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건 뷰티가 뷰티산업에 미치는 영향 -메이크업 제품을 중심으로-

        황제이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비건 뷰티가 뷰티산업에 미치는 영향 - 메이크업 제품을 중심으로 - 황 제 이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뷰티예술학과 최근 환경오염과 동물실험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뷰티산업은 단순 미용 목적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윤리적인 소비를 하는‘비건 뷰티’가 새로운 뷰티의 선택 기준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로 떠오르고 있는 비건 뷰티의 현황을 알아보고 뷰티산업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광주광역시, 전라도를 중심으로 10대, 20대, 30대 이상의 남, 여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분석결과 여성 287명(77.4%), 연령대는 20대 271명(73.0%), 거주 지역은 광주 223명(60.1%)으로 가장 높았고 직업은 학생이 163명(43.9%), 월 평균 소득은 소득 없음 179명(48.2%), 전공여부는 비전공 204명(55%), 환경보호 관심 여부는 보통 171명(46.1%), 동물 애호 여부는 애호 233명(46.1%)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분석 결과는 2개의 요인이 도출되어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문제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보호 및 동물실험에 관한 인식분석결과 환경보호는 긍정적이 319명(86.0%), 동물실험에 관한 결과는 부정적 280명(75.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비건 뷰티에 관한 인식분석결과는 전체의 68.7%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비건 뷰티의 특성에 관한 분석결과 장점은‘동물보호에 도움이 된다’(M=3.55)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점은‘비건 화장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M=3.40)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비건 뷰티의 실태에 관한 분석결과, 화장품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은‘효과’158명(42.6%), 구매처는 인터넷 172명(46.4%), 비건 화장품 인지여부는‘ 모르고 있다’263명(70.9%), 비건 화장품 사용 여부는‘사용한 경험이 없다’312명(84.1%), 향후 비건 화장품의 구매 의사는‘ 구매의사가 있다’가 303명(81.7%)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비건 뷰티의 보완점 분석결과는‘제품의 보편화140명(37.7%)가 가장 높고 가격절충, 다양성, 성능개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뷰티 산업에 대한 비건 뷰티의 영향 분석결과는 전체의 69.0%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비건 뷰티에 관한 전망은 87.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결과 현재의 비건 뷰티에 관한 인식은 용어 및 개념이 정립되지 않는 등 전반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비건 뷰티의 보완점으로 제시된 제품의 보편화, 가격절충, 다양성, 성능이 개선 된 비건 뷰티 제품들이 출시되어 대중화 된다면 뷰티산업에 영향을 주어 향후 뷰티 산업의 확대 발전에 긍정적 전망을 제시하리라 사료된다.

      • 건설업과 제조업의 안전문화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김영식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건설업과 제조업의 안전문화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김 영 식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재활보건학과 최근 국내·외적으로 많은 사고 및 재해에 직면하면서 어느 때보다 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고, 사업장은 근로자의 안전을 최고의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안전제일의 인식이 조직의 안전문화로 새롭게 정립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 중에 기업 및 근로자 수가 많은 제조업과 중대재해 발생이 높은 건설업을 대상으로 안전문화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안전문화에 대한 이론과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고, 추후 건설업과 제조업의 안전문화 체계 구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그 결과 건설업의 안전문화는 사고지수를 이용하여 안전을 평가하는 분위기로 작업 단계별 안전 위험 요소의 발굴, 안전의식을 높이는 활동이 요구된다. 건설업은 원·하청의 구조와 고용형태의 다양화, 고령화 등 다른 업종과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안전에 위협이 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예방, 개선, 관리와 안전에 대하여 서로 소통 및 참여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타 업종에 비하여 중대재해의 비율이 높게 보고되어 사망·사고에 대한 근본 원인을 찾아 불안전한 행동을 막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을 차단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전의식과 행동 변화가 안전문화 확산의 결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기업이 주체가 되어 안전문화를 정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제조업의 안전문화는 많은 안전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정착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안전에 대한 의식과 인식은 높지만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안전문화 확산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안하며, 최고 경영층부터 근로자까지 일체되어 참여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안전에 대한 활동은 건설업과 제조업을 포함하여 모든 업종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재해 예방 및 안전 확보 측면에서 점진적이고 발전된 인식 확산이 필요하다. 이는 사업장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안전문화 정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대학생 통일의식에 대한 통일교육 방안 연구 :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박한솔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분단국가로 살아가고 있는 대한민국은 분단 70여 년을 넘어서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적대적인 관계이지만, 한편으로는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다. 통일문제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생각하는 민족문제이자,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필요한 현실적인 문제이지만 분단이 장기화 되면서 많은 국민들이 통일문제에 대해 무관심해지고 있다. 통일의식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보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걱정할 정도로 적은 수준은 아니었지만, 통일 이후의 개인 혹은 국가이익과 같은 경제적인 부분에서는 부정적인 답변이 많았다. 다가올 통일시대의 주역이 될 대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생각도 상관없다는 식의 소극적이고 무관심한 답변이 더 많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통일과 북한에 대한 의식 및 통일교육 경험에 따른 통일의식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여 개선된 통일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학생의 통일의식 조사는 광주, 전남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남녀 재학생을 대상으로 총 330부 설문지를 배포하여 310부를 회수했고 이 중 무효설문지 15부를 제외한 295부를 SPSS v.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의식 부분에서 통일의 중요성에 대해 전체 73.6%가 우리사회에서 통일이 중요한 문제라고 응답하였다. 남북한 통일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통일이 되면 좋겠지만, 무리하게 통일을 이루려고 할 필요는 없다는 답변이 많았으며 통일 예상 시기는 30년 이상 소요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적절한 통일 방법에 대해서는 교류협력에 의한 점진적 합의통일이나 통일독일과 같은 평화적 흡수통일이 적절하다는 답변이 많았다. 남북한 통일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전쟁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통일을 통한 국가적 이익에 대해서는 다소 이익이 될 것이다 라는 답변이 높은 반면 개인적 이익에 대해서는 별로 이익이 되지 않을 것이다 라는 답변이 높았다. 특히 통일이 필요한 이유와 통일 후 국가적, 개인적 이익에 대한 부분에서 남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에 대한 부분에서 전쟁 가능성에 대해 전체 54.2%가 북한은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였다. 북한에 대한 인식에서는 남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남자의 경우 경계대상, 적대대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의 경우 경계대상이거나 협력대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핵무기 보유 위협 인식에서는 전체 74.6%가 위협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일교육 현황 부분에서 전체 77.3%가 통일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초·중·고에서 통일교육을 받았으며, 통일교육 시간은 10시간미만 정도이고 주요 내용은 통일의 필요성 및 당위성에 대해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51.3%가 통일교육 시 부족한 점으로 흥미 및 다양한 자료 제공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초·중·고등학교가 통일교육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답변이 높았고, 55.3%가 대학교 교양과목으로 통일교육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학생들은 학교를 통하여 사회성을 배우고 정보를 습득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이 효과적이라는 답변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듯이 학교에서 실시하는 통일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통일교육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학생들이 원하는 내용과 실제 교육내용은 많이 다르며,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대학교에서도 교양 선택 과목으로 개설이 되나 개설되는 과목수가 적고, 대다수의 학생들이 수강하지 않아 통일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없다. 통일교육은 장기적으로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이다. 통일시대의 주역이 될 대학생의 올바른 통일의식 형성을 위하여 통일교육이 계속 개선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미용학원 연계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주희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A Study on Curriculum Connected To Beauty Academy Han, Ju-Hee Dept. of Beauty Art, Graduate School of Human Industry, Songwon University As modern society is paying more attention to profession, the number of working people with specialized skills is increasing. Among them, beauty industry has emerged as one of promising professions and as the need and supply of beauty academy that is charged of professional education of beauty are increasing, competition between beauty academies has deepened. Therefore, they have to provide connected education to enhance educa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differentiated education services and reasonable management and economic efficiency. However, there were a number of studies on satisfaction in beauty academy, but there were few studies on 「connected curriculum」that was intended to provide differentiated and effective education services. Therefore, to investigate entire systems and services including preferred programs, education, facilities and traffic services, this study surveyed students who were attending beauty academies in Seoul, Gyeonggi, Busan, Gwangju and Jeonnam and were aged between 10s and 50s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presented: First, a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43.7% of the subjects were below age of 19; 303(89.4%) were female; 282(83.2%) were single; 202(59.6%) were high school graduates;138(40.7%) had below 300,000 of monthly income; and 142(41.9%) lived in Gwangju and Jeonnam. Second, as for validity of measuring instruments, the loading values of academy specialization(37.933%), convenience facilities(17.906%), and traffic facilities(16.483%) were over ±0.40 and reliability was over 0.60. Third,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academy, 126(37.2%) were attending hair class, 110(32.4%) intended to acquire licenses 143(42.2%)intended to work at salons and 119(35.1%) considered employment and going to college as the most important in selecting beauty academies. Fourth, the conditions of selecting beauty academies were: as for‘convenience facilities,’the present academies are having good lockers and lounges(M=4.55); in respect to‘academy specialization,’the value of‘recognition’was the highest(M=4.12); and the statement of‘the location of the present academy saves time' had the highest value(M=3.96). Fifth, as for efficiency of the academy connected curriculum, 127(37.5%) considered skill improvement as a condition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necessity of the connected program; 258(76.1%)intended to take the connected program after they would complete their regular program; 48(18.6%) intended to take the national make-up license program; 245(95.0%) intended to take the connected program at the same academy; 100(40.8%) considered outstanding instructors as the reason why they intended to take the connected program; 307(90.6%) intended to recommend the present academy to acquaintance and friends; and 127(41.4%) considered instructors' organized management as the reason why they intended to recommend the present academy. As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s were discovered: Most of the subject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connected program; They considered skill improvements as the most important; The intention to take the connected program was relatively high and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o take the connected program was outstanding instructors. Convenience facilities, recognition and traffic conditions had an influence on selection of academie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high employment and success rates, beauty academy should have differentiated programs and outstanding instructors and develop high-quality connected curriculum that is appropriately designed for personal capacity and goals through diverse field programs. When academies provide high-quality programs for students through the effective connected curriculum, management will be reasonable and efficient, which will be the base for further development of beauty education industry. 미용학원 연계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 주 희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뷰티예술학과 현대사회에서는 전문직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의 특성에 부응하여 전문기술을 가진 직업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 중 미용 산업은 유망직종으로 부각되어 이미 영역이 구축되었고 이에 따라 미용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미용학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 또한 확대 되어 미용학원들 간의 경쟁은 더욱 더 심화되었다. 따라서 수강생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고 차별화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원의 합리적 운영과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연계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러나 미용학원의 만족도에 관련된 논문들은 많지만 학원의 역량을 키워 차별화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하는「연계 교육과정」에 대한 논문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연계교육의 필요성 연구를 위해 10대-50대까지 서울,경기,부산,광주,전남 지역에 미용학원을 다니고 있는 수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원의 연계교육 과정의 필요한 선호교과목, 교육서비스, 시설서비스, 교통서비스 등 전반적인 시스템과 서비스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의연령대는 19세 이하가(43.7%),성별은 여자 303명(89.4%),결혼여부는 미혼이 282명(83.2%),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하가 202명(59.6%),월수입은 30만원 미만이 138명(40.7%) 거주지는 광주 전남이 142명(41.9%)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에서는 학원특성화(37.933%),편리시설(17.906%), 교통시설(16.483%)의 적재 값이 ±0.40이상으로 타당성이 확보되고 신뢰도 또한 0.60이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학원의 수강실태는 현재 수강하고 있는 과목으로‘헤어‘126명(37.2%), 수강목적은 자격증취득이 110명(32.4%) 진로목표는‘살롱현장’이 143명(42.2%),미용학원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취업, 진학’이 119명(35.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미용학원 선택조건은‘편리시설’영역에서‘현재 학원은 사물함과 휴게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M=4.55),‘학원 특성화’부분은‘인지도’(M=4.12),‘교통시설'은 현재 학원의 위치는 시간절약이 된다‘가(M=3.96)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학원 연계과정 효과성 인식은‘미용학원 연계과정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은‘실력향상’이 127명(37.5%), 수강과목 수료 후 연계과정을 수강할 의사는 258명(76.1%), 연계과정 수강의사가 있는 분야는‘메이크업 국가 자격증’이 48명(18.6%), 같은 학원에서의 연계과정 수강의사는 245명(95.0%), 연계과정을 수강할 의사가 있는 이유는‘우수한 강사진’이 100명(40.8%), 지인 및 친구에게 현재 학원을 추천할 생각은 307명(90.6%) 현재 학원을 추천할 의사가 이유는‘선생님의 체계적인 관리’가 127명(41.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연계과정의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필요성의 원인으로는‘실력향상’을 가장 많이 생각하고 있었다. 연계과정의 수강 의사는 비교적 높은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계과정을 수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조건은‘우수한 강사진’을 제시하였다. 또한 편리시설이나 인지도, 교통조건 또한 학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미용학원이 타 미용학원과의 차별성을 개발하고 우수한 강사진 확보 및 높은 취업률과 합격률, 다양한 현장 체험학습으로 개인 역량과 목표에 맞는 연계과정의 커리큘럼을 준비하여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수강생들에게 제공하여 보다 합리적인 학원 운영과 경제적 효율성을 높여 향후 미용교육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골프장 IMC활동에 따른 고객의 태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두석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골프장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골프장의 차별화된 IMC활동에 대한 인식과 이를 경험하고 느끼는 고객의 태도에 따라 행동의도의 변화과정을 규명하여 골프장산업의 경쟁우위확보와 충성고객확보를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겠다. 또한 골프장산업의 경쟁우위섭렵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IMC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며 중요할 것이라는 당위성제시와 고객유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호남지역에 위치한 골프장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8년 7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3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는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고, 설문지의 기입은 자기평가기입법(self adminisstration method)을 활용하여 응답자에게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초 270부를 배포하였으며, 일괄응답, 불성실 응답, 누락된 응답 등 연구를 진행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20부를 제외한 총 250부를 실증 연구에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골프장 IMC활동은 고객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골프장 IMC활동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객태도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differentiated IMC activity in golf courses and the process of changes of behavior intention according to customer attitude in golf course visitors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and loyal customers in the golf course industry. Moreover, this study will suggest legitimacy that IMC activity is necessary and important as a method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olf course industry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attract custom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eople visiting golf courses located in the Honam area. The period of questionnaire survey was four months from July to October, 2018. Sampling was done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respondents directly completed a questionnaire using a self administration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finally 250 were used for the empirical research. 20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of batch, unfaithful, or omitted respon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C activity of a golf course had an effect on customer attitude. Second, the IMC activity of a golf course had an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Third, customer attitude had an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marketing strategi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motion strategy according to sex and age. For example, discount benefits for special day could be applied such as the ladies day for women and the senior day for the elderly and differentiated service could be offer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ublic relations strategy according to age. For young customers, on-line marketing using SNS such as Facebook and Instagram should be applied. For example, it is good to use viral marketing which gives special benefits to young customers who post comments about visiting or information on a golf course. For middle-aged customers, various methods to induce customer’s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should be explored using Kakao Talk, Kakao Story, and off-line marketing.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to offer the best human service. A golf course should recognize that human service is the most important and each department should appropriately respond to customers according to its role. In particular, a golf course should carefully consider about the education of customer response of caddies who are with customers for more than four hours and of the front staff customers first meet.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to offer interesting ‘things’. In other words, various things that remain in customer’s memory should be offered. For example, differentiated things could be off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golf course such as making a story according to a hole and explaining by a caddy, offering events on the special day(ladies day or senior day), and offering special goods or service commemorating customer’s visiting a golf course.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to improve the image and value of a golf course. A golf course should strive to raise its special image and value that impress customers. Sixth,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communication system to listen to customer complaint and satisfy customer desire via VOC.

      •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손명현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대 사회의 뷰티산업 특성은 트렌드를 중심으로 개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며 성장 발전하고 있으며 소비자 삶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2019년 글로벌 트렌드는 성에 대하여 중립성을 지향해 기존 남녀에 대한 구분을 없애고 사람 자체로만 보고자 하는 개념인 ‘젠더 뉴트럴 뷰티’를 제시하고 있다. 젠더 뉴트럴은 성 역할의 기존 틀을 벗어나 자신의 행복을 더 중시한다는 삶의 방식과 희망을 내포하고 있어 향후 마케팅과 신제품 개발로 인하여 뷰티산업 발전에 크게 영향을 줄 것이라 전망된다. 그러나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은 한국에서는 아직 대중화되지 않아 선행연구와 충분한 자료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에 고정되지 않고, ‘나’ 자체의 삶으로 인간으로서의 행복을 영위한다는 의미가 반영되며 뷰티산업의 확대 및 발전의 중요한 기회가 기대되는 현대의 뷰티산업 트렌드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고, 현황과 미래 전망을 알아보고자 7개 도시의 10대-50대의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의 인식에서는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M=2.62)로 낮게 나타났으나,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에 대해 긍정적(M=3,18)이었으며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남성메이크업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M=3.16)로 나타났고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을 추천할 의향이 있다(M=2.91),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을 이해하고 관심이 있다(M=2.43)로 분석되었다. 정보 취득은 인터넷 콘텐츠를 통하여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 관련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의 전망은 대중의 인식변화로 젠더 뉴트럴과 연계한 메이크업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발전하리라 생각한다(M=3.6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 메이크업의 대중화로 많은 남성들이 메이크업을 하고 다니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M=3.64), 젠더 뉴트럴과 관련된 메이크업 제품과 브랜드가 다양하게 개발 및 발전되리라 예상한다(M=3.61),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이 뷰티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M=3.57), 남성 전용 메이크업 전문샵이 등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M=3.53), 젠더 뉴트럴의 특성이 남성 메이크업의 발전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M=3.44), K-POP그룹의 영향으로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이 확산 및 지속되리라 생각한다(M=3.72) 순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의 전망은 평균 3.58점으로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의 인식에 대한 평균 2.92점에 비해 높게 나타나 향후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의 뷰티산업 마케팅과 신제품 개발로 인해 뷰티산업 발전과 메이크업 영역확대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In the modern era, beauty industry is growing and developing with the trend of respecting personality and diversity and dominating change in customers' life. Global trend in 2019 pursuing for gender neutrality is presenting the concept of 'gender neutral beauty' that people are not treated in a differentiated way according to gender. As gender neutral contains life style and hope that one's happiness is considered as precious beyond the existing framework of gender rol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make a great influence on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through further development of marketing and new product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get previous studies and data on gender neutral make-up as it has not been popularized ye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gender neutral make-up as a contemporary beauty trend that reflects the intent to enjoy happiness as human beings and expects an opportunity of important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the trend. For the purposes, this study surveyed about 300 male and females in teens to 50s from seven cities in Korea.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As for the perception on gender neutral make-up, there were few that answered they understood the concept of gender neutral make-up (M=2.62), but they were usually positive to the gender neutral make-up(M=3,18) and understood its characteristics. The perception on man's make-up changed positively(M=3.16); They answered that they intended to recommend gender neutral make-up(M=2.91). It was discovered that they understood it and were interested in(M=2.43). They obtained data on it through Internet contents or were using relevant content services. As for the prospect of gender neutral make-up, it was investigated that make-up relating to gender neutral would continue developing because of changed perception on it(M=3.69). Many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 time would come when many a man would have make-up(M=3.64); It was expected that make-up goods and brands relating to gender neutral would be developed in diversity(M=3.61); They answered that gender neutral make-up would have reinforced competitive power in make-up industry(M=3.57); Man exclusive make-up shops would appear(M=3.53); Gender neutral characteristics would have an influence on development of man make-up(M=3.44); Under the influence of K-POP groups, gender neutral make-up would continue to expand(M=3.72). The mean value of the overall prospect of gender neutral make-up was 3.58,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erception on gender neutral make-up(2.92). It indicates that marketing of beauty industry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s in gender neutral make-up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entire beauty industry and expansion of make-up areas.

      •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인프라 요인에 따른 프로야구 활성화 방안 연구

        김근형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하는 스포츠 산업의 수요·공급 요인과 스포츠 산업의 잠재적 가능성을 현실화 한 프로야구를 중심으로 프로야구 활성화 요인을 검증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프로야구 관중 수가 경제적 요인의 지표인 1인당 국민소득과 오락 및 문화 지출액, 사회적 요인의 지표인 경제활동 인구 수, 문화적 요인 지표인 중학교 취학률, 고등학교 취학률, 고등교육 취학률, 인프라 요인의 지표인 프로야구 경기 수, 관중 수용 비중으로 제한하여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프로야구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인프라 요인의 영향 관계를 바탕으로 프로야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프로야구와 경제학의 수요 요인 및 공급 요인의 형태에 관련된 전문서적, 석·박사학위논문, 학회의 연구논문 등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독립변수인 경제적 요인의 1인당 국민소득은 한국은행에서 2003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오락 및 문화 지출액은 한국은행과 통계청에서 2003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회적 요인의 경제활동 인구 수는 통계청의 경제활동 인구조사에서 2003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화적 요인의 교육수준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중학교 취학률, 고등학교 취학률, 고등교육 취학률을 2003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프라 요인의 프로야구 경기 수와 프로야구 관중 수요 규모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03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종속변수인 프로야구 관중 수는 발매기준 입장객 수로 2003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자료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을 통하여 점수들이 어떠한 값을 중심으로 분포되었는지를 집중경향치와 점수들이 평균에서 얼마나 퍼져 있는지의 분산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술통계분석을 통하여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타내었다. 둘째, 변수 간의 관계성의 정도와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은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단, 각 지표의 단위가 다른 경우는 자연로그(log)로 표준화하여 제시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기여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순수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위해 SPSS 21.0의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야구 관중 수와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 인프라 요인의 영향 관계를 논의하고 프로야구 활성화 방안과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변수 간의 변화의 정도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야구 관중 수는 1인당 국민소득에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야구 관중 수는 오락 및 문화 지출액, 경제활동 인구 수, 고등학교 취학률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등교육 취학률과 프로야구 경기 수에는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을 통하여 프로야구 관중 수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인프라 요인이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야구 관중 수의 전체 분산 중 90.6%가 1인당 국민소득임을 설명할 수 있고 1인당 국민소득이 1 단위로 상승할 때 프로야구 관중 수는 .354만큼 증가하는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야구 관중 수의 전체 분산 중 77.5%가 오락 및 문화 지출액임을 설명할 수 있고, 오락 및 문화 지출액이 1 단위로 상승할 때 프로야구 관중 수는 10.342만큼 증가하는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야구 관중 수의 전체 분산 중 79.0%가 경제활동 인구 수임을 설명할 수 있고 경제활동 인구 수가 1 단위로 상승할 때 프로야구 관중 수는 1.227만큼 증가하는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야구 관중 수의 전체 분산 중에서 73.3%가 고등학교 취학률임을 설명할 수 있고 고등학교 취학률이 1 단위로 상승할 때 프로야구 관중 수는 22.017만큼 증가하는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야구 관중 수의 전체 분산 중에서 40.2%가 고등교육 취학률임을 설명할 수 있고 고등교육 취학률이 1 단위로 상승할 때 프로야구 관중 수는 5.078만큼 증가하는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야구 관중 수의 전체 분산 중 43.0%가 프로야구 경기 수임을 설명할 수 있고 프로야구 경기 수가 1 단위로 상승할 때 프로야구 관중 수는 17360.912만큼 증가하는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학생 취학률과 관중 수용 규모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제시된 프로야구 관중 수와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 인프라 요인의 영향 관계를 바탕으로 프로야구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관중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1인당 국민소득, 오락 및 문화 지출액, 경제활동 인구 수, 고등학교 취학률, 고등교육 취학률, 프로야구 경기 수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외에도 구장 접근성, 주차장 크기, 편의시설의 다양화, 팬에 대한 충성도 등을 중심으로 팬 충성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관중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입장권 가격의 다양성은 소비자에 밀접한 영향 관계가 있으므로 좌석에 따른 가격의 다양성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둘째, 프로야구의 구단은 경기력이 우수한 선수를 영입하는데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우수한 선수가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투자를 통하여 전력의 평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관중 수의 증대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소비자가 요구하는 문화적 요인은 프로야구의 질과 수준 높은 경기력에 영향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프로야구 구단은 감독, 선수, 트레이너 등의 지속적인 경기력 향상에 노력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과 경기장 시설의 선진화를 통하여 프로야구의 전력이 평준화가 이루어진다면 소비자가 흥미로운 경기를 지속적으로 관람할 수 있는 여건이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전력의 평준화가 이루어 질 수 일도록 프로야구는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프로야구의 발전은 관중과 함께 할 것이다. 관람객과 매니아의 증가, 서포터즈의 증가는 많은 프로야구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야구와 관중과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위해서는 프로야구가 지역사회에 스포츠클럽을 형성하고, 이벤트 등의 스포츠 참여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프로야구에 진입하고자 하는 예비 선수들의 육성프로그램을 통하여 미래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여 프로야구가 경기가 아니라 지역의 축제, 오락, 서비스 등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이러한 프로야구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산업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프로야구의 경제학적 연구의 자료가 매우 미미함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심층적인 경제학적 이론의 접근을 통하여 프로야구가 소득의 극대화를 통하여 관련 스포츠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과 프로야구 생태계가 유지되기를 기대한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조채윤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부터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이하 KCYPS) 2016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패널 7차년도(2016)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남학생 851명과 여학생 78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경로분석에는 AMOS 21 for windows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또래의사소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자아 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또래의사소통에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로분석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대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 또래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을 매개로하여 학교생활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 및 청소년의 발달과 상담에 있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의미한다.

      • 육군 병과학교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우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재 시행되는 육군 병과학교 자기주도학습 적용 내용과 교육방법 및 교관의 인식, 교육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육군 병과학교 자기주도학습법 적용에서의 교관의 역할, 교육관리 차원에서 육군 병과학교에 적용 가능한 자기주도학습 제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육군 병과학교 교육 방법에 있어서 기존에 시행되어 왔던 교관 중심의 주입식 교육 방법을 새로운 학습방법인 자기주도학습으로 학교 교육 체계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중심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군대 교육의 정의를 명시하고, 교육훈련의 필요성를 알아보고, 군 교육 체계의 특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육군 병과학교에서 자기주도학습 도입 배경 등의 연구를 통해, 빠르게 변화되는 시대의 배경과 그 변화에 따라 학교 교육에서 적용 중인 자기주도학습의 시행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 하였다. 수업준비에 있어서의 인적 한계는 첫째, 교범의 암기와 서열위주의 평가제도 잔존, 둘째, 메타인지능력의 부족 및 차별화된 학습자료 부족, 셋째, 준비미흡으로 인한 선행학습에 대한 노력 부족, 넷째, 교관 주도 수업으로 인한 교육생 참여수업의 미진, 다섯째, 행정업무 과다로 인한 수업의 질적 향상 저해, 여섯째, 담임교육제 시행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의 도입 한계, 교육관리에 있어서의 한계는 첫째, 상급부대 지침의 변화로 인한 준비의 한계, 둘째, 수업자료 수집에 있어서 보안상의 한계, 셋째, 시설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 넷째, 원격교육 도입의 이해 부족 및 열악한 환경 등의 문제점이 도출 되었다. 위에서 제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육군 병과학교 자기주도학습의 개선을 위해 교육생의 자기주도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정비 방안으로 교관의 인식 및 역할의 변화를 위해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관 스스로 꾸준한 진화 노력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해 교관의 주기적인 자아성찰과 변화하려는 용기가 우선적으로 필요하겠다. 둘째, 수업시간의 효율적 활용 노력 위해 교육생과 마주하는 시간을 잘 활용하여 보다 더 깊고, 더 넓게 배움을 갖도록 학습 지도를 위해 교관의 사전 구체적인 수업진행 구상을 통해 수업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과 정형적인 학습에 의존하기 보다 창의적인 방법을 통해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생을 수동적인 학습자가 아닌 능동적 학습자로 전환을 위해 교육생 스스로 책임감을 갖고 배움에 임하도록 하며, 넷째, 교실을 전체 배움의 공간에서 개별 배움의 공간으로의 전환을 위해 전체 일률적인 수업에서 교육생수준을 고려한 차별화된 개별 수업으로 전환하고, 다섯째, 메타인지력 향상을 통해 학습내용을 능동적으로 더 깊게 하기 위해 교육생이 스스로 말하게 하여 자신이 무엇이 부족한지 알게 하고, 교관은 교육생에게 중요한 학습내용을 전달해 주고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 하여야 하며, 여섯째, 교육생이 호기심을 갖고 더 넓게 탐구하고 학습토록 지도하기 위해 교육생들의 수준은 모두 다르며, 호기심을 갖는 영역도 제각기 다름을 인식하고 교관은 교육생들의 호기심을 이끌어 내는 질문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일곱째, 교관과 교육생의 적극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배움을 풍부하게 유도 할 수 있어야 하겠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적용을 위한 교육준비 정비 방안을 제시하고 교육생 중심의 참여형 교육의 효율성 제고 개선방안으로, 첫째, 교육생 중심의 참여형 교육을 강화해야 하고. 둘째, 교육생은 스스로 학습을 준비하고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상황판단 – 결심 – 대응에 이르는 기본적인 사고법을 체질화하며, 셋째, 교육생 중심의 참여형 교육은 수업 전 선행학습과 본학습, 수업 후 학습(심화학습) 등 일련의 과정 속에서 교육생의 주도적인 학습과 교관의 보조 및 촉진자로서의 역할수행이 중요하겠으며, 넷째, 교관의 의식을 개선하고, 다섯째, 교육환경의 개선이 필요하겠으며 이를 위해 교육준비부터 교육 진행 까지의 절차와 평가에 있어서 등급화 평가의 도입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교관과 교육생의 인식 전환에 따른 역할을 제시하였고 효율적인 교육관리의 개선 방안으로 환경적 측면의 개선과 교육생 중심의 학교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소부대 드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軍 작전용 드론의 성능 기준 정립 중심으로

        최승호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소부대 드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軍 작전용 드론의 성능 기준 정립 중심으로)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군사학과 최승호 연구자는 드론 전력화 전, 軍내 조종 인력 구축을 위한 조종자 양성 과정의 교관 임무를 수행하고 현재는 고정익 무인기 운용 관련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교관 임무 수행 간 접하게 된 Army TIGER 4.0 체계 및 유무인 전투체계의 개념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투 실험용 드론의 수락 검사 및 전투실험 결과를 직·간접 경험하면서 드론의 성능 기준이 세밀하게 정립되지 않은 현실을 보며 ‘효율적인 드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드론의 성능 기준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을 느끼고 좀 더 체계적인 軍 작전용 드론의 도입을 위한 방안 제시를 통해 소부대 드론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이 무기체계에 미치는 영향 및 한반도 지형과 기후의 특성, 인구 구조변화 등 우리가 당면한 드론 운용 환경에 대한 분석과 드론의 특성 및 군사 작전에서 드론 운용, 그리고 국내외 드론의 군사 목적 활용 사례 분석을 통해 軍 작전용 드론의 성능 기준에 관하여 고찰하였으며, 특히 소부대의 효율적인 드론 활용을 위한 軍 작전용 드론의 성능 기준 정립 방안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소부대의 드론 운용 범위에 대한 재설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Army TIGER 4.0 체계의 워리어 플랫폼 적용과 편성의 변화 등 먼 미래가 아닌 가까운 기간 내 진행될 우리 소부대의 변화를 분석하고 적 소부대의 편성과 편제 화기의 유효사거리 등을 고려하여 변화될 우리 소부대와 적 소부대의 교전 방식(전투 절차)을 고려하였으며, 유사시 다양한 가용 자산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운용 제대 및 임무 유형별 드론에 대한 고도 및 공간 분할 개념을 적용하여 소부대의 드론 운용 범위를 제시하였다. 둘째,‘드론의 전술적 운용을 위해 필요한 기본 요구 사양의 성능 기준을 정립’해야 한다. 일반 상용 드론과 달리 軍 작전용 드론은 목적의 특수성을 고려, 자연환경의 외적 요인을 극복하며 운용되어야 한다. 특히, 우천과 바람, 고온 및 저온의 기온을 극복할 수 있는 방수, 내풍, 방한, 방열 성능이 충족되는 드론이 전력화되어야 한다. 현장에서 지휘관이 자산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에 대한 결심 전에 기상 등 기본적인 요인으로 운용 자체가 제한된다는 보고를 받아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선 軍 작전용 드론의 기본 요구 사양에 대한 성능 기준 정립과 함께 모든 드론에 공통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유형별 임무 수행에 적합한 작전 성능 사양의 성능 기준을 정립’해야 한다. 향후 다양한 임무 유형의 드론이 대량으로 활용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군수지원 체계 등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운용 제대 및 임무 목적에 따른 ‘드론의 등급 구분과 표준화를 통한 모듈화 개념의 전력화가 추진’되어야 하며 그와 함께 ‘임무 유형별 임무 장비의 사양에 대한 성능 기준이 정립’되어야 한다. 軍에서 운용될 드론은 송수신(운용) 거리보다는 임무 장비의 성능이 중요하다. 例를 들어 대대급 감시정찰용 드론이 야간 임무 수행 간 인원에 대한 피아식별 및 무장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가 100m도 안 된다면 활용 효과면에서 비효율적인 운용이 될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임무 유형별 목적에 적합한 임무 장비의 작전 성능 사양에 대한 성능 기준의 정립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로 정립된 성능 기준에 충족된 드론이 소부대에 전력화되면 소부대의 전투 역량은 상당히 강해질 것이다. 또한 현재 기술 수준을 고려한 성능 기준 정립으로 핵심 기술의 획득 및 적용이 단기간에 가능하여 조기 전력화된 드론을 통한 운용 경험 축적으로 도출된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과 효율적인 드론 운용을 위한 세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이러한 노력은 지속해서 변해가는 전장 환경 속에서 드론이 전투 요원의 생존확률을 높이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향후 무인 전투체계가 완벽하게 구현되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Research on Drone Utilization in Small Unit -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standards for military tactical drones - Choi, Seung-Ho Advisor : Prof. park, Gap Lyong Department of Military Science, Graduate School of Human Industry, Songwon University Before utilizing drones as military power, the researcher has completed the duty as an instructor in the pilot training process to establish pilot manpower, and is currently on a miss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fixed-wing unmanned drones. During the instructor mission, he had experienced the system of Army Tiger 4.0 and the concept of manned and unmanned combat system. He also experienced the acceptance test and results of combat experiment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during which he faced the reality where the performance standards for drones were not established in detail. Therefore, he felt that in order to study the efficient drone utilization method, the research on the performance standards should be preceded. This study was initiated to suggest a systematic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drones for military operation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standards for military tactical drones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weapon system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nvironment of drone operation including geography, climate, and population stru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It also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drones and operations for military purposes, and studies cases of military drone us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particular, the study presents plans to establish performance standards for military tactical drones for the efficient use of drones in small units from three aspects. First, the range of drone operation in small units must be modified. To this end, changes that small units will experience in the near future, rather in the far future such as the application and organizing of the warrior platform of Army Tiger 4.0 system, were considered. In addition, the method of battle (combat procedure) with the enemy was considered since it varies depending on the formation of enemies and the effective range of common firearms. By applying altitude and space division based on the operation and mission type, the range of drone use in small units was set to maximize available assets in emergencies. Second, basic requirement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actical operation were established. Unlike general commercial drones, military tactical drone must be able to overcome external factors of natural environment for its specific purpose. In particular, drones that fulfill the requirements of waterproofing, wind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which allows them to overcome rain, wind, high and low temparatures should be used as military power. In order to solve the practical problem of the commander getting noticed that the operation itself is restricted due to basic factors as weather even before he decides how to manage the assets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apply basic requirments for all military tactical drones. Third,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 for specific mission types must be established. Given that drones of various mission types will inevitably be used in large quantities in the future, the concept of utilizing drones as military power with classification and modularization based on operating battalion must be promoted, as well as the standards for specific performances of the mission equipment. For the drones that are to be used in the army, the performance level of mission equipme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distanc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example, if the surveillance drones in the night mission can only identify the number of people and whether they are armed in less than 100 meters, it is an inefficient operation in terms of utilization effec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to establish and improve operational performance factors for mission equipment that can successfully complete the specific type of mission. If a drone that fulfills the performance standards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is utilized in a small unit, the battle capability will significantly increase. Furthermore, acquirement of key technology through establishing performance standards based on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and consistent scrutinization on the alternatives for problems derived from accumulated operational experience through early utilized drones and efficient operation of drones will increase the survival probability of combat agents and higher the battle capability to succesfully complete the mission in the battlefield environment; and it will provid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standards for completely unmanned combat system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