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이오뱅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주현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95

        바이오뱅크에 대한 윤리적 고찰 Ethical Consideration on the Biobank 윤리문화학과 주 현 영 지 도 교 수 이 상 목 최근 미래 바이오산업의 소재이자 고부가가치 창출이 예상되는 중요한 국가 자원으로서 인체유래물의 자산가치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인체유래물 연구는 질병의 예방과 진단,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의 실현,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를 통한 신약·신기술 개발의 핵심요소로서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건의료 연구의 핵심적 요소이다. 이에 선진 각국에서는 인체유래물을 국가적 관리 및 전략화를 추진하기 위해 바이오뱅크(biobank)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 또한 국가차원의 법률적 지원을 통한 인체유래물의 확보·관리 및 활용체계 조성의 가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인체유래물에서 기인한 유전정보와 의료정보를 포함하여 생활습관, 환경적 요인 등 가장 사적이고 민감한 개인정보들을 조합하고, 연관시켜 분석함으로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야기한다. 논란의 중심에는 바이오뱅크에 전향적 연구를 위한 인체유래물 사용에 대하여 설명동의(informed consent)를 어떻게 적용시키며, 유전정보를 포함하여 사적이고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만큼 프라이버시를 어떻게 보호 할 것인가가 논제의 핵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안전과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 설명동의에 대해 고찰해보고, 익명화(anonymization)를 통한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개정안에 따라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이 ‘인체유래물을 사용하는 연구’에까지 확장됨에 따라 보다 전문화된 기관 위원회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며, 인체유래물 공여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고 연구의 과학적 윤리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관련 법적, 윤리적 지침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어 : 바이오뱅크, 인체유래물, 충분한설명에근거한동의, 프라이버시, 익명화,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유영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51691

        In this paper, I describe more effective conditions for human tissue preparation in a research hospital. Traditionally, human tissue has been managed for diagnostic purposes in hospitals, which aim to treat patients for various diseases. The task of a hospital linked together with a medical school is to do both research and education. Because recent genetic and molecular studies have contribut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lecular and genetic medicine, human tissue is now again being considered as a valuable research resource. By means of this reality, discoveries based on the results of molecular genetic translational research should be applied to various treatments. Basically, research needs a stable and abundant supply of human tissue. High-quality research-oriented tissue bank organizations in the research hospital are a very important part of a research hospital. The management system for human tissue, however, is not too effective because of legal as well as real work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paper's analysis, some causes are found. First,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several pathways for human tissue being obtained in a hospital, domestic laws do not address these situations. Various kinds of storage for each pathways needs to be prepared. For example, [Bioethics and Safety Act] is almost the only Law dealing with the organization and practice of doing genetic research. The Act does not contain any discussion of human tissue generation, disposal, and genetic testing. It also does not apply the opinions of pathologists, who have authority to manage almost every kind of human tissue of a hospital and who are traditional human tissue experts. This is the main cause creating a gap between the Law and actual hospital context. Moreover, despite the glass slides or paraffin blocks, which are essential to the health care process and possess the status as medical records,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contains only a fragmented sentence concerning maintenance and time period for storage. A second cause for concern is the not well established and unstable management practice of the operation of tissue banks. Currently,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in Korea launched the state-led tissue banking system, respectively.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unregistered tissue banks. Even if an organization's registration as a tissue bank, it would have been operated as a one way storage without scientific and medical evidence, based on planning and communication with researchers. In this article, I propose some proposals, based on these two fundamental problems, for improving the human tissue management system. First, the Laws about human tissue such as [Bioethics and Safety Act] should be changed to contain suitable language applying on-site and efficient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Second, the Law should contain sentences about the whole process of human tissue storage. Third, informed consent should be an essential requirement before operation. Fourth, human tissue banks in hospitals should be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human tissue bank system and connected with the national network system for communication. Fifth, definition of the genes and genetic tests should be changed. Sixth,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sentences about genetic test should be applied reasonably. Seventh, the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should be prepared and strengthened. Eighth, pathologists should be supported as the essential man power of human tissue bank by Law. Ninth, a committee composed of a clinician, researcher, pathologist, information manager, and coordinator should be established to manage human tissue banks in hospitals. Tenth, ruling committees need to make plans to prepare various kinds of human tissue prepared for future unplanned and specific already planned research projects. Eleventh, Institutional Review Board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private information of donors. This suggestion will be create a more stable and effectiv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human tissue banks, and it will also create an abundant and integrated system for a national network fornational research institutions. Therefore, human tissue bank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a strong research base. 이 논문은 연구중심병원에서 인체 조직의 관리와 그를 이용한 연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보다 윤리적이고 효율적인 준비 조건을 찾고자 한다. 병원의 가장 큰 목표가 환자의 치료이므로, 일반적으로 인체 조직은 질병의 진단을 위해 사용된다. 의과대학이 함께 있는 병원에서는 추가적으로 인체 조직을 연구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 분자유전의학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개인 맞춤 의학 시대가 열리면서, 인체 조직은 질병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자원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분자세포유전학적 결과를 환자의 치료에 적용시키려면 기초와 임상을 연결하는 중개연구가 필요한데, 여기에는 제도적이고 안정적인 인체 조직의 공급 체계가 필수적이다. 연구중심병원 내의 질 높은 조직은행은 이 중개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의 인체 조직 관리는 근간이 되는 법률부터 실제적인 현장 관리에 이르기까지 많은 허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병원 발생 인체 조직은 발생 경로 별로 그 성상이 매우 다양하며, 연구를 위해서는 각각에 따라 보관 및 관리가 차별화되어야 하지만, 이를 총괄하는 관리 시스템이나 법률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 인체 조직을 이용한 유전자 연구를 통제하는 국내의 유일한 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은 인체 조직의 발생과 폐기 그리고 유전자 검사 이외의 목적에 대해서는 그 내용이 단편적이거나 개념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수준이다. 게다가 현재 병리과 전문의가 병원 발생 인체 조직을 포함한 인체 조직의 대부분을 관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의견이 법 제정 및 행정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은 법과 현실의 괴리를 일으킨 가장 큰 원인이다. 또한 병리과에서 보관하는 유리 슬라이드나 파라핀 블록은 진료 과정에 필수적인 의무 기록이지만, 이의 유지나 관리 기간 등의 제반 사항에 대한 법적인 근거 및 규정이 없어, 학회나 기관 차원의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두 번째 문제는 조직은행의 관리와 운영에 있다. 현재 보건복지부와 교육과학기술부가 주체가 되는 국가 주도형 조직은행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등록 조직은행이 정리되지 않고 난립하고 있다. 또 등록된 조직은행이라 하더라도 조직의 저장과 사용에 대해서는 적절한 과학적 및 의학적 근거에 바탕으로 한 계획을 갖추지 못하고, 충분한 소통 없이 일방적인 저장을 하는 경우도 있다. 저자는 위의 두 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의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조건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등 인체 조직에 대한 법률을 입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개정하여, 현장에서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제도적으로 보완하여야 한다. 둘째, 전체 인체 조직의 폐기와 보관에 대한 규정을 법률화하여야 한다. 셋째, 병리 검체 발생시 의료진이 이에 대한 기증, 보관, 이차적 연구 사용을 포함하는 ‘opt-out’ 동의서를 획득하는 것을 법적으로 의무화하여야 한다. 넷째, 국가 차원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국가에 등록된 조직은행을 공식적으로 국가 공인 기관으로 등록하고 이들의 네트워크를 갖추어야 한다. 다섯째, ‘유전자’와 ‘유전자 검사’의 정의에 대한 법 항목의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동의서가 필요한 유전자검사 목록의 제한과 ‘한국 유전자 검사 평가원’의 유전자의 해석과 적용의 현실화가 필요하다. 일곱째,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현실적 상황의 파악과 고려가 필요하다. 여덟째, 인체 조직의 전문가인 병리과 전문의를 조직은행에 배치하도록 법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아홉째, 병원에 설립된 인체 조직은행 내에 그 관리 주체인 병리과 전문의, 임상의사, 연구자, 그리고 데이터 관리자 등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상호간의 원활한 소통이 되어야 한다. 열째, 조직은행의 운영 면에 있어 연구자의 입장과 요구를 파악하여 인체 조직의 보관 방법을 다양화하고, 병리 진단이 완료된 파라핀 블록의 연구 활용 역시 검토되어야 한다. 열한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국제적 윤리 기준에 합당하면서도,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며 안전에 위협이 되는 상황을 막는 완충 역할을 해야 하고, 이를 위해 탈 관료화 및 연구자와 소통하는 심의 능력이 필요하다. 이상 열거한 제안 사항들이 반영된다면 기관의 조직은행 제도는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다양한 연구에 조직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중개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의 좋은 결과물로 이어지고, 국가적 네트워크 구축과 연구 경쟁력의 향상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국내 음악치료 관련연구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에 대한 조사연구

        강태욱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5358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관련 연구에서의 IRB 심의 현황을 파악하여 음악치료 연구윤리의 현재를 이해하고, 향후 IRB 심의 적용을 고려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음악치료 전공 대학원의 인간대상연구 학위논문 IRB 심의 필수여부를 조사하였고, 「생명윤리법」 개정에 따라 사회행동과학연구의 IRB 심의가 의무화된 2013년 2월을 기점으로 2022년 12월까지 KCI에 등재(후보)된 학술지에 게재된 음악치료 관련 논문 중 IRB 심의를 거친 131편의 논문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음악치료 전공 대학원 중 학위논문의 IRB 심의가 필수인 곳의 비율은 석사학위 44%, 박사학위 100%였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KCI 등재 전체 학술지의 음악치료 IRB 심의비율은 26.1%였으며,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인 「한국음악치료학회지」와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의 IRB 심의 비율은 20.6%로 전체 비율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학술지 주제 분류별로는 사회과학 28.2%, 예술·체육학과 의약학 각 27.5%, 복합학 13%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논문 주 저자의 전공영역은 음악치료 61.8%, 의료간호 33.6% 순이었다. IRB 심의기관은 대학이 61.8%로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으로는 실험연구가 61.8%, 중재유형은 감상이 22.9%로 가장 많았다. 결과를 토대로 아직 국내 음악치료학계 전반에 IRB 심의 필요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전체 국내 학계의 연구윤리에 관한 생태학적 변화가 음악치료에서도 나타나고 있고,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음악치료 연구의 안정성과 연구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임상의 전문성 및 이론의 발전을 위하여 IRB 적용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마련해야 하며, 연구 대상이 취약할수록 연구자는 대상자 보호에 더욱 민감해야 하고 IRB 심의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음악치료 학계에서 음악치료 전공생, 교육자, 현업치료사 등의 관련자 모두에게 연구윤리와 IRB에 대한 의식을 고취하고, 음악치료 학술지 게재 및 음악치료 대학원에서 논문 발표 시 IRB 심의를 의무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atus of IRB deliberation in domestic music therapy-related studie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music therapy research ethic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consider the application of IRB deliberation. The necessity of IRB review for human research dissertations in domestic music therapy graduate schools was investigated, Starting in February 2013, when IRB review of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research became mandatory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he 「Bioethics Act」, 131 papers that had undergone IRB deliberation among music therapy-related papers published in KCI-listed journals until December 2022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IRB deliberation essentiality was 44% for master’s degrees and 100% for doctorate degrees among domestic music therapy graduate schools. The IRB review rate of music therapy in all KCI-registered journals was 26.1%, and of music therapy specialized journals,「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and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was 20.6%, which was lower than the overall rate. By subject classification of academic journals, there were various categories such as 28.2% of social sciences, 27.5% of arts and sports studies, 27.5% of medicine and pharmacology, and 13% of complex sciences, etc. The major of the main author were 61.8% of music therapy and 33.6% of medical nursing. Universities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IRB review institutions with 61.8%.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was experimental research at 61.8%, and of intervention was listening at 22.9%. Based on the results, it was judged that the need for IRB deliberation was still low in the domestic music therapy academia, ecological changes in research ethics of the entire domestic academia were also occurring in music therapy, and that awareness of music therapy was expanding in various academic fields. Strict standards for IRB application must be established not only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quality of music therapy research, but also to develop clinical expertise and theory, and it is time to recognize that the weaker the research subject, the more sensitive the researcher should be to the protection of the subject and must undergo IRB deliberation.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music therapy students, educators, and field therapists should all be conscious of research ethics and IRB in music therapy academia, and IRB deliberation should be mandatory when publishing music therapy journals and publishing papers in music therapy graduate schools.

      •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이고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5324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examine knowledge and attitude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on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review. The data was collected by internet surveys from Oct. 10, 2016 and Dec. 30, 2016 by sending e-mails to a total 650 of researchers as a survey target who are studying at a graduate school or have completed a course in Korea with a major in Nursing, Education, Public health, Social welfare, Psychology, Paedology, Physical Education, etc. Data collection instruments us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A total of 165 answered the survey and 124 of them were finally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versio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Pearson’s correlation,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were that average age was 30.84±5.20 years, female dominated with 79.8%. The major in Nursing was the most with 23.4%, followed by Psychology 20.2%, Social welfare 14.5%, Paedology 11.3%, Physical education 10.5%, Education 8.1%, Health science 7.3%. The students in the master's course were a majority (51.6%), average research experience was 2.02±1.98 times, and 71.8% of the researchers did not have experience as research director. In addition, 67.7% of the researchers answered that IRB was installed in their organizations, 37.9% of the researchers and 71.8 of the researchers respectively had experience in applying for IRB review and related education for the last two years. 2. The objective knowledge means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objective understanding on IRB review, and the level of objective knowledge was low (mean score 16.01±4.04 out of 24, average correct answer was 66.7%). The area of lowest objective knowledge was ‘Subjects for IRB review(average correct answer rate 48.0%)’. The subjective knowledge means the level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subjective awareness on preparation for IRB review, and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was 39.95±19.81 out of 80. The score for ‘Application for review of protocol modifications(mean score 4.48±2.88 out of 10)’, ‘Application for continuing review of research(4.31±2.79 out of 10)’ and ‘Application for review of research closure(4.24±2.77 out of 10)’ was lower than ‘Writing research proposal(5.92±2.74 out of 10)’, ‘Writing informed consent(5.81±2.72 out of 10)’. 3. The attitude means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thinking on IRB review, education and guide, and attitude score was slightly more positive than normal(mean score 3.49±0.56 out of 5). It was less positive about ‘Merit of IRB review(mean score 3.19±0.70 out of 5)’, ‘Authority of IRB(3.00±0.86 out of 5)’ than ‘Need for IRB review(3.83±0.80 out of 5)’, and the score of ‘Need for education and guide(3.96±0.64 out of 5)’ was lower than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and guide(3.05±0.90 out of 5)’. Researchers cited ‘Writing document for IRB review(75.0%)’ and ‘Period of time for approve(71.2%)’, etc. as difficulties in deliberation, wanted ‘Education about document preparation for IRB review(55.6%)’, ‘Education about application for review of protocol modifications and continuing review of research, etc.(50.8%)’, ‘simplification of IRB review document(49.2%)’, ‘Sample template for IRB review document(46.0%)’, ‘Disclosure of matters frequently referred to as IRB review results(44.4%)’, etc. 4. Significant differences of knowledge, attitude according to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characteristics was that the level of objective knowledge among majors in Nursing, Health science was higher than the others (F=23.99, p<.001). Researchers who had installed IRB in their institutions or who had applied for IRB review within the last two years had greater objective knowledge (t=-4.347, p<.001, t=-3.852, p<.001) & subjective knowledge than otherwise (t=-4.172, p<.001, t=-9.783, p<.001). In addition, research workers, practitioners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RB review than Graduate students (F=8.185, p<.001), and the participants who had satisfied more than the average related to educations in the last two years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RB review than the others (F=8.206, p=.001). 5.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objective knowledge on IRB review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knowledge (r=.327, p<.001), attitude (r=.221, p=.014). However, researchers' subjective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attitude (p<.748). Based on the study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knowledge level on IRB review among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and to form a positive culture, mor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nd guide on the topics that researchers need should be provid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foundation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actually necessary for researchers and to establish practical improvement plans by confirming the difficulties felt by researchers and the educational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on IRB review. 본 연구는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들의 IRB 심의에 대한 지식 수준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간호학, 교육학, 보건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아동학, 체육학 등을 전공으로 국내 대학원 석 ․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거나 과정을 수료한 연구자 65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발송하여 2016년 10월 10일부터 2016년 12월 30일까지 인터넷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연구자가 자체 개발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165명 이었으며, 이 중 124개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통계 분석은 SPSS/WIN version 21.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특성에 있어 평균 연령은 30.84±5.20세였으며, 여자가 79.8%로 남자보다 많았다. 전공은 간호학이 23.4%로 가장 많았으며, 심리학 20.2%, 사회복지학 14.5%, 아동학 11.3%, 체육학, 10.5%, 교육학 8.1%, 보건학 7.3% 순으로 분포하였다. 학위 수준은 석사 과정 중인 학생이 51.6%로 가장 많았으며, 박사 과정 중 22.6%, 석사 20.2%, 박사 5.6% 순이었다. 연구 참여 횟수는 평균 2.02±1.98회였으며, 71.8%의 연구자는 연구책임자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7.7%의 연구자가 소속 기관에 IRB가 설치되어 있다고 답하였으며, 37.9%, 71.8%의 연구자가 각각 최근 2년 간 심의 신청 및 관련 교육 이수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IRB 심의에 대한 객관적 지식은 IRB 심의 및 연구자 준수 사항에 대한 연구자의 객관적 이해 정도로서 24점 만점 기준 평균 16.01 ±4.04점, 정답률 66.7%로 낮은 수준이었다. 영역별로는 ‘IRB 심의 대상’에 대한 정답률이 48.8%로 가장 낮았다. IRB 심의에 대한 주관적 지식은 IRB 심의 준비에 대한 연구자의 주관적 인식 정도로서 80점 만점에 평균 39.95±19.81점 수준이었으며, ‘연구계획서 작성(10점 만점 기준 5.92±2.74점)’ 및 ‘동의서 설명문 작성(5.81±2.72점)’ 등 신규과제 심의 보다 ‘연구계획변경(4.48±2.88점)’, ‘지속심의(4.31±2.79점)’, ‘종료보고(4.24±2.77점)’ 등 연구 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심의 신청 방법에 대한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IRB 심의에 대한 태도는 IRB 심의 및 관련 교육 ․ 안내 등에 대한 연구자의 생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5점 만점에 평균 3.49±0.56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긍정적인 수준이었다. ‘심의의 필요성(3.83±0.80점)’에 비해 ‘심의의 유익성(3.19±0.70점)’, ‘심의 권한(3.00±0.86점)’에 대해 덜 긍정적이었으며, ‘교육 및 안내의 필요성(3.96±0.64점)’에 비해 실제 제공되는 ‘교육 및 안내의 적절성(3.05±0.90점)’에 대한 점수가 낮았다. 심의 경험이 있는 연구자의 75.0%, 71.2%가 ‘심의 서류 작성’, ‘최종 승인까지 소요시간’ 등 심의 절차상의 문제를 IRB 심의 시 어려운 점으로 꼽았으며,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IRB 심의 서류 작성 방법(55.6%)’, 특히 ‘신규과제 외 계획변경, 지속심의 등 심의 신청(50.8%)’에 대한 교육 및 ‘심의 서류 간소화(49.2%)’, ‘심의 서류 별 예시 템플릿 제공(46.0%)’ 및 ‘심의 결과로 자주 지적되는 사항에 대한 공개(44.4%)’ 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특성에 따른 지식과 태도의 유의한 차이로는 간호 및 보건학 전공자들의 객관적 지식 수준이 타 전공자들에 비해 높았으며(F=23.99, p<.001), 소속 기관에 IRB가 설치되어 있거나, 최근 2년간 IRB 심의 신청 경험이 있는 경우에 객관적 지식 수준(t=-4.347, p<.001, t=-3.852, p<.001)과 주관적 지식 수준(t=-4.172, p<.001, t=-9.783, p<.001)이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원생보다 연구원, 실무자의 경우(F=8.185, p<.001), 최근 2년 간 참여한 교육에 대해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낸 경우(F=8.206, p=.001)에 IRB 심의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5.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IRB 심의에 대한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r=.327, p<.001), 그리고 객관적 지식과 태도(r=.221, p=.014)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IRB 심의에 대한 주관적 지식과 태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748).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IRB 심의에 대한 지식 수준의 향상 및 긍정적인 문화 형성을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주제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 및 안내의 제공 등 중재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IRB 심의 진행에 있어 연구자들이 느끼는 어려움이나 교육 및 개선 요구 사항들을 확인함으로써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으로 필요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무적인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