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형 가정의학 전문의 노인 진료 역량 개발

        박연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인문사회의학 협동과정 2018 국내박사

        RANK : 253711

        세계 노인 의학회에 따르면 2050년이 되는 시점에서 약 65개 이상의 나라가 초고령 국가로 진행이 될 예정이며 특히 우리 나라의 고령화는 OECD국가 대비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나있다. 그러나 현재 활동하고 있는 노인의학 전문가의 수는 매우 부족하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노인의학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그에 적합한 일차 의료 인적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수련 프로그램과 평가제도 등이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 우리 나라에서는 수련과정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그 규정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노인진료 역량 개발에 따른 가정의학 전문의의 노인 진료 역량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pencer와 Spencer의 전문가 패널을 이용하는 단축형 역량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에서는 직무 분석을 위해 노인 의학 진료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노인 의학 전문의가 필수적으로 진료를 시행 하야 하는 항목에 대한 논의를 수행 하였다. 그 결과 질병 다발성, 다약제, 기억 장애, 기분 장애, 노쇠, 낙상, 식욕 부진, 실금, 통증, 건강 증진의 10가지 필수 항목이 제시되었다. 2단계는 조사된 필수 항목을 토대로 추가 문헌조사를 통해 역량에 대한 일차적인 이론적 배경을 설정 하고 전문가 토의를 통해 전문성을 더하고자 하였다. 필수 항목 및 외국의 핵심역량 분석과 전문가 집단 토의를 진행 후 역량에 대한 가안을 제작하였으며, 그 결과 총 11가지 역량에 26가지 행동지표를 설정하였다. 3단계로는 전 단계에서 설정한 노인 진료 역량에 대한 전문가 설문 조사를 통해 역량의 내용 타당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두 CVI값이 7.0 이상으로 타당도를 획득하였다. 마지막인 4단계로는 가정의학 전문의 전수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을 시행 하였다. 총 213명이 응답하였고 행동지표의 구성 타당화 과정을 거치기 전에 전공의와 1차, 2차, 3차 병원 종사 전문의의 응답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그룹별 사전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지표 중요성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 = 4.732, p < .05), 사후분석 결과 대학병원 전문의 집단이 전공의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공의 응답자료는 요인분석에서 제외하고 155개의 응답자료로 구성 타당화 작업을 시행 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기존에 가안에서 설정했던 핵심역량 군과의 매칭과는 약간 다른 결과가 확인 되었으나 요인 갯수로는 4가지 요인이 가장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재분류를 하였으며 그 결과 노인 일차 진료 전문성, 노인 특수 진료 전문성, 노인 전문 시설 이해, 노인 의료의 객관화의4가지 핵심역량 하에 11가지 가정의학 전문의의 노인 진료 역량 및 26가지 행동지표를 도출하게 되었다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more than 65 countries are expected to become super-aged countries by 2050. And more, the aging of Korean is the fastest among other OECD countries. However, the number of geriatric professionals is very low. Many advanced countries emphasize the necessity of geriatric medicine, and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evaluation systems have been implemented to develop appropriate primary medical human resources. However, there are no training courses in Korea and the regulations are insuffici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lderly's medical care program by the family medicine specialis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lderly care competency. Shortened competency modeling technique using expert panel developed by Spencer and Spencer Jr. was used. For the first step, geriatric specialists were asked about the necessity of medical care for the professionals engaged in elderly medical care for job analysis. As a result, ten essential items were suggested: multiple pathology, polypharmacy, memory impairments, mood disorders, frailty, falls, anorexia, incontinence, pain and health maintenance. Second, based on the surveyed essential items, additional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primary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petency and to add expertise through expert discussions. After analyzing the required items, the core competencies of foreign countries and discussing the experts' group, tentative competency were made. As a result, 26 detailed action indicators were set in 11 geriatric competencies. In the third step, we confirm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ompetency through the geriatric expert about the geriatric care competency set which was made in the previous step by using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CVI value of all area was 7.0 and above. For the last step,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ll of the family medicine practitioner. A total of 213 respondents answered. Prior to the process of construct validation of the behavioral indicators, Preliminary analysis was done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and primary, secondary, tertiary hospital.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 = 4.732, p <.05) in the 'importance' indicators, and resident group answer was lower than tertiary hospital doctors According to the result, residents' data were excluded from the factor analysis and 155 valid responses were constru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matching with the core competence group set in the previous paragraph, but the four factors were most persuasive as the factor number. Based on this, the core competency matching was proposed. In conclusion, 11 geriatric competencies and 26 detailed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rived under the 4 core competencies, Geriatric primary care specialty, Geriatric specific care specialty, Understanding of geriatric care facility and Exteriorization of geriatric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