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의 동아시아 경제정책에 관한 소고 -동아시아 경제위기를 중심으로-

        서동천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1999 경상논집 Vol.13 No.1

        One irony of the recent economic crisis in East Asia is that although the crisis management has been mainly conducted by the IMF and the U.S. government, there exist few literature that analyze the U.S. policy toward the crisis in the context of its foreign economic policy. This paper is an attempt to partially remedy this deficiency. An analysis of the U.S. foreign economic policy is as complex as its foreign policy analysis. For the sake of analytic simplicity without losing generality, I hope, this paper only considers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factors, domestic economic factors, and cultural factors in the formulation of the policy. Cultural factors are included here in view of the unusually strong cultural and ideological contents in the IMF conditionality. Huntington's paradigm of the clash of civilization is employed to explain this cultural factor in the post- Cold War international order led by the U.S. Som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U.S. policy have been obtained by analyzing records of congressional hearings, newspaper reports and statements made by policy makers. For instance, financial interests overwhelmed trade interests reflecting a growing importance of the financial sector in the U.S. economy. The long-term interest of opening the East Asian market was a dominant factor in the early response, but gradually replaced by the shot- term interest of financial stability as the financial crisis threatened global financial markets. It also shows that the utility of APEC, which has been an instrument of regional cooperation in the Asia-Pacific, is diminishing as the U.S. is gaining clear hegemony through the management of the crisis. Despite the growing need for regional cooperation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it is unlikely to be materialized because of the strong opposition by the U.S. and the lack of leadership in East Asia. In the meantime, the East Asian economies will converge toward American model of capitalism but the institutional change remains to be a critical factor in the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East Asia.

      • 글로벌경제위기이후의 한․중 경제관계와 중국시장에 대한 접근전략

        현정택(Jung Taik Hyun),홍진영(Jin Young Hong)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09 경상논집 Vol.23 No.1

        최근의 글로벌 경제위기는 세계경제와 무역구조에 큰 충격을 가져왔다. 본고는 이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의 한중경제관계의 변화 요인과 한국이 취해야 할 접근전략을 다루고 있다. 한중무역 구조는 한국이 중간재 또는 부품을 중국에 수출하고 중국은 이를 가공하여 최종재를 미국 등 선진국에 수출하는 형태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는데, 위기 이후에는 이러한 패턴이 지속되기 힘든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품 구조가 점차 경합구조로 바뀌고 있고 중국 자체의 자본재나 최종재의 수입이 확산되는 경향이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글로벌 임밸런스(global imbalance)의 해소에 따라 미국 소비시장의 중요성은 감소되는 반면 중국 내수지붕이 점차 확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관건은 중국정부의 정책인데 중국의 고용 사정으로 인하여 수출을 늘려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소득의 절반을 저축하고 있는 현재의 구조에 비추어 위기 이후 내수확대 정책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민간 저축률이 매우 낮은 수준에 있는 한국으로서는 위기 이후 한국자체의 내수를 늘리려 하기보다는 중국 내수 시장을 겨냥한 전략수립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의미에서 한중FTA의 조기 추진이 필요하다. The world economy experienced a global shock after the Lehman Brothers bankruptcy in fall 2008.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mpact of global economic crisis on Korea-China trade. The typical pattern of trade before the crisis was that Korea exported parts and intermediate goods to China, and China manufactured final goods and re-exported to U.S.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We find that this pattern is likely to change after the crisis recovery. The difference in level of technology between Korea and China is being reduced, and consequently composition of export goods is changing. Due to the adjustment of global imbalance, U.S. market as final demand source will not be expanding as fast as before and China has to rely more on domestic demand. Current excessive savings of China(savings of more than half of GDP) will be reduced and domestic cunsumption will be increased. Therefore, China's market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Korea. Korea needs to target China's market, and in this regard, Korea should make efforts for a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 with China at the earliest possible time.

      • ReverseLogistics국내외 연구 동향

        김용진(Kim, Yong Jin),하헌구(Ha, Hun-Koo),민정웅(Min, Jung Ung)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0 경상논집 Vol.24 No.1

        최근 환경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역물류 혹은 회수물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저널에 출판된 역물류분야의 최근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국내의 경우 2001년부터 출간된 약 20여편의 논문을 분석하였고국제 연구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200여편이상의 국제 논문을 분류하고 검토하였다.전통적인 물류분야인재고관리,수송부분,창고입지 뿐만아니라 공급사슬관리 전략 및 고객 서비스분야 가치 창조 분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망라하였다.국내 연구의 경우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고르게 수행되고 있었으나 외국 연구에 비하여 공급사슬전략 부분이 다소 미흡하였다.전체 가치사슬에서 경제적으로 또한사회적으로 역물류의 비중이 점차 중요해짐에 따라 보단 심화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Recently, reverse logistics gets huge attention from industry as well as consumers due to the environmental issues associated with it. Reflecting this trend, academia has done many researches, specifically focusing on reverse logistics. This research analyses recent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reverse logistics by inspecting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and Korean journals. As for Korean trend, we studied about 20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1. Over 200 international papers were reviewed and categorized in order to identify the state-of-the-art research trend. The volume of papers is steadily increasing. Topics of the papers have been expanded from the traditional logistics fields such as inventory, transportation, and warehouse location into supply chain, strategy, customer services, value creation, and etc. Interests in intensive and extensive collaboration can be observed within recent trend. In case of Korean research, all the papers have been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various fields in reverse logistics. However reverse log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SCM and strategy are relatively weak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trend. As reverse logistics become critical and essential part of total value chain in terms of economical and societal aspects,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advanced researches in these fields such as SCM and its strategic value enhancements.

      • 동아시아 발전과정에서의 중국의 경제성장

        김종길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1999 경상논집 Vol.13 No.1

        East Asian economies had grown remarkably before the so-called Asian currency or economic crisis broke out in the second half of 1997. There exists a variety of models as well as a substantial body of literature, which try to explain this growth in East Asia. China, which has pursued and succeeded with a similar growth mechanism as other East Asian economies, has nevertheless emerged as relatively unscathed from the crisis unlike from some of its neighbors.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are, first, to interpret the economic growth of China in terms with an East Asian growth mechanism, and second, to analyse the Asian economic crisis and its effect to Chinese economy within a framework of and East Asian growth mechanism. East Asian growth mechanism was especially derived from theories of Kojima's "flying-geese" and Watanabe's "self-circulation." Economic growth of China was then analysed in terms with expansion of exports, inflow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and interdependence of trade and investment with other economies in the region. There have been differing views on the cause of the Asian economic crisis; whether it was caused by an inherent weakness of the East Asian growth model, or whether it was caused by some exogenous factors. But is was emphasized that the weakness and backwardness of the financial sector contributed for the crisis and that the growing interdependence of trade and investment within the region was certainly responsible for the spread of the crisis. The reason for China getting away from perils of the crisis, unlike from its ASEAN neighbors and Korea, was that China had an abundant reserve of foreign exchanges and a relatively low foreign debt ratio. This was in turn possible by current account surpluses and be strict control on foreign exchanges and capital accounts by government. But China also shows similar symptoms of weakness with other Asian economies, such as unsound state enterprises and bad debts of financial institutions. Unless China deals with these problems wisely by structural reforms in both real and financial sectors, not only China would suffer but the vitality of East Asian growth and the expansion of growth frontier would also be in jeopardy.

      • 非對稱的 情報와 制約된 情報疏通下에서의 貨幣的 資源配分 機構

        장세진(Seh-Jin Chang)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1991 경상논집 Vol.5 No.-

        본고는 최적계약이론을 확충하여 사회적 최적자원배분기구를 선택하는 헌법적 문제를 분석한다. 사회적 최적자원배분기구는 시초보유량과 선호체계에 관한 모든 개인특유적 확률충격이 도래하기 전에 사회구성원 전체의 만장일치의 합의에 의하여 선택된다. 개개인의 최적자원배분기구선택은 사회적으로 시행가능(implementable)한 자원배분기구 중 기대효용을 극대화하는 안에 투표함으로써 시현된다. 시행가능한 자원배분기구의 집합은 (가) 사회적 자원배분대리인이 개인특유적 확율충격으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가, 그리고 (나) 자언배분대리인들 상호간에 정보소통이 자유로운가에 따라 다르며, 이들은 최종선택된 사회적 최적자원배분기구의 성격을 결정하게 된다. 이상적인 조건, 즉 (가)와 (나)의 조건이 모두 충족될 때, 이 경제는 완전보험하의 「파레토」최적을 달성하는 최선의 배분(first-best allocation)을 달성하는 제1종의 자원배분기구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특유적 확률충격이 도래하기 전의 가격에 의한 시장교환기구는 사회적 최적자원배분기구의 하나이며, 화폐의 사용은 임의적이다. 사적정보의 비대칭성이라는 제약만이 존재할 때, 즉 (나)의 조건만 충족될 때, 이 경제는 차선의 배분(second-best allocation)을 달성하는 제2종의 자원배분기구를 선택하게 된다. 이는 잘 알려진 도덕적 위험과 역선택에 기인하며, 최적자원배분기구는 중앙집권적인 배분기구의 형태를 갖게 되며, 이 경우 총가치함수는 일반적으로 비선형함수이기 때문에 가격과 화폐의 사용은 배재된다. 마지막으로, 사적정보의 비대칭성과 정보소통의 제약이 공존할 때, 즉 (가)와 (나)의 조건이 하나도 충족되지 않을 때, 이 경제는 차차선의 배분(third-best allocation)을 달성하는 제3종의 자원배분기구에 만족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최적자원배분기구는 화폐와 가격의 사용이 필수적인 분권적인 시장교환기구이며, 화폐는 자원배분대리인들 상호간의 정보교환의 모체로서 가능하고, 가격은 개개인의 정직성(truth-telling)을 보장하는 암호체계(coding system)로서 가능하게 된다. 제1종의 자원배분기구와 제3종의 자원배분기구가 외형상 유사하다는 것은 커다란 혼동의 근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현실경제가 사적정보의 비대칭성과 정보소통의 제약하에 제3종의 배분기구를 선택하고 있다면, 제1종의 배분기구 모형인 「애로우-드브뢰」식 일반균형모형 그 자체는 물론, 이에 인위적 마찰을 통하여 회폐를 도입한 모형도 현실경제와 크게 유리된 결론을 낳을 우려가 있다. 전형적인 시장경제체제에 있어서도 모든 자원배분이 일의적으로 시장기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원배분환경에 따라 정부, 기업, 가정, 종교, 우정 등이 다양하게 혼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이러한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 동북아시아에 있어 면직물 교역 패턴

        박영일(Young-Il Park)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1988 경상논집 Vol.2 No.-

        발전단계가 서로 다른 동북아시아제국의 잇달은 세계시장진입으로 세계섬유제품의 생산 및 수출에서 차지하는 동 지역의 중요성이 현저하게 증대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역내국가의 자원부존상태가 서로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섬유제품무역에 있어서 지역내·산업내 무역(intra-regional, intra-industry trade)의 급격한 확대라고 하는 특이한 현상이 있었다. 이 논문은 경제발전이 진행되고 있는 다국·다재세계에서 비교우위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일국의 산업·수출특화의 변화와 특정산업의 국제간 재입지를 동시에 설명하는 스킨(scheme)을 설정하여 동북아시아의 역내섬유제품 무역패턴변화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신규참여자(new comer)의 특정산업에의 등장은 기존수출국의 해당산업수출산업과 경쟁을 심화시키고 수출을 대체하는 시장대체효과와 보다 자본(기술)집약적 산업에 수출시장을 제공하는 수요창출효과를 갖는다. 서로 상반되는 양효과의 상호작용으로 신규 참여자의 등장은 기존수출국의 산업구조재편성에 기여하며 시장대체효과만을 강조하는 최근의 세계무역협상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경제성장과 환경보전 : 한국의 경험과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정책

        이상곤(Sang-Gon Lee)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1994 경상논집 Vol.8 No.1

        "지속가능한 개발"은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이 조화를 이룬다는 철학과 분석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러나 실제 경제사회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데는 여러가지 과제가 요구된다. 한국은 지리적으로 협소하면서 지난 30여년동안 경제에 있어서 대단한 양적 성장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의 여러가지 부정적인 부산물중에 환경오염이 포함된다. 21세기를 눈앞에 둔 현 단계에서 우리의 생활의 질을 높인다는 면에서 또한 국제환경보전 움직임에 참여한다는 면에서 "지속가능개발"의 성취를 위한 실천방안의 확립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성장과정의 회고, 환경에의 영향, 이를 해소키위한 환경보전 노력의 경제에의 접목, 또한 이를 위한 분석이 면밀하고 적절해야한다. 본 논문의 앞부분에서 한국의 경제성장과정을 네단계로서 구분하여 분석했다. 특히 1972년부터 1988년 사이의 중화학공업육성 단계에서 에너지의 집중적 사용과 이에서 비롯된 환경오염의 누적이 있었음이 정리되었다. 1986년이후 경제구조의 적응과 더불어 국내외환경문제와 관련된 여러 난제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경제개발과 구체적인 환경문제로는 산업구조, 에너지, 도시화 및 교통문제 등이 분석되었고 환경오염이 부문별로 진단되었다. 논문의 뒷부분에서는 과거의 우리나라의 환경경험이 정리되었으며 현재의 정책개선이 어떻게 진전되는지 분석되었다. 아울러 "경제도구"의 활용실태와 운용가능성이 논의되면서 보다 큰 효과를 얻기위해서는 Policy "Infrastructure"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대표적인 것으로 "환경경제지표", "기준 및 목표설정", "환경 가치산정체계" 등의 수립이 시급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한 경제도구의 효과를 십분살리기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 산업구조조정, 에너지절약 등의 계획과 병행되어야 한다는 건의도 아울러 주어졌다.

      • 한-아세안 경제관계 : 한-일경제관계에 대한 시사를 중심으로

        김종길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1997 경상논집 Vol.11 No.1

        30년대중반이후 지난 10여년간 한-아세안의 경제관계는 무역 및 투자의 양 측면에서 그 관계가 대체로 심화되어 왔다고 볼 수 있으나 90년전후를 피크로 그 이후에는 한국에서의 아세안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쇠락되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아마도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의 등장일 것이다. 물론 80년대후반 엔고의 타격이래 90년대에 들어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일본경제의 침체를 틈타 한국의 자본재 및 중간재의 대 아세안 수출이 증가되는 측면은 있으나 중국의 약진, 특히 한중간의 국교수립이후 수입선 및 투자선이 종래의 아세안국가들로부터 중국으로 크게 대체됨에 따라 한-아세안의 경제관계가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지속된다는 가정하에서 향후의 한-아세안 관계를 조망해본뒤, 이것이 또한 앞으로의 한-일 경제관계에 어떠한 시사를 하는지 살펴보았다. 향후 한-아세안의 경제관계는 기본적으로 이들의 공업화진전속도 및 강도에 의하여 결정되겠지만, 아세안의 대한 무역적자추세는 아세안의 대 한국 자본재 및 중간재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데 반하여 한국의 대 아세안 수입은 일부 원자재 및 중간재의 수입을 제외한 최종소비재(특히 노동집약적인)의 수요가 다른 동남아국가 및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때문에 크게 늘지 않으리라 보이기 때문에, 한국의 대일무역 적자가 한국의 빠른 공업화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는 것처럼, 단기간내에 개선되리가 전망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 한국의 대 아세안 직접투자는 공업화된 아세안에서는 대기업에 의한 대규모투자로, 기타 아세안국가 및 아세안가입이 전망되는 국가에서는 종래의 중소기업위주 노동집약적 경공업분야에 대한 투자로 집중되리라 예상되며 이곳에서는 선진화된 아세안국가로부터의 투자와 경쟁관계에 놓이게 되리라 추측된다. 한-일간의 경제관계는, 아세안의 공업화가 한-아세안간의 무역불균형을 심화시킨 것처럼, 현상태의 생산 및 교역구조하에서 한국의 고업화가 한일간의 무역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측면을 부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향후 양국간 투자관계는 보완적 또는 협동적 투자 관계의 모색을 통하여 양국 또는 아세안과 같은 제3국에 진출할 때 이는 한-일-아세안 모두에게 득이 될 뿐 아니라, 한일간의 무역불균형을 해소하는데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환율과 무역의 상호관계

        이광(Kwang Lee)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1989 경상논집 Vol.3 No.-

        1973년 봄, 고정환율제도가 붕괴되고 변동환율제도가 확산되면서 환율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끊임없이 발전·소개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환율변동이 무역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논쟁은 경제학자는 물론, 이윤을 목적으로 국제무역에 종사하는 사람들, 또 경제정책입안자한테도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더우기 최근에 급격하고 계속적인 원화절상을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환율 및 무역정책에 대한 논의에도 다소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환율과 무역에 대한 어떤 경제모형을 정립한다거나 수집된 자료를 모형을 통해 검증한 것이 아니라 그동안 이론적으로나 혹은 실증적 접근방법으로 연구발표된 논문들을 나름대로 통합하여 재검토하고 분석·연장하는데 그쳤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환율변동은 환위험과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국제무역의 감소를 가져오고 따라서 복지수준도 낮아진다는 주장은 많은 실증적 검증결과 지지받지 못하였으며 오히려 무역량만을 고려할 때 발달된 자본시장(외환시장)이 존재하는 한 변동환율제도가 고정환율제도보다 우월하다는 것이며 둘째, 자국통화의 평가절하는 자국의 무역수지를 향상시키고 반대로 평가절상은 무역수지를 악화시킨다는 일반적인 가설(가설 A)은 실증적연구결과 지지할 수 없었으며(다만, 환율변동이 자본계정을 통해 결국 국제수지에는 '정상적'인 방향으로 작용했음) 셋째, 환율변동이 무역수지에 끼치는 영향은 수입수요탄력성(수출공급탄력성) 접근방법으로 가장 적절히 분석된다는 전통적인 가설(가설 B) 역시 탄력성측정에 따른 개념 및 통계적 방법론의 문제점 등으로 받아들이기 힘들고, 따라서 넷째, 위 두 가설 A와 B의 실증적 결과가 회의적이기 때문에 환율과 무역수지 모두를 내생변수로 다루워야 하는 다국적거시경제모형을 정립하는데 있어서 이론적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는 것인데 이 문제는 계량경제학의 기술 및 자료이용의 향상등에 의해 점진적으로 해결·발전될 것이라 믿는다.

      • 항문의 인천경제에 대한 영향: 항만 개발·운영에 대한 지자체 참여를 중심으로

        이상곤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00 경상논집 Vol.14 No.2

        To maximize geo-logistical advantage of Inchon as a port, we first ne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ort on Inchon Economy. Three channels of the economic effects on Inchon Area can be identified. Those are direct channel, indirect channel and basic channel. Even in the direct channel, the economic effect can be seen through various factors. The most visible factor is the role of the port-related activities. This paper focuses on the examination of the role of 'port-related economic activities' in Inchon economy. Port-related economic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port-related industry', 'port-directly dependent industry', and 'port-indirectly dependent industry'. Impacts of those are measured for three different years, 1989, 1991, 1996 and the results of each year are compared each another. The trend shows that contribution of the port-related economic activities to Inchon economy has decreased. The results suggest the role of port-related activities in Inchon is important. We believe the efficiency of the role is related to the management/governance structure. In the efficiency of the role is related to the management/ governance structure. In the light of world-wide privatization trend of the port management/governance structure, several possible ways of changing the structure of Inchon port are examined in the paper. Then, tentative suggestions concerning the structural change was made based on rather 'intuitiv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