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양경찰 교육훈련체계 개선이 미치는 영향 : 신임 해양경찰의 현업적용도 제고 방안을 중심으로

        이용기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해양경찰은 해양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요구되는 전문성과 경찰이라는 고유한 업무영역이 공존하는 특별한 행정기관으로 일반적인 행정기관보다 다양하고 복잡하면서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이 요구되는 기관이다. 해양경찰은 해양이라는 영역에서 간주되는 거의 모든 분야를 대응하는 기관으로 해양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만큼 담당하는 업무도 복잡하고 다양하며 이를 효율적이면서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업무분야별 전문성이 더욱 요구된다. 따라서 해양경찰관은 환경 및 여건변화에 따라 시대적으로 요구되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습득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신규 진입하는 해양경찰 교육생들의 교육훈련은 현장 적용성을 높이는 것에 최우선을 두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의 전문성과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21년 개편된 해양경찰교육원의 신규 교육생에 대한 교육훈련체계의 현업 적용도를 파악하고자, 교육훈련체계 개편 이후 교육훈련 과정을 수료하고 현장에 배치되어 근무 중인 신임경찰관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의 현업 적용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 교과목 중 함정운용 등 특화교육을 확대한 것이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73.7%인 반면에, 부정적인 답변은 2.7%에 불과하여 실무교육의 확대가 신임경찰들의 현장 업무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 과정을 기초 및 심화 과정으로 구분하여 단계별로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58.8%였고, 부정적인 답변은 7.0%로 나타나 모든 채용분야에서 획일적인 교육이 이루어졌었던 기존의 교육훈련체계보다 공채, 경채, 특임 등의 채용분야별로 각각 기초와 심화단계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현장의 실제 업무수행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생들이 이수한 교육훈련 내용의 실무 활용 정도에 대해서는 실무 활용도가 높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57.9%였고, 부정적인 답변은 11.4%로 나타나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 교육훈련과정이 신임경찰관들의 실무 수행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훈련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이나 기술이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해결하는데 업무적으로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은 40.4%였고, 부정적인 답변은 19.3%로 나타나 교육생의 교육훈련 과정이 신임경찰관들에게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을 어느 정도 갖추도록 설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교육훈련 과정을 통하여 실무지식과 정보를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답변은 43.9%로 나타나, 직무에 필요한 실무지식과 정보를 어느 정도 습득한 것으로 보이나, 보통(43.0%)과 부정(13.2%)의 합이 56.2%로 조사되어 이론보다는 실제 사례 중심의 현장 실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일선 관서실습 중에 작성되는 교육실습기록부가 현장업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시행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은 전체 응답자의 27.2%에 불과하고, 부정적인 답변이 25.5%, 보통이 47.4%로 조사됨에 따라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실습기록부를 현장에서 시행중인 함정 장비작동 확인 결과제도 및 파출소 상황대응훈련으로 내용 재편을 통하여 현업적용성이 높은 관서실습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일곱째, 실무능력제고와 현업적용도 향상을 위하여 강화가 필요한 과목으로 기획운영(32.1%)과 해사법규(29.6%)를, 축소가 필요한 과목으로 해양역사(28.1%)와 핵심가치(19.0%)를 선택함에 따라 교육과정에 대한 편성이 수요자 중심적인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The Korea Coast Guard is a special administrative agency that combines the expertise required in the special environment of the ocean with the unique field of police work, requiring more diverse, complex, and specialized skills and knowledge than a typical administrative agency. The Korea Coast Guard is an organization that responds to almost all areas considered in the domain of the ocean. As the importance of the ocean increases, the tasks it is responsible for are also complex and diverse, and specialized expertise in each field is required to perform them efficiently and rationally. Therefore, coast guard officers must continuously acquire the expertise and skills required by the tim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and apply them to the field. In particular, the training of newly entering Korea Coast Guard trainees should be promoted to enhance individual expertise and competence through various programs, prioritizing increasing field applicabi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on-the-job application of the training system for new trainees at the Korea Coast Guard Academy, which was reorganized in 2021,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on-the-job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in the course among new officer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and have been deployed to the field since the reorganization of the training syste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responses (73.7%) indicated that the expansion of specialized training such as vessel operation in the training curriculum helped them in their actual work, while negative responses (only 2.7%) indicated that the expansion of practical training directly helped the new police officers in their fieldwork. Second, concerning the operation of basic and advanced training courses by stages, positive responses (58.8%) indicated that it was helpful for actual work, while negative responses were 7.0%. It turned out that it was more effective to design and operate basic and advanced training courses for each type of recruitment, such as public recruitment, competitive recruitment, and special appointment than the existing training system, which was uniform for all recruitment fields. Third, concerning the extent to which the trainees utilized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they received in their work, 57.9% of the trainees answered positively that they were highly useful in their work, while 11.4% answered negatively, which indicated that the curriculum consisting of various fields was helpful in the practical performance of new officers. Fourth, 40.4%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the knowledge or skills acquired during the training program helped them in their work to solve various situations in the field, while 19.3% of the respondents disagreed, indicating that the training program was designed to provide new officers with some ability to solve problems in the field. Fifth, 43.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training course helped them to acquire pract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y acquired pract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ir jobs to some extent, but the sum of moderate (43.0%) and negative (13.2%) responses was 56.2%, indicating that it would necessary to improve on-the-job training centered on actual cases rather than theory. Sixth, only 27.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that the training record book created during the practical training at the public office is implement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fieldwork, 25.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negatively, and 47.4% answered moderately.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erfunctorily operated training record book into the vessel equipment operation confirmation result book implemented in the field and police substation situation correspondence training to be highly applicable to the field. Seventh, Planning and Operation (32.1%) and Maritime Law and Regulations (29.6%) were selected as subjects that need to be strengthened to improve practical skills and practical application, and Maritime History (28.1%) and Core Values (19.0%) were selected as subjects that need to be reduced. Thus, it seems that the curriculum needs to be improved to operate in a demand-centered direction.

      • 현장에 강한 해양경찰을 위한 파출소 근무 추진 방향에 대한 연구 : 파출소 연안구조정의 운용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이아영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해양경찰 파출소는 선박 출·입항 관리, 범죄의 예방·단속, 지역 경찰 활동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나, 2014년 세월호 사고를 기점으로 연안에서의 해양사고 예방 및 구조 활동 중심 기관으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연안구조정의 성능을 크게 개선하여 구조활동의 주요 핵심 장비로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및 직원 면담을 통해 성능이 개선된 신형연안구조정이 파출소에 배치되었음에도, 사고예방과 구조활동에 적절하게 운용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확인하여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먼저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연안구역 내 연안구조정과 소형경비정의 관할 구분이 필요하다. 둘째 관련 규칙 재정비로 연안구조정과 소형경비정의 관할 내 임무와 책임을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셋째 순찰정의 명칭을 연안구조정으로 통합하여 전국 연안구조정 관리기준을 일원화하고, 넷째 해양사고를 경찰서장이 지휘해야 하는 상황과 파출소장이 지휘해야 하는 상황으로 구분하여 현장 지휘권을 조정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고 다발구역인 A급 파출소에 P정 소형경비정을 배속 운용함으로써 연안구역 현장 대응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Korea Coast Guard substation was initially centered around the management of ship departures and arrivals, crime prevention and enforcement, as well as local policing activities. However, following the significant 「Sewol Ferry accident in 2014」, a comprehensive restructuring occurred, transforming these substations into centers primarily dedicated to maritime accident prevention and rescue operations along the coast. Consequently, notable enhancements were made to the performance of the coastal rescue boat, positioning it as a crucial asset for conducting rescue operations. Based on an extensiv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surveys, and employee interviews, this study established that despite the deployment of advanced coastal rescue boats((S)hore vessel) with improved capabilities in substations, their effective utilization for accident prevention and rescue activities remained inadequate. As a result, several key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Firstly,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well-defined jurisdictional division between coastal rescue boats((S)hore vessel) and small patrol vessels within the coastal zone to facilitate a prompt and accurate response system. Secondly, a comprehensive restructuring of ertinent regulations is required to clearly delineate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both coastal rescue boats((S)hore vessel) and small patrol vessels within their respective jurisdictions. Thirdly, to ensure standardized anagement practices for coastal rescue boats((S)hore vessel) nationwide, it is recommended to integrate the name of the patrol vessel into the coastal rescue boat((S)hore vessel). Fourthly, the on-site command(coordinator) uthority needs to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distinguishing between marine accidents necessitating the command of chief of police station and those falling under the purview of the police station. Lastly, in order to bolster the on-site response capabilities in accident-prone areas, the deployment of P(atrol) vessel and small patrol boats((S)hore vessel) within the A-class police substation located in the coastal region is deemed essential.

      • 다중주파수를 이용한 살오징어의 분포 및 밀도 추정

        정종일 전남대학교수산해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에서는 주파수 38, 70, 120, 200 kHz의 다중주파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 해역에 서식하는 살오징어의 계절별(춘계, 하계, 추계, 동계) 시공간 분포를 파악하였다. 춘계는 03월부터 05월, 하계는 06월부터 08월, 추계는 09월부터 11월, 동계는 12월부터 이듬해 02월까지 나누어 분석하였다. 음향 조사는 2019년 07월~09월, 2020년 02월~05월에 국립수산과학원 탐구 20호, 21호, 22호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춘계에 살오징어의 NASC 값은 부산 중앙해역에서 277 m2/nmi2으로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냈고, 채집량은 인천과 군산 외해, 남해 연안에서 높은 채집량을 보였다. 하계에 NASC 값은 울산 연안 해역이 880 m2/nmi2으로 가장 높은 군집력을 나타냈다. 채집량은 인천과 여수 연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계 NASC 값은 제주도 북서쪽에서 1,660 m2/nmi2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으나, 채집량은 제주 북서쪽에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인천과 군산 외해에서 가장 높은 채집량을 보였다. 동계 NASC 값은 부산 인근 해역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으나 다른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거의 모든 정선에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채집량은 제주 남쪽 외해, 여수 인근 해역, 부산 남쪽 해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used multi-frequency of 38, 70, 120, and 200 kHz to estimation the seasonal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ommon squid(Todarodes pacificus) across the all waters of Korea.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March to May during spring, June to August during summer, September to November during autumn, and December to February (in the following year) during winter. We performed hydroacoustic surveys across the all waters of Korea from July to September 2019 and from February to May 2021, using research vessels Tamgu No. 20, 21, and 22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In spring, the highest value of the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of common squid was 277 m2/nmi2 at the central sea area of Busan. Additionally, the open sea of Incheon and Gunsan and the southern seacoast showed large collection volumes of common squid. In summer, the Ulsan coastal sea area showed the highest cluster of the common squid with an NASC of 880 m2/nmi2, with the largest collection volume along the Incheon and Yeosu coasts. During autumn, northwest Jeju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the common squid with an NASC of 1,660 m2/nmi2, with the largest collection volume along the open sea of Incheon and Gunsan. In winter, common squid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the sea area near Busan. The largest collection volumes of the squid were in the open sea south of Jeju and the sea areas near Yeosu and the south of Busan. However, the NASC value along almost all survey line was lower than in the other seasons.

      • 동수역학적 통합외력모형을 이용한 장기간 해안지형변화 모의 및 분석

        권경환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55

        해안의 개발로 인한 연안의 모래이동 경향 변화는 급격하게 일어나며 지역적으로 침식 및 퇴적 현상이 가속화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번 침식되거나 퇴적된 모래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그 원인 규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오랜 기간의 노력으로도 불가능할 수도 있다. 연안의 모래자원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앞으로 지구는 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안침식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어 종합적인 대책과 지원이 필요하다. 연안표사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연안류에는 조석에 의해 기인하는 조류, 내습 파랑에 의해 흐름의 크기 및 방향이 결정되는 해빈류, 바람에 의해 생성되는 취송류 및 하천 유량에 의한 흐름(권경환, 2012) 등이 있다. 황우치 주변해역은 지속적인 화순항의 방파제 건설 및 확장공사로 인해 표층모래의 이동경향이 변화해 왔다. 이에 황우치 해변은 급격한 침식이 발생하였고 인근 화순항 내측에서 모래퇴적이 발생하여 항내 유지준설이 정기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화순항은 1991년 연안항으로 지정된 후, 1995년 화순항 방파제 실시설계계획을 수립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화순항 1단계 개발사업, 동방파제 연장과 2단계 개발사업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화순항 동방파제 건설로 인해 황우치 해변의 침식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해변 전면 수중에 2기의 잠제를 건설하였고, 황우치 해변에 22만㎥의 양빈 공사를 하였다. 그러나 잠제 건설과 양빈 이후에도 황우치 해변은 지속적인 침식이 발생하여, 황우치 해변의 서쪽에서는 모래를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연안의 다양한 인공구조물 건설로 발생하는 모래의 침식과 퇴적환경 변화 현상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모래 이동 연구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안의 모래 이동 경향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장기간 해양 물리 관측자료 및 수치계산으로 해역의 모래 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해양물리 요인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고 수심측량, 항공사진 측량을 통해 해저지형, 해변 및 해안선의 변화에 대해 현황을 분석하였다. 장기간 모니터링으로 수집한 해양물리 자료와 수심측량 자료를 수집하여 모래이동의 주요 외력조건에 대한 해양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지형변화 계산 시 연안 표사이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외력 요인이 동시에 반영되는 계산을 수행하는 데 있어 물리적,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계산기법의 발달과 계산 속도의 향상으로 동수역학모형에 다양한 외력을 동시에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연구 동향을 보면 연안의 지형변화 계산 시 파랑을 반영하여 현상과 유사한 계산 결과를 도출한 사례들이 늘어가는 추세이다. 지형변화량 계산에 있어 1 조석 주기나, 통계분석에 의한 대표 외력 조건에 의한 지형변화 계산 결과는 1년 ~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연안 모래이동 경향을 대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 연간 파랑 입력조건을 이용하여 연안의 침퇴적 계산을 수행한 사례가 있지만 조석, 조류, 파랑, 해빈류를 동시에 반영하여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계산을 수행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후측자료를 입력자료로 한 20년간 해역의 모래이동을 계산하고 기존 계산기법의 결과와 비교를 하였으며 동수역학적 통합외력 모형의 장기간 지형변화 계산의 장점과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관측자료의 보완으로 연속적인 파랑자료 획득을 위해 1979년부터 제공하는 장기파랑 후측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해역의 40년간 내습파랑 특성을 분석하고 2000년대 이후 화순항 인근의 모래이동 경향성의 변화 과정을 해석하기 위한 수치모형 실험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모래기원 분석, 모래이동 경향분석과 수중조사를 통한 복합적인 모래이동 분석결과와 수치모형 실험의 결과를 비교하며 조석, 조류 및 파랑 통합모형이 자연현상과 유사한 결과를 제시함을 확인하고 해안개발에 따른 모래이동 경향 변화를 비교하였다. 조석에 의한 조차가 큰 해안에서 수위변화에 의한 수심이 변화한다. 이와 같은 고정된 수위 조건에서 실험하는 경우 해안선 부근에서 자연 현상과 상이 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절별 대표 파랑을 파향별 파랑 내습 빈도 및 통계분석을 이용한 실험을 보면 내습 파랑 중 특정 파랑에 대해서만 계산이 수행되어 장기간 내습 파랑의 특성을 포함하지 못하며 연안 부근의 수심 변화가 실제 수심측량 성과의 경향과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안개발에 따른 지형변화 검토를 위해 2000년 ~ 2019년까지 동일 외력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20년 계산된 실험결과의 분석은 크게 20년 실험 이후의 모래 퇴적층의 두께, 침‧퇴적 변화와 표사이동 누적 벡터를 분석하였다. 계산결과를 보면 화순항 및 황우치 해변 인근에서는 화순항 개발에 따라 모래 이동의 방향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남동쪽 외해의 모래 이동 방향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향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국부적인 구조물의 건설은 인근 해역 전체의 장기적인 물질이동의 방향에 대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외력 성분을 반영한 동수역학적 외력모형은 지형변화량 계산의 정성적, 정량적 정확도를 높여주며, 실제의 자연현상과 유사한 수치실험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해안개발에 따른 설계, 환경적 영향 평가 시 동수역학적 통합외력모형을 활용한 장기간 지형변화 수치실험 방법을 활용한다면 연안 모래이동 환경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Sand transport trends change radically due to injudicious developments in coastal areas that accelerate local erosion and deposition. Once soils are eroded or deposited,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reclaim the process back to the original state as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phenomenon itself is such a complicated process and can be unachieved even with years of effort. Thus, management of sand resources must be considered more significantly as concerns arise for increased number of areas that are affected by beach erosion due to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Hence countermeasures and supports by the federal government is required. Tidal current, wave induced current, wind drift currents and flow due to river discharge are different littoral currents that cause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Kwon 2012). The movement trend of the surface erosion in Hwangwoochi Beach has changed due to breakwater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Hwasun Port. Therefore, Hwangwoochi Beach has been rapidly eroded and sizable amount of sand sediments have occurred within Hwasun Port which is being dredged regularl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20). Hwasun Port was designated as a coastal port in 1991 and the development plan for Hwasun Port breakwater was initiated after establishing a working plan implementation in 1995. With the completion of first stage development for Hwasun Port, extension of eastern breakwater and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were initiated which resulted in current formation the port. The construction of eastern breakwater continued to raised issues on Hwangwoochi Beach hence installations of two submerged reefs in front of the beach and beach nourishment on 220,000㎡ area were carried out. However, regardless of all the effort, Hawngoochi Beach continued to erode and only left very small amount of sand in west side of the beach. Various methods on studying the sand movement are utilized to determine the cause of sand erosion and changes in sedimentary environment due to the construction of numerous artificial structures along the coast. Long-term physical oceanography survey and numerical calculation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to analyze changes in sand movement trends. Therefore, external conditions that could affect sand movement can be reviewed through various techniques such as analysis of changes in seabed terrain, beaches, and coastlines using bathymetric data and aerial image survey. Long-term oceanography monitoring data and bathymetric survey data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environment for major external conditions of sand migration. Previously, physical and technical limitations on coupled calculations on various external forces that cause sediment transport existed during morphology change calculations. However, with recent development in computational methods as well as improvement in calculation speed, various external forces such as tidal elevation, wave, wind and more can be applied to a hydrodynamic model and calculated simultaneously. Recent research trend indicates that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produce highly realistic results occur when wave effects are considered while calculating coastal morphology changes. A single cycle of tidal activity or statistics analysis is not sufficient to be the major external condition for numerical modelling of more than 1 to 10 years of long-term coastal sand transport trends. Although, several studies considered yearly wave data inputs to calculate coastal erosion and accumulation, but the considered period is no longer than 10 years. In this study, long-term hindcast data was used an input data to account for the sand transport over 20 years of time and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generic computational method followed by an evaluation of the integrated hydrodynamic model for its advantage and application on long-term morphology change calculation. The long-term hindcast model provided wave data from 1979 and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coming waves over the period of 40 years. The analyzed data was used as an input data to compute sand movement trend and the process of change near Hwasun Port after year 2000s. Additionally, the results of complex sand movement analysis through sand origin analysis, sand movement trend analysis, and underwater investigation with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 experiments were compared to present similarities in tidal-current and wave integrated model and actual and both actual and simulated results in sand migration trend. Areas with large tidal range have tendency to change depths by change in water elevation. If experiments are conducted under such fixed water level conditions, it is estimated that the results will differ from natural phenomena that actually occur near the coastlin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statical analysis and frequency of incoming waves from every direction seasonally,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computed results and the survey results for bathymetry can be observed since only certain wave effects were only considered and this exclude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long-term incoming wave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identical external force conditions from 2000 to 2019 to review the changes in the landscape following coastal develop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ickness of sand deposits, deposition and accumulation change, accumulated vectors of sand transport were analyzed and showed evidence that coastal development of Hwasoon Port affected the sand transport trend in Hwangwoochi beach and Hwasoon Harbor. In the southeast outer sea area, sand transport in anti-clockwise direction was found which indicates that installation of localized rigid structure impacts the long-term material transport over the entire coastal area. Integrated hydrodynamic models that utilizes several externa l conditions improve qualitive and quantitative accuracies of morphology change calculations and produce results that are close to real life scenarios relatively well. From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it can be deduced that; Long-term morphology change experiments using integrated hydrodynamic model is a suitable method for the analysis and prediction of coastal sand transport during an environment and design impact assessment for any coastal development.

      •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고등어의 분포 및 밀도 추정

        박근창 전남대학교수산해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Chub mackerel is a commercially important fish species and is regulated by TAC(Total Allowable Catch). To preserve chub mackerel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 biomass of mackerel and its distribution. Trawl survey, Zooplankton net, and Acoustic survey are methods used to evaluate fisheries resources. Among them, the acoustic survey method is widely used in estimating the biomass to its ability to investigate the entire water layer with a short time. Although the acoustic survey method can be used to obtain the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SV) of target organisms in a survey sea area, accurate target strength(TS) is required for an accurate estimation of target organisms.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seasonal(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density of chub mackerel in all the seas in Korea, based on its acoustic scattering characteristics, which is a function of the frequency of mackerel, using an acoustic scattering theory model. We estimated the acoustic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chub mackerel, using the KRM model. We carried out the acoustic survey in all the seas in Korea, using research vessel tamgu 20, 21, and 22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which is equipped with an echo-sounder. The maximum TS for each swimming angle of chub mackerel was -33.0 dB at a swimming angle of -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chub mackerel and the average TS are expressed in the following equations: TS=11.41log10FL-54.37 at 38 kHz; TS=7.21log10FL-49.16 at 70 kHz; TS=5.55log10FL-47.34 at 120 kHz; and TS=6.35log10FL-48.85 at 200 kHz. The values of the seasonal density distribution of chub mackerel in each season were as follows: 2.23 g/m² in the southeast seas during the springtime; 6.38 g/m² in the East Sea during summer; 0.68 g/m² in the East Sea during autumn; and 0.30 g/m² in the southeast seas during wi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primary data for identification of fish species and the biomass of chub mackerel. 고등어는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어종이며, 우리나라 총허용어획량 어종 중 하나이다. 이러한 고등어의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고등어의 분포 및 현존량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산자원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트롤 조사 방법, 동물플랑크톤 네트 조사 방법, 음향 조사 방법이 있다. 그 중 수중음향을 이용한 자원조사 방법은 짧은 시간에 전 수층을 조사할 수 있어 현존량 평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음향 조사 방법은 조사해역에서 대상 생물의 체적후방산란강도(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SV)는 취득할 수 있지만, 대상 생물의 현존량 평가를 위해서는 정확한 음향산란강도(Target strength, TS)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향산란이론모델을 이용하여 고등어의 주파수별 음향산란특성을 추정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 해역에 서식하는 고등어의 계절별(춘계, 하계, 추계, 동계) 밀도를 파악하였다. 고등어의 음향산란특성은 KRM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과학어군탐지기를 탑재한 국립수산과학원 탐구 20호. 21호, 22호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음향 조사를 수행하였다. 고등어의 자세각별 최대 TS는 유영자세각 –8°에서 –33.0 dB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등어의 체장과 평균 TS의 관계식은 38 kHz에서 TS=11.41log10FL-54.37, 70 kHz에서 TS=7.21log10FL-49.16, 120 kHz에서 TS=5.55log10FL-47.34, 200 kHz에서 TS=6.35log10FL-48.85로 나타났다. 계절별 고등어의 밀도 분포는 춘계 시기에 동·남해 해역에서 2.23 g/m²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계 시기의 분포 밀도는 동해 해역에서 6.38 g/m²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계 시기에 고등어의 분포 밀도는 동해 해역에서 0.68 g/m²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동계 시기에는 0.30 g/m²으로 동·남해 해역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해역에서 서식하는 주요 부어류인 고등어의 현존량 평가와 어종 식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낚시어선 안전관리 실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한원근 전남대학교수산해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sharp increase in fishing users and fishing boats in recent years is acting as a factor in increasing safety accidents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safety accidents on fishing boats, the government continue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of fishing boats, such as adding to the 「Fishing Management and Promotion Act」 the requirements for the boarding experience of the fishing boat captain and the safety personnel embarkation, which have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It has been prepared and implemented. However, even though the current fishing boat is a multi-use ships, there is a limit in implementing the active safety management for fishing boats because the 「Fishing Vessels Act」, which has relaxed standards in terms of ship safety management, is applied. In addition, the increasing number of fishing boats causes fierce competition between ships, which not only worsens the business conditions of fishing boats, but also causes safety accidents such as speeding to preoccupy fishing grounds, long-distance fishing due to reduced fishery resources, increased fishing time and lack of rest time. It creates new risk factors. This study aims to derive an effective fishing boat safety management plan by identifying the current fishing boat operating system and problems with on-site stakeholders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d surve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ntry into the fishing and fishing boat business from the current reporting system to the license system to prepare safety standards at the level of passenger ships or excursion ships and ferrie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fixed number of persons on board for general fishing boats applied to current fishing boats in accordance with multi-use ships such as guided and excursion ships. In addition, to prevent excessive competition for occupation of fishing grounds and use of fishery resources with general fishing boats,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fishing boats,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nd operate a limited number of fishing boats permitted in each region. In terms of safe operation of fishing boat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fishing boat rest system to ensure the captain's rest time, and to make it mandatory to provide not only safety education for current fishing boat proprietors but also minimum basic safety education for fishing users. 최근 수년간 낚시 이용객과 낚시어선의 급증은 동시에 안전사고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낚시어선의 안전사고를 절감하고자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낚시어선 선장의 승선경력 요건과 안전요원 승선에 관한 내용을「낚시관리 및 육성법」에 추가하는 등 낚시어선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낚시어선은 다중이용 선박임에도 선박안전관리 측면에서 기준이 완화되어있는「어선법」을 적용받고 있기에 낚시어선에 대한 적극적인 안전관리를 시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증가하는 낚시어선의 척수는 선박 간의 치열한 경쟁을 야기하여 낚시어선의 경영여건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어장 선점을 위한 과속, 수산자원 감소에 따른 원거리 출조 및 그에 따른 출어시간 증가, 휴식시간 부족 등 안전사고 발생위험 요인을 새롭게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각종 문헌과 설문조사를 통해 현행 낚시어선의 운영제도와 현장 이해 관계자들이 갖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낚시어선 안전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도적인 측면에서 낚시어선 사업진입을 현행 신고제에서 면허제로 변경하여 여객선이나 유·도선 수준의 안전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지금의 낚시어선에 적용하는 일반어선 승선인원 산정 방식을 유·도선 등의 다중이용 선박에 준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어선들과의 어장 점유 및 수산자원 이용에 대한 지나친 경쟁을 예방하고 체계적인 낚시어선 관리를 위해 각 지역별로 낚시어선 허가정한수를 마련하여 운영하는 것을 제안한다. 낚시어선의 안전운영 측면에서는 선장의 휴식시간 보장을 위한 낚시어선 휴식일제를 시행하고, 현행 낚시어업자의 안전교육뿐만 아니라 낚시 이용객들에 대한 최소한의 기초안전교육도 의무화시킬 필요가 있다.

      • 새동백호에 탑재된 과학어군탐지기(EK80)에서 발생하는 잡음의 특성

        김준우 전남대학교수산해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무분별한 남획으로 전 세계 어족자원이 고갈되어 가고 있으며 수산자원의 회복을 위해 자원량 평가에 관한 기초 연구와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CES 권고안이 발간된 이후부터 선박의 잡음, 잡음 배출량 등에 관한 연구가 있었으며, 과학어군탐지기의 개발로 인해 종 차별화가 가능해지면서 EK80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또한, 현재까지 음향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잡음 제거 기법과 잡음의 소거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PP 프로펠러를 탑재한 새동백호에서 EK80 과학어군탐지기에 유입되는 잡음의 특성을 선속도별, 주파수별, 수심별 SV(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값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수산자원 조사 시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새동백호에 탑재되어있는 EK80은 선속별 잡음의 유입이 정선 중일 때 가장 작게 나타나며 선속이 8 knots일 때 잡음이 가장 크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주파수별 선속도에 따른 잡음의 변동 폭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주파수별 수심에 따른 오차범위는 38 kHz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수심별로 유입되는 잡음은 표층에서는 작게 나타나고 해저에 가까워질수록 커지는 특성이 나타났다. 데이터 분석 결과 음향조사 시 적정 요구 선속은 10~12 knots로 판단된다. Uncontrolled overfishing has depleted global fishery resources, and the need for basic researc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regarding the assessment of the latter has been highlighted as a way to restore marine resources. The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of the Sea guidelines has prompted research on the noise generated by ships and noise emission in general. The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echo sounder increased interest in the EK80 system as species differentiation became possible. In addition, ongoing studies are actively investigating noise removal and cancellation through acoustic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ise received by the EK80 scientific echo sounder aboard the training ship Saedongbaek, which had a controllable pitch propeller, in terms of ship speed, frequency, water depth, and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SV). The aim was to develop the minimum criteria required in surveys of marine resources. The EK80 aboard the Saedongbaek showed that the level of noise in terms of ship speed was lowest at the static state and highest at the speed of eight knots. The variance for the level of noise regarding ship speed per frequency was not significant, while the error range for water depth per frequency was the greatest at 38 kHz. The level of noise in terms of water depth was low at the surface and showed an increasing trend at levels nearing the ocean floor.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optimum ship speed for acoustic surveys was 10–12 knots.

      • 볼락속(Sebastes) 어류 3종 비뇨계의 미세해부학적 기재

        오한영 전남대학교수산해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해양 경골어류인 볼락 Sebastes inermis, 조피볼락 S. schlegelii 그리고 불볼락 S. thompsoni 비뇨계의 형태 및 조직학적 특징을 해부학적, 광학현미경적 연구를 통해 기재하였다. 볼락속 어류 3종의 비뇨계는 신장, 수뇨관, 방광으로 구성되었다. 신장의 형태와 미세해부학적 구조는 기존에 보고된 해양 경골어류와 차이를 보였는데 “Y”형태로 형태학적으로 두신이 체신보다 발달했으며, 3종 모두 두신에서 림프성 간질조직과 네프론 구조가 확인되었다. 네프론의 조직학적 구조는 기존에 보고된 경골어류들과 유사했다. 네프론은 신소체와 세뇨관으로 구분되었으며, 신소체는 사구체를 보우먼주머니가 사이에 공간을 두고 감싼 형태였다. 사구체는 모세혈관이 둥글게 뭉친 실타래 형태로 모세혈관, 유족세포와 사구체 간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보우먼주머니는 외층과 내층으로 구분되었다. 세뇨관의 상피층은 단층의 원주형 상피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자유면에는 선조연이 발달했다. 두신의 사구체 분포율은 피질부 보다 수질부에서 높았으며, 불볼락, 조피볼락, 볼락순으로 높았다. 수뇨관은 외층, 중간층, 내층의 조직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내층은 단층 원주형 상피세포로 구성되며, 중간층은 환상근과 결합조직, 외층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체장에 대한 상대수뇨관길이비 (RLUt: relative length of ureter)와 상대수뇨관직경비 (RDUt: relative diameter of ureter)는 3종에서 유사했으며, 상대수뇨관두께비 (RTUt: relative thickness of ureter)는 볼락이 다른 두 종에 비해 높았다. 수뇨관의 조직학적 구조는 다른 해양 경골어류들과 유사했다. 볼락속 3종의 수뇨관은 중간부분이 가장 크고 얇은 형태적특징을 나타냈고 볼락이 조피볼락과 불볼락에 비해 두꺼운 수뇨관을 가지고 있었다. 방광은 수뇨관과 같이 3개의 조직층으로 구성되었다. 방광의 내층은 단층 원주형 상피세포로 구성되며, 상피세포의 자유면에 존재하는 선조연은 수뇨관에 비해 잘 발달 되어있었다. 중간층은 결합조직과 환상근으로 구성되며, 외층은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체장에 대한 상대방광길이비 (RLUb: relative length of urinary bladder)는 3종에서 유사했으며, 상대방광직경비 (RDUb: relative diameter of urinary bladder)와 상대방광두께비 (RTUb: relative thickness of urinary bladder)는 불볼락이 가장 높았고 볼락, 조피볼락 순이었다. 방광의 조직학적 구조는 다른 해양 경골어류들과 유사했다. 불볼락의 경우 볼락과 조피볼락보다 방광은 두껍고 컸다. 볼락속 3종 비뇨계의 조직학적 구성은 유사하나 비뇨계 형태의 경우 종별로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은 종의 서식 및 배설, 삼투조절 생리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present study, fundamental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data were obtained by describing the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urinary system in three species of the marine teleost genus Sebastes: dark-banded rockfish (S. inermis), Korean rockfish (S. schlegelii), and goldeye rockfish (S. thompsoni). The urinary system of the three studied Sebastes species comprises the kidneys, ureter, and urinary bladder. The morphology and microanatomical structure of the kidneys differs from the previous reports in other marine teleosts. Morphologically, in a “Y” shape, the head kidney is more developed than the body kidney. Lymphoid interstitial tissue and nephrons are present in the head and body kidney. Histologically, the nephron structure is similar to that previously reported in other marine teleosts. Briefly, the nephrons are divided into renal corpuscles and tubules. The renal corpuscle is in the form of a glomerulus surrounded by the Bowman’s capsule, with Bowman’s space in between. The glomerulus is in the form of a skein with round capillaries. The glomerulus comprises capillaries, podocytes, and the mesangium. The renal tubules comprise a single layer of columnar epithelial cells, with a striated border on the free surface of the epithelial layer. In the head kidney, glomerular distribution is greater in the medulla than in the cortex. Specifically, glomerular distribution in the head kidney increased in the order of S. thompsoni > S. schlegelii > S. inermis. The ureter comprises an outer, a middle, and an inner layer. The inner layer constitutes a single layer of columnar epithelial cells; the middle layer constitutes circular muscles and connective tissues; and the outer layer constitutes connective tissue. The relative length of the ureter to the length of the body and the relative diameter of the ureter to the length of the body were similar among the three species. The relative thickness of the ureter to the length of the body was the highest in S. inermis, followed by S. schlegelii and S. thompsoni.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ureter in the three studied species is similar to that in other marine teleosts. Although the three Sebastes species exhibited similar ureter morphology, with the middle part being the largest but the thinnest, the ureter was thicker in S. inermis than in S. schlegelii and S. thompsoni. The bladder, similar to the ureter, is divided into three layers. The inner layer of the bladder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of columnar epithelial cells, although the striated border on the free surface of the epithelial cells is better developed in the bladder than in the ureter. The middle and outer layer structure is similar between the bladder and ureter. The relative length of the urinary bladder to the length of the body was similar among the three species. The relative thickness of the urinary bladder to the length of the body and the relative diameter of the urinary bladder to the length of the body were the highest in S. thompsoni, followed by S. inermis and S. schlegelii. The histology of the bladder in the three studied species is similar to that in other marine teleosts. The bladder was thicker and larger in S. thompsoni than in S. inermis and S. schlegelii. Overall, the microanatomical structures of the urinary system differ across teleost species due perhaps to the diversity of habitats and variations in the physiology of excretion and osmotic regulation.

      • 완도해역 해조상

        장욱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39

        완도해역에서 서식하는 해조류의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동년 12월까지 계절별 4회에 걸처 7개 정점을 선정하였다. 조사 방법은 50㎝×50㎝의 방형구를 이용하여 종조성, 빈도, 피도와 현존량을 측정하고, 우점종 파악을 위한 중요값을 산출하였다. 조사 해역에서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총 105종으로 녹조류 14종, 갈조류29종, 홍조류62종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출현종은 춘계에 총74종으로 녹조류가 13종, 갈조류가 22종, 홍조류가 39종이며, 하계에 총 42종으로 녹조류가 4종, 갈조류가 11종, 홍조류가 27종이며, 추계에 총 55종으로 녹조류 4종, 갈조류 16종, 홍조류가 35종이며, 동계에 총 67종으로 녹조류 8종, 갈조류 18종, 홍조류 42종이 나타났다. 출현량 평균은 1,590.8gWWt/㎡으로, 녹조류가 147.6gWWt/㎡, 갈조류가 984.8gWWt/㎡, 홍조류가 458.4gWWt/㎡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출현량은 춘계에 1,988.2gWWt/㎡로 녹조류가 312.8gWWt/㎡, 갈조류가 1,155.5gWWt/㎡, 홍조류가 519.9gWWt/㎡이며, 하계에 823.6gWWt/㎡로 녹조류가 70.7gWWt/㎡, 갈조류가 488.9gWWt/㎡, 홍조류가 264gWWt/㎡이며, 추계에 1,522.9gWWt/㎡로, 녹조류가 91.2gWWt/㎡, 갈조류가 915.3gWWt/㎡, 홍조류가 516.5gWWt/㎡이며, 동계에 총 2,028.6gWWt/㎡로, 녹조류가 115.6gWWt/㎡, 갈조류가 1,379.7gWWt/㎡, 홍조류가 533.4gWWt/㎡이 나타났다. 우점종은 해조류 군집에 출현한 중요도(Important Value, IV>5)을 산출한 결과 완도해역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구멍갈파래, 톳, 미역, 감태, 외톨개모자반이 순으로 우점하였다. 계절별 조사에는 춘계조사가 구멍갈파래, 지충이, 미역, 감태, 하계조사가 우뭇가사리, 지충이, 외톨개모자반, 추계조사가 우뭇가사리, 지충이, 감태, 동계조사가 지충이, 미역 순으로 우점하였으며, 전 조사지점의 조사 기간 동안 타나난 해조류에 대한 (R+C)/P값 평균은 2.85으로, 완도해역의 해조상은 온대지역으로 나타났다. To clarify the marine benthic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7 sites in Wando Island, south coast of Korea. The investigattion was carried out March to December 2012, using 50×50㎝ quadrats in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 Algal species composition dominant species, frequency, coverage, biomass and important value for the community analysis were analyzed. The number of appeared species was 105 species in total, including 14, 29 and 62 species of Chlorophyta, Phaeophyta and Rhodophyta.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in spring was 74 species (13 species of Chlorophyta, 22 of Phaeophyta and 39 of Rhodophyta) ; that of species in summer was 42 species (4 species of Chlorophyta, 11 of Phaeophyta and 27 of Rhodophyta) ; that of species in autumn was 55 species (4 species of Chlorophyta, 16 of Phaeophyta and 35 of Rhodophyta) ; that of species in winter was 67 species (8 species of Chlorophyta, 18 of Phaeophyta and 42 of Rhodophyta). The biomass of appeared species was 1,590.8gWWt/㎡ in average , including 147.6gWWt/㎡, 984.8gWWt/㎡ and 458.4gWWt/㎡ of Chlorophyta, Phaeophyta and Rhodophyta. The biomass in spring was 1,988.2gWWt/㎡ (312.8gWWt/㎡ of Chlorophyta, 1,155.5gWWt/㎡ of Phaeophyta and 519.9gWWt/㎡ of Rhodophyta) ; that in summer was 823.6gWWt/㎡ (70.7gWWt/㎡ of Chlorophyta, 488.9gWWt/㎡ of Phaeophyta and 264gWWt/㎡ of Rhodophyta) ; that in autumn was 1,522.9gWWt/㎡ (91.2gWWt/㎡ of Chlorophyta, 915.3gWWt/㎡ of Phaeophyta and 516.5gWWt/㎡ of Rhodophyta) ; that in winter was 2,028.6gWWt/㎡ (115.6gWWt/㎡ of Chlorophyta, 1,379.7gWWt/㎡ of Phaeophyta and 533.4gWWt/㎡ of Rhodophyta). The important value(IV>5) of species Gelidium amansii, Sargassum thunbergii, Ulva pertusa, Hizikia fusiformis, Undaria pinnatifida, Ecklonia cava, and Myagropsis myagroides ; that in spring was U. pertusa, S. thunbergii, and E. cava ; that in summer were G. amansii, S. thunbergii, and M. myagroides ; that in autumn was G. amansii, S. thunbergii, and E. cava ; that in winter was S. thunbergii, and U. pinnatifida. The value of (R +C)/P was 2.85, so the marine algal flora in Wando area could be thought as temperate.

      • 민어과(Sciaenidae) 어류의 형태, 골격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

        오용석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50639

        민어과(Sciaenidae) 어류의 형태, 골격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 오 용 석 전남대학교대학원 수산과학과 (지도교수 : 한 경 호) (국문초록) 민어과(Sciaenidae) 어류의 형태, 골격 및 계통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2006년 3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우리나라의 서 ․ 남해안에서 안강망, 저인망 및 인근 소형 어선을 이용하여 5속 7종의 표본을 채집하여 형태형질과 골격, 수리분류학적 유집분석 및 유전적 유연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의 민어과 어류의 연구는 Jordan and Starks (1905)가 제물포에서 라강달이(Larimichthys rathbunae)를 채집하여 처음 보고한 후 Jordan and Metz (1913)는 3속 9종으로, Mori and Uchida (1934)는 4속 10종으로, Mori (1952), Chyung (1977)은 5속 13종으로 분류하였으며, 현재는 Lee and Park (1992)이 강달이속(Collichthys)의 민강달이(Collichthys lucidus)와 황강달이(Collichthys fragilis)는 동일종으로 확인되어 5속 12종으로 분류한 방법을 따르고 있었다. 형태적인 분류형질로는 머리의 모양,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비늘의 유무, 아래턱의 감각 관공 수, 구강 및 체색, 부레의 형태와 옆가지 수 등이 있었다. 계수형질의 등지느러미 줄기 수는 조기속(Larimichthys)이 30~35개, 뒷지느러미 줄기 수는 강달이속이 11~13개, 가슴지느러미 줄기 수는 민어(Miichthys miiuy)가 20~22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 다른 속들과는 잘 구별되었다. 계측형질에 따른 종간의 상대성장에서는 전장에 대한 항문장, 체고, 지느러미 길이, 두장, 체장 등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내었으며, 두장에 대한 주둥이 길이, 눈 크기, 양안간격에서도 유의한 차를 나타내었다. 골격 분류형질로는 서골(vomer), 액골(frontal), 익이골(pterotic), 부설골(parasphenoid), 기저설골의 중앙 돌기(median process of basisphenoid), 상후두골(supraoccipital), 기저후두골의 중앙 돌기(basioccipitial median process)와 비골(nasal), 제 2안하골(2nd suborbital), 관절골(articular), 후익상골(metapterygoid), 제 3추골(ventral process of 3rd vertebra) 등이 있었다. 골격 분류형질 중에서 강달이속과 조기속간에는 서골의 앞쪽과 양 옆면의 돌기 사이에 융기부가 뚜렷한 점과 익이골의 바깥 표면이 3개의 가시만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인 점과 비골과 제 2안하골의 질이 엷은 껍질인 점이 공통형질이었다. 골격형질과 형태형질, 계수 ․ 계측형질, 부레의 형태 등을 비교형질로 이용한 수리분류학적 유집분석(Cluster analysis)한 결과 현재 민어과 어류의 속 또는 종간의 분류와도 일치하였고, 강달이속과 조기속이 가장 가깝게 유집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염기배열에 의한 계통유연관계를 연구한 결과 강달이속과 조기속이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내었고, 현재 민어과 어류의 속 또는 종간의 분류와도 일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민어과 어류 5속 7종에 대하여 분류학적 주요 형질을 중심으로 민어과 어류의 속 및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고, 각 종들의 형태형질, 계수 ․ 계측형질, 골격형질, 수리분류학적 유집분석, 유전적 분화관계를 기재하면서 민어과 어류의 계통유연관계와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