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역 · 번역 교수 역량 분석 연구

        최은실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lements of Interpretation/ 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are needed to operat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based on apprenticeship training and how these competencies can actually be applied to Interpreter and Translator Trainers classes. For them, trainers with practic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as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have been traditionally passed on their know-hows and strategies necessary for any given tasks with the goal of producing professional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Such apprenticeship-based classes don't require textbooks. That means trainers themselves select the text for the practice of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or trainers make students to select the text according to their guideline on the difficulty or amount of texts. In addition, apprenticeship-based classes require coaching and feedback from trainers. Such characteristics make the role of trainers more important in designing and operating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Given this, who should be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rainers? Is an experience as a translator and interpreter the prerequisite for becoming a good trainer? The practical experience of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s an essential qualification for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rainers has been posited in several studies (Kelly 2005; EMT Expert Group 2013; Pavlović and Autunović 2019). In addition, as more trainers are in the Ph.D. program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he number of operating lectures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o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pedagogy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trainers with knowledge of interpretation practice (interpretation/translation subject knowledge) and knowledge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pedagogy is increasing. This begs the question, ‘Are these two kinds of knowledge sufficient for efficient and effectiv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And that w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and the point where the concep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was introduced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PCK refers to knowledge about how to transform into knowledge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beyond subject knowledge or pedagogical knowledge. When the concept of PCK is applied to interpretation/translat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convert experiential knowledge related to the practice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or pedagogical knowledge for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rainers into a certain form of knowledge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it.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come up with answers to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factors regarding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for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rainers composed of and what is the ranking of their importance? Second, how can the Teaching Competency of Interpreter and Translator Trainers be converted to PCK when they design interpretation/translation classes? At this juncture, both research question 1 and research question 2 are not independent of each other. That means research question 1 is characterized by a prerequisite problem to solve research question 2. To begi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Delphi method were used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1,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al with research question 2. The interview consisted of a concept map method and a Content Representation (CoRe) method. The Delphi method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can achieve consensus among experts (panelists) by implementing several surveys with feedback. And this study attempted to reach an agreement on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two surveys of 22 translator trainers and 22 interpreter trainers. In in-depth interviews to find out how teaching competency was converted to PCK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ir classes, four instructors were first asked to draw the concept map of sub-knowledge categories, which were components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y, and then nine questions were used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CoRe method, one of measuring PCK.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s of teaching competency and PCK were derived from various studies to categorize the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y. And the ensuing categorization laid the foundation for designing questionnaires used in the Delphi method. In the first Delphi survey, the questionnaires both for translator trainers and interpreter trainers consisted of 24 questions. There, teaching competency was divided into five sub-categories: curriculum knowledge, teaching content knowledge, teaching methodology knowledge, learner knowledge, and evaluation knowledge.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four detailed indicators on each teaching competency and one subjective question. Evaluation knowledge differed slightly in structure (The category of evaluation knowledge had three indicators, as opposed to four, and one subjective question.). In addition, panels were asked to indicate the importance of each detailed indicator on a Likert scale. The survey results, in this study, were suggested after it was decided whether or not to maintain and delete sub-competencies based on the content validity, agreement value, and convergence valu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ranslator trainers considered ‘knowledge of causes that interfere with learning and solutions,’ and interpreter trainers considered ‘knowledge acquired through theory’ as unimportant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second Delphi survey, a questionnaire was provided after adding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o the panel. Adding comments were aimed to allow panels to reconsider their opinions when judg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after knowing the opinions of other panels. As a result of the second survey, the 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y outlined a total of 14 detailed sub-competencies, and the Interpretation Teaching Competency outlined a total of 15 detailed sub-competencies. Among them, the top thre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were ‘subject knowledge in the field of translation translators do,’ ‘knowledge of translators as jobs and translation markets,’ and ‘knowledge of job-related variables and strategies acquired through practice’ for 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y. In regards to Interpretation Teaching Competency, ‘knowledge of interpreters as jobs and interpretation markets,’ ‘knowledge of job-related variables and strategies acquired through practice,’ and ‘knowledge of interpretation competence.’ The result showed that interpretation/translation classes were designed mainly with the goal of producing professional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and operated in a practice-centered approach. Based on the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results from the Delphi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concept map and the CoRe method to analyze how the Teaching Competencies actually work in the process of designing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First of all, the four trainers (A, B, C, and D)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practical experience, lecture experience, and research. They were asked to draw a concept map to learn how to represent their teaching competencies that were conceptualized. In the design stage, each trainer had a different approach to the combination of knowledge categories corresponding to teaching competencies, and perceived priority of each competency slightly differently. In addition, when deciding on teaching content, teaching methodology, and evaluation methods, such decision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market or jobs—that was the base knowledge of curriculum.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of the CoRe method were analyzed using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used in Grounded Theory. Putting the analysis results together, the four trainers regarded the situation of the interpretation/translation market or the occupation of interpreters/translators as a “Causal Condition” and then identified the “Phenomenon” of the condition. And most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henomenon”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interpretation competence or translation competence. Experiences, especially ones during classes, of the trainers acted as “Context.” As an “Intervening Condition,” examples of trainers as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and requests or reactions of learners were used. Then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teaching strategies. Finally, as a result, learners produce “Consequences” in which their interpretation or translation competence have improved. With such resul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lected and studied trainers, one of the key players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study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education, and applied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y to interpretation/translation education. However, the Delphi survey did not consider some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result — for example, the specific language major and the status of trainers.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limited by the fact that only four instructors were surveyed, and that the study was not able to find trainers who are currently conducting research, practice, and lecture at the same time. Despite these limitations, based on the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derived in this study, I hope that attempts to study competencies of trainers in more detail using various factors, especially sub-competencies more specialized in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will continue in a qualitative way. 본 연구는 도제식 훈련을 기반으로 실습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는 통역 및 번역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통역·번역 교수 역량은 어떤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 실제로 수업을 설계할 때 해당 역량들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 통번역사를 배출한다는 목표 하에 통번역 수업에서는 보통 실무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통번역 관련 노하우와 전략을 전수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통번역 수업에서는 특정 교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교수자가 통번역 실습 활동에 사용되는 텍스트를 직접 선정하거나 교수자가 텍스트의 난이도나 분량 등을 지정한 후 학습자들이 해당 텍스트를 준비하게 된다. 또한 도제식 훈련 기반 수업에서는 교수자의 코칭과 피드백 역시 중요하다. 이와 같이 통번역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통번역 교수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통번역 교수자들은 실무 경험만으로 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는가? 우선 통번역 교수자들의 실무 경험이 통번역 교육에 있어 필수 자격 요건인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EMT Expert Group 2013; Kelly 2005; Pavlović and Autunović 2019). 또한 최근 들어 통역번역대학원 박사 과정에 진학하고 있는 교수자들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통번역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강의를 운영하는 사례 역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통번역 실무에 대한 지식(통번역 교과 지식)과 통번역 교육학 지식을 겸비한 교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두 가지 지식이 갖추어진 교수자가 운영하는 수업은 좋은 통번역 수업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생겨났고, 이 질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며,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교과교육학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PCK는 단순한 교과 지식이나 교육학적 지식을 넘어서서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지식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지식을 의미한다. 통번역 수업에 적용해보면 통번역 교수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통번역 실무에 대한 지식이나 교육학적 지식을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지식 혹은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첫째, 통번역 교수자를 위한 교수 역량은 어떤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요도는 어떠한가? 둘째, 통번역 교수자의 교수 역량은 수업 설계 과정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PCK로 전환되는가? 이 때 연구 문제 1과 연구 문제 2는 각각 독립적인 질문이라기보다는 연구 문제 1이 연구 문제 2를 최종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선결 문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우선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델파이 기법이 활용되었고, 연구 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심층 면담이 실시되었다. 심층 면담은 개념도 작성법과 내용 표상법(Content Representation, CoRe)으로 구성되어 있다. 델파이 기법은 피드백이 첨가된 설문 조사를 여러 차례 시행함으로써 전문가들의 의견을 합의에 이르게 하는 연구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번역 교수자 22명과 통역 교수자 22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친 설문 조사를 통해 통역·번역 교수 역량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수업 설계 과정에서 교수 역량이 어떻게 PCK로 변환되는지 알아보고자 한 심층 면담에서는 먼저 4명의 교수자들에게 통역·번역 교수 역량의 구성 요소인 하위 지식 범주들에 대한 개념도를 그려줄 것을 요청했고 PCK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CoRe법의 원리에 근거하여 9개의 질문을 활용했다. 문헌 연구에서는 교수 역량의 개념부터 출발하여 PCK의 개념을 도출하고 통번역 교수자들이 갖추어야 할 교수 역량을 범주화함으로써 이후 실시한 델파이 기법에 활용되는 설문지 문항 작성의 기초를 마련했다. 델파이 1차 조사에서 활용된 번역 교수자용 설문지와 통역 교수자용 설문지 모두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수 역량은 교과과정 지식, 수업내용 지식, 교수법 지식, 학습자 지식, 평가 지식의 총 5개 하위 범주로 나뉘어져 있으며, 평가 지식을 제외하고는 4개의 세부 지표와 1개의 주관식 문항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문가 패널들에게는 각각의 세부 지표의 중요도에 대해 리커트 척도로 중요도를 표시해 줄 것을 요청했다. 설문 조사 결과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내용 타당도와 합의도, 수렴도 값을 근거로 해당 문항의 유지 및 삭제 여부를 결정했다.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번역 교수자들은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 및 해결 방안에 대한 지식’을, 통역 교수자들은 ‘이론을 통해 습득된 지식’을 중요하지 않은 교수 역량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파이 2차 조사에서는 델파이 1차 조사의 결과를 패널들이 알 수 있도록 그 내용을 수치화하여 추가한 후 설문지가 제공되었다. 이는 다른 패널들의 의견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들이 교수 역량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할 때 본인의 생각을 재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2차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번역 교수 역량은 총 14개의 세부 지표로, 통역 교수 역량은 총 15개의 세부 지표로 확정되었다. 그중 가장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상위 3개 역량을 살펴보면 번역 교수 역량의 경우 번역 분야별 주제 지식, 번역 시장 및 번역사라는 직업에 대한 지식, 실무를 통해 습득된 업무 관련 변수 및 전략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고, 통역 교수 역량의 경우 통역 시장 및 통역사라는 직업에 대한 지식, 실무를 통해 습득된 업무 관련 변수 및 전략에 대한 지식, 통역능력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통번역 교육은 통번역사 배출이라는 목표하에 통번역 실무 위주로 수업이 설계되고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통역·번역 교수 역량이 실제 통역 및 번역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되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개념도와 CoRe법을 활용해 심층 면담을 실시했다. 우선 실무 경력, 강의 경력, 연구 경력을 중심으로 선정한 4명의 교수자(A, B, C, D 교수자)를 대상으로 각자 암묵적인 형태로 개념화하고 있던 교수 역량을 활용해서 가르치기 위한 형태로 어떻게 표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념도를 그려줄 것을 요청했다. 각 교수자들은 수업 설계 단계에서 교수 역량에 해당하는 지식 범주들의 결합 방식에 대해 다르게 접근하고 있었으며 역량별 우선순위도 조금씩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설계 시 통번역 시장이나 실무, 즉 교수학습 목표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수업내용이나 운영, 평가 방법을 결정하고 있었다. CoRe법의 질문에 대한 답변은 근거 이론에서 사용하는 개방 코딩과 축 코딩을 활용해서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4명의 교수자들은 통번역 시장 상황이나 통번역사라는 직업에 대한 인식을 ‘인과적 조건’으로 간주한 후 해당 원인에 대한 ‘현상’을 파악했다. 그리고 ‘현상’에 해당하는 내용은 대부분 통역능력 혹은 번역능력의 형태로 제시되었다. ‘맥락’으로 작용한 요소는 통번역 교수자가 경험했던 내용 중에서도 교수 경험을 통해 얻은 사례들이었다. ‘중재적 조건’으로는 교수자의 경험 중 실무 경험 사례들과 학습자들의 요청 혹은 반응 등이 활용되었다. 그에 따라 ‘작용 및 상호작용’이 교수 전략의 형태로 표상되고 그 결과 학습자들은 통역능력이나 번역능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내게 된다. 본 연구는 통번역 교육 연구에서 교수 활동의 주체 중 한 요소인 교수자를 주제로 선정해 연구했다는 점과 교수 역량이라는 개념을 통번역 교육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델파이 조사에서는 교수 역량을 산출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 예를 들어 전공 언어별, 교수자의 지위별 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을 한계로 들 수 있다. 심층 면담 역시 4명의 교수자만을 대상으로 조사했다는 점, 지금 현재 연구와 실무, 강의를 모두 하고 있는 교수자를 섭외하지 못했다는 점 등이 한계로 남는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도출한 통역·번역 교수 역량을 바탕으로 통역 교수 역량, 번역 교수 역량에 좀 더 특화된 하위 역량 연구를 비롯해 교수자의 다양한 요소들을 변수로 삼아 교수 역량을 질적으로 연구하려는 시도가 계속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고급 중국어 학습자의 성조 오류 분석

        신지혜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논문은 통역번역대학원 통역학과 한중전공 학습자의 성조 오류 패턴을 분석하고, 오류 개선을 위한 교수법과 학습법 모색에 이바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과거 한국이 빠른 경제 발전을 이루면서 국제 교류가 급격히 증가했다. 그러므로 원활한 소통을 위해 통역사에 대한 수요 또한 확대되었다. 이에 발맞춰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등이 순차적으로 통역사 양성을 위해 힘쓰기 시작했다. 통역사에게 언어의 지식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언어가 가진 특성을 이해해야 그 언어를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통역사는 소리를 전달하므로, 언어 지식 중에서도 소리를 이해해야 한다. 중국어 소리의 가장 큰 특징은 성조다. 성조는 의미 변별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성조를 정확하게 발음해야만 바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렇지만 비성조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 학습자는 성조를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성조는 학습자의 음성학적 오류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다양한 선행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성조 교육과 성조 오류 개선을 위한 교수법과 학습법을 제시했다. 그렇지만 중,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여전히 비슷한 패턴의 오류가 발견되고 있다. 통역번역대학원 통역학과 한중전공 학습자도 마찬가지다. 성조 오류는 말하기뿐만 아니라 듣기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는 통역의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성조 오류 패턴과 성조 오류로 인한 통역 오류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성조 오류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단어 단위의 발화가 아닌 통역 실습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중심으로 하였기에 학습자가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오류까지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本文通過觀察聲調偏誤及其造成的口譯錯誤,旨在爲今後尋求糾正聲調偏誤的敎學方法和學習方法做出貢獻。 韓國在經濟方面實現了迅猛發展,國際交流也逐漸增加。爲了更有效地進行溝通,對專業翻譯的需求也隨之增加。在此背景下韓國外國語大學、梨花女子大學、釜山外國語大學等開始著重培養專業譯員。 作爲一名譯員,最重要的就是把握好該語言的相關知識。爲了正確使用語言,應理解該語言所具有的特征。譯員通過聲音傳遞內容,所以理解語音尤爲重要。聲調是漢語語音的主要特征之一,這是學習漢語時最困難的一點,也是語音偏誤發生最多的一點。 聲調具有別義功能,在傳達信息時,應該正確發出聲調。然而,對於母語爲非聲調語言的韓國學生來講,學習聲調非常困難。許多硏究介紹了有效糾正聲調偏誤的敎學方法,但以中級和高級階段的學生作爲對象的硏究中仍存在同樣的偏誤。在翻譯硏究生院學習的學生也不例外,越趨於高級水平,形成的習慣越難以改變。 聲調偏誤會同時影響聽和說,本文通過觀察聲調偏誤造成的口譯錯誤,强調糾正聲調偏誤的重要性。與此同時,本文以口譯當中出現的偏誤爲硏究資料,分析了學生自身難以認識到的偏誤,因此具有一定的意義。

      • 일한 출판 번역물에 나타나는 번역 양상과 번역전략 고찰

        이은용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0671

        Translation is to produce a receptive target language from a meaning of starting language between two languages-regarding many definitions of translation. On this progress, it needs some intervention to negotiate the differences from two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Korean and Japanese are very close in language and culture, but those languages and cultures are so different that there is need to intervene in transla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better strategy and solution for Japanese-Korean translation by considering translator's intervention during its process. For this, I defined translator's intervention as "translation shift" in influence of Catford(2000) and categorized those translation shifts. Then I studied the reason and aspects of those types of translation shifts in each textual level. First, I divided translation shifts into 'obligatory shift' and 'optional shift' according to its occurrence, and divided into 'substitution', 'insertion', 'ellipsis' and 'word order transition' according to its shape. And I rebuild and used the categorization that consists of 'word level', 'grammatical level', 'textual level' and 'pragmatic level' in influence of Baker(1992). The text for analysis were Japanese-Korean translation works-10 of literary works and 10 of nonliterary works. I built a corpus for content and quantitative analysis- Starting Text(ST), Target Text(TT) and Direct-Target Text(DTT); which is well translated following its original shape for comparing to target text. For content analysis, I did more specific research on where, how and why the translation shift occurs by comparing ST, DTT and TT. Furthermore, I researched the strategic effect of translation shift into three-'explicitation', 'generalization' and 'simplification' by using concept of 'universals of translation'. Then I di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shift and quantitative elements of text. Here is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1) From analysing types of translation shift according to textual level, I found that 'substitution' type is found over all level. 2) 'insertion', 'ellipsis' and 'word order transition' types have the effect on higher textual level even they occurred on lower textual level. For example, when 'word order transition' occurs, that translation shift belongs to grammatical level. However, word order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topic structure and stream of information so that the actual effect of this translation shift tends to be found on textual level. 3) I found the negative effect of translation shift as the translation strategy besides its original intention. For example, too much 'explicitation' could disturb readers since too long translated text(TT) and too much 'generalization' could harm author's original intention in use of marked expression and structur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lement of translation shift types and quantitative elements of text. 1) The number of characters and length has relationship with three types of substitutions-'substitution', 'insertion', and 'ellipsis'- and in Japanese-Korean translation, TT has less number of characters and shorter sentence than ST. 2) In the number of phrase, it has small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ST and Korean TT very little around one on each sentence. The translation shifts related to the number of phrase, 'insertion', 'ellipsis' occurred in relatively similar ratio then conclusionally the number of phrase doesn't have big change. 3) In comparison between DTT and TT, I analyzed the types of word of two since TT has sino-Korean word and loanword, like ST has but TT has different types of words. As a result, TT has less sino-Korean word and loanword than DTT. It shows the change of type of word during 'substitution' among the translation shift and tends to be fond upon literary works. I found that there are more translator's intervention into literary translation than nonliterary translation. 4) For finding the diversity of vocabulary upon literary, nonliterary text and ST, DTT, TT, I analyzed a ratio of 'type versus token'. As a result, literary text has more vocabulary diversity than nonliterary text and ST has more than TT. It has samel result with the former studies about universals of transl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analysis the ratio of 'type versus token' from ST, DTT and TT, the difference between ST and DTT shows th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DTT and TT shows a degree of intervention. Then I found that literary text has mor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than nonliterary text, From above content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with quantitative elements, I have a conclusion like following. 1) From the analysis of types of translation shifts to each text type, when translation shift is needed, translator should consider the textual level of occurrence and actual effect. 2) There is a possibility to lose author's intention from ST, as side effect, when translator makes translation shift for 'explicitation', 'generalization and 'simplification'. Then translator needs to consider which is better way in conflict between effect and loss of translation shift for minimizing the loss of ST. This study has limit of sample number on analysis, however it has value on quantitative assessment on effect of translation shift on texts by quantitative analysis with content analysis to categorize types of translation shift. Also, this study has value on systematic describing the reasons and aspects of intervention occurring on progress of translation by analyzing very closely those types of translation shift in view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ext linguistics, I hope that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resource on actual work and education of translation. and be useful primary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study about the aspect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Japanese-Korean translation. 翻訳に関する様々な定義において共通して述べられていることは、翻訳とは、起点言語のメッセージを受容側の言語のニーズや文化的期待に合せて、自然な表現で再産出する行為であり、そのためには、言語や文化の相違への介入が必要であるという点である。韓国語と日本語は言語的・文化的に近い関係にあるが、決して同一の言語や文化ではないため、翻訳の過程において他の言語と同じく介入の必要性がある。本研究では、日韓の翻訳における翻訳者の介入を考察することにより、翻訳の様相・戦略を検討し、よりよい翻訳への示唆点を模索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 翻訳者の介入を「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translation shift)」と定義し、その類型をいくつかに分類し、テキストをなす各レベルにおいて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現れる様相と原因の考察を行った。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は、その発生的側面からは、「義務的シフト」と「選択的シフト」に分け、そのシフトを「代替」、「挿入」、「省略」、「語順の交替」に分類し分析を行った。なお、こ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をテキストを対象に各レベルによって分析するには、べ-カー(Baker 2005)のテキストレベルから概念を借りて再構成した、「語彙レベル」「文法的レベル」「テキスト的レベル」「語用論的レベル」の区別を用いた。 分析テキストは、出版された日韓翻訳書であり、具体的には文学テキスト10冊と非文学テキスト10冊の原文(以下、「ST」と称する)、翻訳文(以下、「TT翻」と称する)、それに翻訳文との比較のためにSTの形式を忠実に移した直訳文(以下、「TT直」と称する)をコーパスとして構築し、内容分析や計量的分析を行った。 内容分析においては、ST・TT直・TT翻の比較により、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生じる部分や様相、原因について具体的な考察を行った。なお、「翻訳の普遍的な特徴(universals of translation)」に基づいて再定義した「明示化」、「一般化」、「簡潔化」の側面から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翻訳戦略としてもたらす効果を分析し、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とテキストの数量的要素との関係を探るため、計量分析を行った。 以上の手続きにより分析を行ったが、まず内容分析の結果をまとめると、以下のようになる。 1)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の類型をテキストのレベルに基づいて分析した結果、「代替」類型はテキストのすべてのレベルにおいて多く分布している。 2)「挿入」、「省略」、「語順の交替」類型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は、それが生じるレベルがテキストの下位レベルの場合でも、テキストの上位レベルにまでその影響が及ぶ事実が確認された。 3)翻訳戦略として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は、意図した効果以外にマイナス効果まで発生する場合も確認された。例えば、過度な「明示化」はとりとめのない文章になり、読みやすさに影響を及ぼす場合がある。また、過度な「一般化」は有標的表現・構造を使った著者の意図を生かせることができない場合がある。 次は、それぞれ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とテキストの量的要素との関係を分析した結果である。 1)文字数と文章の長さは「代替」、「挿入」、「省略」と関係しており、日韓翻訳の場合、STよりTTの文字数が少なくなり、文章が短くなっている。 2)文節数は、STとTTの間で一つ前後というわずかな差を見せている。この文節と関係する「挿入」や「省略」がほとんど同じような割合で生じていることから、その結果である文節数にはわずかな格差しか観察されなかった。 3)TT直とTT翻の比較により、TT直ではSTで使われた漢語や外来語をそのまま移しているが、TT翻ではそれとは違う語種に変えていることから、その結果を数字の面から確認するため、語種分析を行った。その結果、TT直よりTT翻には漢語と外来語が少なく現れた。特に、文学テキストにおいてこのような傾向が目立っている。このことは、非文学テキストより文学テキストの方が語彙面における翻訳者の介入が活発であることを示している。 4)文学テキストと非文学テキスト、そしてそれぞれのST・TT直・TT翻の語彙の多様性の検討のため、「トークンとタイプ」の割合を分析した。その結果、文学テキストが非文学テキストより、STがTT翻より、語彙の多様性が高いことがわかり、これはこれまでの翻訳学での研究結果から報告された内容とも一致している。ただ、STとTT直、TT翻の「タイプとトークン」の割合を比較・分析した結果、STとTT直の格差は「介入の余地」を示すものであり、TT直とTT翻の格差は介入が行われた程度を示すものであることを考えると、それぞれの格差が示す数字から文学テキストは非文学テキストより介入の余地が多いといえる。 上記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に関する内容分析および計量的要素との関係を中心とした結果に基づいて、本稿では以下のような結論を導き出すことができた。 1)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類型のテキストタイプ別の分析により、翻訳の過程において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求められる場合は、実際そのシフトが生じるレベルだけでなく、実際に効果の及ぼす範囲まで考慮するひ必要がある。 2)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により、「明示化」、「一般化」、「簡潔化」の効果を得ようとする際、当該の効果以外にSTの著者の意図したことを損ねる場合もある。このように効果と損失が対立する場合、どこに価値を置くのか、損失を最少化する方法は何かということまで考慮する必要がある。 本研究は限られたテキストを対象に分析を行ったという制限を持っているが、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を類型化し、内容考察したことともに計量的分析を行うことにより、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テキストの量的側面に及ぼす効果を計量化した点は初の試みであり、研究の意義の一つといえる。なお、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の類型を対照言語学やテキスト言語学の視点から詳細な分析を行い、翻訳の過程における介入の様相と原因を体系的に記述したことからも研究の意義を見出すことができる。本研究の結果が、翻訳の過程や翻訳教育に役立つこと、今後、日韓翻訳の様相や計量的研究の基礎資料として一つの土台になることを期待してやまない。 번역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통하여 번역은 두 언어 사이에서 출발 텍스트의 의미를 수용성 있는 도착텍스트로 산출하기 위한 행위이며, 그 과정에서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에 따른 차이를 중재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는 언어적, 문화적으로 매우 근접한 관계에 있으나 동일한 언어,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번역 과정에서 개입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한 번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번역자의 개입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번역 양상 및 번역전략을 살펴보고 더 나은 번역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번역자의 개입을 번역변이로 정의하여 번역변이 유형을 나누고 텍스트의 각 층위에서 번역변이 유형이 나타나는 양상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번역변이는 그 발생적 측면에서는 ‘의무적 변이’와 ‘선택적 변이’로 나누었고, 형태에 따라서는 ‘대체’, ‘삽입’, ‘생략’, ‘어순 교체’로 나누었다. 또한 이러한 번역변이를 텍스트 층위별로 살펴보기 위하여 베이커(Baker 2005)의 텍스트 층위를 참조로 재구성한 ‘어휘 층위’, ‘문법 층위’, ‘텍스트 층위’, ‘화용적 층위’의 구분을 사용하였다. 분석 텍스트는 일한 출판 번역물 중 문학 텍스트 10권과 비문학 텍스트 10권이며. 이에 대하여 출발 텍스트(이하 ST로 칭함), 도착 텍스트(이하 TT번으로 칭함), 도착 텍스트와의 비교를 위하여 형태에 충실하게 번역한 직역본(이하 TT직)을 코퍼스로 구축하여 내용적 분석과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적 분석에 있어서는 ST와 TT직, TT번의 비교를 통해 번역변이가 일어나는 부분과 양상, 원인에 대하여 구체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번역변이가 번역전략으로서 가지는 효과를 번역 보편소의 개념을 참조로 하여 재정의한 ‘명시화’, ‘일반화’, ‘간결화’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러한 번역변이와 텍스트의 수량적 요소와의 관계에 대하여 계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대하여 먼저 내용적 분석의 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번역변이 유형을 텍스트 층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체’유형은 텍스트의 모든 층위에 고른 분포를 보였다. 2) ‘삽입’, ‘생략’ ‘어순 교체’ 유형의 변이는 번역변이가 일어나는 층위가 텍스트의 하위 층위인 경우라도 그 영향이 텍스트의 상위 층위까지 미치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어순 교체’가 일어난 경우, 해당 변이가 일어난 층위는 문법 층위이지만, 어순은 주제 구조와 정보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효과는 텍스트 층위에서 일어나는 경향을 통해 알 수 있다. 3) 번역전략으로서의 번역변이는 의도한 효과 이외에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명시화’가 지나치면 번역문이 장황해져 가독성을 저해할 수도 있으며, ‘일반화’에 치중하다 보면 유표적인 표현이나 구조를 사용한 저자의 의도가 상실되는 사례의 확인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음은 번역변이 유형의 각 요소와 텍스트의 양적 요소와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한 결과이다. 1) 문자수와 문장길이는 대체 유형 중 ‘대체’, ‘삽입’, ‘생략’과 관련이 있으며 일한 번역의 경우 ST보다 TT의 문자수가 적어지고 문장길이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2) 어절수는 일본어 ST와 한국어 TT간에 한 문장 당 1개 전후의 작은 차이를 보였다. 어절수와 관련되는 번역변이인 ‘삽입’, ‘생략’이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일어나기 때문에 그 결과인 어절수에는 큰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TT직과 TT번의 비교를 통해 TT직에서는 ST에서 사용된 어종과 같이 한자어와 외래어가 사용되었는데 TT번에서 다른 어종으로 바뀐 사례가 확인되어 텍스트 전체의 어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T직보다 TT번에서 한자어와 외래어가 적게 나타났다. 이는 대체 유형의 변이에서 어종이 바뀐 결과라 볼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경향은 특히 문학 텍스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어휘의 면에서 비문학 텍스트보다 문학 텍스트가 번역자의 개입이 더 많이 이뤄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4) 문학 텍스트와 비문학 텍스트, 그리고 각 텍스트의 ST, TT직, TT번의 어휘 다양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타입 대 토큰’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학 텍스트가 비문학 텍스트보다 어휘 다양성이 높고, ST가 TT번보다 어휘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번역 보편소 등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통해 보고된 결과와도 일치한다. 단, ST와 TT직, TT번의 ‘타입 대 토큰’의 비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ST와 TT직 사이의 수치 차이는 ‘개입의 여지’를 보여주는 것이고 TT직과 TT번의 차이는 개입이 이뤄진 정도를 나타내는 것임을 생각할 때, 문학 텍스트는 비문학 텍스트에 비해 개입의 여지가 많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번역변이에 관한 내용적 분석, 그리고 계량적 요소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정리하고자 한다. 1) 번역변이 유형의 텍스트 타입별 분석을 통하여 번역 과정에서 번역변이가 필요한 경우, 번역변이가 일어나는 층위와 실제적으로 그 효과가 미치는 층위까지 고려해야 한다. 2) 번역변이를 통해 ‘명시화’, ‘일반화’, ‘간결화’의 효과를 얻고자 할 때 의도한 효과 이외에 ST에서의 저자의 의도 등이 손실될 수도 있다. 이처럼 효과와 손실이 상충되는 경우, 어디에 더 가치를 둘 것인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해서까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한정된 분석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번역변이를 유형화하여 내용적 고찰과 더불어 계량적 분석을 통해 번역변이가 텍스트의 양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화하였다는 점을 본고의 의의로 들 수 있다. 또한 번역변이 유형을 대조언어학과 텍스트언어학의 시점에서 상세히 분석하여 번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개입의 양상과 원인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번역 과정 및 번역 교육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또한 향후 일한 번역의 양상과 계량적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바란다.

      •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 연구

        장애리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논문의 목적은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cultural competence)을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통번역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화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은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그간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은 ‘백과사전적 지식’ 차원에서 정의되거나, 관련 연구가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양적으로도 매우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능력에 대한 이론연구와 통번역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를 통해 이론과 실무적 관점이 균형 있게 반영된 문화능력을 실증적으로 추출하였으며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구체화하였다. 이론 연구를 통해 문화는 통번역 과정에서 텍스트의 정확한 의미를 추출하기 위한 이해의 대상, 통번역 참여자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중개의 대상, 통번역의 결과를 통해 사회문화적인 변화와 발전을 촉진하는 전이의 대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을 문화이해능력, 문화중개능력, 문화전이능력으로 구성된 총합적인 개념으로 정의하고 각 능력의 하위요소를 구체화하였다. 이론적으로 도출한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이 객관적인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는지 검증하기 위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연구 대상은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교수와 강사 그리고 박사과정을 수학하고 있는 통역사와 번역사이다. 조사연구는 인터넷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한영, 한불, 한중, 한일 4개 언어전공을 대상으로 총 242명에게 배포하였고 그 중 123부가 수거되었으며 최종적으로 109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분석은 SPSS 12.0 한글판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T검정,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은 T/F값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문화능력의 객관적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문화이해능력의 요인 적재량은 0.895에서 0.570, 요인 고유값은 10.162, 신뢰도 계수(Cronbach’s ┒)는 .967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문화이해능력은 텍스트의 표층(언어)과 심층(맥락)을 결합한 궁극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출발과 도착 문화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문화지식’과 ‘문화인식’으로 구성된 능력임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문화중개능력은 요인 적재량이 0.878에서 0.802, 요인 고유값은 2.871, 신뢰도 계수는 .620 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실증적으로 추출된 문화중개능력은 텍스트와 참여자 차원의 문화 중개과정에서 도착과 출발 문화에 대한 편견을 배제하고 상대적이고 개방적인 관점을 유지하며 문화 차이를 극복하는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전이능력의 요인 적재량은 0.848에서 0.628, 요인 고유값은 3.839, 신뢰도 계수는 .826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실증적으로 추출된 문화전이능력은 통번역을 통한 문화의 수용과 전파를 통해 문화를 전이하고 궁극적으로 문화 간 통섭(consilience)에 기여하는 능력으로 창조적 수용력과 비판적 통찰력이 구성요소로 추출되었다. 문화이해능력, 문화중개능력, 문화전이능력에 대한 상관 분석 결과 문화이해능력이 높아지면 문화중개능력이 높아지고, 문화중개능력이 높아지면 문화전이능력이 높아지는 상호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세 능력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총합적 능력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화 이해, 중개, 전이능력이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이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수렴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화이해능력은 문화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문화중개능력과 문화전이능력은 문화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 중개가 이루어지고, 문화 중개를 통해 문화 전이의 가능성이 열리는 단순회귀분석과 세 가지 능력의 상호 유기적 연결성을 확인한 상관분석의 결과를 종합할 때, 문화능력을 구성하는 세 가지 능력 중 가장 핵심적인 능력은 문화이해능력이며, 문화이해능력을 연결고리로 문화중개능력과 문화전이능력 역시 문화능력으로 수렴된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문화능력을 추출했을 뿐 아니라 조사대상의 개인 및 통번역 활동 배경에 따라 문화능력의 개념 인지와 실행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검정과 분산분석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문화능력의 실행 차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번역사의 연령, 제2언어국가 체류기간, 경력에 따라 문화능력 실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고(50대), 제2언어국 체류기간이 길고(10년 이상), 활동 경력이 많은(20년 이상) 통번역사의 문화능력 실행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의 접근과 해결에서 융통성을 발휘하고,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며, 관련 지식의 활용 정도가 높은 전문가의 인지적 특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문화능력이 통번역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능력임을 반증하는 연구 결과라 하겠다. 둘째, 문화전이능력의 실행은 번역사가 높고 통역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번역을 통한 문화전이 과정에서 번역의 경우, 번역서의 선정과 번역 전략의 선택 등 능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지가 열려 있는 반면, 통역은 즉시적인 의사소통을 목표로 수동성을 갖는 한계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통번역사의 학력에 따라 문화전이능력의 실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박사학위를 가진 통번역사의 문화전이능력 실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들이 통번역을 하나의 직업으로서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행위로 바라보는 이론적 관점이 실무에 반영된 결과라 해석된다. 넷째, 문화전이능력의 실행은 통번역 언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한불, 한중, 한일, 한영 순으로 실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출발과 도착 문화 간 교류의 빈도 및 문화적 친숙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해석된다. 즉 문화 간 교류의 빈도가 적고 그에 따라 문화적 친숙도가 낮을 경우 통번역사가 문화 전이의 과정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반면, 반대의 경우 통번역사가 능동성과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여지는 줄어든다고 해석된다. 다섯째, 문화이해능력은 통번역사의 활동유형(프리랜서·인하우스)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랜서 통번역사의 문화이해능력이 인하우스 통번역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프리랜서 통번역사의 경우 특정 분야에 편중되지 않는 통번역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 지식에 노출되고 이를 필요로 하는 반면, 인하우스 통번역사는 광범위한 문화지식보다는 전문적인 지식을 더욱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본 연구는 이론연구를 통해 문화능력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문화능력을 실증적으로 추출하였으며 실행적 차원의 특징을 함께 규명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의의는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문화능력의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문화능력을 실증적으로 추출한 것이다. 또한 교육적 측면에서 문화능력의 교육을 위한 내용(문화지식)과 방법(문화인식)을 구체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만 통역과 번역의 의사소통 기제가 공통점도 많지만 차이점 역시 존재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통번역을 통합하여 문화능력을 규명한 것은 연구결과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표본 선정에 있어서 전문 통번역사 모집단의 규명이 어려운 관계로 판단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연구결과를 광범위하게 일반화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다만 본 연구가 이론과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통번역을 위한 문화능력을 구체화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문화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통번역사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능동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为客观验证文化能力而进行的因素分析和信度分析结果显示,文化理解能力的因素载荷为0.895-0.570, 特征值为10.162,Cronbach’s α系数为0.967。根据上述研究结果,文化理解能力可定义为"通过解读原语和译语文化,结合文本的表层(语言)和深层(语境)意义来把握文本涵义的能力"。文化知识和文化认识为构成文化理解能力的因素。 文化中介能力的因素载荷为0.878-0.802, 特征值为2.871,Cronbach’s α系数为0 .620。根据研究结果,文化中介能力可定义为"在翻译过程中,针对文本和参与者进行文化中介时,对原语和译语文化排除偏见并保持相对和开放的观点,从而克服文化差异的能力"。 文化转移能力的因素载荷为0.848-0.628, 特征值为3.839,Cronbach’s α系数为0 .826。效度和信度分析结果显示,文化转移能力可定义为"通过翻译活动促进文化的传播与接受来实现文化转移,并为跨文化融通作出贡献的能力"。 对于文化的理解、中介、转移能力进行相关分析的结果显示,三项能力互为正增长关系。这意味着三项能力是有机结合紧密相连的能力。并且为客观验证文化理解、中介、转移能力可否归纳为"为翻译所需的文化能力"进行了多元回归分析,其结果显示,文化理解能力对文化能力有显著影响,但文化中介和转移能力对文化能力不存在影响关系。 但是对基于文化理解可进行文化中介,并通过文化中介可实现文化转移的简单回归分析结果以及验证三项能力为有机融为一体的相关分析结果加以总结,可以得出以文化理解能力为切入点,文化中介和文化转移能力也能够归纳为文化能力这一结论。上述研究结果充分表明,构成文化能力的文化理解、中介、转移三项能力中,文化理解能力为最核心最重要的能力。 本论文通过调查研究,不仅客观验证了为翻译所需的文化能力之概念与因素,并得出根据调查对象的个人特征与翻译活动背景对于文化能力的概念认知与具体实行方面出现差异这一研究结果。而通过T检验与方差分析在文化能力的具体实行方面所得出的研究结果则如下。 一,文化能力的实行根据翻译人员的年龄大小、第二语言国家逗留时间长短、经历的多少出现显著差异。换言之,年龄大(50岁年龄段)、第二语言国家停留时间长(10年以上)、翻译经历多(20年以上)的翻译人员对文化能力的实行水平为最高。可以说上述分析结果与专家在探索并解决问题的过程中注重宏观分析、反应灵活敏捷、有效利用相关知识的认知特点有密切关系。同时也客观证明了文化能力是成为翻译专家必备的一项能力。 二,文化转移能力的具体实行方面,笔译人员的实行水平高于口译人员。通过翻译进行文化转移的过程中,笔译在译本的选择、笔译策略等方面可发挥积极的主动性,但口译由于以沟通作为最终目的,只能消极被动地影响文化转移,因此,可以说笔译和口译在文化转移过程中态度积极和消极之差异是得出上述研究结果的原因所在。 三,文化转移能力的实行因学历不同出现差异。具体而言,具有博士学位的翻译人员在文化转移能力的实行方面保持最高水平。可以说这是博士翻译人员不仅将翻译当作一门工作,更是将翻译视为社会文化行为这一理论观点在实践中的反映。 四,文化转移能力的实行因翻译语言不同出现显著差异。具体而言,实行水平高的翻译语言依次为韩法、韩中、韩日、韩英。这估计与原语和译语文化之间的交流频率与文化熟悉度密切相关。若原语和译语文化之间交流频率少、文化熟悉度低时,翻译人员在文化转移过程中可扮演较为积极的角色,与此相反,翻译人员可发挥主动性和创意的空间则会随之减少。 五,文化理解能力因翻译人员的活动类型(自由职业翻译、公司或组织内部翻译)出现显著差异。具体而言,自由职业翻译人员的文化理解能力高于组织内部的翻译人员。这可以说是因为自由职业翻译人员针对多方面的主题进行翻译,因此需要广泛的文化知识;但组织内部的翻译人员主要针对相关专业领域进行翻译,需要的不是广泛的文化知识,而是加以深化的相关领域的专业知识,这应是得出上述研究结果的原因所在。 本论文结合定性和定量研究,针对为翻译所需的文化能力之概念和内容进行系统分类、客观检验,并得出文化能力在具体实行方面的研究结果。本论文在理论上的贡献应是编制了具有良好效度和信度的调查工具,并通过该工具对文化能力进行了定量研究。此外,本论文为文化能力的教育,对教育的内容(文化知识)和方法(文化认识)作出了系统分类与明确定义。 虽然口译与笔译在交际与沟通的机制上有很多共同点,但也不能排除不同之处。因此没有对笔译与口译的文化能力加以区别可谓本研究的局限所在,在今后研究中须进行补充和完善。另外,本研究由于难以把握专业翻译人员的总体情况,采用了判断性抽样,因此研究结果在具备普遍性和推广性方面有一定的局限。尽管如此,本研究是结合定性和定量研究对翻译所需的文化能力进行具体化、科学化的第一次尝试,希望本论文的研究结果能在广大翻译人员认识文化能力的重要性和更加主动积极确立社会文化定位方面作出应有贡献。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ke systematical and empirical examination of cultural competenc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e importance of which has been widely recognized in the field. Such cultural competence, however, has been simply defined as encyclopedic knowledge. Related studies have also remained at the abstract and conceptual level and insignificant in quantity. Hence, theoretical research of cultural competence and a survey of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were conducted to extract an empirical and balanced notion of cultural competence from bo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This study also specifically defines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it was concluded that culture is an object of understanding to extract the exact meaning of the text in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process, an object of mediation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and an object of transfer to facilitate socio-cultural change and progress as a result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tudy defined cultural competence as a comprehensive concept consisting of cultural understanding, cultural mediation, and cultural transfer, each of these abilities having specified sub-element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test the objectiv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heoretically derived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e survey involved professors, lecturers, and doctorate-student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at the Graduate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at Hang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For the surve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242 people majoring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four language combinations: Korean-English, Korean-French, Korean-Chinese, and Korean-Japanese. Of the questionnaires, 123 copies were collected and 109 copies were eventually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analysis, SPSS 12.0 Korean version was used, and depending on the research question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T/F values, post-testing was conduct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es to test the objective validity of cultural competence showed that the factor loading of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was 0.570 out of 0.895, eigenvalue 10.162, and Cronbach's a .967. Such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cultural understanding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source and target language in order to grasp the ultimate meaning (interpretant)--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surface (language) and the depth (context) of texts--and that it comprises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awareness." The factor load of cultural mediation ability was 0.802 out of 0.878, its eigenvalue 2.871, and Cronbach's a .620. This result shows that in the cultural mediation process at the levels of texts and participants, the empirically derived concept of cultural mediation is the ability to check prejudice against the culture of the source and target language and maintain a relative and open perspective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 The factor load of cultural transfer ability was 0.628 out of 0.848, its eigenvalue 3.839, and Cronbach's a .826. The empirically developed concept of cultural transfer is the ability to transfer culture through cultural acculturation and dissemination via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ultimately contributing to consilience between cultures. Its sub-elements are creative capacity and critical insight. Correlation analysis of cultural understanding, cultural mediation and cultural transfer abilities showed mutually positive relations: The higher the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the higher the cultural mediation ability, and the higher the cultural mediation ability, the higher the transfer ability. This confirms that the three components are mutually interconnected and comprehensive. To test whether they can be converged in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showed that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had a direct impact on cultural competence, whereas cultural mediation and transfer abilities did not. Also,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ultural mediation was achieved based on cultural understanding, while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e three abilities are systematically interconnected. H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with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as a connecting factor, cultural mediation and transfer abilities can also be converged in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The above results served to empirically verify that cultural understanding precedes cultural mediation, and cultural mediation opens the way for cultural transfer. Therefore,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may be the most essential of the three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is study not only resulted in empir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through a survey, but also confirmed a difference in the conceptual awareness and practice of cultur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surveyed and their backgrounds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e T-test and ANOVA showed the following features of cultural competence in practice.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actice of cultur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their duration of residence in the second-language country, and career experience. In other words,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who are older (in their 50s), who had stayed longer in the second-language country (over 10 years), and who had longer career experience (over 20 years) showed the highest practice of cultural competence. This is seen to be related to the cognitive characteristic of experts who are flexible in approaching and solving problems, have a long-term perspective, and make heavy use related knowledge. This research result also proves that cultural competence is an essential ability in becoming an expert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Second, translators showed higher practice of cultural transfer than interpreters. This is attributed to the greater leeway translators have in active selection of books and translation strategies in the cultural transfer process, while interpreters are limited by the passive nature of interpretation for instantaneous communication. Third, the educational level of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also con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cultural transfer ability. In other words,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with doctorate degrees showed higher practice of cultural transfer. This is interpreted as reflection of theoretical perspectives--of viewing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not simply as a job but also a socio-cultural activity--in their work. Fourt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actice of cultural transfer according to language. Specifically, the level of practice was highest in the order of Korean-French, Korean-Chinese, Korean-Japanese, and Korean-English. The lower the frequency of exchange between the cultures of the source and target language and the lower cultural familiarity,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to play an active role in the cultural transfer process. In the opposite situation,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have less room to exercise an active and creative role. Fifth,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varied depending on the job type (freelance, in-house) of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Freelancers showed higher 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than their in-house counterparts. Since freelancers work on a broad range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projects, they do not lean toward a particular area and are therefore exposed to diverse cultural knowledge. On the other hand, in-hous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are required to have specialized knowledge rather than wide ranging cultural knowledge. Based on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concept through a survey and examined its features at the level of practice.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development of a research tool for cultural competence by test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empirical verification of cultural competence through that tool. From the educational aspect, the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specified the content (cultural knowledge) and method (cultural awareness) for the education of cultural competence. However, given the differences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despite common features in their communication mecha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that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were integrated for the exploration of cultural competence. As judgement or purposive sampling was used due to the difficulty of defining the population of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in sample selection, there are limitations in wid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Neverthel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und in being the first attempt to specify cultural competence i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ba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enhanc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petence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o-cultural identity of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 문학 작품의 재번역 현상 연구 : 스탕달의 『적과 흑』을 중심으로

        임순정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50671

        Tout au long de cette etude, nous nous sommes attaches a repondre a la question suivante: Pourquoi retraduit-on? Le phenomene de retraduction etant aussi complexe que la traduction elle-meme, nous avons axe notre recherche autour de themes aussi divers que le systeme ideologique et poetique du pays d'accueil, la situation du systeme d'edition ou l'analyse et la comparaison des traductions. Dans le cadre de notre etude, nous avons analyse 79 volumes de 66 editions differente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de Stendhal disponibles a la Bibliotheque Nationale de Coree. De cette analyse, nous avons pu determiner les cinq enseignements suivants: Dans un premier temps, nous avons constate que le changement de systeme ideologique et notamment politique du pays d'accueil constitue l’un des principaux motifs de la retraduction. L'adaptation etait une pratique courante en Coree a l’epoque ou les premieres traductions des œuvres litteraires occidentales ont ete introduites en Coree. Dans le ca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l'adaptation intralinguistique s'est egalement accompagnee d’un changement de genre: le texte original, qui est un roman, a ete traduit sous forme de piece de theatre. Par ailleurs, on remarque que dans de nombreux cas, les textes chinois ou japonais ont ete utilises comme texte de depart a la place du texte original. Cette pratique de double traduction a notamment ete multipliee durant la periode de la colonisation japonaise. Les traductions issues de doubles traductions a partir du japonais montrent de nombreuses insuffisances; en effet, il n’est pas rare de retrouver des transcriptions phonetiques a la japonaise de mots etrangers, des expressions calquees du japonais ou des omissions ne pouvant etre expliquees par les differences linguistiques ou culturelles entre les pays de depart et d'arrivee. Malgre cela, la double traduction a ete pratiquee insidieusement longtemps apres l'independance de la Coree, rendant ainsi la dependance culturelle vis a vis du Japon plus forte. L'adaptation ou la double traduction ne sont pas des traductions fideles a l'original en terme de genre, de contenu et de forme du texte; ces textes engendrent donc une necessite de retraduction. En second lieu, notre etude a revele que le changement linguistique diachronique est egalement une cause majeure de retraduction. Le texte de depart est produit a un moment donne dans l'evolution de la langue de depart et garde sa fraicheur tandis que la traduction vieillit rapidement: la traduction est ancree dans une periode specifique du pays d'arrivee. Sa fonction, sa valeur, son effet ne sont garantis que dans cette situation particuliere et le texte traduit peut perdre de sa signification une fois l’epoque revolue. Loin de montrer les limites de la traduction, les retraductions de differentes epoques permettent au contraire de prolonger la vie de l'original dans le pays d'arrivee. Bien que nous ayons limite notre etude a l’analyse des traductions publiees apres 1950, nous avons pu constater que des traductions plus anciennes comportaient des mots ou appellations contenant des caracteres chinois et que ces mots etrangers peu naturels ne figurent plus dans les traductions plus recentes. Ces expressions, peu familieres aux lecteurs modernes, n'entravent pas la comprehension du texte mais peuvent donner l'impression que celui-ci est vieux ou obsolete et motiver la retraduction. L'analyse diachronique des retraductions a donc permis de verifier que les traductions etaient conformes a la modalite linguistique du l’epoque de la traduction. Troisiemement, d’autres facteurs tels que le changement des normes relatives a la langue d'arrivee, tels que l'orthographe des mots etrangers, les ponctuations et l'alignement du texte peuvent egalement induire une retraduction. Selon les editeurs qui sont les initiateurs de la traduction des textes litteraires, les motifs de la retraduction peuvent etre liees a l’anciennete des traductions existantes, demodees, et elles ne repondent plus a la sensibilite des lecteurs modernes. Souvent, seule l’evolution de la langue est designe comme raison leur permettant de justifier la retraduction. Cependant, la comparaison de traductions realisees par un meme traducteur a des epoques differentes nous a revele que des changements de normes linguistiques telles que l'orthographe, la ponctuation et l'alignement du texte pouvaient aussi etre des facteurs poussant les editeurs a retraduire tout autant que l’archaisme des mots. Quatriemement, nous avons pu constater que le nombre de retraductions exceptionnellement eleve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en Coree est egalement attribuable en partie au plagiat et a la reedition. En effet, lors de notre analyse, les traductions identiques aux traductions existantes d'un meme traducteur ou de traducteur differents se sont revelees tres nombreuses. Parailleurs, notons que les traductions identiques de differents traducteurs sont des cas de plagiat portant atteinte aux droits du traducteur. De la meme maniere, parmi les 28 traducteur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10 ont publie leur retraduction au sein d’une meme maison d'edition: les seules differences notables etaient para textuelles (prix, format et reliure uniquement), le contenu textuel de celles-ci etait quasi identique. Dans ce contexte, ces traductions ne peuvent etre considerees comme des retraductions mais comme des reeditions sans mention specifique sur ce point. Dans un cinquieme point, nous avons note que la retraduction peut aussi etre interpretee comme une attestation de la subjectivite du traducteur vis a vis du texte de depart. On ne retraduit pas uniquement parce que la traduction existante est defectueuse ou obsolete. Une œuvre litteraire est un texte ouvert permettant plusieurs lectures et interpretations. Meme si le traducteur de la premiere traduction s’est voulu objectif , il se peut que son interpretation s’avere selective; des traductions posterieures peuvent reveler une nouvelle perspective. C'est notamment le cas pour certaines expressions metaphoriques ou jeux de mots pour lesquels l'association du signifiant et du signifie de la langue de depart est difficilement reproduisible dans la langue d'arrivee. Une retraduction n’est pas forcement la preuve d’une inferiorite de la premiere traduction vis a vis du texte original. Une traduction possede une valeur et une signification a un moment donne de l'histoire, mais elle peut perdre ses qualites par la suite et avoir besoin d’etre remplacee par une nouvelle traduction revelatrice de nouvelles perspectives. Dans ce contexte, toute retraduction se place dans un schema de complementarite et non de confrontation et contribue ainsi a une comprehension hermeneutique plus complete du texte d’origine. Notre etude a propose cinq facteurs qui sont generalement les sources de retraductions d’œuvres litteraires. Chacun de ces facteurs constitue une excellente piste de recherche et meriterait la realisation d’une etude approfondie. Il convient de preciser que l'objectif de notre recherche n'est pas d'evaluer et de hierarchiser les traductions existantes, mais plutot d’etablir un etat des lieux du phenomene de la retraduction des œuvres litteraires en Coree. De meme, compte tenu du cadre de l’etude limite au seul ca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de Stendhal, notre etude ne peut aucun cas se vouloir generaliste. Neanmoins, notre etude a permis d’apporter des conclusions significatives grace a la definition de caracteristiques des differentes categories de retraductions diachronique et synchroniques. De plus, la description des differents aspects du phenomene de retraduction reste inedite malgre la multiplication des retraductions et le constat d’un interet grandissant pour ce phenomene. Notre souhait est que cette etude puisse constituer une base pour des etudes posterieures sur la thematique de la retraduction. 본 연구는 재번역은 과연 왜 이루어지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구하고자 하였다. 재번역이라는 현상이 번역과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시대별 도착어 국가 시스템의 특징, 출판 번역 상황, 번역 결과물 분석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출간된 스탕달의 『적과 흑』의 번역본 중, 국립 중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번역본 총 66종 79권의 분석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도착어 국가 정치 체제의 변화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개화기 이후 서구 문학을 수용하기 시작한 우리나라는 외국 문학 수용 초기에 원작을 번안하여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당시 번안은 단지 원작의 내용을 한국 독자들이 익숙한 내용으로 대체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설인 원작이 희곡으로 바뀌는 등 장르의 변화도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한역본이나 일역본을 사용한 중역이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며 일본어 중역은 일제 식민지를 거치는 과정에서 더욱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일역본을 출발어 텍스트로 사용한 번역문의 경우, 일본식 외래어 표기법, 일본식 표현, 언어적 차이나 문화적 차이로 설명하기 힘든 삭제가 빈번하게 발견된다는 점에서 번역문으로서의 한계를 드러냈다. 중역과 관련해서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해방 이후 상당 기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원전이 아닌 일역본을 사용하는 중역 관행이 암암리에 지속되어 일본에 대한 은밀한 문화적 종속이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번안이나 중역은 오늘날의 기준으로 볼 때 텍스트의 장르, 내용, 형식 면에서 원문에 충실한 번역이라고 간주하기 힘든 번역이라는 점에서 재번역을 통한 원전의 완역 소개 필요성을 제기한다. 둘째, 통시적으로 발생하는 언어의 변화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출발어 국가 언어의 변화 과정에서 어느 특정 순간의 언어로 쓰여 형태가 굳어진 원문은 영원한 생명력을 지니게 되지만 번역문은 원문과 동일한 기능, 의미, 효과를 지닌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번역 시점 도착어 국가의 언어 상황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다. 가변적인 도착어 국가의 언어 상황을 반영하여 수행되는 통시적 관점에서의 재번역은 번역문이 지닌 생명력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도착어 국가에서 원문이 새로운 생명을 획득하여 존속하게 하는 작업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최근 5-60년 사이에 발간된 도서들에 국한됨에도 불구하고, 과거 출판된 번역문에서는 최근에 출판된 번역문에는 발견되지 않는 예스러운 한자어 일반 어휘나 한자 외래어, 한자어 호칭을 비롯해 어색한 외래어 사용이 눈에 띄었다. 이와 같이 현대 독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표현들은 번역문의 이해를 방해할 수준은 아니지만, 번역문이 오래되었거나 낡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재번역을 유발하는 주요 동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시적으로 생산된 다양한 시대의 재번역 분석을 통해 보다 현대적이고 오늘날 언어 양태(樣態)에 부합하는 번역문이 생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외래어 표기법이나 문장 부호 표기법 내지는 문자 배열 원칙 등 도착어 국가의 언어 관련 법규의 변화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강력한 원인이다. 출판 문학 번역의 발주자인 출판사들이 기존의 번역문이 낡았거나 구식이기 때문에 현대 독자들의 감수성에 호소할 수 있는 현대적인 번역을 소개해야 한다는 이유로 재번역의 필요성을 주장할 때, 언어의 변화가 이 같은 현상을 유발하는 유일한 원인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번역가의 주관적인 어휘 선택의 차이라는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서 동일한 번역가가 번역한 서로 다른 시대의 번역을 비교해 본 결과, 고어(古語), 사어(死語) 등 도착어 어휘의 의미 변화나 의미 소멸로 인한 재번역 못지 않게 어휘 혹은 문장 부호의 표기법, 문자 배열 방식 등 언어 법규의 변화로 인한 재번역이 빈번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표기법의 변화가 언어의 변화 못지않게 독자들에게 번역문이 낡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한다. 넷째, 광복 이후 현재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적과 흑』 재번역본의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것은 표절본과 재출판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기존의 번역본과 토시 하나 다르지 않은 번역본이 동일한 번역가의 번역에서는 물론 다른 번역가의 번역본에서도 발견되었다. 다른 번역가의 기존 번역본과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 역본은 2차 저작물로서의 번역문의 번역가 저작권을 침해한 사례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적과 흑』을 번역한 번역자 총 28명 중 16명이 동일한 출판사 혹은 다른 출판사에서 번역문을 출간하였는데, 번역문들 간에 외래어와 문장부호 표기법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 힘들었다. 이들 역본 간에 텍스트 내용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상태에서 단지 가격과 판형 및 제본, 곁텍스트적 요소 등 도서의 형태와 관련된 차이만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번역본은 재번역이 아닌 재출판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출판사에서 이미 동일한 원작의 번역을 출판한 경험이 있는 번역가의 번역본이라 할지라도 번역가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재판, 중판 등의 어구도 명시하지 않은 채 기존 번역본을 새롭게 편집하여 출간한 경우 역시 2차 저작물로서의 번역문의 저작권이 훼손된 사례로 판단된다. 표절과 재출판이라는 현상은 특정 시대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광복 이후 현재까지 출간된 재번역본 전반에 걸쳐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서양 고전 문학 작품의 번역과 관련 과거 우리 출판 문화의 후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재번역은 번역가 고유의 번역관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원문의 다양한 매력을 드러낸다. 재번역은 비단 기존 번역이 낡았거나 결함이 있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니다. 문학 작품은 다양하게 해석되고 읽힐 수 있는 열린 구조를 지닌 텍스트이다. 이는 도서를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일반 독자 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이해한 후 이를 재현하고자 노력하는 번역가에게도 해당된다. 번역가는 최대한 객관적으로 원작을 이해한 후, 번역문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지만, 번역가에 따라 원작의 문학성을 결정짓는 요소를 해석하고 재표현 하는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은유적 표현이나 언어 유희 등 출발어의 기표-기의 결합 관계를 도착어로 재현하기 힘든 경우, 원문의 특정 부분이 손실되거나 보완되는 경향을 보였다. 출발어와 도착어는 그 언어 및 문화 체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단 한 번의 번역으로 의미와 형태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층적이며 복합적인 원작 문학 작품과 동일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번역을 생산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공시적·통시적으로 생산되는 재번역은 번역문이 원문에 비해 열등하다는 사실을 의미하기 보다는 번역 시점의 언어 관습을 반영하여 개별 번역가가 제시하는 다양한 해석 및 이해 방식을 통해 원문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번역가가 제시하는 번역 방법은 서로 상충 관계에 놓여 있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원문의 총체적인 의미를 구성하는데 기여하여 궁극적으로 원작을 온전히 파악하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추정되는 동기를 다섯 가지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일부 한계에 대한 지적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이론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학 번역 관련 이론을 이론적 토대로 사용하여 국내에서 통시적 공시적으로 출판된 재번역을 번역 주체별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의 특징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번역학적인 측면에서 재번역의 양상에 대한 기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시대를 초월해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고전의 경우, 재번역을 통해 작품의 숨겨진 매력을 발굴하고 작품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재번역은 꾸준히 기획 추진될 것이다. 이 때 본 연구의 결과가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기타 불문학 작품의 불한 재번역에 대한 다각적인 추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question, "Why are retranslations being made?" The phenomenon of retranslation being as complex as translation, the author employs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approaches, including examining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target countries' systems and the current state of publication translation, as well as analyzing translations in an attempt to find an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 Out of all the translations of Stendhal's The Red and The Black (Le Rouge et Le Noir) that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1945, the author looked into 66 versions(in 79 volumes) possessed by the Korean National Library and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hanges in the political system of target language countries provide a motive for retranslation. As Korea had not embraced western literature before foreign powers forced an opening up of the country's ports in the late 19th Century, adaptations rather than translations of the originals were common for some time after the initial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The author recognized that adaptations in those days involved not only rewriting of an original text to suit what the Korean readership might find familiar but also a genre switching (e.g. from novel to drama). Further, indirect translations via an intermediate language such as Chinese or Japanese commonly took place. Indeed, the portion of indirectly translated texts based on Japanese translations increas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translations that use Japanese translations as source text display a number of shortcomings such as foreign words written according to Japanese convention, unfamiliar Japanese expressions, and omissions without any pretext even considering linguistic or cultural differences. The bigger problem relating to this phenomenon is that the practice of using Japanese translations as source text survived covertly and continued even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rule, prolonging Korea's cultural subordination, albeit undisclosed, to Japan. By today's criteria, adaptations or indirect translations can hardly be seen as faithful to the originals in genre, content, and form, raising the need for a new, ful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Second, diachronic changes in language lead to retranslation. The texts written at a certain point of time when the source language undergoes changes and fully integrated into the language are endowed with perennial vitality.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for translations. Translations are inevitably dependent on the situation of the target language countr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exts that have identical function, meaning, and effect to the original. From the diachronic perspective, retranslation done to reflect the shifting language situation of the target language country may reveal the fact that a translation does not last indefinitely.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can be seen as a process that resuscitates the original in the target culture by restoring to it the vitality. Despite the fact that what the author has analyzed is limited to the books published over the past 50-60 years, common lexicons archaicall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hinese loan words, Chinese appellations and other awkward words apparently borrowed from other languages were common in the relatively older translations. The words and expressions are unfamiliar to modern readers, even if not to the extent that it hampers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lation. However, these aged translations can give an impression that the translated text is out of date, thereby serving as major motive behind retransl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nalyzed retranslations diachronically produced over the long term and recognized that modernized retranslations have been made as part of efforts to reflect the latest language conventions. Third, changes in linguistic rules in the target language country relating to transliteration of loan words and punctuation marks, or the array of characters, are a powerful cause for retranslation. When publishing firms that commission the translation of literary works voice the need for retranslation on grounds that the existing translations have aged and thus need to be replaced by modernized translations more suited to the taste of modern readers, it is easy to conclude that changes in language are the sole factor to cause the phenomenon of retranslation. However, the author recognizes that retranslation caused by changes in the transliteration of words or punctuation marks, the array of characters, and other linguistic rules, are as common as that resulting from changes or losses in the meaning of words as they become archaic or obsolete in the target language. This demonstrates that changes in transliteration as much as changes in language can give readers the impression that the existing translation is out of date. To arrive at this conclusion, the author compared translations from different periods by a single translator in order to control the variable - in this case, the translators' varying, subjective choice of words. Fourth, numerous plagiarisms and repeated publications explain why there have been such an excessive number of retranslations of The Red and The Black published in Korea since the country's independence. Phrases or sentences virtually identical to those in the existing translations were found in the versions retranslated not only by the original translator but also by other translators. The retranslations that display no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translations are thought to infringe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secondary sources. In addition, 16 out of 28 translators who translated The Red and The Black have had their translations published by the same or by other publishers. Their translations exhibit fe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versions except in the transliteration of loan words and punctuation marks. Given that these translations hardly vary in textual content and only differ in price and in the form of the books such as format, binding, and other paratextual features, they must be considered to be republications rather than retranslations. An edited version of an existing translation is thought to infringe on the copyrights of a secondary source if the publisher releases the version without seeking the translator's permission and without stating 'Reprinted' or 'Second Edition' on the book, even if the translator had worked with the publisher. The phenomena of plagiarism and republication of existing translations are not limited to a certain time period but are found during the entire time since Korea gained its independence in 1945, revealing how far Korea's publishing lags behind in terms of translation of literary classics. Fifth and finally, retranslation can reflect the translator's unique perspective on what translation should be as well as delivering the diverse charms of the original text. Simply because the existing translation has aged or is flawed does not lead to the retranslation of the text. Literary works are open to diverse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not only by the general reading public as the final consumer but also by translators who exert efforts to understand the texts as objectively as possible in order to reproduce them in another language. Although translators strive to make sense of the original work in the most unbiased manner possible to produce a translation, it can vary from translator to translator how he or she interprets and re-expresses the elements that determine the literary qualities of the original text. Since the linguistic and cultural systems of source and target language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a single translation can hardly create the same meaning and value as in the multi-level, complex literary text whose meaning and form are inseparably integrated as if it was a living material. Retranslation made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signify the inferiority of translation to the source language text. Rather, it should be seen as a process by which an individual translator bestows new life on the original text through integration of the latest language conventions, and diverse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of the text. Moreover, different translating methods adopted by different translators are complementary rather than contradictory to one another. These varying methods help reconstruct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which eventually will allow readers to fully understand the work. As such, this study suggests the five presumed motives behind retranslation. Each motive, closely associated with key research tasks on publication translation, requires more in-depth individual study. Notwithstanding the limitations expected to be pointed ou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based on system theories and other various theories concerning literary translation, it categorizes retranslated versions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published by the main factor causing such retranslations t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Another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before this study, no descriptive and systematic study analyzing retranslations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translation studies. Retranslation can uncover hidden charms of literary classics loved beyond time and therefore allow readers to discover their essence. In this light, it will continue to be planned and conducted. The author hopes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in the process. The author also expects that based on this study, further studies on retranslations of other French literary works will be carried out from various perspectives.

      • 중한 문학 번역의 다시쓰기에 대한 연구 :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신다영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translation study which aims to analyze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novels, with reference to André Lefevere’s rewriting theory. Lefevere (1992c: 9) has defined translation is the most obviously recognizable and potentially the most influential type of rewriting. Having literary systems in mind, he described rewriting is bound to happen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of a literary work according to a certain ideology or poetics of a target language (TL) culture, under constraints of professionals inside the TL literary translation system (e.g. translators) and patronage outside of the system (e.g. publisher). Using this rewriting concept as the main theoretical framework, this research selected the Korean translations of “100 greatest Chinese novels in the 20th century” named by the Chinese newsmagazine Yazhou Zhoukan as target texts, and examined the backgrounds and relevant information of such texts and then conducted detailed text analysis. Of said target texts, forty seven translations published under selection by the Korean literary translation system after the 21st century (i.e. January 2001 from August 2014)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the translations, and twenty eight translations were chosen for the text analysis. Detailed proces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ed translations under selection by the Korean literary translation system after the 21st century, forty seven translated tex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ublication year (based on the year of first edition), time setting, main theme, genre, region of birth and gender of the author, etc.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lected novels demonstrated a diverse span of time settings, main themes, and genres with high percentage of female and Chinese authors residing outside of Mainland China including Taiwanese and Hong Konger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forms of rewriting taken in the translated texts, text analysis of twenty eight translation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titles, meta-texts, and general strategies were analyzed as preliminary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diverse translation strategies were used in the title translations. Various remarks about rewriting strategies were also found in the meta-text analysis. A remark worthy of note in the meta-texts is that the translator made “faithfulness” to the source text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the translation, but had no choice but to rewrite the original for improving readability, etc. In terms of general strategies, most of the translated texts were the full representations of their originals, but the partially translated text was mostly rewritten with totally different images from the original in its contents. In the second stage, division of text, titles of chapters, narratives, and dialogue structures were examined as macro-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translations faithfully followed the division of text and titles of chapters of the originals; however, the narratives and dialogue structures often allowed tremendous forms of rewriting. In terms of the narratives, translators often abridge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originals, omitted short descriptions before or after dialogues, and added their own interpretations. Translators also added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dialogues, which did not exist in the source texts, showing rewriting patterns that reflect the hierarchical human relationships unique to the Korean culture. In the third stage, selection of words, grammatical patterns, rhetorical techniques and realizations, modality and speech acts were investigated as micro-analysis. The analysis identified twelve components related to the universe of discourse which include the names of persons, places and shops, objects, animals and plants, customs, literature-related components, history, art, systems, religion, gender, body language, and unnormative behaviors; twelve components related to the language which include analogy, idiomatic expressions, onomatopoetic and mimetic words, personification, repetitions, images, marked expressions, swear words, personal pronouns, sentence final endings, modals, and speech acts; and diverse translation strategies unique to the individual translators which include the use of footnotes and replacement, addition, or deletion of expres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bove three-staged text analyses,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The forms of rewriting taken in the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those which are identifiable in almost all translated texts (e.g. rewriting in a way that builds more hierarchical character relationships than the originals) and those identifiable on a case-by-case basis in the individual translators and translated texts. In terms of accepting new and unfamiliar components in the source texts, rewriting took ununified forms: while certain translations actively introduced new and unfamiliar components in the source language culture, other translations eliminated and replaced such unfamiliarities by means of rewriting in a form acceptable in the universe of discourse and language of the target language culture. Although Lefevere declared a rewriting of an original text is carried out by reflecting a certain ideology and a poetics in the target language culture, the findings of the text analysis in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translation strategies held by individual translators, in addition to the ideology and poetics in the target language culture, would bring out very complicated and diverse forms of rewriting in the translation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descriptions of the rewriting found in relatively large number of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literatures, not limited to specific works, authors or translators, and attempting to classify the forms of rewriting in detail. However, such attempt for the classification might serve as a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s well as significance. One case found in the course of classification often fell within multiple categories. This phenomenon might show the necessity of supplement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dopted in this study in further research, but demonstrate the complexities of “culture” itself and the integrated nature of a language as an element constituting a culture and as means of expressing the cultur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f rewriting that arises in the Chinese-Korean literary translation systems and be further systemized by more research. 본 연구는 중국의 시사주간지 『아주주간(亞洲週刊)』이 1999년 선정한 ‘20세기 중국어 소설 100강’에 오른 작품 중 2000년대 이후 (2001년 ~ 2014년 8월 현재) 한국에서 번역 출판된 작품을 André Lefevere의 다시쓰기(Rewriting) 이론에 입각해 분석, 기술한 기술번역학적 연구(descriptive translation study)이다. Lefevere(1992c: 9)는 번역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다시쓰기(the most obviously recognizable type of rewriting)” 이며 “가장 영향력이 큰(the most influential)” 형태의 다시쓰기라고 주장하면서 시스템적 관점에서 출발어 문학이 도착어 문학 번역 시스템 내부의 전문가(ex. 번역자)와 시스템 외부의 후원자(ex. 출판사)에 의해 도착어 문화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시학에 따라 다시쓰기된다고 말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시쓰기 이론에 입각하여 ‘20세기 중국어 소설 100강’작품 중 2000년대 들어 한국의 문학 번역 시스템에 의해 선택되어 번역∙출판된 작품들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 중 28개 작품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번역 텍스트의 다시쓰기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기술하였다. 우선, ‘20세기 중국어 소설 100강’작품 중 2000년대 들어 한국의 문학 번역 시스템에 의해 선택되어 번역∙출판된 작품들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2000년대에 번역된 47개 작품의 출판(초판)연도, 시대적 배경, 주제, 장르, 저자의 출신 지역, 성별 등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 작품의 시대적 배경, 주제, 장르 등이 매우 다양하며 여성 작가 작품의 비중과 대만∙홍콩 등 화인(華人) 문학의 비중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텍스트 분석은 2000년대에 번역된 47개 작품 중 28개 작품을 선정하여 3단계에 걸친 사례 분석을 실시했다. 1단계는 예비 데이터 분석 단계로, 작품의 제목, 메타텍스트, 일반 전략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작품 제목의 번역에서 매우 다양한 번역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고, 메타텍스트에서도 다양한 다시쓰기 전략에 대한 언급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충실성’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독성 등을 위해 다시쓰기가 불가피했다는 번역 전략에 대한 언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전략의 경우, 일부 텍스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번역 텍스트가 원 텍스트를 완역하였는데, 부분 번역된 텍스트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원 텍스트와는 작품의 이미지 자체가 상당히 달라지는 다시쓰기가 이루어졌다. 2단계는 거시적 분석 단계로, 텍스트의 구획 및 각 장의 제목, 서술, 대화 구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일부 작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번역 텍스트가 원 텍스트의 텍스트 구획과 장 제목을 따르고 있었으나, 서술과 대화 구조에서는 비교적 큰 폭의 다시쓰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서술의 경우, 디테일한 서술의 축약, 대화 전후의 짧은 서술 생략, 해석 강화 등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화 구조에서는 원 텍스트에 없는 경어 체계의 도입을 통해 한국 문화 특유의 위계적 인간 관계로의 다시쓰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3단계는 미시적 분석 단계로, 어휘, 문법 패턴, 수사 기법, 양상, 화행 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인명∙지명∙상호명, 사물, 동식물, 관습, 문학 관련 요소, 역사, 예술, 제도, 종교, 성, 몸짓 언어, 비규범적 행위 등 담화 세계와 관련된 12개 요소와 비유, 관용적 표현, 의성어∙의태어, 활유, 반복, 이미지, 유표적 표현, 욕설, 인칭대명사, 문장 종결 유형, 양상, 화행 등 언어와 관련된 12개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역주, 표현 대체, 표현 추가, 생략 등 번역자에 따라 매우 다양한 번역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단계의 텍스트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중한 문학 번역 시스템의 다시쓰기는 인물간 관계가 원 텍스트에 비해 위계화되는 다시쓰기처럼 거의 모든 번역 텍스트에서 확인되는 다시쓰기가 있는가 하면, 개별 번역자와 번역 텍스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다시쓰기도 있었다. 원 텍스트의 낯선, 새로운 요소를 수용하는 문제에 있어서도 역주나 표현의 추가를 통해 도착어 문화의 독자들에게 출발어 문화의 낯설고 새로운 요소를 적극적으로 소개한 다시쓰기가 있는가 하면, 표현의 대체를 통해 도착어 문화의 담화 세계와 언어로 다시쓰기하여 낯설고 새로운 요소를 제거한 다시쓰기도 있었다. Lefevere는 시스템적 관점에서 도착어 문화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시학에 의해 다시쓰기가 이루어진다고 간략히 언급했지만, 본 연구의 텍스트 분석 결과는 도착어 문화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시학 못지 않게 개별 번역자의 이데올로기와 시학 내지는 번역 전략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다시쓰기 양상을 유발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비교적 많은 수의 작품을 대상으로 특정 작품, 저자, 역자에 국한되지 않는 다시쓰기를 기술하고 다시쓰기 사례의 유형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만, 유형화 시도는 본 연구의 의의임과 동시에 한계이기도 하다. 유형화를 하는 과정에서 한 개의 사례가 복수의 요소와 관련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이는 연구자의 유형화 체계가 아직 보완되어야 할 점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문화’자체가 본래 복합적인 현상이고 언어는 또 문화를 구성하는 일부이자 문화를 표현하는 수단이기에 각각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드러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가 중한 문학 번역 시스템의 다시쓰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체계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중한 번역에서 나타난 번역투 양상 연구

        임현정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아직까지 중국어 번역투 연구는 많지 않아서 영어 번역투나 일어 번역투처럼 구체적으로 유형을 다룬 연구가 없다. 그래서 중국어 번역투를 연구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중한 번역에서 나타나는 번역투 양상은 참으로 복잡하였다. 한국어 꼴이 영어 번역투나 일어 번역투와 같은 것이 많아서 중국어 번역투만 따로 연구할 수 없었다. 또한 중국어 간섭없이도 영어 번역투와 일어 번역투 사용 양상을 찾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가독성을 떨어뜨린다는 전제하에 예비 번역사가 사용한 외국어 번역투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가치중립적으로 번역투를 관찰하였지만 우리말로 대체 할 수 없는 ‘우연한 빈칸’을 채워주는 번역투는 하나도 찾지 못 하였으며 결론적으로는 모두 극복의 대상이 되는 번역투만을 다루었다. 번역투에는 다음과 같은 역기능이 있다. 첫째, 번역물 가독성과 질을 떨어뜨린다. 둘째, 목표언어 고유 어휘를 잠식하고 다양한 활용을 제약한다. 셋째, 목표언어 고유의 말 체계와 글 체계를 훼손하거나 왜곡한다. 넷째, 문화 간 패권다툼으로 확대하여 언어 사대주의 의식이 심화한다. 다섯째, 번역투에는 신속한 파급력이 있으며 목표언어 체계 내에 빠르게 정착한다. 여섯째, 직역하여 생긴 번역투를 자주 쓰다보면 표현력과 상상력을 제약하여 오역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번역투의 역기능이 지닌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첫째, 중한 번역에서 중국어 번역투와 그 외의 다른 외국어 번역투도 번역의 질을 떨어뜨리므로 모든 번역투 요소를 파악하여 사용을 가능한 자제해야 한다. 둘째, 번역사는 외국의 지식이나 문화 등을 전파하는 문화전파자로서 일반인보다 모국어 지식이 더 풍부하고 모국어 구사 능력이 더 뛰어나야 한다. 이로써 통번역사는 우리말을 풍부히 하는 긍정적 역할을 해야 한다. 셋째, 직역으로 나오는 번역투는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역기능이 많으며 이런 번역투를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사람은 바로 독자이므로 통번역사는 책임감 있는 태도로 번역투 확산과 생성을 예방하는 데 힘써야 한다. 넷째, 번역투는 통번역 교육으로 예방할 수 있으므로 통번역 교육에서 번역투를 더욱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이와 같은 전제아래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외국어 번역투를 포함하여 중한 번역에서 나타난 다양한 번역투의 예시를 살펴 대안을 제시하고 번역투를 없애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번역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둘째, 전문번역가와 예비번역사의 번역물에 있는 중국어 번역투를 두루 살펴보고 번역투 현상을 예비번역사의 교육 과정에서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중국어 번역투 사용을 미리 방지하고자 한다. 최근 중국과 한국의 교류가 급속히 늘고 있으며 중국 관련 번역서도 많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중한번역학계도 구체적인 번역투 유형연구가 절실하다.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 번역 교육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국어 번역투와 함께 외국어 번역투를 사용한 예를 제시하는 것은 번역사가 외국어를 선별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을 갖추는 데 좋은 학습 자료가 될 것이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재학생과 졸업생 37명의 재학 중 과제물과 전문번역사의 번역물을 수집했다. ‘출발어의 간섭 여부와 관계없이 번역 행위로 번역문에 나타나는 한국어 특성에 맞지 않는 상투적이고 어색한 모든 외국어식 표현’이라 정의하여 중국어 간섭이 없는 영어번역투와 일어번역투, 영·일 복수번역투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재학생과 졸업생 37명의 재학 중 과제물과 전문번역사의 번역물을 수집했다. 중국어 간섭으로 나타나는 번역투의 양상을 어휘차원 번역투와 통사차원 번역투로 나누었다. 어휘차원 번역투는 명사, 대명사, 개사, 구조조사, 부사, 동사, 형용사, 수 관형사, 접속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국어 간섭을 받지 않은 통사 차원 번역투로 영·일 복수 번역투를 다뤘다. 여기서는 복수 표지 ‘들’, 피동 표현, 사동 표현, 이중 피동 표현, 진행 표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국어 원문 간섭이 없는 어휘차원 번역투를 일어 번역투, 영어 번역투, 영․일 복수 번역투로 크게 셋으로 나누고 품사별로 살펴보았다. 일어 번역투는 명사로 일본식 한자어를 살펴보고 조사와 동사를 살펴보았다. 영어 번역투는 명사. 동사, 조사, 접속사를 살펴보았다. 영․일 복수 번역투로는 부사와 동사를 살펴보았다. 통사차원 번역투로는 복수표지, 피동, 사동, 진행형 표현을 살펴보았다. 위에서 살펴본 모든 번역투는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으로 대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이를 정리하고 한계점과 의의와 향후 과제를 논하였다. 所谓翻译体(Translationese, 或称翻译语、翻译腔)是一种译文中所留存的原文语言形式,是极影响译文可读性的语言。这在词汇、句法和篇章等語言各个层次都会出现。过去,对翻译体的研究主要集中在受到原文的干扰而产生的词汇和句法层面,其实,在中韩翻译文上,我们不难发现英语翻译体和日语翻译体的影子。这与英语翻译体和日语翻译体在韩国社会的普遍普及有关,甚至最近高中教科书上也出现了指责翻译体乱用现象的内容。 作为翻译工作者应具备比一般读者更优秀的语言能力。 并且, 应丰富自己的母语, 而不损益自己的母语是翻译工作者的应尽义务。因此, 中韩翻译时,应要摆脱中文构成的干扰, 靠正确、丰富的韩国语知识来创作可读性高、质量好的译品。 在这样的前提下,本研究把翻译体的概念扩大到了“受到中文干扰的中文翻译体”、“不受中文干扰的英语翻译体”、 “不受中文干扰的日语翻译体”和“不受中文干扰的英日双语翻译体”。并提出了翻译研究生院研究生和专业翻译者的翻译体例子和代替方案。 翻译体出现的原因有二: 一是译者忽视译语和原语之间的差异,在理解阶段没有从原文的表层深入到深层意义,不知不觉地产生翻译色彩的译文。二是,译者混淆或是分不出外来的翻译体。这样译文上各种翻译体泛滥成灾,不仅严重降低可读性,而且损害译语的语言规则和特点。因此,在翻译教学中翻译体问题应该受到重视。 在翻译教学中,我们应该让学生进行原语和译语之间的对比,应该加强译语教育,让学生充分掌握两者之间的异同和外来翻译体,创造出符合译语规则和习惯的译文。 现在中韩翻译体类型的研究仍处在初步阶段,本文以专业翻译工作者和翻译研究院研究生的译品为对象,通过对“受到中文干扰的中文翻译体”、“不受中文干扰的英语翻译体”、“不受中文干扰的日语翻译体”和“不受中文干扰的英日双语翻译体”这几个方面的分析研究,初步探讨了中韩翻译中可见的翻译体问题。

      • 한국 다문화사회 언어교육 및 지역사회통역지원의 발전을 위한 제언

        노용선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在全球化发展的潮流中, 韩国社会正在以极快的步伐向多元文化社会迈进。随着国际交流的增加和世界经济结构的重组,跨国婚姻家庭迅猛增加,外籍务工人员和国籍归还者等外国人越来越多的加入到韩国社会中来。 这些出身外籍的韩国社会新成员们, 在融入学校生活及社会生活时,面临到了以语言交流为代表的种种问题,不管是对当事人,还是对韩国社会整体的建设性发展来说,这些问题都是挑战性课题。 本研究主要分析了多元文化社会中,与语言教育及社区口译这两种语言政策有关的韩国社会现状及政策方向。笔者以前人研究为理论依据,收集了最近多元文化社会语言教育的案例,并对此进行了研究分析。第一章介绍了研究背景、研究方法、研究目标、并对用语进行了整理。 第二章主要分析了韩国多元文化社会和多元文化语言教育现状。作为多元文化社会的新成员,应当通过韩国语教育和母语教育,积极适应韩国社会。并且认识到处于两种语言交汇点这件事本身就是一种财富,并以此作为机会,谋求发展。 同时,现有的韩国社会成员,也应当参与到多元文化语言教育中,扩大与社会新成员的交流。 创造学习外来语言和文化的机会,为此,笔者对加入韩国社会新成员的人口、国籍,学历水平等信息进行了统计整理,并对教育现场进行了考察,提出了改善意见。 本研究在第三章里对社区口译进行了研究分析。韩国政府为了促进社会融合,于2008年12月发布了 ”第一批外国人政策,在此政策中,首次提到了关于提供口译服务的内容,本研究意图通过此政策,摸索社区口译在多元文化社会移民过程中的真正含义,探寻政策发展方向。因此,笔者对当今政策施行初期阶段的有关教育案例进行了调查和分析,进而论述了多元文化社会成员活用为社区口译人才的可能性,以及引进教育和审查体系的必要性。 比韩国提早进入多元文化社会的欧洲、加拿大、澳大利亚、日本、台湾等国,通过孜孜不倦的努力,建立了以多元文化社会成员为对象的语言教育模型,并创造了能够让社会新老成员相互融合适应的环境。本研究对上述教育实例进行了研究,指出了韩国社会应当学习的部分。 最后,笔者以前文的调查及分析为基础,对研究结果进行了综合整理,并对韩国多元文化社会的语言教育及社区发展提出了建议。 在全球化发展的潮流中, 韩国社会正在以极快的步伐向多元文化社会迈进。随着国际交流的增加和世界经济结构的重组,跨国婚姻家庭迅猛增加,外籍务工人员和国籍归还者等外国人越来越多的加入到韩国社会中来。 这些出身外籍的韩国社会新成员们, 在融入学校生活及社会生活时,面临到了以语言交流为代表的种种问题,不管是对当事人,还是对韩国社会整体的建设性发展来说,这些问题都是挑战性课题。 本研究主要分析了多元文化社会中,与语言教育及社区口译这两种语言政策有关的韩国社会现状及政策方向。笔者以前人研究为理论依据,收集了最近多元文化社会语言教育的案例,并对此进行了研究分析。第一章介绍了研究背景、研究方法、研究目标、并对用语进行了整理。 第二章主要分析了韩国多元文化社会和多元文化语言教育现状。作为多元文化社会的新成员,应当通过韩国语教育和母语教育,积极适应韩国社会。并且认识到处于两种语言交汇点这件事本身就是一种财富,并以此作为机会,谋求发展。 同时,现有的韩国社会成员,也应当参与到多元文化语言教育中,扩大与社会新成员的交流。 创造学习外来语言和文化的机会,为此,笔者对加入韩国社会新成员的人口、国籍,学历水平等信息进行了统计整理,并对教育现场进行了考察,提出了改善意见。 本研究在第三章里对社区口译进行了研究分析。韩国政府为了促进社会融合,于2008年12月发布了 ”第一批外国人政策,在此政策中,首次提到了关于提供口译服务的内容,本研究意图通过此政策,摸索社区口译在多元文化社会移民过程中的真正含义,探寻政策发展方向。因此,笔者对当今政策施行初期阶段的有关教育案例进行了调查和分析,进而论述了多元文化社会成员活用为社区口译人才的可能性,以及引进教育和审查体系的必要性。 比韩国提早进入多元文化社会的欧洲、加拿大、澳大利亚、日本、台湾等国,通过孜孜不倦的努力,建立了以多元文化社会成员为对象的语言教育模型,并创造了能够让社会新老成员相互融合适应的环境。本研究对上述教育实例进行了研究,指出了韩国社会应当学习的部分。 最后,笔者以前文的调查及分析为基础,对研究结果进行了综合整理,并对韩国多元文化社会的语言教育及社区发展提出了建议。 최근 한국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국제교류의 증가와 세계적인 경제구조 재편으로 국제결혼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국적귀화자 등 외국인의 한국사회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사회 유입된 외국출신의 새로운 구성원들은 학교생활과 사회생활 적응에 있어서 언어소통을 비롯한 많은 문제를 겪게 되고, 사회적응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이는 비단 구성원 당사자 뿐 아니라 전체 사회의 건설적인 발전에 도전과제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를 위한 두 가지 언어정책, 즉 언어교육과 지역사회통역(community interpretation)에 관한 한국사회의 현황과 정책방향을 다루었다. 1장에서는 한국사회에 유입된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인구와, 국적분포, 학력수준 등의 정보를 통계를 통해 정리하였으며, 현재 진행 중인 다문화언어교육현장을 점검하여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지역사회통역문제를 다루었다. 한국은 사회통합을 위하여 2008년 12월 ‘제1차 외국인 정책‘ 발표하였고 가운데 처음으로 통역서비스 제공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 이주과정에서의 지역사회통역의 구체적 의미와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고, 현재 시행초기단계인 관련 교육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한국보다 일찌감치 다문화사회를 경험한 유럽과 캐나다, 호주, 일본, 대만 등의 국가에서는 그동안 끊임없는 시도를 통해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언어교육 모델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구성원과 새로운 구성원이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다. 상술한 국가들의 언어교육사례를 점검하고 우리 사회가 배워가야 할 부분을 정리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앞장의 조사와 분석을 토대로 하여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한국의 다문화사회 언어교육과 커뮤니티 사회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정리하였다.

      • 국내 언론사 뉴스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 연구 : 영어 뉴스 사례를 중심으로

        홍정민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국내 언론사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뉴스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를 전반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번역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번역사 지위 개선의 출발점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번역은 오랜 기간 동안 원문 생산에 비해 파생적이고 열등한 활동으로 번역사는 원저자에 비해 부차적인 존재로 인식되어 왔으며 따라서 직업으로서의 사회적, 공식적 위치도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했다. 번역사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 역시 이러한 인식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번역이 언어와 국민 문학 발전, 지식과 종교 전파에 기여하는 등 수 천년 동안 인류의 문명과 문 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음을 감안할 때 번역이라는 활동과 번역사의 역할에 대한 사회 적 이해를 높일 경우 번역사에 대한 인식은 개선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이들의 지위 향상 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번역과 번역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관심 제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번역사의 지위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특히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언론사 내에서 기자, 에디터, 데스크 등 여러 주체와 다양하고 복잡한 단계를 통해 의사소통하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뉴스 번역사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에게는 어떠한 지위가 부여되고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번역학 내 번역사 지위 연구의 양적, 질적 공백을 메우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뉴스 번역사들이 뉴스 번역 과정에서 수행하는 업무와 발휘하거나 부여 받은 권한을 조사하고 둘째 뉴스 번역 외의 국 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뉴스 번역사가 수행하는 업무와 발휘하거나 부여 받은 권한을 고찰하며 셋째 언론사 내 뉴스 번역사에 대한 인식과 근로조건을 조사함으로써 한국 언론사 내 뉴스 번역 사들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예비조사 차원의 인터뷰, 본 조 사인 텍스트 분석과 설문조사 등 세 가지를 병행함으로써 텍스트 내적 측면은 물론 텍스트 외적 측면까지 다각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이와 함께 언론사 내에서 뉴스 번역사들과 수행하는 업무가 유사한 기자와의 비교라는 접근법을 택해 번역사의 지위를 좀 더 정교하게 측정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이러한 방법을 통해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스 번역 과정에서 번역사들은 기자에 비해 제한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고 이들이 발휘하거나 이들에게 부여된 역할 범위 및 권한 역시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분석에서 국내 8개 언론사의 번역사와 기자가 생산한 한국어 및 영어 ST-TT 총 296쌍을 번역 전략 별로 분류하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각 주체의 개입 및 변형 양상을 질적, 양적으로 비교한 결과 번역사들은 일부 뉴스 번역 과정에서는 비교적 적극적으로 텍스트에 개입하면서 뉴스 번역에 대한 기대 규범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기사를 생산하고 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기자에 비해 소극적으로 텍스트에 개입하고 있었으며 보도 원칙과 같은 윤리적 기대 규범에 대한 지식이나 인식 부족을 드러내기도 했다. 설문조사에서는 번역사와 기자의 텍스트 개입 및 변형 양상이 이처럼 차이를 보이는 원인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었다. 언론사 내에서 언론사가 번역사와 기자에 허용하는 텍스트 개입 유형 및 범위를 조사한 결과 번역사에게는 기사 취재 및 작성 활동이 전혀 허용되지 않으며(0%, 0명) 여러 개의 ST를 종합할 수 있는 권한 역시 거의 주어지지 않고 있음을(21%, 4명) 알 수 있었다. 반면 기자들 사이에는 허용되는 개입 유형 및 범위로 기사 취재 및 작성과 종합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기자는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기사 취재 및 작성과 종합 활동이 번역사에 게는 거의 허용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번역사 번역 텍스트에서 직접 취재 활동을 통한 정 보 첨가 양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종합 전략의 빈도 및 종합을 위해 사용한 ST의 수가 기자 번역 텍스트에 비해 적었던 텍스트 분석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즉 뉴스 번역 과정에서 번역사에게는 기자에 비해 제한적인 텍스트 개입 권한만 허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번역사는 실제로도 기자보다 소극적으로 텍스트에 개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터뷰 결과 언론사가 번역사에게 특정 유형의 텍스트 개입 권한을 허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번역사 역시 번역사와 기자의 텍스트 개입 권한이나 범위를 다른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언론사의 허용 여부는 물론 번역사의 인식 역시 번역사와 기자 간 텍스트 개입 및 변형 양상의 차이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번역사 가운데는 프리랜서 번역사보다 인하우스 번역사의 텍스트 개입 양상 및 권한이 좀 더 약한 것으로 나타나 제도번역 중에서도 원형적 제도번역 여건이 주변적 제도번역 여건보다 번 역사들에게 좀 더 강한 제약으로 작용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사 선정, 기사 편집 및 감수, 기사 출고 등 뉴스 번역을 제외한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번역사의 업무와 권한은 번역사, 기자, 에디터 등 총 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하되 인터뷰에서 얻은 자료 역시 적절히 활용해 고찰해보았다. 조사 결과 뉴스 번역 외의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도 번역사는 기자보다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가시성, 영향력, 자율성, 즉 권한 역시 기자에 비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제한적 역할과 권한은 번역사와 기자의 능력 및 전문성, 역할에 대한 언론사 또는 번역사와 기자 스스로의 이분법적 인 식 및 기대에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담당하는 업무와 관련해서 번역사는 텍스트의 형태를 결정하는 편집 및 감수를, 기자는 뉴스 소재 자체를 선택하는 기사 선정을 주요 업무로 담당하고 있었는데 이는 각 언론사가 번역사는 언어적 측면에서, 기자는 뉴스 가치 판단에서 능력 및 전문성이 있다고 보면서 각 주체 의 역할에 대해서도 이분법적인 인식과 기대를 갖고 있음을 반영하는 결과일 수 있다. 담당 업무뿐 아니라 다른 국제 뉴스 생산 주체와의 의사소통 과정에서도 번역사와 기자 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번역사는 기자에 비해 적은 단계에서 다른 주체들과 의사소통 하는 등 가시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심 업무인 뉴스 번역 단계에서는 기자에 비해 의사소통이 자주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번역사가 기자보다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다른 주체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즉 기자에 비해 영향력과 자율성이 떨어짐을 시사한다. 한편 번역사 중에서는 인하우스 번역사가 프리랜서 번역사보다 번역 지침의 제약을 더 많이 받고 있으며 핵심 업무에서의 영향력 및 자율성도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되면서 뉴스 번역 외의 국 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도 제도성에 따른 제약의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언론사 내 번역사와 기자에 대한 인식과 근로조건 역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하되 인터뷰 결과를 통해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검토했으며 이를 통해 번역사와 기자 간에는 스스로의 역할, 영향력 및 지위에 대한 인식과 전반적인 근로조건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사들은 이상적인 뉴스 번역사의 역할을 언론인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실제로는 번역 전문가 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반면 기자들은 언론인이라는 이상대로 실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번역사가 기자보다 강한 제약을 받고 있거나 그 밖의 이유로 스스로 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수행하지 않고 있음을 시사 한다. 아울러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행사하는 영향력과 언론사 내에서의 전반적 지위에 대한 자기 인식에서 번역사가 기자보다 크게 낮은 점수를 기록함으로써 번역사가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거나 못하는 데에 번역사 스스로의 인식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국 번역사는 스스로의 영향력과 지위를 기자보다 낮은 것으로 인식하면서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않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자기 인식은 나아가 번역사가 번역사 와 기자의 텍스트 개입 권한이나 범위를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뉴스 번역 과정에서 이들의 텍스트 개입 및 변형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텍스트 분석에서 번역사 사이에 기자보다 소극적인 텍스트 개입 및 변형 양상이 나타난 것 역시 이러한 인식에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고용 안정성, 물질적 및 비물질적 처우, 가시성, 영향력, 만족도 등 전반적인 근로조건 역시 번 역사가 기자에 비해 열악했다. 번역사 사이에는 기자에 비해 계약직 비율이 높게 나타나면서 고 용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졌고 급여 등의 물질적 처우는 물론 교육 및 연수 기회와 같은 비 물질적 처우도 기자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번역사는 기자에 비해 재택 근무 비율이 높아 가시성이 상대적으로 약했고 승진을 통해 조직 내에서 좀 더 영향력 있는 위치에 오를 수 있는 기회 역시 부족했다. 직업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번역사는 기자보다 훨씬 낮은 점수를 기록했는데 특히 불만족의 이유로 기자는 비생산성이나 커뮤니케이션 문제 등 소속 조직 특유의 문제를 꼽은 반면 번역사는 보수, 고용 불안정성과 같은 근로조건, 인식, 영향력 및 권한, 가시성 등 직업 자체 와 관련된 요소들을 꼽았다는 점은 번역사 사이에 직업에 대한 불만족이 매우 강하게 자리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인하우스 번역사와 프리랜서 번역사 간에는 인식과 근로조건 측면에서도 차이가 관찰되었다. 프리랜서 번역사는 인하우스 번역사보다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중시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그러 한 역할을 좀 더 활발히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받는 처우는 인하우 스 번역사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프리랜서 번역사들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그에 맞는 처우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종합해 본 연구가 국내 언론사 뉴스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번역사들은 일부 뉴스 번역 과정에서는 비교적 적극적이고 자율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어느 정도 보도 관행에 부합하는 기사를 생산하고 있었으나 뉴스 번역을 비롯한 국제 뉴스 생산 과정 전반에 걸쳐서는 기자에 비해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영향력, 가시성, 자율성 등 의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취약한 권한을 발휘하거나 부여 받고 있다. 둘째 번역사 스스로도 자 신의 영향력과 지위를 기자보다 낮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전반적인 근로조건 역시 번역사가 기자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내 언론사의 뉴스 번역사들은 국제 뉴스 생산 과정 에서 유사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자에 비해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위 역시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다. 뉴스 번역에서는 보도 관행으로 대변되는 텍스트적 원칙 및 윤리적 원칙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텍스트에 과감하게 개입하는 것이 기대 규범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번역사들이 이처럼 제한적인 역할만 수행할 경우 이들이 생산하는 번역 결과물의 품질과 이들에 대한 언론사 의 인식이 저하되면서 번역사의 언론사 내 지위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뉴스 번 역사의 역할과 지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요인들을 감안할 때 이들의 지위 개선을 위해서는 번역사의 능력 및 전문성과 역할 범위에 대한 언론사와 번역사 모두의 인 식과 태도 전환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인식과 태도를 바꾸는 것은 단기 내에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 아닌 만큼 본 연구는 그 출발점으로 보도 관행에 대 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스크 또는 에디터와의 활발한 의사소통과 피드백을 기반으로 하는 보도 관행에 대한 양방향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이다. 이를 위해 언론사 또는 번역 조직 차원에서 데스크나 경력이 일정 기간 이상인 에디터를 지정해 번역사의 번역 결과물을 수정하고 지도하도록 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언론사 또는 번역 조직 차원에서 번역사들만을 위한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 대부분의 언론사가 수습 기자를 위해 제공하고 있는 기사 작성 교 육 프로그램에 번역사들을 참여시키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전문 번역사 양성 기관인 통역 번역대학원 역시 작문 또는 기술 번역 과목의 일부로 뉴스 텍스트 유형의 특징과 기사 작성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전달한 뒤 학생들이 이를 실제로 번역에 적용해볼 수 있도록 하는 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마련에 앞서 번역사 스스로도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할 때 실제로 참고하는 국내외 언론사의 보도 지침 등을 활용해 보도 관행을 충분히 숙지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국내 언론사 뉴스 번역사의 역할과 지위를 인터뷰, 텍스트 분석, 설문조사를 통해 다각도로 고찰한 본 연구는 연구 주제 및 방법 측면에서 번역학 내 번역사 지위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것 은 물론 뉴스 번역에 관심이 있는 번역사와 시장에서 원하는 번역사를 양성해야 하는 교육기관에 실무를 대비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학과 번역학 내 지위 연구를 접목해 번역사의 지위 측정을 위한 일련의 지표를 마련함으로써 번역학 또는 직업사회학 내 후속 연구에 유용한 방향을 제시하고 국제 뉴스 생산 과정에서 뉴스 번역과 뉴스 번역사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언론학계와 언론업계의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를 마 련했다는 측면에서 다학제적 가치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 시도한 접근법이 번역사에 대한 인 식 제고와 번역사 지위 개선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에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role and status of news translators in media organizations operating in South Korea focusing on news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e act of translation has long been considered inferior and derivative compared to the act of original work production and translators have been seen as secondary to original authors, leaving the job without social and official position and degrading translators’ status. However, translation and translators may deserve more attention and improved status since they have played key roles in the evolution of human thought and intellectual life throughout the history, ranging from the invention of alphabets, the emergence of national literatures, the dissemination of knowledge and the spread of religions(Delisle & Woodsworth 1995, ⅹⅳ). News translators, in particular, are under very complicated and peculiar conditions which can affect their role and status compared with translators in other fields. News translators are working for media organizations whose main business is producing original news texts based on news gathering and reporting, key task of reporters, not of translators. This means the act of translation, key task of translators, and therefore the role and status of translators are likely given less attention and recognition compared with the act of news gathering and reporting, and the role and status of reporters within media organizations(Vuorinen 1995; Tsai 2005). On the other hand, news translators have much in common with reporters in terms of tasks and required ability and attitudes(Goldscheider 2004; Gambier 2006). Also in news translation, authorship and status of source texts is likely disintegrated, and therefore fidelity to source texts is not given absolute value, possibly allowing translators more discretion to intervene in and transform source texts than those in other fields(Stetting 1989; Bassnett 2006; Bielsa 2007; Bielsa & Bassnett 2009; Doorslaer 2010). These conflicting aspects of news translation highlight the need for in-depth and exhaustive exploration of the role and status of news translators and are what motivated this study that sheds light on which role translators are playing in the process of news production and which status they are given in comparison with such role. This research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hich tasks news translators undertake and which discretion they exercise in the process of news translation, the key stage translators take part in among the four stages of news production which consist of news selection, news translation, news editing and news transmitting? Which tasks news translators undertake and which discretion they exercise in the other three stages of news production? What are translators’ overall working conditions and identity perceived by themselves and other news production participants within media organization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ree types of research methods, namely interviews, textual analysis and surveys, were adopted. Such an integrated approach was taken in order to cover not only the textual but the extra-textual aspects surrounding news translators. These three research methods are implemented in stages, and throughout the stages, collected data was compared between translators and reporters involved in the news production to gauge more precise role and status of news translators. Within the translator group, data from freelance and in-house translators were divided and compared. As for the analysis on the identity of translators and reporters, data from editors and desks working with each group were also included. In the first stage, a total of 14 professionals involved in news production such as translators, reporters, editors and desks were interviewed to gain the ideas of general news production process and working conditions of news translators in South Korea to set up more feasible research design and scope. The second stage, textual analysis, collected a total of 296 pairs of source texts and target texts which were then classified by five news translation strategies including deletion, addition, substitution, reorganization and synthesis, categories borrowed and adapted from the terms and concepts suggested by previous research on news translation(Hursti 2001; Gambier 2006; Bielsa & Bassnett 2009; Chen 2009, 2011; Bassnett 2011; Lu & Chen 2011).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arison between translators’ and reporters’ intervention in and transformation of the classified texts was followed. The compared texts were then evaluated based on a few gauges of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borrowed and adap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ranslation Studies and Journalism, including intervention in and transformation of source texts when necessary as well as compliance with major principles of news writing and reporting(Mencher 1984; Reiss 1989; Lanson & Stephens 1994; Shoemaker & Reese 1996; Chesterman 1997; Missouri Group 2005). The third stage was surveys with a total of 44 news production professionals, also including translators, reporters, editors and desks, and asked questions regarding major indicators of job status, such as education and expertise, visibility, influence, income and identity, used in previous research in Translation Studies and Sociology(Edwards 1943; Blau & Duncan 1967; Dam & Zethsen 2008, 2009a, 2010, 2011, 2012; Sela-Sheffy 2008, 2010; Sela-Sheffy & Shlesinger 2008; Katan 2009a, 2009b; Koskinen 2009; Setton & Guo Liangliang 2011; Ruokonen 2013).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obtained from the three stages of methods are as follows. A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news translators undertake limited scope of tasks and exercise weaker discretion in terms of intervention in and transformation of source texts compared with reporters in the stage of news translation. The textual analysis showed that passive intervention in and minor transformation of source texts as well as violation of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are more noticeable and frequent in the texts produced by translators than those by reporters. Three elements can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found in the textual analysis, according to the surveys and interviews. The surveys revealed that translators hardly take part in news gathering and original news writing or combine and merge a number of source texts into a single text as opposed to reporters who are freely engaged in such activiti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ranslators have weaker discretion in producing texts within media organizations, and therefore intervene in and transform source texts in a more passive manner than reporters. Interview findings suggested that the identity of translators perceived by themselves may also be attributed to the passive intervention and minor transformation since some of the translator respondents see it is beyond their authority to drastically and actively intervene in and transform source texts to the extent which reporters do. In short, translators are not allowed to or not motivated to actively intervene in and drastically transform source texts. Concerning the explanation for the violation of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interviews found that translators are not given enough opportunities of training and education related to news writing and reporting by media organizations or not paying full attention to or giving much value on meeting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even if sufficient training and education is provided. Among the translators, in-house translators intervene in and transform source texts in a more passive manner than freelance translators. This can indicate that the context of prototypical institutional translation in-house translators usually work, namely a circumstance where an official body uses translation as a means of speaking to a particular audience(Koskinen 2008, 22), may impose bigger constraints on translators than the context of peripheral institutional translation, a more loose definition of institutional translation which refers to a circumstance where translation takes place in or for specific organizations. Regard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ranslators undertake limited scope of tasks and exercise weaker discretion also in terms of visibility, influence and autonomy compared with reporters in the stages of news production other than news translation. And the limited tasks and weaker discretion was shown to be attributed to the dichotomous views of media organizations as well as of translators and reporters which draw a clear line between the ability, expertise and role expected and required for each professional group. For example, as for a survey question on the news production stages respondents are mainly involved in except news translation, nearly 70 percent of translators selected news editing, a task which requires linguistic ability and expertise while 87 percent of reporters chose news selection, a task which calls for ability to judge news value. This suggests media organizations assign different and separate tasks for translators and reporters possibly based on the dichotomous views. About a survey question on the interaction with other news production professionals, translators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fewer number of news production stages than reporters, indicating weaker visibility. Paradoxically, translators communicate with others more frequently in the stage of news translation, their key task, compared with reporters. The result suggests that translators may be more influenced by or dependent on others in carrying out their key task than reporters, and therefore exercise weaker influence or autonomy within media organizations. Within the translator group, in-house translators face bigger constraints and exercise weaker influence or autonomy than freelancers, supporting the finding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ntroduced above. Concerning the third research question, huge gap was found between translators and reporters in overall working conditions and identity perceived by themselves and other news production participants within media organizations. Survey results showed that both translators and reporters believe a professional involved in news translation should play the role of a journalist(63% and 93% respectively), but in reality most of translators(84%) tend to play the role of a translation expert while a majority of reporters(73%) play the role of a journalist which corresponds to their ideal. This suggests that translators may face stronger constraints which prevent or discourage them from playing what they believe is an ideal role. As for a survey question on the influence and status respondents think they have within media organizations, translators scored lower than reporters, indicating that translators own perception of weak influence and low status may be one of the constraints. This perception can prompt translators to draw a clear line between themselves and reporters concerning the scope of tasks and the extent of discretion in the overall stages of news production, resulting in translators’ passive intervention in and minor translation of source texts as shown in the finding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ranslators have poor working conditions compared with reporters in terms of job security, financial and non-financial compensation, chances of promotion and training or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terviews and surveys. Translators tend to work on a contract basis than reporters all of whom are permanent workers. Translators are given fewer chances of promotion which can help them land in a more influential position within media organizations. They also lack training or education opportunities. The poor working conditions can explain translators’ perception of weak influence and low status shown in the surveys as well as violation of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found in textual analysis. Translators are less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reporters, which may be affected by weak influence and low status as well as poor working conditions. Within the translator group, more freelance translators see the role of a journalist as ideal and actually play such a role than in-house translators. However, freelancers are under worse working conditions than in-house translators in general, suggesting freelancers may not be given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their relatively active role as a journalist deserve. Based on the findings,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in terms of the role and status of news translators in media organizations operating in South Korea. News translators are playing a limited role and exercise weaker influence, visibility and autonomy, which are indicators of power, compared with reporters in the overall stages of news production. News translators see their influence and status lower than those of reporters and have poor working conditions compared to reporters within media organizations. In short, news translators in South Korea are playing a limited role and have lower status compared with reporters. This research also identified a possible main cause of the limited role and low status of news translators and offers a few proposals to fix the cause and ultimately enhance their status. The integration of three types of research methods helped find that insuffici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led to little knowledge of news writing and reporting among news translators, and therefore the lack of confidence in their own products, discouraging them to play an active role. This can affect the quality of their products as textual analysis showed in some cases of violation of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and therefore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translators within media organizations. That means effective and suffici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re much in need as a first step to ultimately enhance news translators’ status. To be more specif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executed in a bilateral manner based on active feedback from editors or desks and free communications between translators and these professionals. Media organizations are recommended to designate qualified trainers among desks or editors with long-term experience to provide translators with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professionals involved in news production, not just news translation but news writing and reporting, and revise translators’ products. Training translators under the news writing and reporting program prepared for cub reporters can make a practical and realistic alternative. For their part, graduate schools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may offer a practicum that sensitizes students’ awareness about the key features of news articles’ text type and the principles of news writing and report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may inform researchers not only in Translation Studies but other closely related disciplinary areas such as Sociology and Journalism, not to mention practitioners in the relevant field. The expected benefits and valu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This study, as one of the rare attempts to look into the status of translators in South Korea, will help not only expand and deepen the research topic in Translation Studies as well as other disciplinary areas. Contribution to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is also expected since it compares various aspects of news translators with those of reporters and includes the voices from editors and desks to cover a wide range of factors and multi-layered structures that may affect translators and their activities in terms of the role and status whereas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on analyzing texts produced by translators and data collected from translators. This study can also offer useful data not only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on the role and status of translators in various fields, but to help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training and education institutions better understand and prepare for the real working environment of news translation. Given that understanding translators’ task would inevitably result in a better appreciation of their social position(Vermeer 1994, 14), this research, by expanding our knowledge of news translators’ tasks, interactions with other news translation participants, overall working conditions as well as identity perceived by themselves and other participants, is expected to help pave the way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in the long-term. Despite these expected contribution, however,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require further research to improve validity and generalizability. The number of respondents for interviews and surveys, which is 14 and 44 respectively, may be small and needs to be expanded to unveil more complicated and various factors and conditions affecting translators’ role and status that this study may have missed. Researcher’s own evaluation of texts against the expectancy norms of news translation can be complemented with surveys, interviews or experiments with news readers or editors and desks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researcher’s subjectivity and bias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textual analysis. The language combination and translation fields can be expanded and diversified from this study’s focus of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English and news translation to enrich research areas on the role and status of translators in general.

      •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 한국어 출판번역에서의 재맥락화 양상 : ‘교육적 기대규범’ 측면에서

        강경이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71

        The main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specify th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that older generation of Korea have in mind when it comes to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educational recontextualization aspects in the transl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based on such external norms.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is a genre that must have both artistic values and educational values, and it responds relatively well to external, macroscopic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with the case of adult litera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recontextualization tendency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that have been introduced in the publication market of Korea, in view of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of Korean society, trying to prove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ontext and the text transl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pproached the subject in three dimensions―social practice, discursive practice of publishers, and text: first, theoretical literature was reviewed in order to draw the norms the older generation of Korean society has in mind about the educational role of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then, the stance and practice of publishers regarding the educational factors, when publishing books, were exam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lastly, the recontextualization types found in the real novel translation texts, focusing on thes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were categorized and presented through text analysis. First, in order to clearly specify th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forming outside of texts, the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deliberation and censorship systems that directly affect children and adolescent books; specialists' domination discourse o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eight institutes who make and distribute the lists of recommended books for children and adolescent readers. The result of analysis confirmed that, regarding th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the social frame, the discourse of specialists, and the selection criteria of book recommending institutes are all interrelated and head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result also presented the five categories of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the Korean society has about th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in view of content, the three categories are‘importing a national and social identity’, ‘expanding cognitive area’, ‘developing affective area'; and, in view of format, the two categories are‘securing readability' and‘considering aesthetic impression'. Next, the study interviewed 14 persons in depth, who are engaged in the publi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books, through which it examined, how the educational norms shared within a society affect a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publication translation, and what choices publishers make to improve the educational value of a translated work.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four items: 1) children and adolescent book publica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2) things to consider in the publi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books 3)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aspect in the publi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books 4) recontextualization strateg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function.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 responses for each question; first, most publishers, in planning and publishing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books, are influenced by such peripheral factors as publication regulations, education curricula 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s, the preference of book-recommending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es, the needs of adult/children/adolescent readers, the trend of best selling books, etc. This seems related with the motivation in reality that the book sales would increase if publishers make books that can be well-accepted in a society by considering the external needs. Secondly, the considerations which publishers give priority to when they plan a book include: literary value of a work, popularity and written style of a writer, sense of subject, originality, market demand, selling possibility, etc., and stressed that, in case of foreign literary works, they also consider the award-winning history, the reviews from local mass communication media, a work's chemistry with Korea's sentiment, etc., as major criteria. Also, when it comes to subjects, publishers tend to select the content that helps with the inner growth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 readers, by conveying promising and positive messages. Third, publishers empathize with the educational role of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nd make intentional efforts s when publishing books, in which they select more works that convey educational messages and censor or adjust any harmful and sensational content in advance. Fourth, publishers agreed that they tend to intervene and participate mor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editing, than they do when they publish adult books, because the books target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rowth phase. The educational recontextualization strategies taken by publishers, when they publish foreign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re: deleting or filtering out elements that can hardly be accepted ideologically; adjusting the suggestive and immoral content, the sensitive content that can be controversial in the society, the content that might confuse or mislead readers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a; leaving out disparate elements; simplifying wordy descriptions or statements or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narrativ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reconstructing literary devices such as pun, etc., to make them more familiar within the culture of a target language. Based on the previously-drawn fiv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and the practice of publishers, the last text analysis separated the 'text selection' stage and the 'text creation' stage and examined a concrete recontextualization aspect materialized in each stage. First, for analysis of the‘text selection’stage, the study summarized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a total of 63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that have been translated in Korea, and reviewed such overall characteristics as nations of origin, writers, genre composition, subjects, reviews in their source language cultures, etc., through which, it found out the tendency of works that are preferred and easily-accepted in the children and adolescent book publication market of Korea. Among the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that were translated in Korean from 2000 to 2014, there were overwhelmingly more works from the mainland of China than those from Taiwan; the works of only a handful of writers were noticeably favored; by genre, realist novels accounted for 68%, the most response. The subjects in most works were universal―regardless of social ideologies and, time, and space―some of which are everyday lives of a main character who is in growth phase, the emotions or worries anybody can agree, virtues required to grow into a respectful adult, regrets about the vices as a human being, etc. Also, award winning works account for 65%, implying that whether a certain work received a prize or not is used as a major criterium in deciding the educational value and literary value of that work. Second, for analysis of the‘text creation’ stage, the study conducted ‘constant comparison method’on the ST and TT of 42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extracted the cases of recontextualization focusing on the previously-drawn fiv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and categorized their types and detailed strategies. The analyzed educational recontextualization types were categorized in ten groups: to import the national, and social identity, 1) purifying ideology; to expand cognitive domain 2)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3) correcting information; to develop affective domain, 4) weakening negative factors 5)adjusting honorific expressions; to secure readability 6) processing special metaphors 7) domesticating exotic elements 8) adjusting a written style 9) adjusting narratives; and to consider the aesthetic impression 10) reproducing the literary effec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ith its focus on education, how the texts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re being recontextualized in reality, considering its connectivity with the macroscopic environment such as the‘social practice’including the publication system of a target language society and overall social recognition and social convention about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within a target language society; and‘discursive practice’of publish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tri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ducational expectancy norm', through which it clearly specifies the expectation and demand for the educational role which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must assume, and that it tried to macroscopically view the translation phenomena in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in a social context.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summarizing the status quo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that were accepted in Korea for the recent 15 years. This thesis, however, noted the fact that both groups are under age and dealt with higher-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adolescents altogether as a group, whom, for a clearer result, can be subdivided into different age groups in the future. Also, in an effort to focus on clarifying the relation betwee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henomena appearing in the translated texts, this study had to compress the 'translation’and‘publishing’into one stage, and exclude the viewpoints and stances of translators, which might need to be added in the further studies. The study had another limit in specifying the recontextualization types based on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in which, the study categorized them comprehensively and described the phenomena, rather than examining each category deeply. Despite all these limit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that it gave shape to the educational expectancy norms forming silently in the Korean publication market of children and adolescent books, and in that it tried to categorize the recontextualization types implying how these expectancy norms work in the Korean translation process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novels, comprehensively though.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drawn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future to better understand the status quo of Korea's acceptance of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 and also to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related studies, publication planning, and translation strategy.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아동·청소년문학(children and adolescent literature)에 대한 한국사회 기성세대들의 교육적 기대규범(educational expectancy norm)을 규명하고, 이러한 외부적 규범에 기인한 아동·청소년소설 번역에서의 교육적 재맥락화(recontextualization) 양상들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아동·청소년문학은 예술성과 교육성을 동시에 담보하고 있어야 하는 장르로 성인문학에 비해 외부, 거시적 환경 요인에 비교적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출판 시장에 소개된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의 재맥락화 경향을 한국 사회의 교육적 기대규범과 결부시켜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맥락과 텍스트 번역의 상관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적 관행(social practice), 출판사의 담화 관행(discursive practice), 텍스트(text) 세 가지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한국 사회 기성세대들이 아동·청소년소설의 교육적 역할에 대해 기대하고 있는 규범들을 도출하기 위한 이론문헌 연구를 실시하고, 심층인터뷰를 통해 출판 시 교육적 요소에 대한 출판사들의 입장과 관행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교육적 기대규범에 따라 실제 소설 번역 텍스트 상에 구현된 재맥락화 유형들을 범주화해 제시하였다. 우선 텍스트 외부적으로 형성된 교육적 기대규범을 명시화하기 위해 아동·청소년도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심의, 검열제도와 아동·청소년문학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전문가들의 지배 담론, 아동·청소년 권장도서 목록을 선정·배포하는 8개 대표기관의 심사기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청소년 문학을 둘러싼 사회제도적 틀과 전문가들의 담론, 도서 선정기관의 선택기준은 긴밀한 연관성을 띄며 동일한 방향을 지향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결과적으로 한국사회가 아동·청소년문학에 대해 부여하는 교육적 기대규범은 내용적 측면의 ‘국가적, 범사회적 정체성 이입’, ‘인지적(cognitive) 영역의 확대’, ‘정의적(affective) 영역의 함양’, 형식적 측면에서의 ‘가독성 추구’, ‘예술적 심미성 고려’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아동·청소년도서 출판 현업에 종사하는 관계자 14명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출판번역에 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교육적 기대규범의 영향을 어떤 식으로 받는지, 번역 결과물의 교육적 가치 제고를 위해 어떠한 선택을 하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1) 아동·청소년도서 출판과 외부환경 2) 아동·청소년문학도서 출간에서의 고려사항 3) 아동·청소년문학도서 출간에서의 교육적 측면 고려 여부 4) 교육적 기능을 고려한 재맥락화 전략 네 가지 문항에 대한 질의응답을 실시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인터뷰 답변 내용을 정리하자면 첫째, 대부분의 출판사들은 아동, 청소년 대상 문학 도서를 기획, 출간할 시 출판제도, 교과과정이나 입시제도, 권장도서 선정 기관과 교육기관의 선호 방향, 성인독자와 아동·청소년독자들의 요구사항, 베스트셀러 경향 등 주변적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이는 외부의 수요를 반영해 전사회적으로 수용이 가능한 책을 만들어야 판매량이 올라간다는 현실적 이유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출판사들은 아동·청소년문학 기획 시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에 대해 문학으로의 작품성, 작가의 인지도 및 필력, 주제의식, 독창성, 시장수요 부합도, 판매 가능성 등을 언급했으며, 특히 외국 작품의 경우 수상작 여부, 현지 매스컴의 평가, 국내 정서와의 부합도 등도 주요 척도로 작용된다고 답했다. 또한 작품의 주제 면에서는 진취적이고 긍정적인 메시지를 통해 아동, 청소년독자들의 내적 성장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주로 선정하는 편이었다. 셋째, 출판사들은 아동·청소년문학의 교육적 역할에 공감하며, 도서 출간 시 교육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품 위주로 선택하거나 유해하고 자극적인 내용에 대해 사전 검열 및 조정을 하는 등 의도적 노력을 하고 있었다. 넷째, 출판사들은 성장기에 속하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므로 번역, 편집단계에서 성인도서보다는 더 적극적인 개입과 참여를 하게 된다고 수긍했다. 외국 아동·청소년문학에 대해서 출판사들이 취하는 교육적 재맥락화 전략으로는 이데올로기적으로 수용이 어려운 요소들을 쳐내거나 걸러내는 방식, 선정적이고 비윤리적인 내용, 사회적으로 논란의 소지가 있는 민감한 내용, 정규 교과과정에서의 학습 노선에 혼선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들에 대해 조정을 가하는 방식, 이질적 요소를 생략하는 방식, 장황한 묘사나 서술을 간략화하거나 내러티브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화하는 방식, 언어유희 등의 문학적 장치를 도착어 문화에 친숙하게 재구성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 앞서 도출된 다섯 가지 교육적 기대규범과 출판사들의 관행을 바탕으로 마지막 텍스트 분석 조사에서는 텍스트 선정 단계와 텍스트 생성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서 구현되는 구체적인 재맥락화 양상들을 고찰했다. 첫 번째 ‘텍스트 선정’ 단계의 분석에서는 국내에 번역된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 63편의 서지사항들을 개괄하고 도서의 출처 및 작가, 장르 비중, 주제, 출발어 문화권 내에서의 평가 등에 관한 전반적인 특성을 살핌으로써 국내 아동·청소년도서 출판시장에서 선호되고 독자들에게 쉽게 수용되는 작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2000년에서 2014년까지 국내에 번역된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은 대만보다는 중국 대륙 작품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몇몇 소수 작가의 작품으로 편중되는 현상이 두드러졌고, 장르별로는 사실소설의 비중이 68%로 가장 많았다. 주제로는 주로 성장기 주인공의 일상적 단편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이나 고민들, 올바른 인간이 되기 위한 긍정적 덕목, 인간의 부정적인 면모에 대한 반성 등 시대와 공간, 사회적 이데올로기와 무관하게 보편적 주제와 내용을 다루는 작품들이 대다수였다. 또한 수상작 비중이 65%에 달함으로써 수상 여부가 작품의 교육적 가치와 작품성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두 번째 ‘텍스트 생성’ 단계의 분석에서는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 42편의 ST와 TT에 대해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실시하여 앞서 도출된 다섯 가지 교육적 기대규범의 관점에 기인한 재맥락화 사례들을 추출하고, 그 유형과 세부전략들을 범주화하여 정리했다. 분석 결과 교육적 의도의 재맥락화 유형은 국가적, 범사회적 정체성 이입을 위한 1)이데올로기 정화, 인지적 영역의 발달을 위한 2)연관 정보 제공과 3)정보의 수정, 정의적 영역의 함양을 위한 4)부정적 요소의 약화와 5)위계법 가시화, 가독성 추구를 위한 6)특수 비유 처리, 7)이질적 요소 자국화 8)문체의 조절 및 9)내러티브 조정, 예술적 심미성 고려를 위한 10)문학적 효과 재현 총 10가지로 상위 범주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착어 사회의 출판제도, 아동·청소년문학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과 통념을 포함하는 ‘사회문화적 관행’, 출판사들의 ‘담화관행’들로 복잡하게 얽힌 거시적인 환경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실제 중국어권 아동·청소년문학 텍스트의 재맥락화가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 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교육적 기대규범’이라는 개념을 설정하여 아동·청소년문학이 지녀야 할 교육적 역할에 대한 국내 기성세대들의 일반적인 기대와 요구를 명시적으로 도출하고, 아동·청소년문학 번역 현상을 사회적 맥락과 연계시켜 거시적으로 조망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최근 15년 간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의 한국 내 수용현황을 개괄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미성년 독자그룹이라는 동일성에 착안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의 아동과 청소년을 함께 논했지만 보다 명확한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연령대의 세분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외부 환경적 요인과 번역 결과물에 나타난 현상 간의 관계 규명에 초점을 두고자 ‘번역’과 ‘출판’을 하나의 단계로 압축하고 번역가의 시각과 입장을 배제할 수밖에 없었는데, 추후 번역가의 목소리를 추가할 필요도 있다. 교육적 기대규범에 기인한 재맥락화 유형 구체화와 관련하여 각각의 항목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고 포괄적 범주화와 현상 기술에 그쳤다는 점도 한계로 남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국내 아동·청소년도서 출판 시장에 암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교육적 기대규범의 윤곽을 구체화하고, 이러한 기대규범의 작동으로 인해 중국어권 아동·청소년소설의 한국어 번역본이 재맥락화되는 유형들을 포괄적으로나마 범주화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들이 중국어권 아동·청소년문학의 국내 수용 현주소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향후 아동·청소년문학 번역 관련 연구와 출판 기획, 번역 방침 수립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