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gislation on Space Security: South Korean and Poland Challenges

        Polkowska, Malgorzata Korea Society of AirSpace Law and Policy 2019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4 No.1

        This article refers to the Space security legislation in South Korea and Poland. Both states have already prepared some legislation on Security in Space- the question is the following- if there is still a need of progress and if those presented legislation are sufficient for the practical purposes of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South Korea is a much more experienced state in using space than Poland; the same seems with the legislation. Poland as less experienced state in this matter has lots of ambitions to create the efficient legislation on Space security, so it must follow the good examples of states and institution in this matter. One of them is Korea. On the other state, Poland as a Member of EU must implement the European law in space security (in particular SSA), which seems to be priceless and efficient for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pace.

      • KCI등재

        A Study on Minimum Cabin Crew Requirements for Korean Low Cost Air Carriers

        Yoo, Kyung-In,Kim, Mun-Kyung Korea Society of AirSpace Law and Policy 2018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3 No.2

        최근 3년간 우리나라의 저비용항공사는 총 6개사(소형항공운송업 항공사 포함 8개사)로서 국내시장 점유 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및 미국령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에도 약 3개 항공사가 저비용항공사로 출범하고자 항공운송사업증명을 신청한 상태로서 이 확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국내 및 외국의 저비용항공사의 공격적인 항공사 운영 실태에 대응하며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각 저비용항공사는 객실서비스 증진에 많은 전략을 강구하고 있다. 따라서 객실승무원의 업무량이 확장세에 비례하여 증가되어 안전업무 수행 능력과 직결되는 피로를 가중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승객 좌석 50석 당 최소 1인의 객실승무원이 탑승하도록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에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모든 저비용항공사에는 최소 객실승무원만 탑승하고 있다. 때로는 객실승무원의 주 업무인 비상 시 비상탈출에 필요한 비상구(창문형 비상구 제외)에 착석이 불가능하게 되어 비상 시 승객의 혼란을 야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또한 최소 객실승무원 중 1인이 부상 등으로 업무수행 불능상태가 되면 비상탈출 업무를 수행하는데 큰 장애요소로 작용하게 되고, 정상상황에서도 최소 객실승무원의 성원을 이룰 수 없으므로 위규가 되어, 모든 승객이 다른 가용한 항공사 비행편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6에는 최소 객실승무원의 수를 정할 때 안전하고 신속한 비상탈출을 위하여 승객좌석 수 또는 탑승 승객 수만을 기반으로 정하도록 국제표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객실안전의 강화 및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객실승무원의 다양한 업무특성(서비스, 안전, 보안, 응급처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로 및 비상구 착석(창문형 비상구 제외)을 최소 객실승무원 수 산정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항공사 관리.감독 차원에서도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업무량에 기인한 피로, 비상구 착석불가 상황 등을 검토하여 최소 객실승무원 수 규정에 반영함으로써 승객과 승무원의 객실안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In recent 3 years, Korea's low-cost airlines have expanded their areas of passenger transportation not only to domestic market but also to Japan, China, Southeast Asia and US territory as a total of 6 companies (8 airlines including small air operation business carriers). Currently, three more airlines have filed for air transportation business certification as future low-cost carriers, and this expansion is expected to continue. To cope with the aggressive airline oper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low-cost carriers and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each low-cost airline is taking a number of strategies for promoting cabin service. Therefore, the workload of the cabin crew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expansion, and the fatigu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afety task performance is increased. It is stipulated in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Korea Aviation Safety Act that at minimum, one cabin crew is required per 50 passenger seating capacity, and all low cost carriers are boarding only the minimum cabin crew. Sometimes it is impossible for them to sit in a floor level emergency exit for evacuation, which is the main task of the cabin crew, and this can cause confusion among evacuating passenger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addition, if one of the minimum cabin crew becomes incapacitated due to an injury or the like, it will become a serious impediment in performing emergency evacuation duties. Even in the normal situation, since it will be violating the Act prescription on the minimum cabin crew complement, passengers will have to move to another available airline flights, encountering extreme inconvenience. Annex 6 to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specifies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minimum number of cabin crew shall be based only on the number of passenger seats or passengers on board for safe and expeditious emergency evacuation. Thereby in order to enhanc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and the crew on boa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abin crew's fatigue that may occur in the various job characteristics (service, safety, security, first aid)and floor level emergency exit seating in calculating the minimum number of cabin crew. And it is also deemed necessary for the government's regulatory body to enhance the cabin safety for passengers and crew when determining the number of minimum cabin crew by reflecting the cabin crew's workload leading to their fatigue and unavailability to be seated in a floor level emergency exit on low cost carriers.

      • KCI등재

        Militarization of Space and Arms Control

        Cho, Hong-Je Korea Society of AirSpace Law and Policy 2018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3 No.2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이래 60년이 지난 지금 우주에 대한 고려 없이 경제적, 정치적인 인간의 삶을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그러나 우주가 전쟁의 장이될 수 있다는 우려도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우주상 군비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여론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우주상 군비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행동규범이나 국제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제 사회에서 각국의 입장과 이해 상충으로 인해 구속력 있는 우주 군비통제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접근이 필수적이다. 모든 국가는 국익이나 우주 개발 수준에 따라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포괄적 조약을 체결하기 위한 조건은 아직 성숙하지 못했다. 그러나 우주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한 우주행동 강령 및 우주 파편에 대한 협력체계 구축 노력 뿐만 아니라 발사 통지와 같은 실용적이고 투명한 신뢰구축 방안에 대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우주강국과 개발 국가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확보하기가 쉬운 연성적인 조치 (TCBM, 행동 규범)로부터 시작하여 포괄적이고 구속력 있는 조약과 같은 경성적인 조치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군비통제 이론에 입각하여 상호정보와 인력을 교환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대화의 장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에 우주강국(미국, 러시아, 중국)이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국제 평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지역간 협력을 통해 파트너십을 증진할 필요도 있다. 우주법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더 많은 국가가 기존의 국제법에 참여하도록 여론을 형성하고 주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우주의 안보력 강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In the sixty year since the first launch of Sputnik 1, it has become impossible to consider economic, political, or scientific human life in the communication field without reference to outer space. But, there is a growing groundswell of public opinion aimed at preventing arms race in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ome institution or mechanism such a code of conduct, international law. But every nation has a different posture on the grounds of national interest, or different levels of space development, the conditions required for the successful negotiation of a comprehensive treaty are not yet ripe. It is hoped that by beginning with soft measures (TCBM, Code of Conduct) for which it is easier to secure voluntary participation it may be possible to build up to a comprehensive treaty. The participation of the Space powers (US, Russia, China) in a dialogue of mutual exchange and shared information would contribute to international peace and give a long term benefit to humankind. It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partnership through regional and bilateral cooperation. We should guide and shape opinion so that more nations ratify and sign existing international legal covenant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efficency of Space law. International law needs to enforce PAROS and Space Security.

      • KCI등재

        A Study on the Australian Law Regarding RPAS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 Need for an International Approach

        Wheeler, Joseph,Lee, Jae-Woon Korea Society of AirSpace Law and Policy 2015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0 No.2

        본 논문은 무인항공기 관련 현행 국제법을 국제항공공법과 국제항공사법의 관점에서 조사하고, 무인항공기관련 현행 호주 국내법과 입법 예고된 호주 국내법을 무인항공기 운항에 따른 위험요소 (민사책임, 안전, 사생활보호)에 중점을 두면서 검토한다. 현재 전체 상업용 비행에서 무인항공기 운항이 차지하는 비율은 미미한 수준이지만, 상업용 목적의 국제무인항공비행은 현실이 될 것이다. 무인기 관련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므로, 빠른 시일 내에 정책적인 해결방안이 연구되어야만, 무인항공기관련 위험요소들이 실제로 일어났을 때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법규범이 만들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호주의 무인항공기관련 성공적인 국내입법에서 보듯이, 국내법적 또는 지역단위의 접근이 무인항공기 관련 문제를 주도하고 있고, 계속해서 주도할 것이다. 안전문제는 호주의 현행 입법 예고된 무인항공기관련 법규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국제적으로도 마찬가지이다. 안전관련 법규를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민사책임 관련법규를 만드는 것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안전관련 법규를 만드는 것이 민사책임 법규가 적용되는 사고의 발생위험 자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무인항공기 운항자에 대한 구속력 있는 감항기준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은, 운항자의 엄격책임이 적용되는 민사책임 체계가 무인항공기 분야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ICAO 지침개정과 무인기 안전 및 감항관련 SARPs 개정, 또한 잠재적으로는 민사책임 (참가자, 승객, 지상손해 대상)관련 문제들을 포함하는 SARPs 개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ICAO지침은 적절한 절차를 거쳐서 각국의 국내법으로 차용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럴 경우 국제협약을 제정하고 발효까지 필요한 행정적 부담과 시간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surveys the current international law with respect to RPAS from both the public air law and private air law perspectives. It then reviews current and proposed Australian domestic RPAS regulation while emphasizing the peculiar risks in operation of RPAS; and how they affect concepts of liability, safety and privacy. While RPAS operations still constitute only a small portion of total operations within commercial aviation, international pilotless flight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remains a future reality. As the industry is developing so quickly the earlier the pursuit of the right policy solutions begins, the better the law will be able to cope with the technological realities when the inevitable risks manifest in accidents. The paper acknowledges that a domestic or regional approach to RPAS, typified by the legislative success of the Australian experience, is and continues to be the principal measure to deal with RPAS issues globally. Furthermore, safety remains the foremost factor in present and revised Australian RPAS regulation. This has an analogue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Creating safety-related rules is imperative and must precede the creation or adoption of liability rules because the former mitigates the risk of accidents which trigger the application of the latter. The flipside of a lack of binding airworthiness standards for RPAS operators is potentially a strong argument that the liability regime (and particularly strict liability of operators) is unfair and unsuited to pilotless flight. The potential solutions the authors raise include the need for revised ICAO guidance and, in particular, SARPs with respect to RPAS air safety, airworthiness, and potentially liability issues for participants/passengers, and those on the ground. Such guidance could then be adapted swiftly for appropriate incorporation into domestic laws bypassing the need for or administrative burden and time it would take to activate the treaty process to deal with an arm of aviation that states know all too well is in need of safety regulation and monitoring.

      • KCI등재

        Evolution of Aviation Safety Regulations to cope with the concept of data-driven rulemaking - Safety Management System & 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

        Lee, Gun-Young Korea Society of AirSpace Law and Policy 2018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3 No.2

        국제민간항공협약 37조는 ICAO에서 제정하는 국제표준 및 권고에 따라 각국의 사정에 맞는 입법을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제표준 및 권고는 매년 개정되고 있으므로 각 회원국은 적기에 해당 내용을 자국 항공법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데이터 기반 국제표준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그 이유는 인적요소를 주축으로 하여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항공안전 데이터와 정보에 기반한 입법이 중요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데이터 기반 입법의 예로 안전관리시스템과 승무원 피로위험관리시스템이 검토 되었다. 안전관리시스템은 부속서 19가 2013년 채택되었으며 관련 매뉴얼 제5장에는 안전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시스템에 기술되어 있다. 안전데이터와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의사결정권자는 데이터에 기반한 결정을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항공안전법 제58조에 따라 모든 항공사, 정비업체, 공항공사 등이 안전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 이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안전관리시스템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의무보고와 자발적 안전보고 시스템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으며 현재까지는 안전관리시스템 도입 위반에 대한 행정처분 기준은 아주 미미한 상태이다. 미국과 유럽도 안전관리시스템의 적절한 입법을 위하여 다양한 규정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피로위험관리시스템의 경우 2009년 Colgan 항공기 추락을 계기로 미국교통안전위원회는 미연방항공청에 조종사 피로위험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권고하였으며 2010년 미연방항공청에서 발행한 입법예고에는 약 8,000여개의 제안이 있었다. 2011년 최종법안이 통과되었으며 조종사의 조종사가 업무를 시작한 시간, 보조 승무원의 탑승여부, 휴식시설의 등급 등에 따라 승무시간을 차등 적용하는 입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입법과정에 수많은 데이터와 정보가 분석되었으며 그 내용이 승무시간에 반영되었다. 최종 입법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비용 대비 효과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10년간 운영할 경우 비용보다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결론이 이루어졌다. 대한민국도 승무원 피로위험 관련 항공안전법 조항이 있으며 항공사는 전통적인 승무시간 제한 방법 또는 피로위험관리시스템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기반 입법을 위하여 미국의 경우 항공입법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에도 도입이 필요한 내용이며 유럽에서 시행하고 있는 D4S도 고려할 만한 시스템이다. 비용 대비 효과 분석은 입법을 견고하게 할 수 있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데이터 기반 입법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의 보강, 보다 자세한 점검표 작성 등이 필요하다. Article 37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Civil Aviation requires that rules should be adopted to keep i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established by ICAO. As SARPs are revised annually, each ICAO Member State needs to reflect the new content in its national aviation Acts in a timely manner. In recent years, data-driven international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because of the important roles of aviation safety data and information-based legislation in accident prevention based on human factors.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crew 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s were reviewed as examples of the result of data-driven rulemaking.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as adopted in 2013 with the introduction of Annex 19 and Chapter 5 of the relevant manual describes safet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s. Through analysis of safety data and information, decision makers can make informed data-driven decisions. The Republic of Korea introduce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Article 58 of the Aviation Safety Act for all airlines, maintenance companies, and airport corporations. To support the SMS, both mandatory reporting and voluntary safety reporting systems need to be in place. Up until now, the standard of administrative penal dispensation for violations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has been very weak. Various regul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for the proper legisl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e wake of the crash of the Colgan aircraft, the US Aviation Safety Committee recommended the US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identify and manage pilot fatigue hazards. In 2010, a notice of proposed rulemaking was issued by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and in 2011, the final rule was passed. The legislation was applied to help differentiate risk based on flight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the pilot's duty starting time, the availability of the auxiliary crew, and the class of the rest facility. Numerous amounts data and information were analyzed during the rulemaking process, and reflected in the resultant regulations. A cost-benefit analysis, based on the data of the previous 10 year period, was conducted before the final legislation was reached and it was concluded that the cost benefits are positive. The Republic of Korea also currently has a clause on aviation safety legislation related to crew fatigue risk, where an airline can choose either to conform to the traditional flight time limitation standard or 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data-driven rulemaking, the Airline Rulemaking Committee was formed, and operates in this capacity. Considering the advantageous results of the ARC in the US, and the D4S in Europe, this is a system that should definitely be introduced in Korea as well. A cost-benefit analysis is necessary, and can serve to strengthen the resulting legisl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ata-based legisl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reinforcement of experts and through them prepare a more detailed checklist of relevant variables.

      • KCI등재

        Can Lufthansa Successfully Limit its Liability to the Families of the Victims of Germanwings flight 9525 Under the Montreal Convention?

        Gipson, Ronnie R. Jr. Korea Society of AirSpace Law and Policy 2015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0 No.2

        몬트리올협약은 국제항공운송에서 발생한 사고에 따른 여객의 사망이나 상해에 관하여 항공운송인의 책임을 배타적으로 규율하고 있다. 국제항공산업의 재정적인 안정과 항공사를 파산으로 이끌 수도 있는 과도한 배상책임으로부터 항공산업을 보호할 목적으로 몬트리올협약은 금전배상에 있어서 책임제한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여객의 사망이나 상해가 항공사 혹은 그 대리인의 직접적인 과실이나 불법적인 작위 혹은 부작위의 결과라는 점이 인정될 경우에 그러한 책임제한원칙은 유지될 수 없고,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자는 협약이 정하는 제한책임액 이상의 배상을 받을 수도 있다. 한편, 몬트리올협약은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원고가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법정지에 관해서도 관할권 관련 조항에서 일정한 제한을 두고 있다. 이러한 관할권은 특히 피고 항공운송인의 영업소나 원고의 주소지가 주요 결정요인이 된다. 지난 2015년 3월, Germanwings 항공사 9525편에 발생한 사고는 당시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었던 부기장의 의도적인 행동이 원인이었고, 해당 항공기가 프랑스령 알프스산맥에 추락하면서 대부분의 탑승 여객과 승무원의 사망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보도 자료에 따르면 사고 직후, 항공사는 사망승객의 국적에 따라 금액의 차이는 있지만 미화 8,300불에서 4백5십만불에 이르는 손해배상액을 합의금으로 제시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합의제안에 대해 몇몇 유가족들은 보다 많은 배상액을 얻기 위하여 미국과 같이 피해자에게 관대한 법정지에서 소송제기를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본 논문은 위 사고와 관련하여 두 가지 쟁점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첫째, 본 논문은 몬트리올협약상 관할권 조항과 관련하여 미국 시민이 아닌 피해자가 미국 법정지에서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본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부기장의 의도된 사고유발 행동이었던 점에서 사안의 항공사는 몬트리올협약이 규정하고 있는 책임제한원칙이 부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관하여 본 논문은 해당 항공사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협약상 책임제한규정을 원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The Montreal Convention is an agreement that governs the liability of air carriers for injury and death to passengers travelling internationally by air. The Montreal Convention serves as the exclusive legal framework for victims and survivors seeking compensation for injuries or death arising from accidents involving international air travel. The Montreal Convention sets monetary liability caps on damages in order to promote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airline transport industry and protect the industry from exorbitant damages awards in courts that would inevitably bankrupt an airline. The Convention allows a litigant suing under the Convention to avoid the liability caps in instances where the airline's culpability for the injury or death is the direct result of negligence, another wrongful act, or an omission of the airline or its agents. The Montreal Convention identifies specific locations as appropriate venues to advance claims for litigants seeking compensation. These venues are closely tied to either the carrier's business operations or the passenger's domicile. In March 2015, in an act of suicide stemming from reactive depression, the co-pilot of Germanwings flight 9525 intentionally crashed the aircraft into the French Alps killing the passengers and the remaining crew. Subsequent to the crash, there were media reports that Lufthansa made varying settlement offers to families of the passengers who died aboard the flight ranging from $8,300 USD to $4.5 Million USD depending on the passengers' citizenship. The unverified offers by Lufthansa prompted outcries from the families of the decedent passengers that they would institute suit against the airline in a more plaintiff friendly jurisdiction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accomplishes two goals. First, it examines the Montreal Convention's venue requirement along with an overview of the recoverable damages from countries comprising the citizenship of the passengers who were not American. The intentional crash of Germanwings flight 9525 by its First Officer encompasses the possibility that Lufthansa may be exposed to unlimited compensatory damages beyond the liability caps contained in the Convention.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explores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s liability limits to the Germanwings flight to demonstrate that the likelihood of escaping the liability limits is slim.

      • KCI등재

        A Study on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MS -Focusing on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Yoo, Kyung-In Korea Society of AirSpace Law and Policy 2017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2 No.2

        Even with the most advanced aviation technology benefits, aircraft ac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while air passenger transportation volume is expected to double in the next 15 years. Since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aviation safety only by the post aircraft accident safety action of accident investigations, it has been recognized and consensus has been formed that proactive and predictive prevention measures are necessary. In this sense, the avia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SMS) was introduced in 2008 and has been carried out in earnest since 2011. SMS is a proactive and predictive aircraft accident preventive measure, which is a mechanism to eliminate the fundamental risk factors by approaching organizational factors beyond technological factors and human factors related to aviation safety. The methodology is to collect hazards in all the sites required for aircraft operations, to build a database, to analyze the risks, and through managing risks, to keep the risks acceptable or below. Therefore, the improper implementation of SMS indicates that the aircraft accident prevention is insufficient and it is to b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aircraft accident. Reports of duty performance related hazards including their own errors are essential and most important in SMS. Under the policy of just culture for voluntary reporting, the guarantee of information providers' anonymity, non-punishment and non-blame should be basically secured, but to this end, under-reporting is stagnant due to lack of trust in their own organizations. It is necessary for the accountable executive(CEO) and senior management to take a leading role to foster the safety culture initiating from just culture with the safety consciousness, balancing between safety and profit for the organization. Though 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order, "Guidance on SMS Implementation" states the training required for the accountable executive(CEO) and senior management, it is not legally binding.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SMS training completion certificates of accountable executive(CEO) and senior management be included in SMS approval application form that is legally required by "Korea Aviation Safety Program" in addition to other required documents such as a copy of SMS manual. Also, SMS related items are missing in the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so that organizational factors in association with safety culture and risk management are not being investigated. This hinders from preventing future accidents, as the root cause cannot be identified. The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Manuals issued by ICAO contain the SMS investigation wheres it is not included in the final report form of Annex 13 to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In addition, the US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NTSB) that has been a substantial example of the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for the other accident investigation agencies worldwide does not appear to expand the scope of investigation activities further to SMS. For these reasons, it is believed that investigation agencies conducting their investigations under Annex 13 do not include SMS in the investigation items, and the aircraft accident investigators are hardly exposed to SMS investigation methods or technique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SMS investig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final report format of Annex 13. In Korea as well, in the same manner, SMS item should be added to the final report format of the Operating Regulation of the Aircraft and Railway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If such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thods are complemented, SMS will serve the purpose of aircraft accident prevention effectively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viation safety in the future. 가장 진보된 항공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항공기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반면 승객수송 항공교통량은 향후 15년간 갑절로 증폭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항공기사고 발생 후에 안전조치로 수행되는 항공기사고조사만으로는 항공안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선제적이고 예측적인 사고예방대책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명목으로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이 2008년부터 도입되어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SMS는 선제적이고 예측적인 항공기사고 예방대책으로서, 항공안전과 관련된 기술적 요소, 인적요소를 넘어 조직적 요소에 접근함으로써 근원적인 위험요인을 차단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다. 방법론적으로는 항공기운항에 필요한 모든 현장에서 잠재되어 있는 위험요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위험을 분석하여, 위험을 관리함으로써, 위험을 수용가능하거나 그 이하로 유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SMS의 부적절한 이행은 항공기사고 예방의 미흡함을 나타내며 항공기사고와 직결된다. SMS에 있어 자신의 실수를 포함하여 업무상 발생하는 위험요소의 보고가 필수적이고,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이를 위하여 자발적 보고에 대한 공정문화의 정책 하에, 정보제공자의 익명성, 비처벌 및 비문책 보장이 기본적인 것으로 되어있으나, 조직에 대한 신뢰의 부족으로 보고는 미미한 수준으로 정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최고관리자가 고위관리자와 더불어 자신의 조직에 대한 안전과 수익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전의식을 갖고, 공정문화가 주축이 된 안전문화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법적 제도적 근거는 국토교통부 훈령인 "항공안전관리시스템 인 및 운영지침"에 최고관리자가 및 고위관리자가 받아야할 교육이 명시되어있으나, 법적 구속력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고시인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의 항공안전관리시스템 승인신청서의 구비서류에, 최고관리자 및 고위관리자의 SMS 교육이수증명서가 추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항공기사고조사에 SMS항목이 누락되어 있어 안전문화와 관련된 조직적 요소 및 위험관리 부분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는 근원적인 원인에 대한 규명이 불가능하여 향후 사고예방에 장애요소로 작용된다. ICAO가 발행한 항공기사고조사매뉴얼에는 SMS조사가 포함되어 있지만,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13의 최종보고서 양식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항공기사고조사의 실질적 표본이 되고 미국교통안전위원회가 SMS조사에 미온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부속서 13에 의거 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조사기구들은 SMS조사를 조사항목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는 상황이며, 항공기사고 조사관들은 SMS 조사방법이나 기법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속서 13의 최종보고서 양식 중 조직 및 관리정보 목에 SMS조사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국내적으로는 항공 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운영규정 중 최종보고서양식에 동일하게 SMS항목을 추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법적 제도적 개선방법이 보완되면 SMS의 이행이 효율적으로 이행되어 향후 항공안전증진에 기여하리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Indonesia, Malaysia Airline's aircraft accidents and the Indonesian, Korean, Chinese Aviation Law and the 1999 Montreal Convention

        Kim, Doo-Hwan Korea Society of AirSpace Law and Policy 2015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0 No.2

        AirAsia QZ8501 Jet departed from Juanda International Airport in, Surabaya, Indonesia at 05:35 on Dec. 28, 2014 and was scheduled to arrive at Changi International Airport in Singapore at 08:30 the same day. The aircraft, an Airbus A320-200 crashed into the Java Sea on Dec. 28, 2014 carrying 162 passengers and crew off the coast of Indonesia's second largest city Surabaya on its way to Singapore. Indonesia's AirAsia jet carrying 162 people lost contact with ground control on Dec. 28, 2014. The aircraft's debris was found about 66 miles from the plane's last detected position. The 155 passengers and seven crew members aboard Flight QZ 8501, which vanished from radar 42 minutes after having departed Indonesia's second largest city of Surabaya bound for Singapore early Dec. 28, 2014. AirAsia QZ8501 had on board 137 adult passengers, 17 children and one infant, along with two pilots and five crew members in the aircraft, a majority of them Indonesian nationals. On board Flight QZ8501 were 155 Indonesian, three South Koreans, and one person each from Singapore, Malaysia and the UK. The Malaysia Airlines Flight 370 departed from Kuala Lumpur International Airport on March 8, 2014 at 00:41 local time and was scheduled to land at Beijing's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 at 06:30 local time. Malaysia Airlines also marketed as China Southern Airlines Flight 748 (CZ748) through a code-share agreement, was a scheduled international passenger flight that disappeared on 8 March 2014 en route from Kuala Lumpur International Airport to Beijing's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 (a distance of 2,743 miles: 4,414 km). The aircraft, a Boeing 777-200ER, last made contact with air traffic control less than an hour after takeoff. Operated by Malaysia Airlines (MAS), the aircraft carried 12 crew members and 227 passengers from 15 nations. There were 227 passengers, including 153 Chinese and 38 Malaysians, according to records. Nearly two-thirds of the passengers on Flight 370 were from China. On April 5, 2014 what could be the wreckage of the ill-fated Malaysia Airlines was found. What appeared to be the remnants of flight MH370 have been spotted drifting in a remote section of the Indian Ocean. Compensation for loss of life is vastly different between US. passengers and non-U.S. passengers. "If the claim is brought in the US. court, it's of significantly more value than if it's brought into any other court." Some victims and survivors of the Indonesian and Malaysia airline's air crash case would like to sue the lawsuit to the United States court in order to receive a larger compensation package for damage caused by an accident that occurred in the sea of Java sea and the Indian ocean and rather than taking it to the Indonesian or Malaysian court. Though each victim and survivor of the Indonesian and Malaysia airline's air crash case will receive an unconditional 113,100 Unit of Account (SDR) as an amount of compensation for damage from Indonesia's AirAsia and Malaysia Airlines in accordance with Article 21, 1 (absolute, strict, no-fault liability system) of the 1999 Montreal Convention. But if Indonesia AirAsia airlines and Malaysia Airlines cannot prove as to the following two points without fault based on Article 21, 2 (presumed faulty system) of the 1999 Montreal Convention, AirAsia of Indonesiaand Malaysia Airlines will be burdened the unlimited liability to the each victim and survivor of the Indonesian and Malaysia airline's air crash case such as (1) such damage was not due to the negligence or other wrongful act or omission of the air carrier or its servants or agents, or (2) such damage was solely due to the negligence or other wrongful act or omission of a third party. In this researcher's view for the aforementioned reasons, and under the laws of China, Indonesia, Malaysia and Korea the Chinese, Indonesian, Malaysia and Korean, some victims and survivors of the crash of the two flights are entitled to receive possibly from more than 113,100 인도네시아의 에어 아시아 QZ8501 제트여객기가 2014년 12월 28일, 오전 5시 35분에 인도네시아, Surabaya도시에 있는 Juanda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같은 날 8시 반 싱가포르 Changi 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에어아시아(에어버스 A320-200) 여객기는 인도네시아 제 2의 도시인 수라바야공항에서 승개 162명을 태우고 싱가포를 향하여 비행도중 동년 12월 28일 Java 바다에 추락하였다. 인도네시아의 에어아시아 제트여객기의 잔해가 Juanda 국제공항에서 약 66 마일 떨어진 위치에서 발견되었으며 이곳에서 12월 28일 지상에 있는 항공교통관제관 (ATC) 과 조정사간에 교신이 끊겼다. 레이더에서 사라진 여객기 (QZ 8501)에는 승객 155명과 승무원 7명이 탔으며 희생된 여객 가운데에는 155명의 인도네시아어인, 3명의 한국인, 싱가포르인, 말레이시아인, 영국인이 각각 1명이었다. 말레이시아여객기 추락사건을 살피어 본다면, 말레이시아 여객기 (MH370)는 현지 시간 2014년 3월 8일 밤 12시41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같은 날 새벽 6시 30분 (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수도국제공항에 착륙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여객기 (MH370) 는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베이징수도국제공항을 향하하여 비행도중 (쿠알라룸푸르와 북경 간에 비행거리: 4,414km 2,743마일) 갑자기 살아져 3월 8일 남인도양에 추락하였다. 이 말레이시아여객기는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을 이륙한 후 1시간 만에 지상에 있는 항공교통관제관 (ATC) 과 조정사간에 교신이 두절되었으며 이 여객기에 227명의 승객 (15개국)과 12명의 승객이 타고 있었다. 상기 227명의 승객가운데에는 중국인 153명, 말레이시아인이 38명, 인도네시아 인이 7명, 호주인이 6명, 인도인이 5명, 프랑스인이 4명, 미국인이3명, 이란인이2명, 캐나다인이2명, 뉴질랜드인이 2명, 우크라이나인이 2명, 러시아인이 1명, 네덜란드인이 1명, 대만인이 1명이었음으로 중국인 승객이 거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본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여객기 추락사건에 있어 승객 및 승무원들은 전원 사망하였고 가해자(국)인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뿐만 아니라 피해자(국) 인 중국, 한국, 호주인, 인도, 프랑스, 미국,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등이 모두 1999년의 몬트리올조약의 가맹국이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의 항공사들은 동 조약 제21조에 따라 손해배상금액으로서 113,100 특별인출권 (SDR, 계산단위, 미화 155,000달러)를 유족들에게 무조건 지급하여야만 된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여객기 추락사건에 있어 유족들은 상기 배상금액에 만족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승객사망자에 대한 유족들의 손해배상청구소송 사건에 있어 일부 유족들은 자국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는 것보다는 손해배상금액을 많이 탈수 있는 미국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 미국은 현재 국제항공운송에 있어 항공여개운송인의 책임이 국제조약에 따라 유한책임 제도를 채택하고 있지만 국내항공운송에 있어서는 항공여개운송인의 책임이 무한책임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현재 미국법원은 국제 및 국내항공운송을 막론하고 항공여객운송인이 Wilful-misconduct (인식이 있는 중대한 과실) 범하였을 때에 무한책임을 인정하여 손해배상금액에 관한 판결내용이 30만 달러 내지 500만 달러를 상회하고 있음으로 유족들은 몬트리올조약 제33조 (재판관할권) 및 미국에서 제조한 여객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