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육군의 군사교리 정의와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 미국 육군교리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천민권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3 한국군사 Vol.13 No.-

        군사교리 연구에 있어 “군사교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은 중요하고 또 기본적이다. 정체성은 여러 면에서 설명되는데, 본 연구는 그중에 정의와 위상을 다루었다. 현재 한국 육군에 있어 이러한 군사교리의 정의와 위상이 모호하여 이것을 제대로 정립할 필요가 있고, 그래서 “군사교리의 정의가 무엇인가?” 그리고 “군사교리의 위상이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육군에 있어 군사교리의 정의와 군사교리의 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성찰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범위와 방법은 한국 육군교리에 많은 영향을 미친 미군 교리 특히 육군교리의 문헌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때 분석결과의 시사점 중에서 궁극적으로 한국 육군교리 발전을 위해 합리적으로 수용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를 식별하여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두 가지이다. 먼저 정의에 대해서는 <군사작전의 근본원리에 집중하는 지식체>로 정립함으로써 군사교리의 대상이 군사작전이며, 전술·전기·절차보다 근본원리에 집중케 하고, 군사작전의 계층구조를 원리의 계층구조로 설명하며, 무엇보다 공개된 지식으로 연구와 토론을 가능케 하였다는 것이다. 다음 위상에 대해서는 군사교리를 군사교리가 아닌 다른 지식체와 구분하고, 특히 군사교리의 출처와 교리 자체 그리고 교리의 적용을 각각 구분하고 연계를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시사점은 모두 타당하며 한국 육군교리 발전을 위해서도 수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한국 육군에게 있어 연구목적 달성 외에 나름의 의의가 있다. 그것은 첫째 군사학의 학문체계와 지식체계를 더욱더 구조화하였다는 것이며, 둘째 군사교리 발전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발전을 위한 논쟁의 장을 마련케 하였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군에서 지식존중의 문화를 정착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동북아 국가의 한국에 대한 회색지대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반길주(Ban, Kil-Joo)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7 No.-

        모호성, 전략적 점진주의로 가동되는 회색지대전략이 동북아에서 구사되고 있지만 이런 역학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특히 한국은 북한, 중국, 일본의 회색지대 강압의 타겟이 된 지 오래지만, 상쇄전략은 아직 없는 상태다. 이들 국가는 전쟁과 같은 고강도 군사적 충돌은 피하면서 우회적 주권개입과 점진적 위협투사를 통해 현상변경을 시도해왔다. 북한은 회색지대 강압을 통해 NLL 무실화를 시도해왔고, 전략적 점진주의로 핵무장을 완료한 후 이제 핵보유국 지위 기정사실화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사드 경제보복이라는 회색지대전략을 통해 한국경제뿐 아니라 사회 내부 갈등을 유발하며 주권적 결정을 침해했고, 해양공간, 방공식별구역 등 영역에서 회색지대 강압을 이어오고 있다. 일본은 강제징용 피해보상 관련 한국 대법원의 판결에 반발하며 반도체 등 주요원료에 대한 수출규제를 통해 주권을 훼손시키는 회대지대전략을 구사하였고, 전략적 점진주의로 집단적 자위권 행사가 가능한 국가가 되었다. 동북아 국가들의 회색지대전략을 상쇄하기 위해 흑백지대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적 억지와 별개로 회색지대 억지 개념이 만들어져야 하고 회색지대 갈등이 군사적 대응의 우선순위에서 밀리지 않도록 군사문화의 혁신도 필요하다. In Northeast Asia, gray zone coercion, characterized by ambiguity and strategic gradualism, has been underway over the past decades. The riddle of the gray zone in the region, however, remains understudied and inexplicable. South Korea is ill-equipped to wrestle with the gray zone strategy of North Korea, China and Japan. The gray zone strategy is intended to change the status-quo not only by intervening in the areas of sovereignty but also by posing a gradually bigger threat while reducing the risk of outbreak of war. North Korea has engaged in gray zone coercion to neutralize the Northern Limit Line. North Korea also has become a nuclear-armed state by strategic gradualism and is currently seeking a fait accompli to make itself a nuclear power. China sought to intervene in South Korea’s sovereign decisions through its economic retaliation in the context of the deployment of the U.S. THAAD in South Korea. China continues to employ gray zone coercion in areas of waters and maritime airspace. Japan vowed to challenge South Korea’s sovereignty on the ground of the latter’s Supreme Court’s order to pay compensation while restricting the shipments of key materials to South Korea. In addition, strategic gradualism allowed Japan to exercise its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approaching a “normal nation.” Under these challenges, South Korea needs to design a “black and white” strategy to cast aside rampant gray zone. To that e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outh Korea to roll out gray zone deterrence and to dramatically revamp its military.

      • KCI등재

        대한제국기 군사 중심의 정국운영과 원수부 창설의 의미

        문준호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2 한국군사 Vol.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제국기 원수부 창설의 복합적 동인을 구명하는 것에 있다. 대한제국 출범 직후, 고종은 국정 운영의 중점을 자주적 근대화 추진에 두었다. 그러나 정치세력간 이해충돌과 전제군주제라는 조건에 대한 합의가 부재하여 정국 운영은 원활하지 않았다. 한편 점증하는 외압에 따라 침략적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 국내 안정이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였다. 이에 고종은 군을활용하여 국정을 장악하였고, 외세의 침략 개입 일소를 군사 부문의 강화로해결하고자 하였다. 한편 군제 혼용에 따른 파당성을 극복하기 위해 군 지휘체계를 확립하고 규율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와 더불어 폭력성을 띤 내부소요가 발생하자 군사적 대비 태세를 갖추는 문제도 시무로 거듭나게 되었다. 전술한 요소의 복합적 작용이 원수부 창설로 이어진 것이었다. 신설된 군사 기구를 통해 고종은 정치・군사상의 절대적 위상을 확고히 하려는의도를 분명히 하였다. 대한제국기 최고 군사 기구에 대한 천착은 한국 군사의근대적 기원 파악에 적지 않은 시사를 줄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비대칭 위협에 대한 군사 영역별 대응 요소에 관한 연구

        이장규(Lee, Jang-Kyu)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1 한국군사 Vol.10 No.-

        본 연구는 북한 비대칭 위협에 대한 군사영역별 대응을 위해 국방정책, 군사전략, 위기관리 영역 군사전문가들의 설문 연구를 통해 군사적 대응 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 비대칭 위협 대응 방안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는 주로 문헌 연구였다. 본 연구에서의 북한의 위협 및 대응을 다루는 군사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대안을 도출하였다. 조사연구 결과, 북한의 비대칭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국방정책, 군사전략, 위기관리의 3가지 영역에서 상위 요인과 하위 요인을 도출하였고 상·하위 요인별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Currently, North Korea is doing its best to strengthen its asymmetric military power despite the deterioration of the economic situation and strong sanctions from the U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asymmetric military strategy to achieve relative military advantage over Korean troops by strengthening nuclear and missile, biochemical weapons, special warfare units, and cyber power is a very serious threat to Korean sec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response factors through a survey of military experts in defense policy, military strategy, and crisis management for military response to such asymmetric threat to North Korea.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untermeasures against North Korea’s asymmetric threat were qualitative studies of subjective opinions through literature studies in academic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questionnaires, not the theory and subjective proposal of North Korea’s asymmetric threat.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a group of military experts who have practical experience related to North Korea’s asymmetric threat, and they were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in terms of deriving North Korea’s asymmetric threat countermeasures.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and necessary in that it presente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realistic alternatives and asymmetric threat factors that can overcome the current security crisis in Korea due to the strengthening of North Korea’s asymmetric power.,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top factors and each sub-factor of defense policy, military strategy, and crisis management will be very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asymmetric threat response strategies a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ilitary power.,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North Korea’s asymmetric threats in the future.

      • KCI등재

        남북한 한미군사훈련 협상제안 분석

        이미숙(Lee, Mi-Sook)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7 한국군사 Vol.2 No.-

        본 연구는 최근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한 협상 지렛대로 한미군사훈련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지금처럼 한미군사훈련이 협상이슈로 부각되었던 1990년대 초 남북한의 팀스피리트훈련 협상제안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북핵 위협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훈을 얻고자 한다. 1990년대 초 제기된 팀스피리트훈련 제안내용을 ‘남북한 협상제안 평가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협상제안의 진정성, 공평성, 이행성이 모두 결여되어 남북한 협상제안은 실현가능성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한이 팀스피리트 훈련 협상제안을 ‘체제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이를 위해 군사협상과 군사도발을 병행함으로써 초래된 결과였다. . 최근 북한은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등의 고강도 도발로 한미군사훈련의 중단을 압박하고 있다. 향후 북한의 위협이 더 가중되더라도 ‘체제 유지’라는 북한의 협상제안의도가 변화되지 않는 한 한미군사훈련을 중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is study, prompted by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 is under discussion as a trade leverage against the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threat, attempts to learn a lesson to strategically respond to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by analyzing Team Spirit exercise negoti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early 1990s. My analysis of the Team Spirit exercise negotiation using the ‘South-North Korean Negotiation Criteria’ suggests that the negotiation proposal was proved unfeasible due to the lack of genuineness, equitability, and performance. This conclusion was apparent since North Korea used Team Spirit exercise negotiation as a means to its ‘regime sustenance’ employing military talks, while continuing military provocations. North Korea is recently demanding to stop the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s by carrying out high provocations such as missile launches and nuclear tests. Although the North Korean threat continues to increase, South Korea and the US must not stop their joint military drills as long as North Korea’s intent to negotiate remains unchanged.

      • KCI등재

        비군사적 위협 증가에 따른 중국의 군사적 대응태세 변화

        라미경(Ra, Mi-kyoung)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8 한국군사 Vol.4 No.-

        본 연구는 비군사적 위협 증가에 따른 중국군의 대응태세 변화에 대한 분석이다. 전통적 안보에 대한 중국군의 인식이 비군사적 안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1949년 신중국 건설이후 중국의 안보관과 군사전략의 변화를 통해 전통적, 군사적 안보위협에서 포괄적, 비군사적 안보위협으로 전환되는 배경과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최근 비군사적 위협은 그 위협의 정도나 내용 면에 있어서 더욱 증대되고 있으므로 국제안보환경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국 시진핑 정부는 2015년 중국의 군사전략에 관한 국방백서를 발간하면서 군사적 위협과 비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중국군의 전략적 임무를 명시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과의 경쟁관계 속에서 세계 G2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으며,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중국의 부상은 한국의 안보전략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ina`s response to the increase in non-military security threats in the G2 era. China"s perception of traditional security is changing to emphasize non-military security. In this study, we will look into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ransition from traditional and military security threats to comprehensive and non-military security threats through examining the changes in China`s security and military strategies after the creation of the New China in 1949. Recently, the degree and content of non-military security threats are increasing and as a result the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are also increasing. The Xi Jinping`s China, therefore, published defense white paper for its military strategy in 2015, stating that the key Chinese military"s strategic missions was to respond to military as well as non-military security threats. The U.S. and China are in a competitive relation and yet are the important pillars of the G2 World. Given that China is growing steadily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fields, the rise of China is now becoming a far more important factor in Korea"s security strategy.

      • KCI등재후보

        체계이론(System Theory)을 적용한 한미연합방위체계 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정형희(Jung, Hyoung-Hee),김주찬(Kim, Ju-Chan)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8 No.-

        비대칭 군사동맹으로 형성된 한미연합방위체계는 1954년 미군 의존적 통합형 구조로 형성된 이후 한국의 정치적 자주성과 방위역량이 향상되면서 협력적 통합형, 협력적 절충형 구조로 진화, 발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만, 현재 구조가 자주 가치와 한국방위라는 군사적 목표를 구현하는 최적의 구조인가? 라는 점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체계이론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한미연합방위체계 구조변화에 대해 군사적 목표, 행위요소, 구조 간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정책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한미연합방위체계 구조변화는 한국의 국가가치인 자주 가치 향상이라는 지향성을 가지고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한미연합방위체계의 구조는 의존적 통합형에서 협력적 절충형으로 한국군 군사력 운용의 자율성은 제고되었으나, 핵무기를 포함한 WMD 등 비대칭 위협 대응능력의 제한으로 군사적 목표, 행위요소, 구조 간 불균형과 복잡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자주 가치구현을 위한 한미연합방위체계 구조변화 시 구성요소인 군사적 목표와 행위요소, 구조 간 균형성과 상호연결성에 세밀한 관심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al changes from a new perspective of system theory in order to derive policy meaning by focusing on correlation between component elements and structure. Through research,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ROK-US combined defense system have been driven by the direction and pattern of ROK pursuing autonomy, while the US maintaining strategic flexibility and influence. In addition, as Republic of Korea’s national power and defense capabilities were enhanced while its autonomy was highlighted, the autho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xpanded despite its relatively inferior capabilities. Which caused complexity and friction points by overlooking correlation and balance of the structure between military goals and action elements in the combined defense system that values military efficiency and integration. Therefore, when the structure of the ROK-US combined defense system should change for the sake of realizing the Republic of Korea’s autonomy, detailed attention is required on the correlation and balance between component elements such as military goals and action elements.

      • KCI등재후보

        러일전쟁 지상전의 군사전략적 분석

        전갑기(Jeon, Gab-ki)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7 No.-

        러일전쟁은 기관총, 전신과 철도가 사용되어 살상력이 커지고 통신과 이동 속도가 증가하고 대규모 부대가 최장 150㎞의 전선에서 수주일간 전투를 수행한 최초의 현대전이다. 이 전쟁에서는 전투력의 우열보다는 군사전략개념, 지휘관의 전쟁수행 방안에 따라 주요 전투나 작전의 결과가 달라졌다. 또한 전투에서 승리한 측이 더 많은 전투력을 잃은 사례가 수차례 발생했다. 한국에서는 이 전쟁의 정치적 배경, 한국과 관련된 군사적 사건, 러시아와 일본의 전쟁 대비 및 군사전략 자체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위의 현상들이 나타난 지상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그래서 이번 연구는 군사목표 달성을 위한 전투의 효율적 운용, 군사전략의 운용적 관점과 지휘관의 작전적 사고에 중점을 두고 만주 지역에서 벌어진 지상전 및 군사행동 위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지형 및 전투력 손실을 시간과 교환하는 군사전략도 적에게 손실을 강요하는 공세행동이 병행되어야 효율적이며, 반복적인 군사행동은 적에게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여 적이 창의적으로 대응하게 만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지휘관이 무기체계, 부대의 특성 등을 이해하고 전투를 창의적으로 운용해야 군사작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Russo-Japanese War could be regarded as the first modern warfare. This war had many characteristics of modern warfare, such as using machine guns, telegraphy and railroads. In this war the destructive power of weapons grew and the speed of communication and movement became faster, and massive troops were able to operate for several weeks on the front line of 150 km. One notable point in this war is that the result of the main combats or operations was greatly influenced by commands’ military strategic concept or ways of war fighting rather than the superiority of combat power. Also, there were cases where the victor suffered heavier damage than the loser. The majority of studies on this war in Korea focus on the political backgrounds of the war, military incidents related to Korea, Russia and Japan’s war preparations, or military strategy itself.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ormerly-mentioned phenomena of this war. This research, therefore, focuses on analyzing both Russia and Japan’s military activities in the operational aspect of military strategy. That is, it aims to analyze the ground warfare and military actions in Manchuria while focusing on the effective use of combats for achievement of military goals and the operational viewpoint of military strategy and commands’ operational thinking. This research has resulted in two findings. First, a military strategy of exchanging territory and force for time is efficient only when it is accompanied by military actions which inflict serious damage on the enemy. Second, repetitive and patterned actions give the enemy an opportunity to learn from and react to them in a creative way. In conclusion, the commanding officers could have carried out military actions more and efficiently if they had commanded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ansformation of weapons and the change in the size of armed forces, and the creative ways.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국방혁신의 과제

        김강녕(Kim, Kang-nyeong)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7 No.-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국방혁신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특징, 선진국의 국방과학기술 개발동향과 군사혁신모델, 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의 국방혁신의 향후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각종 무기체계에 반영되어 전쟁을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전장은 사이버·우주로까지 확대되고, 전투는 로봇이 인간을 대신하는 무인 로봇전으로 진화하고 있다. 국방부가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단’의 구성·운영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향후 추진단은 4차 산업혁명이 군사·국방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통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미래전 대응방향을 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의 국방혁신 향후 주요과제로 ① 선택과 집중에 의한 게임체인저 핵심능력의 강화, ② 기술격차의 극복과 민관군산학연의 협력, ③ 한국형 상쇄전략의 모색·추진, ④ 미래전 대비 인재양성 등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OK’s defense innovation tasks.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After an introduction,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adv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hird chapter explains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in advanced countries and their military innovation models. The fourth chapter explores future tasks of ROK’s national defense innov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fifth chapter provides a conclus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re now being reflected in various weapons systems, transforming war into a completely new one. This new war has expanded from traditional battlefields to include to cyber and space, and the nature of warfare is evolving into unmanned robot warfare in which robots replace humans. It is encouraging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Smart Defense Innovation Promotion Group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uture, the Group will have to make a practical and effective response to future wars through analyzing the impa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military and national defense. The ROK’s major tasks for defense innovation in the future include ① strengthening the core capabilities of game changers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② overcoming the technological gap and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the private, military, and academia; ③ seeking and promoting Korean-style offset strategies; and ④ fostering talent in preparation for future battles.

      • KCI등재후보

        한국군 해외파병 50년 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박동순(Park, Dong-sun)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한국군사 Vol.8 No.-

        한국군의 해외파병은 5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다. 한국은 1960년대 후반 베트남전쟁에 전투부대를 파병하였고, 탈냉전을 맞은 1991년 7월, UN가입을 계기로 ‘국제평화활동’에 파병하게 되었다. 한국의 국제평화활동은1990년대는 UN PKO에 참여하였고, 2000년대 초, 9・11사건 이후에는 ‘테러와의 전쟁’에 동참하여 다국적군 평화활동 위주로 파병하였다. 2010년대 이후 해외파병은 ‘포괄적 안보’ 개념으로 ‘국방교류협력활동’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한국은 지난 50여 년 간 해외파병을 통해 안보·경제·군사적인 면에서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다. 해외파병의 환경과 요구는 끊임없이 변화해 왔고 또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러므로 과거의 파병사례를 분석하여 평가하고 미래의 파병 가치와 방향을 찾는 연구는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50년 간 한국의 해외파병 활동을 시대별로 회고하고 파병의 환경과 특수성을 규명할 것이다. 그리고 최근 국제사회의 파병 요구와 추세를 바탕으로 향후 해외파병에 대한 방향과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국의 해외파병은 국제 평화에 대한 기여는 물론 국가 위상 제고와 군사적 발전의 유용한 전략이다. 해외파병활동은 지구촌의 평화와 행복을 공존하게 하는 관심사이자, 한반도의 통일을 대비하기 위한 ‘블루오션’으로 장기적인 국가전략과 대비가 절실한 과제이다. The Republic of Korea military"s overseas dispatch has a history that stretches back over 50 years. Korea dispatched combat troops to the Vietnam War in the late 1960s, as part of the Post Cold-War, Korea joined the United Nations in July 1991, and this led to continuo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Peace Operations.” For examples, in the 1990s Korea mainly took part in the “UN Peacekeeping Operations” and in the early 2000s, especially during the 9/11 incident, it entered the “war on terrorism” and conducted peacekeeping operations as being part of “Multinational Forces Peacekeeping Operations”. Since the 2010s, Korea has diversified its dispatch of troops oversea through the “Defense Cooperation Activities” with other countries under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Korea has achieved various achievements in politics, economy, security, and military terms through overseas dispatch for the last 50 years. The overseas dispatch environment and demands for dispatching troops overseas have changed and will continue to do so.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appraise and review the past accurately and estimate a future value and direction of overseas dispat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first review and evaluate overseas dispatch activities over the past 50 years per period, and examine the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ROK military"s overseas dispatch.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cent international community"s demands for, and trends in sending troops oversea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and policy suggestions for overseas dispatch of Korea military. The overseas dispatch of the ROK military has not only contributed to international peace and stability, but has also become a fruitful tradition that enhances its position on the world stage and military development. Given that overseas dispatch of armed forces is an issue considered to promote coexisting peace and happiness in the global village and create "Blue Ocean" that promotes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reparation of a long-term national strategy should be done and the military"s preemptive measures should be taken immedi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