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취수원 이전 계획에 따른 네트워크 거버넌스 형성요인 분석

        채은혜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최근 효과적인 갈등관리기제로 주목받고 있는 거버넌스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갈등전개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하는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고 논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들 간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유형과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것을 통해 거버넌스의 형성요인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지역은 취수원 이전에 따른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대구시와 구미시, 부산시와 진주시로, 갈등의 전개 과정을 3시기로 구분하여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서 언론 및 국내외 학술 논문 등의 문헌연구와 함께 면담조사를 통해 이해관계자자들의 관계와 입장을 조사하였다. 이때,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는 이해관계자, 연계구조, 상호작용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시와 구미시의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일방형 거버넌스 → 집합형 거버넌스 → 그물형 거버넌스로 변화한다. 즉, 갈등이 전개될수록 수평적, 협력적 관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갈등을 조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의사소통 기회 마련, 2)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3) 중앙정부가 배제된 거버넌스 구축, 4) 협의 기구의 구성 및 운영이다. 둘째, 부산시와 진주시의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집합형 거버넌스 → 통합형 거버넌스 → 일방형 거버넌스로 변화한다. 즉, 정부 주도의 수직적, 일방적 네트워크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갈등 관계의 거버넌스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잦은 계획 변경, 2) 합의된 정보의 부재, 3) 중앙정부와 부산시의 일방적 정책 추진, 4) 이해관계 중심의 조직구성이다. 셋째, 두 사례 지역의 네트워크 거버넌스 형성 요인을 비교·분석한 결과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효과적인 조정기제로 작동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수평적인 관계, 2) 신뢰 관계 구축, 3)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4) 협의와 합의 절차 마련, 5) 법적·제도적 장치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요인은 추후 취수원 이전 갈등을 비롯한 지방정부 간의 갈등 조정 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활용한 다각적이고 심도 있는 갈등관리가 필요하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governance tha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affective mechanism of conflict management, focusing on networks that stakeholders form through interactions in process of conflict development. This work shows types of governance and its changing process with network analysis on relations among stakeholders so that it explores important factors of network governance for the relocation plans of water intake plant. Research objects are the relocation plan of water intake plant in Daegu to Gumi area, and that in Busan to Jinju area. There have been a series of conflicts in both areas caused by the relocation plan to the other place. This study analyzes networks among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precess of conflict development, dividing it into three phases. In order to analyze changing relational situations and interaction networks among stakeholders, this work reviews academic literatures and media materials, and conducts interviews with them to collect dates on their interest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For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f network governence, this work takes stakeholders, connection structure and interaction among them into considera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ype of network governance for the relocation plan of water intake plant form Daegu to Gumi area has changed as follows: one-side type of governance → set type of governance → net type of governance. In other works, various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process have adjusted the conflict with a horizontal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as the conflict has developed. The factors affecting theses changes are 1)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2) participation of the various stakeholders 3) governance without central government 4)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sultation mechanisms. Second, the type of network governance for the relocation plan of water intake plant from Busan to Jinju area has changed as follows: set type of governance → integration type of governance → one-side type of governance. In other word, the network formed in this case mainly through the local government as a major leader can be seen as a vertical and one-sided relationship, which has made the conflicts more serious.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on conflict governance formation are 1) number of change in plan 2) the absence of agreed information, and 3) a one-sided policy implementation of central government and Busan 4) organization based on the interests. Third, a major result of this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form network governance in two research areas is that network governance needs 5 requirements to work as an effective adjustment mechanism. : that is, 1) horizontal relationships, 2) establishing trust relationships 3)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4) consultation and agreement procedure, 5)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actors found out through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way to mediate the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other stakeholders engaged in public plans, including the relocation of water intake plant.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multilateral and in-depth conflict management is required for implementing public plans with utilizable network governance.

      • 이주노동자의 사회 서비스 이용실태와 사회공간적 접근성 분석

        김홍목 대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이주노동자의 사회 서비스 이용실태와 사회공간적 접근성 분석을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에 나타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도시인 대구광역시의 성서산업단지와 중소도시인 경산시의 경산산업단지에 근무하는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근로 복지 서비스, 의료 서비스, 교육 서비스에 대한 사회공간적 접근성을 하위지표(지리적 근접성, 정보접근성, 이용가능성)에 따라 비교·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서비스의 이용실태에 있어 근로 복지 서비스는 전체적으로 공공기관이 민간기관보다 이용자가 많았고, 의료 서비스는 병·의원 이용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 서비스는 과거에 교육을 받은 사람이 현재 교육을 받고 있는 사람보다 다소 많은 특성을 보였다. 둘째, 대도시인 대구광역시가 중소도시인 경산시보다 사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간 접근성 차이는 근로 복지 서비스와 의료 서비스에서 두드러졌다. 셋째, 하위지표 중 지리적 근접성과 사회 네트워크에 따른 정보접근성의 격차, 사회 서비스 기관의 수가 서비스 이용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며, 언어적 장벽과 비자 유무는 접근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불편함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사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운영 주체인 정부, 지역사회, 서비스 기관, 기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정부와 지역사회는 공공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 및 관리·감독이 요구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통역 서비스 제공, 서비스 프로그램 다양화 등 서비스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은 사내문화 개선과 서비스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열악한 근로환경과 정보 부족의 한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analysis of social and spatial accessibility of migrant workers. The purpose is to draw up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at appear in the service use. For migrant workers working at Seongseo Industrial Complex in Daegu, a big city, and Gyeongsan Industrial Complex in Gyeongsan, a small and medium city, the accessibility of working welfare services, medical services and education services was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indicators(geographical proximity, information accessibility, availability) to summar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atus of the use of social services, the working welfare service has more users of public institutions than private institutions. Medical services had the largest number of hospital and clinic users, and education servic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more people are currently receiving education than those who have been educated in the past. Second, Daegu, a big city, was found to have better access to social services than Gyeongsan, a small and medium city. In particular, differences in accessibility between regions were marked in work welfare services and health care services. Third, among the sub-indicators, geographical proximity, gap in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ccording to social networks, and the number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 of services. Whether they have visa or not and language barriers have contributed to inconvenience in the service use process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accessi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ccessibility to social service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for the government, community, service organizations and enterprises that are service providers. Governments and communities are required to provide greater access to public services an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management, and supervision to address service blind spots. Institutions that provide the service should str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ervices, such as providing translation services and diversifying service programs. Finally, companies need to improve the limits of poor working conditions and lack of information through improved in-house culture and cooperation with service organizations.

      • 다문화 지역사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지리교육적 함의 : 안산시를 사례로

        김미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s society is becoming more multicultural and things we needed are the attitude of knowing that there are other cultures and accepting that impartially. This can be done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acknowledging multi-culture is expanding in our society.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foreign immigrants. But this study aim at understanding the attitude toward foreign immigrants in our commun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students. Also we are going to find out what this means in geography education. This study reviews research trend by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ange into multicultural society and precedent study about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pace in Ansan City.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30 middle and high school second-grade students in Ansan city and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15, 2010 to April 10, 2010. SPSS 12.0 statistic package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in data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followed below. First,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have more experiences on encountering foreign immigra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71.8% of students thought that the reason of their immigration to Korea is ‘to earn money’ and 9.8% answered ‘Do not know’. This can be seen that they don’t have information or interest about foreign immigrants. Later, results that can change the awareness of students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achieved. Students think positively that they are also member of this community. Second, students get information about foreign immigrants through-in the order of mentioned-TV, direct experience, internet, and school hour. The researcher analyzes the visiting experience of students to immigrant’s high concentration area in case of having explanation about immigrants or not. As expected, students who have explanation from school have shown high visiting experience frequency to that area. Through school education, many students will visit the area and moreover interest toward foreign immigrants will be raised. Third, students have open attitude toward foreign immigrants’ children. Reply for question about attitude toward foreign immigrants’ children show that 81.7% students’ answer is ‘Treat same as other classmates’ and 11.9% is ‘Treat them indifferently’. And adding the 1.9% of ‘Leave them out’, it becomes 13.8% so education about considering others is needed. Through education, students need to know that foreign immigrants’ children are friends, not target for bullies. From here, we can se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for the response about subject which cover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Studies’ was 39.5%, ‘English’ was 14.5%,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as 10.9%, ‘History’ was 8.7%, and ‘Geography’ ranked 7th. The reason why this awareness-social studies should carry out multicultural education-occurred can be think that there is a subject which study society and it is about time to demand more thinking in the subject of geography Fifth, many think that most of the foreign immigrants are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This can be seen that students have little chance to differentiate ‘ethnic Koreans from China’ because of similar appearance and language. Although there are lots of foreign immigrants who have China nationality, students recognize immigrants from Southeast Asia who have different skin color and language. Sixth, this study looks into the contents in case of cover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ography. Respondents think that community’s problem and their own countries’ economy and culture are important and level of contribution toward local community and immigrant’s future goal are not crucial relatively.

      •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와 정체성의 변화 : 대구광역시 동구, 경상북도 청도군을 사례로

        정유리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Korean society has turned into a multi-cultural space and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number of marriage migrants reaching 220,687 as of 2013, there are some point of views that the maladaptation to local communities of marriage 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exerts negative effects on the long-term stability of local communities. maladaptation simply having them acquire Korean culture and coercing them into unconditional assimilation into Korean society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diversity of their original culture, lifestyle, value and identity. Even though cultural diversity and identity should be ensured in a multicultural society, marriage migrants in Korea have been induced to embrace the homogeneous identity of Korean culture via accommodation to the society. In order to meet the need for marriage migrant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the thesis aims to analyze the diverse change of identities of them. Their identity shift takes multiple and multi-scalar forms. This thesis focused on the identity shift as a part of acculturation leading th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In this context, the thesis explored to investigate the cultural identity shift as part of acculturation as well as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age migrants. A total of 136 marriage migrants living in Donggu Daegu City and Cheongdogun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The survey included participants as well as non-participants in community activities were responded. 10 people were interviewed with in-depth intervi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s for the life satisfaction in region with the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rural participation type showed a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rural non-participation type. More significantly in the rural area have changed their satisfaction much more than those in the city area. This finding suggests that where they live is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Secondly, regarding the cultural identity, a majority of marriage migrants were found to have a high level of multiculturalism and bicultural identity which is followed by assimilation and Korean cultural identity, exclusion and original cultural identity and marginalization and marginal cultural identity. Notably, unlike the urban non-participation type, the urban participation type showed a high percentage of assimilation and Korean cultural identity. It is because those who are in urban participation type have more chance to meet Korean culture acquisition programs than those in the urban non-participation type. Also, the percentage of multiculturalism and bicultural identity was found relatively lower in the rural non-participation type compared with the other types, whereas the percentage of assimilation and Korean cultural identity was found significantly high. In the type this finding tells us the fact that the homogeneity of population and the ties between locals are relatively higher in the rural area than in the city, which requires marriage migrants to share such a homogenous cultural identity or a sense of belonging with locals so that they can adapt to local communities. The multiculturalism and bicultural identity was the highest (over 60%) in the rural participation type. Not a single case of marginalization and marginal cultural identity was found in the rural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types. To sum up, the aspects of cultural adaptation of marriage migrants living in Korea concentrate on the multiculturalism and bicultural identity type (i.e. high levels of both original and Korean cultural identities) and the assimilation and Korean cultural identity type (i.e. a somewhat lower original cultural identity with a high Korean cultural identity). Thirdly, the analysis of life satisfaction in region with identity shift as part of acculturation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increased in all types and was highest in the assimilation and Korean cultural identity type and that the life satisfaction in region with the multiculturalism and bicultural ident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between the time of arrival and the present. Hence, the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and the sense of cultural identity were fou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the adaptation of marriage migrants. Also, the high life satisfaction possibly points to the stable settlement in local communities in Korea. The life satisfaction, identity shift and acculturation processes vary among marriage migrants, and thus their effects are inconsistent. In that sense, future multicultural policies to support the stable settlement of marriage migrants should pursue multifaceted and diversified approach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arriage migrants. 이 연구는 2013년 결혼이주자가 220,687명에 달하는 다문화공간, 다문화 사회로 변모한 우리 사회의 변화에 기반하여, 결혼이주자 및 다문화가족의 지역사회 부적응이 장기적으로 지역사회의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결혼이주자를 향한 적응에 대한 요구는 그들 고유의 문화적 다양성, 생활방식, 가치관, 정체성 등을 고려하지 않았고, 단순히 한국문화를 습득시키고 한국사회로의 무조건적인 동화를 강요하였다. 즉, 다문화사회에서 문화적 다양성과 정체성이 보장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결혼이주자는 한국 사회에 순응적으로 편입되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는 한국문화 정체성을 가지도록 유도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그들의 다양한 정체성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정착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결혼이주자가 가지는 정체성은 다중적 또는 다규모적으로 변화하며,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문화변용으로서의 정체성 변화는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자의 생활만족도와 문화적 변용으로서의 문화적 정체성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구광역시 동구와 경상북도 청도군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결혼이주자와 참여하지 않는 결혼이주자 총 1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지역사회 활동의 참여여부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농촌 참여형이 농촌 비참여형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농촌의 경우가 도시의 경우보다 이주 직후와 현재의 만족감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남을 통해 거주공간으로써의 지역이 무엇보다도 생활만족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둘째, 문화정체성의 경우 과반수의 결혼이주자가 본국문화 정체성과 한국문화 정체성이 모두 높게 나타나는 이중문화 정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배제와 본국문화 정체성, 주변화와 주변문화 정체성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특히 도시 참여형의 경우 도시 비참여형과는 달리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문화습득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문화 및 한국인을 도시 비참여형의 경우보다 더 많이 접하고 익혔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촌 비참여형의 경우도 다문화와 정체성의 비율이 다른 유형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난 반면,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의 비율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는 농촌은 도시보다 인구의 구성이 동질적이며, 지역사회 주민들 간의 유대관계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그들과 같은 동질적 문화정체성을 공유하거나 지역주민과 같은 소속감을 가져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 참여형의 경우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의 비율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농촌의 경우 농촌 참여형과 농촌 비참여형 모두 주변화와 주변문화 정체성이 한명도 없었다. 요약하면, 한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자의 문화적응은 본국문화 정체성과 한국문화 정체성의 수준이 모두 높은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유형과 본국문화의 정체성은 다소 낮으나 한국문화 정체성은 높게 나타나는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문화적 변용으로서의 정체성 변화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형에 따라 만족도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이 한국사회에서의 생활만족도의 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또한 이주 직후와 현재의 생활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결혼이주자의 적응에 있어서 문화적응 유형과 문화정체감은 생활만족도와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생활만족도는 한국에서의 지역사회에 대한 안정적인 정착을 의미할 수 있다. 생활만족도 및 정체성의 변화, 문화변용의 과정은 모든 결혼이주자에게서 균일하게 발생하지 않으며, 일관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결혼이주자의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향후 정책들은 결혼이주자를 하나의 유형으로 단순화하고 동일한 문화적응 과정을 경험할 것이라는 가정에서 벗어나 결혼이주자의 특성에 따라 다면적이고 다원화된 접근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 대구시 인쇄 집적지의 특성과 최근 변화 : 중구 남산인쇄거리를 사례로

        이혜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Rapidly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s require different production and networking patterns of businesses and industries and often bring about changes in spatial forces. Contrary to the general tendency of geographical dispersion affected by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s, urban-based industries such as printing industry, businesses are shown to tend to agglomerate within localized areas. Such a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with the logic of agglomeration economies as well on the basis of the social and relational aspects of networking. Along with the previous wisdom, given the possibly varying spacial for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formationization, there is a clear need for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hanging trends in agglomerated centers of printing. Previous literature involves studies on location characteristics, spatial structure associated with production activities, regional structure, and labor market, with the focus on the areas in and around the capital city of Seoul in the 1990s but, there is scant research on printing business agglomerated centers in other regional areas, and moreover there is an emerging need to examine how they have been affected by the recent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s. As a consequ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recent changes in the particular printing business agglomerated center called the Namsan Printing Street in the city of Daegu, Korea and ended up with some suggestions for addressing the identified issue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into two parts: one invol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glomerated center, and the other relates to changes due to the progress in information technology.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egu printing industry and the printing business agglomerated center, first, whil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Daegu printing industry were associated with business cycles in temporal terms, they were associated in spatial terms with the changes in population distribution and the locations of core industries in the regional econom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the Daegu printing business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oul equivalents, while the number of printing businesses in the Daegu printing business agglomerated center increased contrary to the decreasing total numbers of businesses in the whole city of Daegu and the district of Joonggu where the agglomerated center was located, respectively. This suggested a presence of various strong full factors in the location of the particular agglomerated center. Second, the Namsan Printing Street, with high proportion of small size businesses, showed higher annual revenues than any other regions, reflecting its advantageous location of agglomeration. This confirms that the smaller the size of firms is, the beneficial effect of agglomerated centers' location, gets larger: this is mainly because of agglomeration economies. On the other hand, their high level of revenues was found to be attributed to their ability to secure orders depending on relatively low price per unit combined with technological edge. Especially the low price can be understood as a featuring aspect of agglomeration diseconomies and changes in the midst of an information age. The examination of the aspects of production network and sub-contraction relationships of the businesses in the Namsan Printing Street found that in forging sub-contraction relationships, there was an increasing tendency that more importance was attached on quality in techniques instead of on personal networks.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rong sub-contraction networks directly associated with production, while a weak collaborative network among themselves was identified. Further, the range of their networks mainly extended to the neighborhood province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these networks were found to be created based on technical merits and business and oth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ir networks with clients and businesses in the capital area were based on technical merits only. In the changes due to the increased level of informatization and digitalization, first, at the level of individual businesses, the changes included increased level of printing techniques involving computer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changed production modes including more stress on technical merits in sub-contraction relationships and Internet-based ordering system, changed delivery modes including increased small quantity orders of high quality printing products and decreased printing products for office use. All these changes were made possible because of the strengthened production capacity of printing businesses to meet various customer demands, and more fundamentally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s that allowed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all phases of transaction processes. Moreover, each change implies reduced importance of geographical distance and spatial movement. Second, at the level of the agglomerated center as a whole, even 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changes from business to business due to differences in capital power and absorptive capability among businesses, the key changes included increased adoption of highly advanced printing equipment, increased high quality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more flexibility in locating due to less need to be located inside of the agglomerated center. In fact, considerable number of firms with a strong competitive edge in information technology moved out of the agglomerated center. Third, with respect to the prospects for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msan Printing Street agglomerated center as an agglomerated center, there were contradicting views. While there were some perceptions that the importance of the location of the agglomerated center as a center of process networks and face to face contact points in light of the nature of the printing industry will still remain valid, there were other perceptions that such importance can be negligible into the future because of rapid progress in tele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more prevailing view, however, was that the current agglomerated center would continue to have its competitive edge even in the age of information and digitalization. Adding to that, the housing redevelopment plan in the neighboring area is currently under consideration and the plan for constructing a publishing and culture industrial complex in a suburb of Daegu is under active development. If those plans come into reality, a large group of printing firms located in the current area were found to be intent on moving to the planned complex. This was because they expect to enjoy the merits of economic agglomeration. The findings above ended up with some helpful suggestions about problems concerning the Daegu printing business agglomerated center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reducing congestion diseconomies, full scale improvement in work environments including constructing pubic parking lots and fixing aged facilities should be made. Also, an internal collaboration network should be put in place. Secondly, in recognition of the possibility of the existing gap between businesses due to differences in capital power and absorptive capability, financial and regulatory supports from governments at all levels should be offered to businesses with needs of innovation as key to success in today's competitive world. Along with this, such businesses themselves should look for an innovative way to create more collective projects. Also, a more sustainable plan in relation to the scheduled plans of housing re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 publishing and culture industrial complex in the neighboring area should be established in such a way that those plans and relevant policies will benefit both the planed publishing business agglomerated center and the existing printing business agglomerated center by being mindful of possible increase of transaction costs and waste of resources. Lastly, through cooperative links between universities or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agglomerated center of printing, collective efforts of the component firms to swiftly respond to changing environments, securing necessary human resources and developing collaborative networks, should be made in order to achieve both economic and spatial symbiosis. 급속한 경제환경의 변화는 기업의 생산과 네트워크의 측면에서 종전과 다른 양식을 요구하며 공간의 영향력에 변화를 가져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교통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생산활동의 지리적 분산을 가져오지만, 인쇄업과 같은 도시형 공업은 국지적 공간에 집적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같은 현상은 집적경제의 경제적 논리와 네트워크의 사회적ㆍ관계적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정보화에 따라 공간의 영향력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인쇄 집적지의 이 같은 변화에 관한 실증적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인쇄 집적지의 특성에 관해서는 1990년대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입지특성, 생산연계의 공간구조, 지역구조, 노동시장 등과 관련된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방 대도시의 인쇄 집적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고 최근 정보화로 인해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시 인쇄 집적지의 특성과 정보화ㆍ디지털화로 인한 최근 변화를 살펴보고 문제점 및 대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구시 인쇄 집적지인 남산인쇄거리를 사례로 그 특성과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목적 아래 밝혀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요약된다. 하나는 집적지의 특성과 관련된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정보화로 인해 나타나는 변화와 관련된 측면이다. 대구시 인쇄업과 인쇄 집적지의 특성으로 첫째, 대구시 인쇄업의 지리적 분포 특성은 시기적으로는 경기변동에, 공간적으로는 인구분포의 변화 및 지역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산업입지와 관련이 있다. 대구시 인쇄 업체의 중구 집중도는 서울보다 높은 편이고, 대구시 전체와 중구 전체의 전반적인 사업체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인쇄 집적지의 사업체수는 증가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대구시 인쇄 집적지의 경우 집적지의 다양한 흡인요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남산인쇄거리의 경우 영세기업의 비율은 높지만 연간 매출액은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난다. 영세기업은 생산 및 거래관계에 있어 남산동이 유리한 것으로 보여 소규모 기업일수록 집적경제를 누리는 집적지 입지의 효과가 커졌다. 남산인쇄거리 업체들의 매출액이 높은 이유는 낮은 판매단가와 높은 기술력이 수주의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낮은 판매단가는 집적의 불경제이자 정보화시대 변화의 한 단면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남산인쇄거리의 생산연계 및 네트워크 측면을 살펴보면 하청관계는 인맥보다 점차 기술적 측면이 중요시되고 있다. 그리고 생산과 직접 연계된 하청네트워크는 강하고 상호 교류의 협력네트워크는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네트워크의 지역적 범위는 대구를 제외하면 인근 경상북도와 부산, 경상남도 지역이 기술적ㆍ관계적 측면을 바탕으로 형성된다. 수도권과의 네트워크는 기술적 측면이 형성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정보화ㆍ디지털화로 인해 나타나는 변화로는 첫째, 개별 업체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한 인쇄기술의 향상, 기술력을 중시하는 하청관계와 인터넷을 이용한 수주방식 등 생산방식의 변화, 소량의 고급 인쇄물 증가와 사무용 인쇄물 감소에 의한 인쇄물 공급형태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인쇄물의 효율적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각의 변화들은 지리적 거리의 중요성이 감소되고 공간적 이동도 감소되었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둘째, 집적지 내부의 일반적 변화로 정보화에 대처하기 위해 최신의 기계 등을 마련하는 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생산량의 차이나 전문기술을 요구하는 고급인력이 증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항들은 기업의 자본력과 흡수능력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그리고 거리의 중요성이 감소되고 공간적 이동이 줄어들면서 입지적 유연성이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정보력이 우세한 업체들은 집적지 외부로 이전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셋째, 정보화ㆍ디지털화 시대에 남산인쇄거리의 향후 경쟁력은 공정연계와 대면접촉의 중요성으로 여전히 높게 인식되었다. 하지만 온라인상으로 거래관계가 이루어지므로 경쟁력이 없다는 점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남산인쇄거리의 입지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나 정보화ㆍ디지털화 시대에도 인쇄 집적지는 공간적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리라 예상된다. 최근 남산인쇄거리 일대에는 주택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대구시 외곽에 출판문화산업단지 조성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재개발이 시행된다면 새로 조성될 출판문화산업단지로 이전하겠다는 업체들이 많았고 이 역시 집적경제의 이익이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구시 인쇄 집적지의 문제점 및 대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집적의 불경제를 감소시켜야 한다. 공영 주차장 마련과 시설의 재정비로 집적지 내부의 시설 환경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내부적 교류를 증대시켜 협력네트워크 강화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다음으로 자본력과 흡수능력의 차이로 업체 간 양극화가 점차 증대될 전망이다. 이는 향후 혁신기반의 격차로 이어질 수 있으며 계속적인 악순환 구조를 형성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공동의 협동화 사업을 통해서도 공생의 방향을 찾아야 할 것이다. 한편 주택 재개발 사업으로 인한 집적지 내부의 입지 변화에 따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남산인쇄거리와 출판문화산업단지의 양분된 인쇄업의 입지는 상호 이익을 추구할 수 없다. 긴밀한 생산연계와 협력네트워크의 분산은 공간적 이동의 증대와 거래비용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입지 변화에 따른 향후 전망에 대해서 심사숙고하여 정책 구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기관이나 대학과의 연계를 통해 인쇄 집적지의 혁신적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산ㆍ학ㆍ연 네트워크를 통해 전문인력 양성 및 연구사업의 지원도 필요하다. 또한 집적지 내부의 업체들 간에는 협력네트워크 강화와 정보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으로 경제적 공생, 공간적 공생을 누릴 수 있어야 하겠다.

      •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와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 대구ㆍ경북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박은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2007년 국내 고등교육기관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4만 9 천 여명을 넘어섰다. 국내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게 된 것은 전 세계적 으로 유학생의 확대 양상이 나타나면서 한국 정부에서도 유학생의 유치에 적 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이다. 외국인 유학생의 급증현상에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외국인 유학생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증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에 관한 논의들이 몇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유학생의 유치를 위한 전략 또는 유 학생의 학업적 적응, 문화적 적응과 같은 단편적인 측면에서의 적응만을 조사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이주의 전 과정을 고찰해 보기 위하여 이주의 원인과 적응과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관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 구는 대구ㆍ경북지역의 대학을 사례로 선정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의 원인을 분석하고 유학생의 국내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며, 또한 지역사회 적응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간략히 제시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를 고찰하기 위해 먼저 국제이주의 원인을 분석하 였다. 국제이주의 원인은 3가지 차원에서 살펴 볼 수 있는데, 세계적 차원, 국 가적 차원, 개인 행태적 차원에서의 이주원인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외국 인 유학생의 국제이주는 이들 세 가지 측면의 이주 요소들의 개별적이라기 보 다 거시적 배경과 개인의 행태적 차원이 상호 연계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라 고 할 수 있다. 또한 국제이주 이후의 만족도를 고찰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이주 후 유 입국에서의 적응을 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후 지역사회 적응을 위 한 환경으로는 대학 내 학교지원활동, 수업ㆍ연구활동,교류활동으로 구성되 고, 지역사회 적응에는 지역사회 내에서의 사회복리활동, 생존유지활동, 사회 공간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공간적 분포 특성은 유학생 유입 초기단계에는 수도권에 압도적으로 많이 이루였으나, 그 후 수도권의 집중현상은 점차 완화 되고 있다. 이는 비수도권 지역의 대학들이 정원 확보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 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활동을 추진한 결과이다. 둘째, 설문조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원인으로 거시적 차원의 배출-흡인 요소 보다는 미시적 차원의 배출-흡인요소가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 유학생은 그들이 의식하는 개인적 동기요인들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 실제로 거시적 차원의 배출- 흡인 요소도 무의식적으로 영향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지만, 크게 의식되지 않았다고 하겠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각 요소별 적응은 개인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특히 한국어 구사능력이 높고 한국인 친구의 수가 많을 수록 대학 및 지역사회에서 적응하기가 용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학 생활과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정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에서 느끼는 정체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으로서 정체성이 높게 형성된 외국인 유학생에게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와 적응에 대한 대책과 제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과정 중 유학생은 정보가 부족하고 높은 중개비용으 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의 홍보 방법은 대부분 유학박람회를 통한 대학 소개와 같은 획일적인 방법에 한정되어 있다.실질적으로 외국인 유학생이 필 요로 하는 다양하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성공적인 유학사례 를 중심으로 유학정보를 제공하는 홍보 전략을 필요로 한다. 유학원 및 유학 중개업체에 대해서도 우수 유학원에 대한 인증제,유학원 허가제도 등의 적절 한 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을 단기적으로 이주하는 유학생의 관점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차원에서 지역사회 구성원임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원인을 알고 이들을 국가 내에서 전 문인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로 취업활동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비자 전환이 요구된다. 유학생이 실제로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 역사회를 바로 알려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대학 내에서 유학생을 대상 으로 지역사회의 역사, 지리, 문화 등의 강좌를 개설하여 지역사회의 이해를 돕도록 해야 한다. 정부나 대학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외국인 유학 생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 내국인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편견을 줄이기 위해 다문화 축제 등을 개최하여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내국인의 바른 이해를 도와야 한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이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도 록 지역사회에서 이들을 인정하고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하는 분위기를 형성 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는 외국인 유학생 유입의 초기단계로 유학생이 지 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은 수준이라 할 수 있지만, 앞으로 외국인 유학 생들이 급속히 증가하면 이들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나 지역민들과 접촉 할 수 있는 기회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본 연구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의 유입 원인과 지역사회에서의 적응 특성에 대한 제안으로써 지역사회, 정부 및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지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유학생이 유입 된 이후 지역사회 내에서의 동화와 갈등 과정을 통해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지 역사회의 변화양상을 고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domestic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in South Korea exceeded 49,000 in 2007. One of reaso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rapidly increased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is actively involved in attracting foreign students as the number of student studying abroad increased world-widely. One reason to pay attention to the rapid expansion of foreign students is that the impact of them on local community also becomes greater as their proportion increases. Under this circumstance, considerable discussions concerning them from several aspects have been undertaken. However, most of researches are limited to partial aspects of either strateg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or their academic and cultural adaptation The perspective to look into the causes of foreign students’ migration and adaptation process in more integrative way also seems to be significant in examining their whole process of migration.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nd intends to analyze the migration cause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patial distribution, to examine their adaptational patterns and finally to suggest some measures for them. In order to examine foreign students’ international migration, causes for the migration analyzed first. The causes can be examined on 3 dimensions, which are the global dimension, the national dimension, and the individual-behavioral dimension. The international migration of foreign students can be seen as a phenomenon which is not caused by a single dimension but by interactions of the macro level of situational dimension and the individual level of behavioral dimension. In addition, adaptation to the migrated country is analyzed to examine two aspects of their satisfaction in everyday life in local community after their international migration. The environment for their adaptation within their university after their migration consisted of supports from their university, class/research activities and interchange activities. Their adaptation to local community outside the campus was also classified into welfare activities, surviv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in their local community. The study results based on thes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for foreign students’ spatial distributio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 was where foreign students are most frequently located at the early stage of their migration. However, the distributional concentration in Seoul has been loosened afterwards, which can be seem as a result of active promotional effort of the universities in other area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in securing their quorum. Secondly,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macro level of push-out/pull-in factors has a greater impact on foreign students’ migration than the micro level of them. That is, foreign students perceive that they are more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motivation factors they are aware of. Although the macro level of push-out/pull-in factors may, in fact, unconsciously influence on them, they seem not perceived as high as it may be. Thirdly, the adaptation patterns across each dimension show individual differences. In particular, the foreign students who have a higher Korean language ability and more Korean friends show a better adaptation to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ith higher adaptation level to the life of study abroad and local community have a higher level of perceived identity as a member of their local community, through which a contribution of those foreign students with higher identity as a community member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may be anticip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sures and suggestions concerning foreign students’ migration and adaptation are as follows: During the migration process of foreign students, they are suffering from lack of information and a high agency cost. Most of governmental promotions are limited to such uniformed manner as presentation of universities through studying-sbroad fair. Various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s that meet their practical need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In addition, promotional strategies to provide information focusing on successful cases in studying abroad are also required. As for the institutes for studying-abroad or agencies,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for excellent institutes or authorization system for agencie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farsighted viewpoint that foreign students are perceived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and deviated from the shortsighted viewpoint to regard foreign students as short-term staying migrants,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complemented. In addition,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causes for foreign students’ migration, measures to utilize their professional manpower in domestic industries should be complemented, for which visa transference to support their employment is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ir adaptation level to local community, foreign students in Korea have to acquire adequate knowledge of their local community. As a measure for this, universities need to open classes of local history, geography, and culture for foreign students and help them have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ir local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the government or the university also has to care the foreign students. Events such as multicultural fair to reduce prejudice of domestic residents against foreign students may be held to help domestic residents appropriately understand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the local community has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which accepts the foreign students as a member of their local community and encourages their spontaneous participation. Although the impact of foreign students on local community has been little since Korea is at the early stage of foreign student inflow, it is anticipated that their impact on local community or their contacts with local residents will increase a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rapidly grows. In a preparation for this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suggestions in the causes for foreign student inflow and their adaptational characteristics to local communit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local community, government, and universities in attracting and supporting foreign students. Future researches may study more specific change patterns of local community arising from the assimilation and conflict process of foreign students after their settlement in the community.

      • 도시내부 산업단지의 노후화와 공간변화 : 대구 제3산업단지를 사례로

        송주연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82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which was established in 1967, is the first complex in Daegu and it had been a motive power of industrialization in Daegu for a long time. But, it has been gradually stagnant since 1990s, and recently needs to industrial and spatial restructuring because of its deterioration. Thus, the ways of redeveloping and revitalizing the complex have been discussed by Daegu municipal authority and its related research institutes. However, I think it would be more important to exactly investigate reasons for stagnation of the complex before setting up a plan of redevelopment in order to revitalize it successfull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industrial structure of Daegu has changed, how the Korean industrial restructuring policies have related to its change and the stagnation of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in Daegu, and how the process of spatial restructuralization with the growth of Daegu has influenced on the deterioration of complex. With these purpo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has been getting stagnant as the industrial structure of Daegu has pursued an industrial restructuring from traditional manufacturing to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and policies for fostering Korean industrial system are being carried out just for specialized industrial complexes and knowledge-intensive industrial complexes. Also, as Daegu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in its urban space the site of, the Third Complex, which was once outside Daegu, is now inside the city and the industrial decentralization policies which are carried out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 outside the city are making this complex stagnant. Second, under the deterioration conditions that the Third Complex are going through, the average number of the workers and the amount of production of the companies in the complex become smaller. Also most of companies could not well adopted to the recent change of industrial system in cities because they are specialized in ‘Assembling metal-products’, ‘Manufacture of basic metals’ and ‘Machinery and outfits, etc’. There are also some changes in land-use of the complex and around: the manufacturing district around the complex is changing into a residential area and the price of land within the complex which has been divided into many parts is rising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surrounding areas. Third, the process of the deterioration of the companies in the complex is examined into four aspects such as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es, satisfaction with the location, redevelopment of the complex and ways to solve the deterioration problems. As results of the survey, the number of the workers and the volume of companies' annual sales are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five years ago. And as the same kind of companies has increased, they are disadvantaged and there are little cooperation and network for interchange among them.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location of each company and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there are serious dissatisfactions with politic supports and the price of land and rent. Because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is not designated by ‘Law of Location of Industry and Development’, there is not sufficient politic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What is worse, the control office of the complex is poorly connected to the companies because it has no responsibility to support those companies. Also, the price of the land and rent for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are much higher than the suburban industrial complexes. Finally, most of the companies in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do not fully recognize the government plan to redevelop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into a high-tech industrial complex. Therefore, there is no counter measure against the deterioration, and the lack of supporting organizations in the complex makes this situation worse. On the other hand, the local government is planning to change the complex into a high-tech industrial complex in the inner city for the change of industrial system in the inner city and this is alienated from many companies in the complex.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tic problems for the deterioration and spatial changes of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a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much investment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deteriorated and poor industrial complex, which is forty years old after its setting up. Also the roles of the control office, which does not have any responsible roles in the complex, should be improved with the financial supports for the privately owned control office. If the control office becomes the main agent, it can mediate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ompanies when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is redeveloped. As for the ways to reorganize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related institutes and supporting centers, which do not exist now, should be revitalized and then alternative ways for the companies to adopt the redevelopment should be found out and implemented. The local government must have many discussion and a consensus with the companies in the complex when they make the plan for the redevelopment into a high tech industrial complex and help them fully recognize the purpose of the redevelopment. Solving those problems is the first consideration for the Third Industrial Complex to become a inner city hi-tech industrial complex. 1967년 조성된 제3산업단지는 대구시에 입지한 최초의 산업단지로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치면서 대구지역 공업화 과정에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르면서 침체 국면을 맞이하게 되고, 현재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재정비의 대상으로 지목받고 있다. 산업단지의 재개발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기존 논의들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전통적인 산업단지를 침체시킨 구체적인 요인들이 무엇이며, 그로 인해 단지 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면밀히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제3산업단지는 대구시가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재구조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과도기적 상황에 처해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3산업단지를 침체시킨 배경으로서 대구시의 산업구조가 최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그리고 한국의 산업단지 육성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대구시 성장에 따른 공간재구조화 과정이 제3산업단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대구시의 산업구조 및 공간구조의 변화에 관한 고찰에 이어, 본 연구는 특히 현재 제3산업단지가 경험하고 있는 노후화의 실태와 특성을 현황자료 및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입주업체와 대구시의 대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아래 밝혀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1980년대 후반부터 대도시의 산업구조는 전통적인 제조업에서 지식기반경제 중심으로의 이행을 추구하게 되고, 한국의 산업단지 육성정책도 최근 전문화된 산업집적지와 지식기반 산업단지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전통적 제조업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제3산업단지는 침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구지역 성장에 따른 시역의 확장으로 조성당시 외곽지역에 있는 제3산업단지가 도시내부로 진입하게 되었고, 이후 교외지역 산업단지의 조성과 함께 추진되고 있는 산업분산정책 역시 단지의 침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제3산업단지가 경험하고 있는 노후화 현황으로, 먼저 업체의 평균 종사자 수와 생산액에 있어 극심한 영세성을 보이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주요 업종이 조립금속제품과 제1차 금속산업, 기타기계 및 장비제조업을 위주로 특화되어 있어 최근 도시의 산업구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토지이용에 있어서도 몇 가지의 변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단지 주변의 용도지역이 공업지역에서 주거지역 등으로 전환되고 있고, 필지가 점차 세분화되고 있으며, 주변지역의 개발로 인해 높은 지가상승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단지 내 업체들의 노후화 과정을 업체의 특성과 입지만족도, 단지의 재정비, 노후화에 대한 대책 등의 네 가지 측면에 관한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 입주업체들이 5년 전에 비해 종사자 수와 연간 매출액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동종업체가 많아지면서 불이익이 생기고, 협력과 교류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공장의 개별입지에 대한 만족도와 제3산업단지 전체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모두 공통적으로 정책적 지원과 지가 및 임차료에 대해 불만을 보이고 있었다. 제3산업단지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산업단지가 아니기 때문에 실상 정책적인 지원이 부재한 상황이고, 단지관리사무소에서도 입주업체들을 지원해야 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업체들과의 연계성이 미약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심부와 가까이 입지한 제3산업단지는 교외지역 산업단지에 비해 지가와 임차료가 매우 높은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대구시가 발표한 제3산업단지의 향후 첨단산업단지 재정비 계획에 대해서는 입주업체의 대부분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노후화에 대한 업체의 뚜렷한 대응전략이 전무한 실정이고, 단지 내 지원기관의 부재는 이러한 상황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반면 대구시는 도시내부 산업단지의 구조변화에 대응해 도심형 첨단산업단지로 정비하여 특성화된 산업단지로 육성할 것이란 전략을 가지고 있어 단지 내 입주업체들과 괴리되어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3산업단지의 노후화와 공간변화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성이후 40여 년이 지난 영세하고 노후한 산업단지의 환경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민간으로 운영되고 있는 제3산업단지의 관리사무소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단지 내에서 뚜렷한 핵심주체가 되지 못하는 관리사무소의 역할이 개선되어야 한다. 단지관리사무소가 뚜렷한 핵심주체로 부상한다면 향후 제3산업단지의 재정비 추진 시 대구시와 입주업체의 입장을 매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제3산업단지의 재구조화 방안에 있어서는 우선 산업단지 내 전무한 실정인 관련 연구소와 지원센터를 활성화해 업체들이 재정비에 대응할 수 있도록 경로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현재 대구시가 계획하고 있는 첨단산업단지로의 재정비 방안은 입주업체와 충분한 협의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며, 추진방향에 대해서도 입주업체에게 충분히 숙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들의 해결은 제3산업단지가 도심형 첨단산업단지로 부상하기 위한 선결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