편성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 온라인 PC 게임 이용자의 기계적 주체성 생산 연구 : 〈로스트아크〉이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서진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2

        본 논문은 한국의 온라인 PC 게임 이용자의 주체성이 생산되고 작동하는 방식을 들뢰즈와 가티리의 ‘기계’ 개념으로 접근하여, 게임 행위에서 이루어지는 기계적 예속의 과정과 이를 통해 생산되는 기계적 주체성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온라인 게임 이용자들이 PC라는 기술적 기계와 PC방이라는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 그리고 게임 내부의 상호작용과 게임 외부의 커뮤니티 활동에서 다양한 주체성을 생산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서 본 논문은 북미의 콘솔 게임 문화를 네 가지 기계의 차원―‘기술적 기계’, ‘기업 기계’, ‘생체정치적 기계’, ‘전쟁 기계’―을 통해 연구한 닉 다이어-위데포드와 그릭 드 퓨터(Nick Dyer-Witheford & De Peuter)의 방법을 비판적으로 적용하여 대중적인 온라인 PC 게임인 〈로스트아크〉의 분석을 수행한다. 첫째,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전 과정에서 이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기술적 기계’인 PC를 검토한다. 거대한 사회적 기계의 일부를 이루는 기술적 기계로서의 PC에 대해 탐구하며, PC가 한국 온라인 게임 문화에서 주된 매체로 작용하게 된 배경인 PC방과 청소년 또래 문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새로운 기술과 실천을 자본이 재영토화하는 방식의 일환으로, 한국의 게임 기업들이 PC와 PC방 문화를 이윤 추구와 생산의 과정으로 포섭하여 PC와 이용자가 게임사의 ‘기업 기계’로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셋째, 이용자가 게임에 접속해 게임 내의 상호작용에 참여하며 게임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행위가 기계적 예속의 과정임을 확인하며, 개인이 해체되고 PC와 접합하여 ‘생체정치적 기계’로서 사회적 기계의 생산에 참여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넷째, 생산의 일부로 기능하는 온라인 PC 게임 문화의 기계적 주체성에 전복과 탈주의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하며, 게임 내부와 게임 커뮤니티, 그리고 오프라인에서 일어나는 게임 이용자들의 집단적 행위를 ‘전쟁 기계’로써의 작동 가능성이라는 차원에서 검토한다. 본 연구는 기술적 맥락에서의 기계적 주체성 생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게임 주체의 ‘사회적 종속’에 대한 과도한 구조적 강조나 거시적 분석의 한계를 넘어서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비판적 게임 문화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analyze the production of machinic subjectivity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online PC gamers, employing 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s concept of “machine”. This research examin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ame users and the technical machine of personal computers(PCs), as well as the significant role of PC rooms (PC bang) as spatial constructs, and the divers subjectivities produced through in-game interactions and community activities by critically applying the analytical approach of Nick Dyer-Witheford and Greig de Peuter, who analyzed North American console gaming culture across four dimensions of machines, to examine Korean online PC gaming culture: technical, corporate, biopolitical and war machine. First, the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technical machine of PCs, which users physically engage with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online gaming, and analyzes PCs as integral components of the larger social machine.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background of PC rooms and analyzes their relationship with youth culture in Korea. Second, the dissertation examines how Korean game companies of corporate machine, as part of the capitalist process of reterritorialization, incorporate PCs and PC room culture as profit-driven mechanisms that govern both PCs and users. Third,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user participation in in-game interactions and engagement with game communities constitutes a process of machine enslavement. The dissertation analyzes how individuals are dismantled and merge with PCs,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of social machines as biopolitical machine. Fourth, the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potential for subversion and flight within the machinic subjectivity found in online PC gaming culture. The dissertation examines whether the collective actions of game users occuring within the in-game environment, online game communities, and offline interactions can be regarded as war machines. In doing so,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production of machinic subjectivity within a technological context, going beyond the limitations of excessive structural emphasis or macroscopic analysis regarding the social subjection of game subjectivity.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horizons of critical game culture studies.

      • 서울 문래동 창작촌의 문화정치학

        조은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586

        이 논문은 문래동 철재단지에 형성된 예술인 창작촌의 의미 변화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지이다. IMF 금융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체제로의 강화는 한국사회를 극심한 양극화와 신 빈곤층의 확산, 비정규직 문제, 불완전 고용 등을 야기했다. 각종 사회적 안전망이 대폭 축소되고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오늘날, 전통적인 공업단지인 영등포구 문래동에 장기간 임대가 되지 않아 비어있던 공간을 중심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예술가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급격한 도시문화의 변화 속에서 ‘도심 공동화’를 겪고 있던 철재단지가 예술가들의 불안정한 경제 조건과 맞물려 집단적인 ‘창작촌’을 이루게 된 것이다. 문래동 철재단지를 둘러싼 개입 주체에 따라서 공간의 의미 역시 다변화 되고 있다. 개별적으로 흩어져있던 예술가들의 ‘존재감’은 2007년부터 시작된 예술단체들을 중심으로 한 크고 작은 행사를 통해서 대외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지원을 받은 활동들이 생겨나고, 영등포구청의 적극적인 관심을 받게 되면서 일부 예술가들에게 있어서 문래동 철재단지는 창작을 위한 중요한 소재이자 되었다. 문래동 철재단지가 이들의 활동 소재가 되면서 정부 기금지원 사업이 생겨나고, 문래동 예술가들의 공식적인 모임인 ‘문래예술공단’의 발족은 문래동을 ‘예술인 창작촌’으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획득하게 만들었다. 특히 도시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오늘날, ‘서울’을 적극적으로 상품화하려는 도시정부의 홍보 전략에 예술가들이 모여 있는 문래동은 매우 적합한 토양을 제공해주었다. 때마침 추진된 서울시 ‘컬처노믹스’ 정책과 맞물려 도시재생을 목표로 ‘창작촌’을 지원하는 기능의 ‘문래예술공장’이 개관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서울시 도시계획조례 개정안의 통과로 인해 철재단지 일대가 재개발 지역으로 확실시 되면서 문래동 창작촌은 서로 다른 주체들에 의해 매우 복합적인 의미투쟁의 장(field)이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창작촌을 둘러싸고 재개발과 거주의 문제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이들을 직업군으로서 ‘예술가’들의 문제가 아닌 직업군으로서 ‘예술가’들의 문제가 아닌 도시빈민이나 청년 실업 등의 한국사회의 보편적인 문제로 봐야한다는 점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예술가들 역시 초기 창작촌의 의미를 만들기 위한 국가단위사업에 의존하는 형식에서 비물질적인 소통 구조를 통해서 새로운 커뮤니티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하는 이들 예술의 비물질적인 성격은 창조성이나 예술개념을 특정한 형식으로 특권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철재단지에 뿌리내린 역사와 상생하면서 독특한 도시미학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자치적이고 자율적인 활동들은 도시공간에서 창조적인 주체들의 잠재력을 보여준다. 문래동 창작촌이 현재 한국사회에서 지니는 의미는 직업군으로서 ‘예술가’들이 한 공간에 밀집해 있다는 사실 때문이 아니다. 문래동 창작촌의 문화적인 가치는 이윤과 자본축적을 위한 ‘문화명소’로서가 아닌 그 속에 생성 중인 자생적인 에너지와 새로운 시도들에 있다. ‘낮과 밤’으로 나뉘는 철재단지의 공생은 그 자체로 새로운 공간 구성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도시재생’인 것이다. 재개발이 언제 현실화 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그동안 비가시화 된 도시공간의 역동을 재발견하고, 그 속에서 구체적인 삶의 조건을 모색해가는 문래동 철재단지의 역동은 도시가 ‘소유권’이 아니라 ‘사용’의 견지에서 능동적으로 전유되어야함을 보여준다.

      • 하위주체의 정치학 : 제국과 다중의 틈새

        김정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586

        안토니오 네그리와 마이클 하트의제국의 마지막 장에는 제국에 대항하는 다중이 등장한다. 다중은 “저항할 수도 되돌릴 수도 없는 경제적․문화적 전지구화”에 대항하는 가난한 자들, 억압받는 자들이다. 제국이라는 전 지구적 자본주의 질서 속에서 실재적으로 가장 억압받는 자들을 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중은 자신과 미묘하게 겹쳐지는 또 하나의 이름을 떠올리게 한다. 자신의 탈식민주의적 문제의식을 변화된 자본주의 질서와 끊임없이 대화시키고 있는 가야트리 스피박의 ‘하위주체’라는 이름이 그것이다.실재적 범주로서 다중과 하위주체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전 지구적 규모로 양산하는 빈자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실재적 범주의 측면에서 유사한 테두리를 갖는 다중과 하위주체가 각각의 정치적 의제와 맞물린 기획으로 확장되어 논의될 때, 이 둘의 거리는 생각보다 멀고 차이는 문제적으로 크다. 이 두 개념 사이에 놓인 거리와 차이를 각각의 정치적 관심사와 관련지어 이해하는 일, 이것이 본 논문의 주요한 관심사가 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차이를 밝혀내는 일이 둘 간의 거리를 ‘확인’하는 것으로 종결되어서는 안 된다는 문제의식 하에, 다중과 하위주체 각각이 서로를 통해 서로가 조명되는 ‘비교’의 방식으로 소통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요컨대, 다중과 하위주체의 ‘차이 속의 관계’에 관심을 둔다.우선, 다중과 하위주체는 ‘현재’라는 시제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여기에는 근대적 주권의 이분법―제1세계와 제3세계, 중심과 주변―에 근거했던 제국주의에서 이러한 경계가 흐려지는 제국으로의 ‘이행’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의 문제가 놓여 있다. 다중은 제국주의에서 제국으로의 이행 ‘이후’에 초점을 맞추면서, 생활 세계 전반으로 침투한 제국의 지배로부터의 탈주에 관심을 둔다. 다중의 ‘현재’는 제국의 헤게모니적 지배를 의미하는 ‘현재’임과 동시에, 이러한 전일적인 지배에 저항하며 매 순간을 새롭게 창조하는 저항적 ‘현재’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행 ‘이전’과 ‘이후’의 관계 속에서, 제국주의가 제국의 시대에 남긴 ‘잔해’의 물질성 속에서 등장하는 하위주체는 저항의 순간을 만들어내기 보다는 자신들이 사라지는 순간에 주목할 것을 요청한다.다중이 저항적 ‘현재’를, 하위주체가 사라지는 ‘현재’를 보여준다고 할 때, 다중의 ‘현재’를 가능하게 하며 하위주체의 ‘현재’를 사라지지 않도록 돕는 것은 ‘소통’이다. 다중에게 ‘소통’은 다중이 가진 ‘말할 수 있는 힘’과 관련하여 이해되기 때문에, 다중의 저항적 ‘현재’를 생산해내기 위한 전제로 이해된다. 이에 반해 하위주체에게 ‘소통’은 담론적 매개와 권력관계에 의해 굴절될 위험을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 때문에 소통가능성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다중의 기획이며, 소통의 (불)가능성에 따라붙는 괄호 안의 부정성을 괄호 밖의 가능성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여정이 하위주체의 정치적 기획을 이룬다.다중은 ‘소통’으로부터 매 순간 창조되는 저항의 ‘현재’를 생산하는 일에 정치를, 이 생산을 끊임없이 갱신하며 ‘현재’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일에 윤리를 위치시킨다. 이에 반해 하위주체는 소통가능성을 위한 하위주체 재현의 문제에 개입하는 일에 정치를, 하위주체와의 (불)가능한 조우에 윤리를 위치시키며, 부정성의 괄호를 벗어 던지기 위해 분투한다. 그런 의미에서, 하위주체는 다중의 ‘소통’, ‘공통성’의 완성을 지연시키는 하나의 ‘오점’이자 ‘얼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소통불가능성의 문제를 끊임없이 상기시킨다는 점에서 하위주체는 인식론적 한계 지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 지점으로서의 하위주체를 다중의 ‘현재’와 ‘소통’ 가능성 자체를 묻는 계기로 삼는다면, 이 계기는 가난한 자들의 소통과 협력 그 자체를 ‘묻는 동시에 다시 시작하는’ 필연적 거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last chapter of Empire, Antonio Negri and Michael Hardt contend that Empire creates a greater potential for revolution, the multitude who are exploited by and subject to capitalist domination. In the sense that the multitude is the common name of the most repressed and the poor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t calls our attention to another name of the marginalized, the subaltern. Gayatri Spivak proposes the word subaltern to encompass the disempowered individuals which disclose slight but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multitude.Practically, the multitude and the subaltern connote the poor who are excluded, repressed, exploited in global capitalism. When it comes to undergo a shift to the spheres of their political project, however, their mutual differences and distances are strikingly revealing. Delving into differences between the multitude and the subaltern according to each part's political project is the primary aim of this thesis. Explor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ncepts, however,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ffirmation of differences itself. In this sense, my thesis purports to comparative analysis which can enrich each concept by juxtaposing the multitude and the subaltern with their counterpart. The first comparative keyword is 'present'. The different approach to the present political project of the multitude and the subaltern results from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shift from imperialism to Empire, based on binary oppositions―first world and third world, center and margin. The multitude focuses on 'after' the passage to Empire grappling with the way of flight from Empire's control extended throughout social lives. The multitude's present means not only Empire's hegemonic control but also the multitude's resistant moment when they are separated from real subsumption of capitalism. In contrast to the multitude considering 'after' the passage mainly, the subaltern is related to the transitional stage from imperialism to Empire tracking on the material remnants of imperialism in the third-world. In this sense, the subaltern claims to remember their vanishing present which may be precluded from articulating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resistant present of the multitude.When the multitude's present means resistant one and that of subaltern vanishing one, what makes not only the multitude's present possible but also the subaltern's present not vanished is 'communication'. For the multitude communication is related to 'power to speak' and common desire of them and is understood as a premise to produce the multitude's resistant present. When it comes to the subaltern, however, communication itself is apt to be contaminated by and indispensably influenced by discursive mediation and power relations. Therefore, while communicability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multitude's resistant present, for the subaltern communicability is the final goal of their political project.The multitude situates politics on producing the resistant 'present' from their communication, ethics on the responsibility of reproducing this resistant 'present' continuously. For the subaltern politics is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altern's voice for communicability, ethics to the (im)possible encounter with the subaltern by cutting negative parenthesis incessantly. In this sense, the subaltern is a 'stain' which delays the completion of the multitude's resistant 'present', communicability. The subaltern can be said as an epistemic limit point which reminds the multitude's politics of (in)communicability. If the subaltern is considered as the moment of questioning the 'present' and 'communicability' of the multitude's resistance itself, this moment can be a necessary stronghold which contributes to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the repressed within Empire.

      • 배수아 소설에 나타난 자발적 가난과 창의적 노동 : 2000년대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Fergus Lee Dunne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99

        In the 1990s, Bae Suah, along with the other New Generation writers were considered as embodying a different literary and political subjectivit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and her early 2000s works such as Sunday Sukiyaki Restaurant (2003) and The Autodidact (2004) became a source of debate for their ‘controversial’ and ‘pessimistic politics. However, as the 2000s continued, scholarly reception appeared to draw a strict divide between Bae Suah’s ‘political’ works in the early 2000s, and her more abstract late works, such as Northern Living Room (2009), Seoul’s Low Hills (2011) in the late 2000s. The result was that Bae Suah’s novels were longer seen as relating to contemporary socio-political issues. However, this thesis argues that the “fault” lines between her early and late work have been overstated and that Bae Suah continued to straddle the tense divide between political reality and the political imagination in her later works. Despite their abstract form and themes, this paper looks at how they are deceptively complex and prophetic narrativization of economic and political transformations that occurred at the time of writing. The major common point between Bae’s early 2000s and late 2000s work is Bae Suah’s use of tropes of voluntary poverty as a representational medium of political and subjective autonomy. The motifs and imaginative representations of voluntary poverty that appeared in her early 2000s ‘political’ works like The Autodidact and Sunday Sukiyaki Restaurant, continued to be developed in her formally abstract works throughout the 2000s. As such,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Bae Suah’s works in the 2000s continue to use archaic tropes of asceticism, hermeticism (St. Anthony) and monasticism (Pauline Theology) to articulate an autonomous artistic subjectivity that rejects hereditary, political and traditional capitalist identity. What is significant is that Bae Suah’s late work, which exclusively takes freelance creative workers as its protagonists, continues to develop the link between creative/artistic labor and voluntary poverty first explored in The Autodidact. In this respect, the connection Bae Suah draws between creative labor and voluntary poverty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ambivalent analysis of immaterial-creative labor discourse in the early 2000s led by the Italian Workerist movement. Many theorists lauded creative-immaterial labor as a new autonomous subjectivity distinct from previous forms of political subjectivity. However others posited creative labor as a dangerous temptation, highlighting the fact that its liberatory and romantic promises of autonomy helped normalize and glorify new forms of (auto/allo) exploitation and worsening labor conditions in the immaterial-creative economy itself. In this sense, far from being purely imaginative, Bae suah’s connection between voluntary poverty and creative labor appears to operate as an oblique and complex way of discussing the transformations in the contemporary creative economy.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voluntary poverty and creative labor that appears in Bae Suah’s work is greatly similar to the trajectory of Italian philosopher Giorgio Agamben’s work during the same period. Agamben’s early conception of an alternative political community based on renunciation of political and hereditary affiliation explored in 90s works such as The Coming Community (1993) also moved towards theological and monastic paradigms as the 2000s progressed. In particular, in The Highest Poverty (2009), Agamben’s meticulous genealogy of monasticism, Agamben traces the genealogy and development of monasticism from the individual hermitsim of Anthony the Great, and culminating with the Francicscan movements’ systematized and communal form of voluntary poverty and property-less life. Agamben finds political potential in the Franciscans’ rejection of property and identity, as well as their innovative language practices, and appears to use them as a paradigm for a form of life away from late-capitalist power. However, scholars have maintained that the meaning of Agamben’s monastic paradigm is ambivalent. Despite lauding the monastic movements’ attempts to live apart from power, Agamben calls the constant and ceaseless nature of their devotional linguistic practices a dangerous temptation, and thus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his work should be read as a metaphor for the (self)exploitations of the immaterial labor. In this respect, this paper finds comparative potential in tracing the analogous trajectories of Bae Suah and Agamben, as both seem to use theological paradigms to explore the ambiguous temptations of contemporary communicative and creative labor. Both writers persistently use creative orality in conjunction with the same figures (St. Anthony), the same imaginative spaces (the camp), and even the same theological passages (Corinthians chapter 20) to discuss the contradictions of voluntary poverty and immaterial labor. The final chapter of the thesis looks at how Bae Suah’s imaginative depictions of voluntarily poor creative workers participating in archaic gift exchange communities and “anachronistic” forms of storytelling in Seouls Low Hills and Mujong (2010) should not be read as nostalgic desire to escape the economy, but rather reveal how romantic ideas of creativity shaped th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conomy itself. This paper therefore looks at how the concept of abstract poverty in both writers’ works goes beyond the realm of pure imagination, and operates as both an indirect critique, and glorification, of the contemporary economy. 배수아의 2000년대 초반 작품과 후반 작품 사이의 한 가지 주요 공통점은 자발적 가난의 모티프를 정치적 및 주체적 자율성의 재현매체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배수아는 『독학자』와 『일요일 스키야키 식당』과 같은 2000년대 초반의 '정치적' 작품에 등장한 자발적 가난의 모티프를 2000년대 후반의 추상적인 작품에서 계속 발전시켰다. 배수아의 2000년대 작품들은 금욕주의, 은둔주의 및 수도원주의와 같은 고대적 모티프를 사용하여 신분, 재산, 상속받은 정체성 등의 거부를 통해 자율적 예술적 주체성을 표현한다. 중요한 것은 배수아의 후기 작품들이 프리랜서 창의 노동자들을 주인공으로 삼으면서, 처음으로 『이바나』에서 탐구한 창의적/예술적 노동과 자발적 가난 사이의 연결을 계속 발전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면에서 창의 노동-자발적 가난의 이미지는 이탈리아 포스트노동주의에 의해 이끌려진 2000년대 초 비물질-창의 노동 담론의 양면적 분석과 상당한 유사성을 갖고 있다. 많은 이론가들은 창의-비물질 노동을 이전의 노동 의식과 구별되는 새로운 자율적 주관성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창의 노동을 위험한 유혹으로 권고하며, 그 해방적이고 낭만적인 자율성의 약속이 비물질-창의 경제 자체에서 자기 착취와 악화되는 노동 조건을 정상화하고 미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이런 의미에서, 배수아의 자발적 가난과 창의 노동 사이의 연결은 오직 상상적인 것이 아니라, 현대 창의 경제의 변화를 간접적인 방식으로 논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배수아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이 연결이 같은 시기 이탈리아 철학자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의 저작의 궤적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1990년대에 출간된 『도래하는 공동체(The Coming Community)』에서 아감벤은 정치적-지리적-계급적 등 장체성을 포기하는 대안적 정치적 공동체에 대한 개념을 탐구했으며 2000년대에 신학적이고 수도원적 패러다임으로 발전하였다. 『극도의 청빈(The Highest Poverty)』에서 아감벤의 수도원주의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에서, 아감벤은 프란치스코회의 재산과 정체성을 거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의 혁신적인 언어 행위에서 정치적 잠재력을 찾아낸다. 아감벤은 이를 후기 자본주의 권력으로부터 벗어난 삶의 형태의 패러다임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학자들은 아감벤의 수도원 패러다임의 의미가 모호하다고 주장해왔다. 아감벤은 수도원 운동의 권력에서 벗어나 살기 위한 노력을 찬사하지만, 그들의 헌신적인 언어 관행의 끊임없고 지속적인 성격을 위험한 유혹이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여러 학자들은 『극도의 청빈』을 비물질-소통적 노동의 착취적인 요소의 은유로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배수아와 아감벤 사이에 비교 가능성을 찾는다. 두 작가 모두 현대 비물질-창의 노동의 모호한 유혹을 탐구하기 위해 신학적 패러다임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두 작가는 창의적 구술적 전달과 함께 동일한 인물(성 안토니우스), 동일한 상상력 있는 공간(수용소), 심지어 동일한 신학적 구절(사도 바울의 고린도 전서 20장)을 사용하여 자발적 가난과 비물질 노동의 모순을 논의한다. 배수아 2000년대 후반 소설에서 자발적으로 가난한 창의 노동자들이 고대적 선물 교환 공동체에 참여하고 "시대착오적" 스토리텔링 형태를 관여하는 묘사는 상상적이거나 향수적인 욕망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창의성에 대한 이 낭만적인 이해가 어떻게 실제 창의적 경제에 영향을 미쳤는지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 배수아의 『서울의 낮은 언덕들』과 「무종」에서 자발적으로 가난한 창의 노동자들이 고대적인 선물 교환 공동체에 참여하고, ‘시대착오적’ 이야기 전달 형태에 관여하는 묘사는 상상적이거나 향수적인 열망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이 논문은 이러한 창의성의 이상은 그저 향수적이거나 상상적인 것으로만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실제 창의 경제 자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 것이라고 주장한다.

      • 중국 1인 방송 먹방 BJ의 노동과정에 대한 연구

        HU XIAOWE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67

        This study selected "Mukbang" BJ as the research target to examine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BJ broadcasting, progress and contents of BJ, and the institutional, social, and personal contradictions or conflicts experienced as new media producers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12 Chinese single broadcasting "Mukbang" BJs, 2 managers, and traditional media industry workers, media academia, in -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nalyzed the labor process of a new media producer - Chinese single broadcasting BJ, and further examined how Chinese single broadcasting BJs understood and recognized the Chinese broadcasting industry's systems and traditions surrounding them.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analysis, the commercial characteristics of China's cultural industry, which creates economic benefits by consuming fashion culture rather than trying to create a fashion cultur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nese single broadcasting "Mukbang" BJ. Most of the BJs who chose to work as a Chinese single broadcasting "Mukbang" BJ generally started to do their favorite thing by using new media technology because they mostly enjoy food in real life. However, there are always economic problems at each stage of the labor process for "Mukbang" BJ , which chose to be 'labour of love' due to its unique commercial operating patterns in the single broadcasting industry. In the single broadcasting industry, the most convenient way to obtain economic benefits is to use the appearance economy. The appearance economy is the commercial means of the single media industry, and that even people who work in the single broadcasting industry sell their own looks. The reason why "Mukbang" BJ is called "Wanghong(online celebrity)" is also the appearance economy. The "Mukbang" BJs began to use the concept of KOL(Key Opinion Leader) in order to clarify the negative views of the society due to the appearance economy. However, in the reality of China's single media industry, where the public can not change their negative view through the concept of KOL and only come out to the traditional media, eating show BJs are working as digitally producers of single broadcasting, and they are trying to move on to traditional media.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exploring the labor process of producers in the single media industry, which has been left blank in the field of media production secto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cultural industry.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here is a trajectory of infinite repetition that starts with new media and ends up returning to traditional media during the labor process of "Mukbang" BJ, and finally returns to traditional media as a Chinese TV eating show. This trajectory of infinite repetition of events questioned Chinese media workers if they ignored the trajectory and interfer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이 연구는 중국 1인 방송 먹방 BJ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먹방 BJ의 방송 생산 환경, 진행 과정, 내용 선정 등 일련의 노동과정,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미디어 생산자로서 겪고 있는 제도적, 사회적, 개인적인 모순이나 갈등 상황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논문에서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선택하였으며 현재 활동 중인 중국 1인 방송 먹방 BJ 12명, 매니저 2명, 그리고 전통 미디어 산업 종사자와 미디어 학계 전문가, 충 16명에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1인 방송 BJ라는 새로운 미디어 생산자의 노동과정을 분석하고 나아가 중국 1인 방송 BJ들이 자신들을 둘러싼 중국 1인 방송 산업의 제도와 통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심층 인터뷰 분석 결과, 유행 문화를 창조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유행 문화를 소비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한다는 중국의 문화 산업의 상업적인 특징은 1인 방송 먹방 BJ에게 끼친 영향이 현저한다. 중국 1인 방송 먹방 BJ로 직업을 선택한 BJ들은 대부분 현실의 삶에서 음식을 먹는 것을 좋아하여 뉴미디어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좋아하는 일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1인 방송 산업에서 고유한 상업적인 운영 패턴으로 인하여 '사랑의 노동'을 선택한 먹방 BJ의 노동 과정 각 단계에서는 경제적인 문제가 시종일관 존재한다. 1인 방송 산업에서 경제적인 이익을 얻기 위한 가장 편리한 방식은 외모경제를 이용하는 것이다. 외모경제는 1인 미디어 산업의 상업적인 수단이라 1인 방송 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스스로 외모를 파는 산업이라고 한다. 먹방 BJ들을 왕홍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외모경제 때문이다. 먹방 BJ들은 외모경제로 인하여 받은 사회의 부정적인 시선을 해명하고자 KOL(Key Opinion Leader)라는 개념을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KOL이라는 개념으로 대중의 부정적인 시선을 바꾸지 못하고 전통 매체에 나와야 대중이 인지하게 된다는 중국 1인 미디어 산업의 현실에서 먹방 BJ들은 1인 방송 생산자로서 디지털 노동을 하고 있지만 결국에 전통 미디어로 나아가려는 행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까지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의 문화 산업의 특징으로 인하여 미디어 생산 영역에서 공백으로 남겨져 있던 1인 미디어 산업에서 생산자의 노동과정에 대하여 탐구하는 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중국 1인 방송 먹방 BJ의 노동과정에서 뉴미디어로 시작하며 결국에 전통 미디어로 돌아가는 무한반복의 궤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이러한 무한반복의 궤적은 중국의 미디어 노동자들에게 이러한 궤적을 묵인하는지, 중국 문화 산업의 발전과정에 방해가 되는지 질문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