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송이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감성융합 예술심리치료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비대면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여 비대면 예술심리치료의 장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 이후 예술심리치료 연구에서는 온라 인, 디지털 기술의 활용, 공간에 대한 고민 등의 키워드가 새롭게 떠오르며 비대면 방식과 관련한 융복합 연구들이 의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 동향 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키워드와 대중 의 기대가 상당 부분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예술심리치료에 대한 대중들의 높은 긍정적 인식 및 관련분야의 전문 종사자 대상의 요구조사를 통해 비대면 방식의 예술심리치료 시스템 모델 구축 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분석하고 그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감성융합 예술심 리치료를 위한 비대면 시스템 모델은 시공간의 제약을 초월한 비대면 상황에서 또 하나의 예술심 리치료 방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venue for untact arts-psychotherapy by examining the need for affective convergence art-psychotherapy and proposing the system model. As a result, keywords such as online,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and concerns about space emerge in arts-psychotherapy research after COVID-19, and convergence studies related to untact methods are meaningful.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keywords in the research trend analysis and public expectations are largely consistent. Specific demand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untact system model were analyzed and examples were presented through high public positive perception of arts- psychotherapy and surveys of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It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nother arts-psychotherapy method in untact situations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constraints.
뉴미디어아트의 예술심리치료적 가치 탐색을 위한 소셜 빅데이터 분석
문송이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4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아트가 가진 예술심리치료적 가치 탐색을 위해 뉴미디어아트와 예 술심리치료에 대해 고찰하고 뉴미디어아트와 심리에 관한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주요 키 워드를 분석하였다. 뉴미디어아트와 예술심리치료는 상호작용성, 신체와 다감각을 통한 예술 적 경험, 유희적 체험과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소셜 빅데이터에서 ‘미디어아트’와 ‘심리’에 대한 키워드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대중들의 뉴미디어아트를 심리 건강 지원의 한 방법으 로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출된 키워드를 활용한 감성분석에서 긍정 감성 어 휘가 74.32%로, 그중 호감 감성 어휘는 47.63%로 나타나 미디어아트와 심리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new media art and arts-psychotherapy, collected and analyzed major keywords in social big data on ‘new media art’ and ‘psychology’ for explored the arts-psychotherapy value of new media art. New media art and arts-psychotherapy have common characteristics with interactivity, artistic experience through the body and multiple senses, also play-instinct experience.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keywords for 'media art' and 'psychology' in social big data, it was found that the public viewed new media art as a way to support psychological health. In addition, in the emotional analysis using the extracted keywords, 74.32% of the positive emotional keywords and 47.63% of the favorable emotional keywords showed a positive light for media art and psychology.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융복합 예술치료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윤지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4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주의력 향상을 위한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융복합 예술치료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의력 향상을 위한 융복합 예술치료프로그 램을 회기당 30분, 총 6회기로 구성되었고 단일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ADHD 아동의 주의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CCTT 아동 색–선로 검사와 STROOP 아동 색–단어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뉴로하모니S를 활용한 뇌파검사를 시행하였 다. 그 결과, 뉴로피드백을 활용한 융복합 예술치료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점수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효과성을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vergence art therapy program using neurofeedback to improve the attention of ADHD children and to find out its effectiveness. The convergence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attention consisted of 3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6 sessions,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 single subject. To find out the improvement of attention of ADHD children, CCTT children's color-line test and STROOP children's color-word tes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nd electroencephalogram using neuroharmony S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change in score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rgence art therapy program using neurofeedback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was proved.
최주희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예술심리치료를 새롭게 해석하고 조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인간과 예술 매체의 상호작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개념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기초로 하여 예술심리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기호학의 개념을 고찰하고, 예술심리치료의 삼원적 관계를 제시하였다. 예술심리치료에서 대상은 내담자 삶의 부분들이며, 내담자 에게 영향을 주는 실재 대상이다. 그리고 표상체는 내담자가 표현한 예술이다. 해석체는 치료사 관점, 내담자와 치료사 관점, 내담자 관점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가 예술심리치료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새로 운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수행하려는 예술심리치료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concept of how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art media takes place from a new perspective, in order to present a framework that can newly interpret and view arts-psychotherap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s of semiotics, which can be applied to arts-psychotherap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In arts-psychotherapy, objects are invisible parts of the client's life. This is an object that exists and affects the client. Also, the representamen in arts-psychotherapy is the expressed the arts by the client. And the interpretant of this is divided into what can be called the therapist's point of view, the client and the therapist's point of view, and the client's point of view.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a new direction to expand the horizon of arts-psychotherapy and assist arts psychotherapist in the process.
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청소년의 정서표현과 사회성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숙경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실험집단은 U시 D초등학교 다문화 청소년 9명이며, 통제집단은 동 학교 비 다문화 학생 10명이 다. 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 회기당 80분, 총 15차시로 구성되었고, 5명의 다문화 예 비 실험군을 대상으로 예비 실험을 실시 후 전문가들의 평가 수정 후 최종 완성하였다. 척도는 사전-사후 정 서 표현 척도(EESC)와 교사용 사회성 기술 평정척도(SSRS)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s α 신뢰도 검증을하였다. 정 서 표현은 점수가 낮을수록 정서표현이 높고, 사회성 기술은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다. 연구 결과, 다문화 청소 년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전보다 사후에 정서표현 점수는 낮아지고(정서 인식 부족: M =3.19→1.93, 정 서표현 부족: M = 3.27→1.98), 사회성 기술 점수는 높아져(협력: M = 2.00→ 2.66, 자기 주장: M = 1.80→ 2.51, 자기 통제: M = 1.83→2.66) 다문화 청소년의 정서 표현 및 사회성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증명하 였다. 본 연구는 일부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전체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is to improve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multicultural Youths. whose color psychotherapy programs are difficult to express inner emotions.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study is 9 multicultural teenagers at D Elementary School in U-city, and the control group is 10 non-multicultural students at the same school. The color psychotherapy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15 times, 80 minutes per session, excluding pre-and post-examinations, and was finally completed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experiments on five multicultural preliminary experiments. The scales were implemented with the Pre-Post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ldren (EESC) and the Teacher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The data were tes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for Windows with a pre-reactive sample t test and Cronbach's alpha reliability verification. Emotional expression is higher when the score is low, and social skills are higher when the social skills are high. As a result of the study, multicultural youth groups had lower emotional expression scores afterwards than control groups (lack of emotional awareness: M→3.19→1.93, lack of emotional expression: M→3.27→1.98), and higher social technology scores (cooperation: M=2.00→2.66, self-assertion: M=1.80=2.51, self-control: M=1.83=2.66). This study is conducted on some multicultural teenagers, a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it as a whole.
남현우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1 No.1
내담자가 갖고 있는 마음의 상처는 이미 지나가버린 과거에 발생한 것이라서 되돌릴 수 없고, 앞으 로의 일들은 알 수 없는 미래에 발생할 것이라서 내담자가 어찌 할 수 없다고들 생각한다. 고통의 원 천은 다름 아닌 기억인데, 이러한 전통적인 시간 개념 하에서는 내담자의 상처를 치유할 마땅한 방안 을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시간에 대한 고전적인 시각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현대 물리학과 철 학의 시각을 도입하여 상처에 대한 기억을 재해석했다. 또한 내담자의 예술심리치료 체험이 새로운 관 점의 시간 개념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서술했다. 본래 삶이란 모순들로 점철된 부조리 그 자체 이므로 존재를 좀 더 가볍게 인식할 수 있는 예술로써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제안했다. They believe that the client's emotional wounds cannot be undone because they occurred in the past, and that there is nothing the client can do about future events as they will occur in an unknown future. The source of pain is none other than memory, but under this traditional concept of time, it is difficult to find a suitable way to heal the client's wounds. Accordingly, this researcher reinterpreted the memory of the wound by introducing the perspectives of modern physics and philosophy, which can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time. In addition, it described how the client's experience of arts-psychotherapy can be connected to the concept of time from a new perspective. Since life is originally an absurdity full of contradictions, it was suggested that art that allows us to perceive existence more lightly can have a therapeutic effect.
ADHD 아동의 신경생리학적 국악 심리치료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우덕상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현재 약물치료에 의존한 18명의 U광역시 ADHD 아동 중 실험군 9명을 대상으로 신경생 리학적 국악 심리치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 후, 신경생리학적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최초 1회기 국악 심리치료 교육프로그램 전, 후에 각 1회씩 2회 채혈과 최종 16회기 전, 후에 각 1회씩 2회 채혈하 였다.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세로토닌, 도파민 분비량을 측정·분석해 유의수준 p〈.05 에서 사전-사후의 차이를 검정했다. 그 결과 최초 실행 1회기에 치료 전 수준보다 실행 후에 유의미하게 세로토닌, 도파 민 발현량이 증가하였고(***p<.001). 최종회인 16회기도 실행 전보다 실행 후에 유의미하게 세로토닌, 도파민 발현량이 증가했다(***p<.001). 본 연구로, 치료적 힘을 가진 국악 구성 요소로 신경생리학적 국 악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 적용하면 세로토닌과 도파민 발현량이 증가하여 신경생리학적 효과 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neurophysiological Korean traditional music psychotherapy education program to 9 experimental group among 18 U Metropolitan ADHD children who were currently dependent on drug treatment, and then investigated the neurophysiological relevance. Blood was drawn twice, once before and after the first Korean music psychotherapy education program, and twice before and after the final 16th session. The effect of applying the program was measured and analyzed for the secretion of serotonin and dopamine, and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was tested at the significance level p<.05. As a result, the expression levels of serotonin and dopamin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run compared to the level before the treatment in the first run (***p<.001). The expression levels of serotonin and dopamin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16th prayer, the final session, compared to before (***p<.001).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europhysiological effects can be obtained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serotonin and dopamine when a neurophysiological Korean music psychotherapy program is developed and applied as a component of Korean music with therapeutic power.
남현우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4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2 No.1
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디지털 대전환의 속도가 빨라진 21세기 사회의 특징을 개관하고, 이 것이 예술심리치료 영역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를 전망하였다. 최근 들어 정보의 원천이나 데이터, 증거를 분석하는 기법이나 진리추구 방식 등이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 규율사 회에서 만연하던 히스테리아 대신에 현대 긍정사회는 의기소침한 우울장애자가 급증하고 있 음도 언급했다. 디지털 정보를 독점하는 소수 지식인들이 교만하여 ‘신이 되려는 인간’을 만들 어낼 지도 모른다는 우려와 함께, 인간도 우주의 일부분이니 우주의 원리 속에서 삶을 찾아야 한다는 가장 원시적인 교훈을 제안했다. I over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1st century society, where the pace of digital transformation has accelerated with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predicted what changes this will bring to the field of arts-psychotherapy. I pointed out that recently, the sources of information, techniques for analyzing data and evidence, and methods for pursuing truth have been changing. It was also mentioned that instead of the hysteria that was rampant in the past disciplinary society, the modern positive society is seeing a rapid increase in despondent depressive disorders. In addition to concerns that a small number of intellectuals who monopolize digital information may become arrogant and create ‘Homo deus,’ I proposed the most primitive lesson that humans are also part of the universe and must find life within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
국악치료가 요양시설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장설영,남현우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4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국악치료 프로그램이 요양시설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N시 A노인요양시설에 있는 만 71 ̴97세의 노인이다.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총 8회기의 국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효과성 검증은 사전·사후, 노인 우울 검사(KGDS)와 자아 존중감 검사(Rosenberg Self-Esteem Scale)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 검사는 평균이 사전 24.1에서 사후 19.5로 감소하였으며(p<.05), 자아존중감 검사에서 평균이 사전 29.3에서 사후 38.5로 증가(p<.05)했다. 이로인해 국악치료가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Gug-ak therapy)program affects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in a nursing fac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targeting the elderly aged 71 ̴ 97 at the A senior a nursing facility in N-si, Gyeonggi-do. 10 cl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clients in the control group, 8 sessions of Gug-ak therapy programs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according to this is analyzed pre and post-tests by conducting the elderly depression test (KGDS) and the self-esteem test (Rosenberg Self-Esteem Scale). As results of the study, the average decreased from 24.1 to 19.5 on the depression test (p<.05), and the average increased from 29.3 to 38.5 on the self-esteem test (p<.05).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Gug-ak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self-esteem for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