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麗水 沿岸 멸치 들망 漁場의 海況과 漁況의 變動에 關한 硏究

        이인원 여수수산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9647

        요약:여수 연안 멸치 들망 어장의 환경 요인이 멸치의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5년 8월 1일부터 8월 12일까지와 9월 20일부터 9월 26일까지 여수 연안의 멸치 들망 어장에서 수온과 염분 및 chlorophyll-a 양과 어획량을 각각 조사하고, 그들과 어획량과의 관계를 비교·검토한 결과이다.(중략)

      • 麗水 沿岸 멸치 刺網 漁場의 海況과 漁獲量의 變動

        주찬순 麗水水産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fluctuation of fishing condition and the the catch of anchovy in gill nets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five oceanograhpic factors, i.e., water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a, wind directions and age of the moon and the catch of anchovy in gill nets are observed from June 6, 1993 to August 12, 1993.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6.0℃ to 22.6℃ and the salinity from 30.13‰ to 33.65‰.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tch of anchovy, but the catch did not expose high values in low temperature and salinity. 2) The age of the moon showed little influence on the catch, The wind from south ascribed highest catches, while that from NE did lowest ones. 3) The catch of anchovy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chlorophyll-a. It is therefore emphasized that the amount of chlorophyll-a is the greatest one of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catch of anchovy. 麗水 沿岸의 멸치 刺網 漁場 環境 要因이 멸치의 漁獲量에 미치는 影響을 조사하기 위해, 1993年 6月 6日부터 8月 12日까지 麗水 沿岸에서 水溫, 鹽分, 플랑크톤, 月齡, 風向 等과 漁獲量을 調査하고 서로 比較·檢討하였다. 얻어진 結果를 要約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麗水 沿岸의 멸치 刺網 漁場의 6∼8月에 걸친 表層 및 10m層의 水溫과 鹽分의 範圍는 각각 16.0∼22.6℃ 및 30.13∼33.65‰이고, 이들 水溫과 鹽分은 漁獲量에 直接的인 影響을 끼치지는 않지만 水溫과 鹽分이 낮아질 때 漁獲量도 낮아지는 現狀을 자주 볼 수 있다. 2) 月齡은 漁獲量과 直接的인 關係가 없는 것 같으며, 風向別 漁獲量은 S에서 가장 많고 NE에서 가장 적다. 3) Chlorophyll-a 量의 日別 變化는 漁獲量의 日別 變動과 거의 類似하고, 兩者 사이에 正의 相關關係가 成立함으로서, 멸치의 漁獲에 가장 큰 影響을 끼치는 環境 要因은 Chlorophyll-a의 量이라고 보여진다.

      • 광양만과 여수해만의 퇴적환경

        최정민 麗水水産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약 : 광양만과 여수해만의 퇴적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95개 정점의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였다. 그리고 2개 정선관측 정점에서 조석주기에 따른 조류관측(12.5시간)을 실시하였고, 부유퇴적물의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채수를 하였다. 또한 점토광물을 포함한 세립질 퇴적물의 기원을 밝히고자 56개 정점에서 점토광물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지역에서 가장 우세하게 나타나는 니질 퇴적상(mud facies)은 평균 79.25%로 나타났고, 사질 퇴적상(sand facies)은 평균 20.57%, 역질퇴적상(gravel facies)은 평균 0.17%로 나타났다. 퇴적상은 니질(mud), 사질니(sandy mud), 니질사(muddy sand) 및 함력 니질사(slightly gravelly muddy sand)~함력사질니(slightly gravelly sandy mud)의 4개의 큰 퇴적상으로 구별된다(중략).

      • 輸入 活魚 중 수은과 납의 含量에 關한 硏究

        안명호 여수수산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약 : 최근 다량의 수산물이 국내로 수입되고 유통됨으로써 수입 수산물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입산 참돔, 농어, 쥐노래미, 능성어, 조피볼락 및 먹장어에 대한 수은과 납의 함량을 조사하여 수입 수산물의 오염여부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은함량은 1995년의 경우 평균함량이 0.009~0.060 ppm의 범위였으며, 1996년의 경우는 평균 함량이 0.007~0.032 ppm으로 검출되었다. 또, 수입회수 및 수입물량이 많은 참돔과 농어 두종의 어류에 대해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월별로 평균 검출량을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유사한 수준 수은이 검출되었으나, 1995년 1~3월 및 1996년 12월에 다소 높은 함량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양은 우리나라 어패류에 대한 수은의 잔류허용농도에 비해 현저히 낮은 량으로서 식품 위생상 안전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납의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1995년 및 1996년에 평균함량 0.29~0.40 ppm 및 0.25~0.44 ppm 범위로 검출되었다. 그리고 수은과 마찬가지로 참돔과 농어에 대한 월별 평균 납 검출량은 대체적으로 0.3~0.4ppm의 범위를 보였으나, 참돔은 1995년 7~8월, 농어는 1995년 6~9월 사이에 0.2ppm 정도로 다르 ㄴ시기에 비해 다소 낮은 검출량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고, 두 어종간의 차이는 거의 볼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 수입어류에 대한 수은과 납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사한 모든 시료에서 수은과 납이 검출되었으나, 우리나라 및 외국의 규제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었으며, 대부분이 자연적인 함량 수준이었다.

      • 韓國産 및 輸入産 水産物에 대한 放射能 汚染度에 關한 硏究

        이창남 麗水水産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약 :WTO 체제의 출범으로 인한 수입개방의 압력이 가속화됨으로 인해 대량의 수산물이 세계 각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으며, 수입품목도 한층 다양화 추세에 있다. 특히 구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사고와 대만의 핵폐기물 북한반입 시도를 계기로 방사능 오염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에 따라 일본, 중국, 러시아 등 핵개발국가의 해역에서 생산된 수입수산물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안전성 조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핵폐기물의 잦은 해양 비밀투기에 의해 해양오염이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입수산물과 한국 연안에서 생산되는 주요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실태를 조사 연구하여 수산물에 대한 안전성 확보와 국민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이다 (중략).

      • 여수연안과 동지나해의 세균상 및 분리균의 Protease 생산조건에 관한 연구

        정규진 여수수산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9631

        During from August 6 to 15, 1992, this investigation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imformation on the contaminating grade of the ocean depending on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l flora, coliform group and pathogenic vibrio from the East China Sea area and Yosu coastal sea water, on the other hand, to examine protease activity of bacteria in the open sea far from l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Viable cell counts of marine bacterial flora, coliform group and pathogenic vibrio in the East China Sea area ranged 0.4x10∼2x10³/ml, 0.9x10∼1.3x10/ml and 0.8x10∼3x10/ml while 1x10²∼3x10⁴/ml, 0.3x10∼3x10³/ml and 0.2x10∼9x10³/ml in coastal sea-water, respectively. From this results, viable cell count of marine bacterial flora was a tendency bing more and more small number as distance go far from land, vibrio and coliform counts were no detected in the open sea from land but detected in all sea eater samples of the surroundings of the Yontze River. Showing the identified result of 74 strains isolated from the open sea water samples, Pseudomonas was 54% and Enterobacteriaceae was 60% amongst 100 strips isolated from coastal sea-water. Among 5 strains isolated from the open sea, 4 strains were V, alginolyticus and V. parahaemolyticus was only 1 strain. Amongst 127 strains isolated from coastal sea water, V, alginolyticus and V. parahaemolyticus were 54 (42.5%) and 21(16.5%) strains, respectively. Strains having the most high protease activity among strains isolated from these investigation were F₄-188 and F₄-193. These species were classified into Pseudomonas sp. isolated from the open sea. Protease activity of F₄-188 and F₄-193 were 65.5 and 74.6 unit/ml, respectively. Carbon and nitrogen source being effect on enzyme activity and the optimum pH condition of these two strains were ammonium sulfate(1.7%) and albumin(1.5%) 8.0 and 6.0, respectively. The optimum temperature was 30℃. Thermostable of the isolating enzyme was no effect on enzyme activity at 40℃, 60min and disappeared over 90% of enzyme activity at 80℃. 1992년 8월 6일 부터 8월 15일 까지에 걸쳐 조사한 동지나해 및 여수연안의 세균 Flora에 대한 양적 분포에 따라 해양오염 정도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 원양세균에 있어서 protease의 활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안에서의 일반세균은 1×10²∼3×10⁴ml, 병원성 Vibrio는 0.2×10∼9×10³/ml, 대장균군은 0.3×10∼3×10³/ml 로서 육지에서 멀어질수록 균량은 감소하였다. 2. 원양에서의 일반세균은 0.4×10∼2×10³ml, 병원성 Vibrio는 0.8×10∼3×10 /ml, 대장균군은 0.9×10∼1.3×10 /ml 였으나, 원양으로 갈수록 일반세균은 적게 나타났고 병원 Vibrio와 대장균군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 북동쪽의 양자강 부근에서는 모두 출현하였다. 3. 원양의 Microflora 분리균 74균주중 40균주가 Pseudomonas 로서 가장 많았고(54%), 연안에서는 분리균 100균주중 60균주가 Enterobacteriaceae로서(60%)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4. 분리된 병원성 Vibrio는 총 132균주로서 원양에서 분리된 5균주중 V. alginolyticus가 4균주로 가장 높았고, V. parahaemolyticus는 1균주 밖에 분리되지 않았으며, 연안에서는 127균주중 V. alginolyticus가 54균주로 42.5%를 차지하였고,V. parahaemolyticus 는 21균주로 16.5%를 차지하여 이들 두 균종이 우점종이였다. 5. Protense 활성균으로 연안 및 원양해수에서 23균주를 선발,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진 균주는 원양 F₄-188과 F₄-193 균주로서 Pseudomonas sp. 동정되었다. protense 활성은 F₄-188 균주가 65.5 unit/ml 였고, F₄-193균주는 74.6 unit/ml 였다. 6. 효소활성의 최적조건은 F₄-188 균주가 pH 8.0 이였고, F₄-193 균주는 pH 6.0 이였으며 활성에 미치는 F₄-188 및 F₄-193 균주의 질소원과 탄소원은 각각 ammonium sulfate(1.7%)와 albumin(1.5%)으로서 온도는 2균주 모두 30℃ 였다. 또한 효소의 내열성은 40℃에서 60분간은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80℃에서는 10분간 열처리에도 90%이상 소실되었다.

      • 가막만에서의 멸치 들망 어장의 분포·이동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

        서영준 여수수산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약 : 우리나라 남해안에 위치한 가막만에서의 멸치 들망 어장의 분포 이동 경로와 환경 요소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7년 6월 16일부터 8월 31일 사이에 환경 요소중 수온, 염분, 탁도 및 chlorophyll-a 양을 정점 관측하였고, 조업이 이루어질 때마다 들망 조업선에서 수온과 염분 및 어획량을 각각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중략)

      • 쭈꾸미의 隱身行動과 專用 漁具의 改良에 關한 硏究

        박병희 여수수산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약 : 쭈꾸미, Octopus ocellatus GRAY, 를 어획하는 어구를 개량할 목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소라 껍질과 조개 껍질 외에 직경이 40mm와 45mm의 PVC 파이프로 각각 제작한 원주형 통, 원주형 칸막이 통, 방사형 통 및 단구 원통 어구를 고안, 제작하여 수조 실험과 해상 실험을 통해 각 어구에 대한 쭈꾸미의 행동 및 각 어구의 어획 성능을 조사·비교하였다. 수조 실험과 해상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이다.(중략)

      • 輸入 魚貝類 中의 重金屬 含量에 關한 硏究

        조규옥 여수수산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mercury, lead, cadmium, copper and zinc, in imported fish and shellfish for the purpose of plan preservation of health and sanitation of the public. The samples in used this study are live fish of 6 classes, frozen fish of 6 classes and frozen shellfish of 5 classes in imported fish and shellfish. 1. The range of heavy metal contents in imported live fish was mercury 0.017∼0.05, lead 0.02∼1.62, cadmium 0.02∼0.27, copper 0.13∼1.12 and zinc 0.82∼9.75 ppm, respectively. 2. The range of heavy metal contents in imported frozen fish was mercury 0.001∼0.014, lead 0.005∼1.422, cadmium 0.007∼0.387, copper 0.016∼2.000 and zinc 0.380∼1.033 ppm, respectively. 3. The range of heavy metal contents in imported frozen shellfish was mercury 0.002∼0.026, lead 0.27∼3.22, cadmium 0.05∼1.31, copper 0.17∼9.12 and zinc 7.62∼46.16 ppm,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heavy metal contents in imported fish and shellfish are low level, except of lead content of Mud sanil, compare with regulation value of another nations and Korea. And the contents of heavy metal in imported fish and shellfish are natural. 본 연구는 수입 수산물 중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여 국민의 보건 위생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시료로는 국내로 수입되는 수산물로 활어 6종, 냉동 어류 6종, 냉동 패류 5종이었으며, 생체내에서 강한 축적 경향 때문에 위생상 중요시되고 있는 Hg, Pb, Cd 및 Zn과 필요 미량 원소로 되어 있는 Cu의 수입 어패류 중의 함유량 조사와·실태를 파악하여 식품 오염 방지, 식품의 안정성 확보 및 수입 식품의 효율적인 검역 관리를 위하여 규격 기준 설정의 기초 자료 검토를 위해서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활어의 중금속 함량의 범위는 Hg 0.017∼0.05 ppm, Pb 0.02∼1.62 PPm, Cd 0.02∼0.27 ppm, Cu 0.13∼1.12 ppm, Zn 0.82∼9.75 ppm으로 나타났다. 2. 냉동 어류의 중금속 함량의 범위는 Hg 0.001∼0.014 ppm, Pb 0.005∼1.422 ppm, Cd 0.007∼0.387 ppm, Cu 0.016∼2.000 ppm, Zn 1.380∼11.033 ppm으로 나타났다. 3. 냉동 패류의 중금속 함량의 범위는 Hg 0.002∼0.026 ppm, Pb 0.27∼3.22 ppm, Cd 0.05∼1.31 ppm, Cu 0.17∼9.12 ppm, Zn 7.62∼46.16 pp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수입 수산물의 중금속 함량 실험 결과와 우리나라 수산물 중 Hg와 Pb의 규제치가 각각 0.7 ppm과 2.0 ppm인 것과 비교하여 볼 때 논고둥의 Pb함량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Cd, Cu 및 Zn외 측정치도 다른 나라의 규제치와 비교할 메 낮은 함유량으로 검출되었기 때문에 이는 오염된 수준이 아니고 자연 함유량의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