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켓 타이밍과 리스크 관리: 변동성지수를 이용한 VaR 한도소진율 개선

        김원섭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market risk management indicators are market timing indicators judging the market situation properly during financial crisis period. We check whether VaR limit runout rate can judge the market crisis before the financial crisis comes, and the normal market situation after the market risk has been relieved. If the VaR limit runout rate can’t judge the market situation timely, we look for the cause and investigates whether we can improve VaR limit runout rate using VIX. As a result, VaR limit runout rate has a problem in judging market situation properly and timely during financial crisis because it is a historical volatility and it’s measurement has wrong assumption. VIX limit runout rate which replaces VaR with VKOSPI and VIX signal which is used in prior research judges the market crisis and the normal market situation faster than VaR limit runout rate. Also, if we managed the portfolio using VaR limit runout rate, VIX limit runout rate and VIX signal, VIX limit runout rate and VIX signal portfolio made better return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efficient market risk management and portfolio management are available during financial crisis by supplementing VaR limit runout rate with VIX limit runout rate and VIX signal. 본 연구는 시장위기 이전과 이후라는 특수한 시점에서 시장 리스크 관리지표가 정확한 시점에 시장 상황을 올바르게 판단하는 마켓 타이밍 지표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실제 업계에서 시장 리스크 지표로 사용하는 VaR 한도소진율이 시장위기가 오기 전에 상황을 위기로 판단하고, 시장 리스크가 완화된 상황에서는 정상으로 판단하는 시의성을 가지는지 확인한다. 시의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그 원인을 분석하고, 기존 연구들을 근거로 변동성지수를 활용하여 VaR 한도소진율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지 관찰한다. 연구 결과, VaR 한도소진율은 역사적 변동성의 한계와 측정방법의 가정 문제로 정상적이었던 과거와 다르게 움직이는 시장위기에서 시의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VaR를 VKOSPI로 대체한 VIX 한도소진율과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마켓 타이밍 지표인 VIX 시그널 모두 VaR 한도소진율보다 빠르게 시장위기를 진단했고, 이후 더 빠르게 시장을 정상으로 인식했다. 또한, 각 지표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운용했을 경우, VIX 한도소진율과 VIX 시그널이 VaR 한도소진율보다 좋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시장위기 상황에서 VaR 한도소진율의 한계를 VIX 한도소진율과 VIX 시그널로 보완한다면, 시장위기 상황에서도 효율적인 시장 리스크 관리와 포트폴리오 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 청소년의 신체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거부민감성의 이중매개효과

        신해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과 학교 구분에 따른 신체상,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거부민감성 및 우울의 차이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신체상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거부민감성의 개별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과 학교 구분에 따른 신체상,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거부민감성 및 우울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신체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거부민감성의 개별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의 신체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거부민감성의 이중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총 5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회수된 517부의 질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질문지 42부를 제외하고 총 475부를 최종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개별 및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신체상,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거부민감성 및 우울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학교구분에 따라서는 신체상,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및 우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상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거부민감성은 각각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신체상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거부민감성은 부분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상과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거부민감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의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adolescents' body image,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by gender and school-level, and to examine the specific and dual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body image and depress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530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in Gyeonggi-do. Finally, 475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1.0 program, and separate and dual mediation effect analyses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In addition,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dy image, depressio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dolescents’ gender. By adolescents’ school-level, body image, depressio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had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body image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ir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had partial dua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body image and de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vided basis for specific interventions on adolescents' depression by examining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body image and depression.

      • 사회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게임CBT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근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develop a school-based program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al level of children by using systematic evaluation methods in screening children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econd, the study aimed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gam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children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by using various scal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developed a gam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hereafter referred to as CBT), and the problems found after conducting the preliminary program were corrected to construct a final program. The final program comprises the following therapeutic items: self-monitoring and cognitive reconstruction with cognitive approach, exposure training with behavioral approach and social skills training and relaxation training. These interventions were carried out with game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each session. In the beginning stage, the program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education of CBT therapeutic model and self-monitoring for recognizing one’s thoughts and emotions. The middle stage focused on cognitive reconstruction to change irrational thoughts and beliefs appearing in social situations. The closing stage combined the contents from all areas and delivered exposure training composed of simulated exposure and actual exposure. Additionally, social skills training and relaxation training were offered. These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invigorated by using games every session. By conducting a pretest of Social Anxiety I(K-SAS-A) and the revised edition of Child Social Anxiety Ⅱ(SASC-R), the study selected children who got a score of 50 or higher i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SASC-R) and 120 or higher(which marks the top 10%) in Korea-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K-SAS-A). In the first screening, selected subjects were 34 children in 5 and 6th grades from an elementary school based in Paju-si. Of these 34 children, 16 children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scores of K-SADS-PL and ADIS-R and the subjec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Of these 16 children, 8 children(3 boys and 5 girl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Game-CBT (G-CBT) group, an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children were offered a total of 12 sessions, for 90 minutes a week from October 6th to December 24th during the 3rd and 4th periods of K elementary school. To assess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data from each scale were collected after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into cognitive factors(automatic thoughts scale, irrational beliefs scale), emotional factors(social anxietyⅠ:K-SAS-A, social anxietyⅡ:SASC-R), and behavioral factors(peer-relational skills, safety behavior, behavior checklist for performance anxiety <BCPA>, subjective units of discomfort <SUDS>, presentation tim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SPSS 21.0 program to obtai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validation of pretest and posttest of BCPA, Pearson’s simple correlation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homogeneity of participants before the program and compare the scores of follow-up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Mann-Whitney U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cores of pretest and posttest for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o compare the scores of pretest and 2-month follow-up test for experimental group, Wilcoxon signed rank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is, the study analyzed changes in irrational thoughts and belief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examined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data on games, feedbacks on assignments, researcher’s evaluation for each session and assistant researcher’s repor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G-CBT program for social anxiety disorder,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addition, a significant reduction was marked in all of the sub-scales of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Second, the program brought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social anxiety I(K-SAS-A) and social anxietyⅡ(SASC-R).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cores of the sub-scales of social unrest Ⅰ (K-SAS-A) including performance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behavior and thinking, fear of strangers, non-assertion and the sub-scales of social unrest Ⅱ(SASC-R) including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and anxiety over unfamiliar situation and fear of normal situations. Third, the program brought significant changes in all the scale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peer-relational skills, safety behavior, behavior checklist for performance anxiety <BCPA>, subjective units of discomfort <SUDS>, presentation time). In addition, the levels of both cooperation and empathy, sub-scales of peer relationship skills, were found to increase. Fourth, the result of the 2-month follow-up test has prove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ffect of the G-CBT on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which are cognitive characteristics, was maintained 2 month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Fifth, the result of 2-month follow-up test revealed that the program’s effect on anxiety, an emotional characteristic, was maintained. Sixth, the result of 2-month follow-up test revealed that changes in behavioral characteristics (peer-relational skills, safety behavior, behavior checklist for performance anxiety(BCPA), subjective units of discomfort(SUDS), presentation time were still effective. Seventh, after analysing the cont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rocessed during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group’s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changed into alternative and adaptive thoughts and beliefs, resulting in positive influence.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G-CBT program, children had difficulty making their own statements about their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as well as changing their behaviors through relaxation training, social skill training and exposure training. As the program went on, however, those children began to make more specific statements about their irrational beliefs and make improvement in changing or accepting recognition and adopting appropriate coping strategies in various area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children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the study developed a CBT program using games in order to invigorate therapeutic interven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level of children’s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n particular, by using various games for cognitive reconstruction, the program spawned cognitive change and successfully reduced children’s level of social anxiety. Second,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screening the children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and based on the results, marked a group of children with a high level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a group of children with a high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The two groups took the program separately. Third, Fourth, in order to develop a school-based psychological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diagnosis, screening and therapy were conducted as a series, and in constructing the structure of the program, the study involved activities that can be carried out in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체계적인 평가방법을 통해 사회불안장애 아동을 선별하고 아동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학교기반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 사회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게임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측면에서 다양한 척도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게임인지행동치료(이하 CBT로 표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예비프로그램을 실시 한 뒤,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치료 구성 요인은 인지적 접근의 자기감찰과 인지적 재구성, 행동적 접근의 노출훈련, 사회기술훈련 및 이완훈련을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에 따라 게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초기단계에는 CBT 치료모델 심리교육과 생각과 감정을 인식시키기 위한 자기감찰에 중점을 두고, 전개단계는 사회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비합리적 사고 및 신념의 변화를 위한 인지적 재구성, 그리고 종결단계에서는 모든 영역의 내용을 종합하여 모의노출과 실제노출로 이루어진 노출훈련이 구성되었다. 또한 부가적으로 사회기술훈련 및 이완훈련을 적용하였으며, 매 회기 마다 게임을 사용하여 각 치료구성요인을 활성화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파주시 K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중 사회불안Ⅰ(K-SAS-A)과 개정판 아동용 사회불안Ⅱ(SASC-R)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상위 10%인 사회불안Ⅰ(K-SAS-A) 점수 120점과 사회불안Ⅱ(SASC-R) 점수 50점 이상의 중복 기준에 해당하는(김정민, 2006) 34명을 대상자로 1차 선발하였다. 그리고 선별된 아동 34명 중 임상심리사 1인의 진단면접(K-SADS-PL, ADIS-R)과정을 통해 선별, 참여 의사를 밝힌 16명을 선별하여 게임CBT 프로그램 집단에 무선 할당된 최종 8명(남 3명, 여 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10월 6일부터 12월 22일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K초등학교 상담실에서 3, 4교시 일과 시간에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전후 변화와 추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인지적 특성(자동적 사고척도, 비합리적 신념척도), 정서적 특성(사회불안Ⅰ: K-SAS-A, 사회불안 Ⅱ: SASC-R), 행동적 특성(또래관계기술, 안전행동, 수행불안 평가목록<BCPA>, 주관적 불편감<SUDS>, 발표 시간)으로 나누어 각 척도를 사전-사후 및 추후에 배부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기초통계분석과 수행불안 평가목록(BCPA)의 사전, 사후 평정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단순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프로그램 사후 집단 간의 점수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프로그램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와 실험집단 사전-2개월 추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에서 나타난 검증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 아동의 게임자료, 과제 기록지, 연구자의 회기별 평가 및 기록지, 보조연구자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실험집단 아동의 비합리적 사고 및 신념 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게임CBT 프로그램은 인지적 특성인 자동적 사고 및 비합리적 신념이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자동적 사고 및 비합리적 신념의 하위영역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불안 아동을 위한 게임CBT 프로그램은 정서적 특성인 사회불안Ⅰ(K-SAS-A)과 사회불안Ⅱ(SASC-R)에서 모두 사전-사후 집단 내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사회불안Ⅰ(K-SAS-A)의 하위 요인인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과 사회불안Ⅱ(SASC-R)의 하위 요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낯선 상황 회피 및 불안, 일반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사회불안 아동을 위한 게임CBT 프로그램은 행동적 특성(또래관계기술, 안전행동, 수행불안 평가 목록<BCPA>, 주관적 불편감<SUDS>, 발표시간)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또래관계기술 하위 요인인 협동과 공감에서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명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종료 2개월 추후검사 결과, 게임CBT 집단의 인지적 특성인 자동적 사고 및 비합리적 신념과 관련하여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프로그램 종료 2개월 추후검사 결과, 게임CBT 집단의 정서적 특성인 불안과 관련하여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본 프로그램 종료 2개월 추후검사 결과, 게임CBT 집단의 행동적 특성(또래관계기술, 안전행동, 수행불안 평가목록<BCPA>, 주관적 불편감<SUDS>, 발표시간)에서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실험집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자동적 사고 및 비합리적 신념이 대안적이고 적응적인 사고 및 신념으로 대체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프로그램의 전반부에서 자신의 자동적 사고 및 비합리적인 신념을 찾아 경험적 진술을 하고 노출훈련, 사회기술훈련, 이완훈련을 통한 행동적 변화의 시도에 어려움을 나타냈던 실험집단 아동이 게임CBT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점점 비합리적 신념의 자기진술이 구체화되고, 다양한 영역에서 인식의 전환 또는 수용의 적절한 대처방식이 유도될 수 있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사회불안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인지, 정서 및 행동적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각 치료 구성 요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게임을 활용한 게임CBT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특히 인지적 재구성을 위해 다양한 게임이 활용되어 사회불안장애 아동의 인지적 변화와 더불어 사회불안 감소의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대상자 선별 시 임상수준에 충족하는 사회불안장애 아동을 선별하기 위해 다각적인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접을 통해 나타난 내용을 토대로 사회불안장애 아동을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이 높은 집단과 수행불안이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계획,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셋째, 사회불안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기반의 심리치료 프로그램으로 개발하기 위해 진단과 대상자 선정, 치료가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 구성 시 학교장면에서 적용가능 한 활동에 초점을 두고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였다는 데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초기 성인기의 음주동기 군집유형에 따른 문제음주, 우울 및 분노 비교

        정인혜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의 음주동기인 사교동기, 고양동기, 동조동기, 대처동기에 따라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음주동기의 하위 집단을 분류하고, 이 군집 유형에 따라 문제음주, 우울, 분노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성인기의 성별에 따른 음주동기, 문제음주, 우울 및 분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기 성인기의 음주시작연령에 따른 음주동기, 문제음주, 우울 및 분노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기 성인기의 음주동기, 문제음주, 우울 및 분노에 대한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초기 성인기의 음주동기에 따른 군집유형은 어떠한가? 다섯째, 초기 성인기의 음주동기 군집유형별 문제음주, 우울 및 분노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음주동기, 문제음주, 우울, 분노에 관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470부의 질문지들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연구 목적상 음주를 거의 하지 않은 86부를 제외한 384부의 질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SPSS Win 21.0을 이용한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t검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군집분석 및 다변량 분산분석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초기 성인기의 성별에 따른 음주동기, 문제음주, 우울 및 분노는 문제음주와 우울 및 분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동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초기 성인기의 음주시작연령에 따른 음주동기, 문제음주, 우울 및 분노는 문제음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동기, 우울 및 분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초기 성인기의 음주동기, 문제음주, 우울 및 분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기 성인기의 음주동기에 따른 군집은 4개의 집단인 사교·동조동기 우세집단, 대처동기 우세집단, 낮은 음주동기집단, 높은 음주동기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다섯째, 초기 성인기의 음주동기 군집유형별 문제음주, 우울 및 분노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문제음주와 우울 및 분노는 높은 음주동기집단, 대처동기 우세집단, 사교·동조동기 우세집단, 낮은 음주동기집단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복합적인 음주동기 군집을 파악하여, 군집별 특성에 맞는 상담 개입 전략을 모색하고, 군집 유형에 따른 문제음주와 우울 및 분노에 대한 개입과 해결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안과 제안점을 논의함으로써 상담 및 치료 장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drinking, depression and anger based on the cluster types by drinking motives such as social motive, enhancement motive, conformity motive and coping motive in adulthood. To collect data,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84 adults in their 20’s who are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Win 2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gender,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depression and anger differed significantly, whereas drinking motiv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Second, by drinking age,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differed significantl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ing motives, depression and anger. Third, correlation among drinking motives, problem drinking, depression and ang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urth, cluster types by drinking motives in early adulthood were divided into ‘social/conformity-motive predominance group’, ‘coping-motive predominance group’, ‘low-drinking motive group’, ‘high-drinking motive group. Fifth, by cluster types,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depression and anger differed significantly. Problem drinking, depression and anger were marked with the highest for the high-drinking motive group, followed by coping-motive dominance group, social/conformity motive dominance group, and low-drinking motive group. By exploring problem drinking, depression and anger based on the cluster types by drinking motives in early adulthoo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eyword: Drinking Motives, Problem Drinking, Depression, Anger

      • 여자 청소년의 자기용서, 타인용서 및 자의식 정서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청소년의 자기용서, 타인용서, 수치심 및 죄책감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수치심이 여자 청소년의 자기용서, 타인용서 및 섭식태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학년, 종교유무)에 따라 자기용서, 타인용서, 섭식태도, 수치심 및 죄책감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여자 청소년의 자기용서, 타인용서, 수치심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각각 어떠한가? 셋째, 여자 청소년의 자기용서와 타인용서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심의 매개효과는 각각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 인천 및 대구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여자 중․고등학생 700명을 대상으로 자기용서, 타인용서, 수치심, 죄책감, 섭식태도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683부 중 응답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질문지를 제외한 640명의 질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SPSS Win 12.0을 이용한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자,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중 학년과 자기용서, 죄책감, 폭식, 섭식태도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용서, 마르고 싶은 욕구, 신체불만족, 수치심, 자의식 정서와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유무와 자기용서, 타인용서, 수치심, 죄책감 및 섭식태도와 차이가 유 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청소년의 자기용서, 타인용서 및 수치심은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섭식태도는 수치심, 자기용서, 타인용서 순으로 설명되었다. 섭식태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볼 때, 마르고 싶은 욕구는 수치심, 자기용서, 타인용서 순으로 설명되었으며, 신체 불만족은 자기용서, 수치심, 타인용서 순으로 설명되었다. 또한 폭식은 자기용서, 수치심, 타인용서 순으로 설명되었다. 셋째, 수치심은 여자 청소년의 자기용서와 전체 섭식태도 및 섭식태도 하위요인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타인용서와 섭식태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학년, 종교유무), 자기용서, 타인용서, 수치심 및 죄책감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여자 청소년의 자기용서와 타인용서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섭식장애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용서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심리치료 장면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emale adolescents’ self-forgiveness, other-forgiveness, shame and guilt on their eating attitud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forgiveness, other-forgiveness and eating attitud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First, do female adolescents’ self-forgiveness, other-forgiveness, shame, guilt and eating attitude significantly differ by their general features(grade, religion)? Second, what relative influence do female adolescents’ self-forgiveness, other-forgiveness, shame and guilt, respectively, have on eating attitude?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concerning the influence of female adolescents’ self-forgiveness and other-forgiveness on eating attitude? For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on self-forgiveness, other-forgiveness, shame, guilt and eating attitude were administered to 700 female adolesc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in the capital area, Incheon and Daegu. Of 683 copies of questionnaire, 640 valid ones were se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on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grad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forgiveness, guilt, excessive eating and eating attitude, whereas its influence was not significant on other-forgiveness, desire for slimness, body dissatisfaction, shame and self-conscious emotions. Religion was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forgiveness, other-forgiveness, shame, guilt and eating attitude. 2) Female adolescent's self-forgiveness, other-forgiveness and sham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eating attitude. To be concrete, the influence on eating attitude was in the order of shame, self-forgiveness and other-forgiveness. Among the sub-factors of eating attitude, the influence on desire for slimness was in the order of shame, self-forgiveness and other-forgiveness, and the influence on body dis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self-forgiveness, shame and other-forgiveness. Excessive eating was found to be affected by self-forgiveness, shame and other-forgiveness in order. 3) Shame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adolescents’ self-forgiveness, eating attitude and the sub-factors of eating attitude. However, it did not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forgiveness and eating attitude.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female adolescents’ general features(grade, religion), self-forgiveness, other-forgiveness, shame and guilt on eating attitud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concerning the influence of self-forgiveness and other-forgiveness on eating attitud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develop forgiveness programs for eating disorder treatment and provide basic data o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상담자의 자기개념과 유머감각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자기개념과 유머감각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경력, 학력, 월수입, 자격증 소지 여부, 수퍼비전 유무, 상담 대상, 결혼 여부)에 따라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상담자의 자기개념과 유머감각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상담자의 자기개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머감각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전문상담기관과 대학 부설 상담소, 복지관, 학교 및 병원 내 상담실에서 수련 중이거나 현재 상담을 하고 있는 상담자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50부의 질문지 중 총 324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질문지 중에서 미완성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질문지 15부를 제외한 309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ɑ, 이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 처리를 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소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격증 소지 여부, 상담 대상, 월수입, 경력, 결혼 여부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 연령, 학력, 수퍼비전 유무에 따라서 심리적 소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자기개념과 유머감각은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자기만족, 유머 선호도, 자기비난이 있었다. 심리적 소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볼 때, 정서적 소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는 자기만족, 유머 선호도, 신체적 자아, 자기비난이 있었으며, 비인간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는 정체성, 유머 선호도, 자기만족이 있었다. 개인적 성취감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는 유머대처, 사회적 자아가 있었다. 셋째, 상담자의 자기개념이 심리적 소진 중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유머감각이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체성, 자기만족, 행동에서도 유머감각이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냈으며, 개인적 자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자기개념, 유머감각, 심리적 소진, 상담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ounselors' self-concept and sense of humor affect their psychological burnou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pecifically address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nselors' psychological burnout by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work experience,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possession of certificates, supervision experience, counseling subjects, and marital status)? Second,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counselors' self-concept and sense of humor on their psychological burnout?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humor on psychological burnout affected by self-concept?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450 counselors who were in training or practicing counseling at professional counseling institutions,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welfare centers, counseling centers at schools and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ut of 450 sets of questionnaire, 324 were collected, and 309 sets were used and analyzed. 15 sets with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Cronbach ɑ, two-way ANOV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the following. First, counselo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burnout. The difference of the burnou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y the factors of possession of certificates, counseling subject, monthly income and marital statu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experience of supervision. Second, counselors’ self-concept and sense of humor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burnout. Specifically, variables that had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were self-satisfaction, humor preferences and self-criticism. By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burnout, counselors' emotional exhaustion was found to be affected by self-satisfaction, humor preferences, physical self and self-criticism. Factors that affected depersonalization were self-identity, humor preferences and self-satisfaction, and factors influencing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were found to be coping humor and social self.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unselors' self-concept on th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of the psychological burnout category, sense of humor was shown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 Sense of humor also had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self-concept sub-factors which include physical self, moral self, social self, identity, self-satisfaction, and behavior. For personal self, sense of humor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Key words: self-concept, sense of humor, psychological burnout, counselor

      • 정서경험특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강다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how emotional experience, counsel activity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ffect counselor's burnout. To find result, following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d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 counselors' burnout? Second, what are relative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Clarity, Intensity and Attention),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n counselors' burnout? Third, what is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erience on counselors' burnout? For the study, surveyed were 520 counselors who were on the training or have been working in professional counseling agenci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college's and hospital's counseling centers located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questionnaires via mail or personal visit. In case of visit,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counselors at counseling centers and counseling conferences after aims of survey were explained to a person in charge and cooperation was requested. Of 354 returned ones, 33 were excluded due to their careless or no answers. In short, 32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2.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Person's correlations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This study led to following findings. First,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income, license and supervision affected counselors' burnout while gender and education didn't. Second, emotional experience(Clarity, Intensity and Attention),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ffected counselors' burnout. In detail, counselors' burnout was the most influenced by emotional clarity and job, working environment, counseling challeng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followed. By sub factors of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was affected by emotional clarity, session management, counseling challenges and working environment in order of mention as counselors' dehumanization by emotional clarity, interpersonal relations, session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nd decrease in personal accomplishment by emotional clarity, session management, counseling challenges and emotional attention in order of mention, respectively. Third,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had, in part, mediating effects on counselors' burnout when emotional clarity affected it. The study found its meaning in that it unveiled specific mechanism of counselors' burnout by examining how counselors' socio-demographic factors, emotional experience, counselors' activity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ffected their burnout and researching mediating effects of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on their burn ou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경험특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정서경험특성(정서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정서경험특성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에 위치한 전문상담기관, 복지관, 대학 및 병원 내 상담실에서 수련중이거나 현재 상담활동을 하고 있는 상담자 520명을 대상으로 방문 및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접 방문한 상담센터와 각종 상담학회의 학술대회장에서는 책임 상담원과 행사 주최 측에 연구 취지를 설명하고 사전 협조를 얻어 질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질문지는 총 520부 중에서 354부가 수거되었으며, 그 중에서 누락된 문항이 많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질문지 33부를 제외한 321부를 가지고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 회귀 분석 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 학 적 특징 중 연령, 월수입, 자격증 소지 여부, 수퍼 비전 유무에 따른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 학력의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경험특성(정서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 상담자 활동 자기 효능 감 및 직무스트레스는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은 정서명확성, 직무관련, 근무환경, 상담난제, 대인관계 순으로 설명되었다. 심리적 소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볼 때, 상담자의 정서적 소모는 정서명확성, 직무관련, 상담난제, 근무환경 순으로 설명되었으며, 상담자의 비인간화는 정서명확성, 대인관계, 회기관리, 근무환경의 순으로 설명되었고, 상담자의 개인적 성취감 감소는 정서명확성, 회기관리, 상담난제, 정서주의 순으로 설명되었다. 셋째, 정서경험특성 중 정서명확성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자가 상담활동을 하는데 있어 사회 인구 학 적 특성, 정서경험특성, 상담자 활동 자기 효능 감,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서경험특성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담자 활동 자기 효능 감 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구체적 기제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

      • 발달장애아동 가족의 가족탄력성 강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형제를 대상으로

        왕영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conduct a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to enhance the family resilience of familie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nd verify its effect. Firstl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strengthen family resilience for mothers and non-disabled sibling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ly, the study tri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and non-disabled siblings (automatic thoughts, dysfunctional attitude, psychological well-being, child-rearing efficacy) and family resilience, upon completion of the therapy. The study selected 20 mothers rear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20 non-disabled siblings of the same family in 4th and 6th grades.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a cognitive behavior therapy was off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mothers were given 12 sessions of the therapy while the non-disabled siblings were offered 8 sessions. To analys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SPSS 20.0 was used, The method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look into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and demographic background. Second, Mann-Whitney U Test (non-parametric)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re-therapy scores of each scal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 Wilcoxon Signed-Rank Test (non-parametric)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re-post therapy scores of each scal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urth, Mann-Whitney U Test (non-parametric)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ost-therapy scores of each scal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ifth,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extracts from worksheets and recorded contents from the sessions,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liability of the verified results from quantitative analysis, and explore the changes in family-related maladaptive thoughts and beliefs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therap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mad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therapy group of mother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re-post therapy test scores regarding the mothers’ internal variables - automatic thoughts and dysfunctional attitud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hild-rearing efficacy significantly improved in general, and family resilience also had a significant change. These results signify that the mothers’ participation i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family resilience and internal variables as they went through self-monitoring such as identifying emotions, automatic thoughts and beliefs, thus adopting cognitive restructuring and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techniqu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mad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therapy group of siblings. As in the group of mothers,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dysfunctional attitude among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ong with the mothers, the therapy seemed to help the non-disabled siblings monitor themselves concerning their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dysfunctional attitude and enable them to restructure cognition. This change was found to influenc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nd brought significant enhancement as a whole.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also had an effect on the siblings’ family resilience. A significant change was marked in all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which included family toughness, family coherence,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techniques. This positive change in family resilience seems to be a direct effect of their mothers who made improvement through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Third, according to the post-therapy test, whereas the therapy was found to bring changes to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resilience of experimental group for both mothers and non-disabled siblings,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trol group.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maladaptive thoughts and beliefs of experimental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as the maladaptive thoughts and beliefs of mothers regarding their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non-disabled children and spouses were replaced by adaptive ones; the maladaptive thoughts and beliefs of non-disabled siblings regarding their developmentally disabled siblings and parents were also replaced by adaptive ones. This change signifies that as sessions progress, family resilience was strengthened by the applications of self-monitoring, cognitive restructuring,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techniques.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constructed in this study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family resilience for the mothers and sibling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following aspects. First, the study was able to construct a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and non-disabled siblings of the same families. Second, the same components of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were presented to the mothers and sibling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nal variables and family resilience.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systematically, the study used specific scales of internal variables and family resilience of mothers and non-disabled siblings, and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It also carried out content analys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ir maladaptive thoughts and beliefs.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 가족의 가족탄력성 강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가족의 하위 체계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형제를 대상으로 각각 가족탄력성 강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형제의 개인 내적 특성(자동적 사고, 역기능적 태도, 심리적 안녕감, 양육효능감)과 가족탄력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달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 20명과 자녀인 초등학교 4~6학년 비장애형제 20명을 구성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 배정하고 실험집단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머니 프로그램은 12회기, 비장애형제 프로그램은 8회기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형제의 인지행동치료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각 척도별 사전 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 형제의 인지행동치료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각 척도별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넷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형제의 인지행동치료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각 척도별 사후 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양적 분석에서 나타난 검증 결과의 신뢰성을 보완하고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가족과 관련한 부적응적 사고 및 신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회기 내 워크시트와 녹음 등에서 추출한 내용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집단 내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실시는 실험집단 어머니들의 개인 내적 변인인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역기능적 태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차이에서도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가족탄력성에도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발달장애아동 양육으로 인한 부적응적 상황에서 감정 찾기, 자동적 사고 찾기, 신념 찾기와 같은 자기 모니터링과 그 결과에 대한 인지적 재구성,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기술 등이 가족탄력성과 개인 내적 변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비장애형제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집단 내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개인 내적 특성에서 어머니와 동일하게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역기능적 태도가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는 어머니와 동일한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역기능적 태도를 어머니와 함께 자기 모니터링하고, 인지적 재구성을 함으로써 이루어진 효과로 보여 진다. 이러한 효과는 비장애형제의 심리적 안녕감에도 영향을 주어 전체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비장애형제의 가족탄력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비장애형제의 가족탄력성은 하위요인인 가족강인성, 가족응집성, 의사소통, 문제해결기술 모두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는데 이 변화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어머니의 변화가 비장애형제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가족탄력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집단 간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 어머니와 비장애형제의 개인 내적 특성과 가족탄력성은 변화가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변화가 없었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실험집단의 부적응적 사고와 신념의 변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는 발달장애자녀, 비장애자녀, 배우자 관련하여, 발달장애아동 비장애형제는 발달장애형제, 부모 관련하여 부적응적 사고와 신념이 적응적인 사고와 신념으로 대체되고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본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인인 자기 모니터링, 인지적 재구성과 의사소통훈련, 문제해결훈련이 활용되면서 가족탄력성을 강화한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형제를 대상으로 각각 그 특성에 따라 인지행동치료의 동일한 요인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가족탄력성을 강화하는 데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동일 가족 구성원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형제를 대상으로 각각 그 특성을 고려하여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형제에게 동일한 구성요인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개인 내적 변인과 가족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체계적인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와 비장애형제의 개인 내적 특성과 가족탄력성을 척도를 활용하여 양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적응적사고 및 신념의 변화를 보기 위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자살행동 예방을 위한 핵심마인드풀니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자살고위험 여대생집단을 대상으로

        박준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increased a little but not significantly. Fourth, follow-up tests carried out two month later proved that effects on all factors remained stable. Also, seeking social support, one of stress coping styles, which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post test, showed a different resul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ifth, analyses of minutes of the therapy revealed the experimental group's automatic thoughts and irrational beliefs turned into alternative and adaptive thoughts, which was considered positive.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difficulty in self-monitoring came to pounder on and figure out their feelings through core mindfulness. This study had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veloped therapy protocols taking characteristics of suicide behaviors into account and applied it to the participants who had once tried a suicide or were diagnosed with high suicide risk in order to prevent suicide behavior. Second, the study added core mindfulness to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facilitate the self-monitoring of the participants with high suicide risk and enhance the effects. Third, suicide related factors were divided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nes to verify the effects systematically and clearly. Those sub groups were reviewed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latter included review of changes in automatic thoughts and beliefs. Also, how long the effects of the therapy lasted was researched with pretests, post tests and follow up tests.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행동 예방을 위한 핵심마인드풀니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핵심마인드풀니스를 추가한 치료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자살고위험 여대생을 선별하여 예비실시한 후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단계에 따라 기술훈련이 추가되는 형식으로 프로그램 초기단계에서는 인지적 재구성과 이완훈련에 중점을 두고 중기단계에서는 인지적 재구성에 핵심마인드풀니스와 사회기술훈련을 추가하였다. 종결단계에서는 모든 기술을 종합하여 인지적 예행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인지행동치료는 자기점검, 자동적 사고와 중간신념, 핵심신념 찾기, 인지왜곡 다루기와 이완훈련, 사회기술훈련을 주요 구성으로 하였으며 핵심마인드풀니스는 기본 기술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거쳐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연속된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회기의 진행은 간단한 기분점검과 이전회기 연결, 의제 설정, 과제검토, 마음열기 활동, 활동하기 및 의제 다루기, 과제 제시, 평가 및 느낌 나누기의 순서로 진행되며 프로그램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워크시트 활용, 소크라테스식 대화법, 역할극, 음악이나 미술 등의 예술적 활동, 게임, 시연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B여자 대학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광고를 통해 지원했거나 추천된 학생들 중 선별하였는데 프로그램 사전에 자살생각 척도(SSI), 무망감 척도(BHS), 비합리적 신념 척도(IBT), 우울 척도(BDI),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SCSS)를 사용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이 중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경우나, 혹은 BDI 점수에서 중정도 우울 수준(moderate depression)에 해당하는 21점 이상과 자살생각 척도 점수 10점 이상의 중복기준을 충족시키는 대상자를 최종적으로 9명 선별하였다. 통제집단은 서울 소재 M대학의 여학생 123명, K여자 대학의 여학생 142명 등 총 265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치료집단과 동일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9명의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2010년 4월 13일부터 2010년 6월 15일까지 한 학기 동안 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좀 더 명확히 검증하기 위하여 자살행동 관련 변인을 인지, 정서, 행동의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자살행동 관련 인지변인으로는 자살생각 척도, 무망감 척도, 비합리적 신념 척도를, 자살행동 관련 정서변인으로는 우울 척도를, 자살행동 관련 행동변인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전산 처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다. 프로그램 사전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프로그램 사후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프로그램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와 치료집단의 프로그램 사전-추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에서 나타난 검증 결과의 신뢰성을 보완하고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변인들의 변화 내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자가 직접 작성한 자동적 사고 및 신념 기록지, 다양한 워크시트, 연구자의 회기별 평가 기록, 보조연구자 및 관찰자의 보고서 등을 중심으로 치료집단 구성원의 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인지변인인 자살생각, 무망감, 비합리적 신념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인지변인 점수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정서변인인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치료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우울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사전검사에서 치료집단 전원은 BDI 21점 이상으로 ‘중정도 우울 수준’을 보였는데 프로그램 사후에는 10점 이하로 낮아져 ‘정상의 수준’으로 감소를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행동변인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변화를 나타냈다. 치료집단에서 문제지향적 대처방식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사회적지지추구 대처방식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소망적 대처방식과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은 유의하진 않았지만 감소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 실시한 추후검사 결과 치료집단의 자살행동 관련 인지변인, 정서변인, 행동변인에서 모두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 중 사후검사 시 유의하지 않았던 사회적지지추구 대처방식이 추후검사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치료집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치료집단의 자동적 사고 및 비합리적 신념이 대안적이고 적응적인 사고로 대체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초기단계에서 자기점검에 어려움을 나타냈던 치료집단이 핵심마인드풀니스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관찰하고 잘 찾아내는 변화과정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살행동 예방을 목적으로 자살행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자살시도자가 포함된 자살고위험 대상자를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치료 프로그램은 인지행동치료에 핵심마인드풀니스를 추가함으로서 자살위험이 높은 대상자의 자기점검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인지적 재구성을 활성화시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었다. 셋째, 체계적이고 명확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하여 자살행동관련 변인을 인지, 정서, 행동변인으로 나누어 각각 양적분석 및 자동적 사고와 신념의 변화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사전·사후·추후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였다.

      •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전정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단절 및 거절 도식, 사회적 지지, 거부민감성 및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 사회적 지지, 거부민감성 및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더불어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들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남녀 초기 성인기 가운데 본 연구에 동의한 36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총 361부의 질문지(온라인 360부, 오프라인 1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질문지 중 하나 이상의 질문에 응답하지 않은 1부의 질문지를 제외한 360부(온라인 360부)의 자료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SPSS Statistics 21.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및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초기 성인기 단절 및 거절 도식, 사회적 지지, 거부민감성 및 경계선 성격 특성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거부민감성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넷째,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결과,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거부민감성이 매개변수 역할을 하며,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거부민감성의 관계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거부민감성과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어떠한 경로에서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통한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단절 및 거절 도식으로 인해 경계선 성격 특성을 가진 초기 성인기를 위한 구체적인 심리 치료적 개입의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and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influence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Third,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rejection sensitivity in early adulthood? Fourth, what is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influence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In addition, what i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To explor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administered online and offline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o 361 male and female young adults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Of the 361 questionnaires (360 online, 1 offline) retrieved, the study used 360 sets of questionnaires (360 online)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one incomplete se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1.0, and SP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was found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rejection sensitivity in early adulthood was found significant. Fourth, according to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result, rejection sensitivity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variable a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had an effect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of early adulthoo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hcemas and rejection sensitivity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social support. The results, accordingly,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as not found significant.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In short, social support and rejection sensitivity we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hcemas and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and the analysis verified how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exer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by identifying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it has provided basic data regarding specific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caused b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