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성결교회의 신학 형성과정 연구 : 1961년 분립이후 Wesley 신학과 사중복음의 쟁론을 중심으로

        김택진 성결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55

        한국성결교회는 1907년 선교단체였던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여 1921년 기성교단으로 전환되었다. 이렇게 출발하여 성장하여 오던 한국성결교회는 1961년 분열의 역사를 통하여 두 개의 교단으로 발전하여 왔다. 그리고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양교단의 일치와 연합을 통한 신학적 정립을 위한 꾸준한 연구와 교류를 통한 신학적 일치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전개과정에서 양 교단의 신학적 정체성에 대한 쟁론이 발생함에 따라 제기 되어온 문제의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성결교회가 1961년 예수교대한성결교회와 기독교대한성결교회로 교단이 분립된 이후 신학적 입장의 확인과 양 교단의 신학적 정체성 정립에 있어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들을 역사적 사료의 분석적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성결교회의 신학화 작업에 있어서 신학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신학사상의 전개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의 역사적 배경 연구에 있어서는 이미 많은 선행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기초연구 자료들을 중심으로 서로간의 쟁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8세기 Wesley의 부흥운동을 통하여 신학적 맥락을 찾았으며, 19세기 성결운동에서는 만국성결연맹과 기도동맹(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Prayer League) 과 기독교인과 선교사동맹 (Christian & Missionary Alliance)에서는 사중복음의 유래와 형성,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에 미친 신학사상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동양선교회의 설립 배경과 나까다 쥬지(中田重治)와 E. A. Kilbourne의 신학사상을 통하여 정립된 동양선교회 신학사상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역사적 배경을 볼 때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사상은 18세기 Wesley의 부흥운동에서 기인하였으며, 19세기 성결운동을 통하여 만국성결연맹과 기도동맹, 기독교연합선교회 등을 통하여 중생, 성결, 신유과 재림에 대한 사중복음이 형성되었다. 이 사중복음을 동양에 전하기 위하여 일본에 선교 거점으로 동양선교회가 설립되었다. 동양선교회 동경성서학원에서 유학한 정빈, 김상준이 귀국하여 사중복음을 전하고자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이라는 선교단체를 한국에 설립하였다. 선교단체였던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이 1921년 기존 교단 교회의 형태인 ‘조선야소교 동양선교회 성결교회로 전환되었다. 그리하여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의 형성기로 사중복음의 전도표제로 하여 전도본위의 사상을 가진 정빈, 김상준의 신학사상을 먼저 살펴보았다. 초기 이들의 신학사상은 체계화되거나 교리적으로 완전한 형태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한국성결교회 사중복음의 신학적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김상준의 사중교리는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사중복음 교리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고 있다. 해방과 함께 교단이 재건되며 1946년 기독교조선 성결교회로 변경하였고, 1949년 다시 교단명칭을 기독교대한성결교회로 변경하였다. 1961년 예수교대한성결교회와 기독교대한성결교회로 분립이 된 후 양교단의 대표적인 신학자인 김응조, 이명직의 신학사상과 분열 이후 양교단의 헌법에 나타난 사중복음과 Wesley 신학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기독교대한성결교회는 사중복음을 전도표제로 여겨 헌법 교리부분에서 중생과 성결, 재림에 대한 간략한 언급만 하며 교리적 체계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반면 예수교대한성결교회 헌장 교리 부분에서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순으로 사중복음의 중요성과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상을 통하여 한국성결교회 신학형성 과정에서의 사중복음과 Wesley 신학 관계, 예수교대한성결교회와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사중복음 이해 등에 대한 변천사를 교회사적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의 정립을 위한 시대에서는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 연구에 있어서 Wesley 신학 중심의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과 사중복음 중심의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 Wesley 신학과 사중복음의 신학화 과정에서 신학자들이 주장하는 서로간의 쟁론에 대한 양자의 배경, 논쟁의 과정, 논쟁의 주요쟁점을 논하였다. 특별히 Wesley 신학 중심의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 정립을 주장하는 신학자 중에서 조종남, 한영태를 중심으로 한 신학자들과 사중복음 중심의 한국성결교회 신학사상 정립을 주장하는 신학자 중에서 이상훈, 정상운을 중심으로 한 기타 신학자들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성결교회에 있어서 사중복음과 Wesley 신학의 관계성에서 쟁론 되어온 한국성결교회 신학적 배경에 대한 문제, 한국성결교회 사중복음의 본위 문제, 사중복음과 Wesley 신학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장로교단이나 감리교단과 같이 교리적이고, 신학적인 주제를 가지고 복음을 전하고 형성된 교단이 아니다. Wesley 신학의 토대에 신학적 기초를 두고 있으며, 기독교 개신교가 공통으로 믿는 복음주의 신학과 일치한 입장에서의 선교회였다. 그리고 교단으로 전환된 초기 한국성결교회도 감리교단의 Wesley 신학과는 분명한 신학적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Wesley 신학 중심의 강조점은 종교개혁 이후 이어져 내려온 기독교 신학의 복음적 전통에 입각한 성결론 중심에 대한 이해에서 기인하였다. 반면에 사중복음은 한국성결교회 고유의 독특한 교리적 형성과 신학적 사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기독교 신학의 복음적 전통의 Wesley 신학과 19세기 북미 Wesleyan 성결운동에서 중생과 성결에 신유와 재림을 더하여 연결고리를 찾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성결교회의 신학화 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교단의 교리적 전통과 정체성에 충실하여야 한다. 어떤 교단도 교단 신학화 작업에 있어서 기독교신학 전체를 정립한 후에 교단이 출발하지 않는다. 교단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교단 신학을 정립할 때 더욱 발전과 부흥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은 Wesley와 감리교회의 초기 성도들이 주장했던 성결론의 역사적 부흥운동과 한국성결교회의 모체인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의 선교 정신을 바탕으로 신학화 작업을 전개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성결교회는 일치에 앞서 예수교대한성결교회의 헌장과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헌법에 나타난 Wesley신학과 사중복음에 대한 교리적 문제의 일치와 정체성을 정립하여야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전통을 다시금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 Sungkyul Church started as an evangelical organization under the name of Oriental Missionary Society Gospel Evangelism Center in 1907 and was transformed into an established denomination in 1921. The Korea Sungkyul Church split into two denominations in 1961. With the coming of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two denominations have been consistently making efforts through a theological unity movement in theological research and exchange for the agreement and unity of the two denominations. In this process, a dispute about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two denominations arose, and so we seek to analyze the course of the problem. Therefore this research was done by examining the various views of scholar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logical stance and identity of the two denominations after the Korea Holiness Church had been split into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1961 through analyzing historical texts. Also through such analysis, our objective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heological thought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ological philosophy in the Korea Sungkyul Church while maintaining its identity. There has been a lot of previous study abou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thought. Thus in this research, we focused on analyzing the debate between the two denominations center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work, we found the theological connections from Wesley's revival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and from the 19th century Holiness Movement. We found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Prayer League and from the Christian & Missionary Alliance. We found the background and establishment of the Fourfold Gospel, and we observed the flow of the theological philosophy leading up to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We observe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and its philosophy, which was established by Nakada Juji and E.A. Kilbourne's theological philosophy. Looking at the above historical background, the theological philosophy of the Korea Sungkyul Church at its beginning came from Wesley's Revival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and through the 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Prayer League, Christian Mission Association, and etc, completed the Fourfold Gospel about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and Bin Jung and Sangjun Kim who studied in the Tokyo Bible Academy, which was established as a mission stronghold, made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Gospel Evangelism Center in Korea in order to spread the Fourfold Gospel. Oriental Missionary Society Gospel Evangelism Center, which was a missionary organization, was changed into 'Chosun Jesus Oriental Missionary Society Holiness Church', which was in the form of an established denomination. So we looked at Bin Jung and Sangjun Kim's theological philosophy which has a mission-oriented philosophy, for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philosophy. In their beginnings, their philosophies were neither well organized nor had the complete forms of a doctrine, bu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s of the Korea Sungkyul Church's Fourfold Gospel. In particular, Sangjoon Kim's Fourfold doctrine helps our understanding of the Fourfold Gospel doctrine of the Korea Sungkyul Church in its early stages. With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the denomination was re-established and changed to Christian Chosu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1946, and changed its name again in 1949 to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We observed the theological philosophies and divisions of the representative theologians Eungjo Kim and Myungjik Lee; the Fourfold Gospel shown in both denominations constitutions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Wesleyan theology after the split into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1961.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deemed the Fourfold Gospel as the mission title and thus only mentioned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in the doctrine part of its constitution, but did not accept it as a doctrinal system. On the other hand, in the doctrine part of Jesus Korea Sungkyul Church's constitution, in the order of regener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Fourfold Gospel is emphasized. Through the above, we investigated from a church history perspective the Fourfold Gospel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philosophy and its relationship with Wesleyan theolog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Fourfold Gospel of the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the period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 Holiness Church's theological philosophy, in the research of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identity. I mainly discussed Korea Sungkyul Church's theological philosophy centered on Wesleyan theology and the Fourfold Gospel; the background, the process of the debate, and the main clashes of the debate that the theologians argue in the theologization process of Wesleyan theology and Fourfold Gospel. We analyzed the view points of Jongnam Cho, Youngtae Han and other theologians among who claim the theological philosophy of Korea Holiness Church focused on the Wesleyan theology and the view points of Sanghoon Lee, SangUn Chung and other theologians who claim the establishment of theological philosophy of Korea Sungkyul Church which is focused on the Fourfold Gospel. Thus,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Korea Sungkyul Church debated in relationship with the Fourfold Gospel and Wesleyan theology, principle of the Fourfold Gosp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fold Gospel and the Wesleyan theology are analyz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e following are concluded: First, the early Korea Sungkyul Church is not the denomination formed with the theological subject after the Gospel had been introduced like the Presbyterian or the Methodist. It's theological base is on the Wesleyan theology, and it was an evangelical organization with the standpoint of the evangelical theology which all the Protestant denomination share. And at the beginning of the transformation into a denomination Korea Sungkyul Church had a distinct difference in its theology from the Wesleyan theology for the Methodist. Second, the Wesleyan theology emphasizes the rebirth and the holiness based on the evangelical convention of Christianity since the Re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Fourfold Gospel is composed of the unique theological formation and theological philosophy of Korea Holiness Church. This point of view finds its linkage with evangelical tradi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of north America in the 19th century. Thir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theologization of Korea Sungkyul Church is that it has to be faithful to the dogmatic tradition and the identity of the denomination. No denomination starts after it had established the whole Christian theology in its theologization. We can expect more growth and revival when we establish the theology of the denomination based on its identity. Fourth, the theology of Korea Sungkyul Church should proceed its theologization based on both historical revival movement of holiness which Wesley and the early members of the Methodist claimed and the spirit of evangelism of Eastern Mission Association Gospel Evangelism Center, the mother of Korea Sungkyul Church. Thus, Korea Sungkyul Church should make the doctrinal issue about Wesleyan theology and the Fourfold Gospel coherent to Jesus Korea Sungkyul Church's constitution and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s charter and establish its identity before the unification in order to bring down the tradition of the early Korea Sungkyul Church. The early Korea Sungkyul Church took its priority in the evangelism beyond the denominational boundaries, and as its result, more time was needed to establish its theological system. We cannot deny that there has been the controversial debate about theologization of the Fourfold Gospel and the weakening of the Fourfold Gospel has gotten worse after the separation of the denomination. But we must remember that there has always been the phenomenon of the Fourfold Gospel,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in the revival of the church in the history. We can promote the growth of the denomination when we integrate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Christian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to the Fourfold Gospel which is being established as the theology of Korea Sungkyul Church and keep it as our theological heritage and develop it through the comtemporary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

      • 한국성결교회 목회자의 신유사역 인식에 대한 분석과 방안

        윤석용 성결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성결교회 목회자들이 목회 현장에서 신유사역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겸하여 실시하였다. 사중복음 중 목회에 신유사역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신유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소속교단과 목회자의 나이와 지역과 교인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신유에 대한 목회적인 이해는 소속교단과 목회자의 나이와 지역과 교인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성경에 나타난 신유에 대한 이해는 소속교단과 목회자의 나이와 지역과 교인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목회에서 신유의 경험에 대한 이해는 소속교단과 목회자의 나이와 지역과 교인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목회에서 신유 사역에 대한 이해는 소속교단과 목회자의 나이와 지역과 교인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성결교회의 신유사역에 대한 개선책은 소속교단과 목회자의 나이와 지역과 교인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 내용은 총 51개의 문항이다. 기본적인 인적 사항 아홉 가지, 신유에 대한 이해와 사역을 위한 4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조사의 지역은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은 예수교 대한성결교회 목회자 225명과 기독교 대한성결교회 목회자 225명으로 총 450명을 선정하였다.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성결대학교 전자계산소에 의뢰하여 SPSS 11.0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속교단에 따른 신유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성과 기성 모두 사중복음 중 신유를 공유하고 있으며 목회자의 신유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에 있어 동일한 견해임을 알 수 있다. 다만 변량분석 결과 목회자의 연령에 따라 신유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목회자의 연령이 31-40세 목회자가 41-60세의 목회자에 비해 낫게 나타난 것은 신유를 단순한 학문적인 이해 및 현대 의학의 발달에 따른 결과로 본다. 한편 20-30세 목화자의 신유에 대한 일반적 이해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신유에 대한 일반적 이해에 대한 사고의 결과로 본다. 즉 신유의 근본적 일반이해에서 전환된 신유의 상(象)이 20-30세 목회자에게 적용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 둘째, 목회자의 소속 교단에 따른 신유에 대한 목회적 이해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성에 비해 예성의 목회자들에게서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예성과 기성이 사중복음 중 신유에 대한 교육 및 이해는 유지하였으나 기성에 비해 예성의 목회자들이 신유에 대한 목회적 이해도가 높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목회자의 연령에 따른 이해도에도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31-40세 목회자의 신유에 대한 목회적 이해도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낫게 나타난 것은 성결교회 초기 목회자였던 이성봉 목사나 김응조 목사와 같은 신유체험이 강조되었던 세대와는 달리 신유가 단순한 목회방편적인 이해와 현대의학의 발달에 따른 결과로 본다. 셋째, 목회지역에 따라 신유에 대한 성경적 이해도를 검증하였다. 결과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소도시와 대도시 목회자의 선유에 대한 성경적 이해도는 농어촌지역의 목회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유의 일반적, 목회적, 경험적 이해보다는 성경적 이해에 있어서 만은 도시지역의 목회자들이 이해도가 높은 것을 뜻한다. 이는 도시 목회자들이 신유에 대하여 성경적 이해도는 높지만 실천적인 부분 즉 일반적, 목회적, 경험적 이해에 있어서는 취약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지역 목회자들의 신유에 대한 실천적인 한계를 단면으로 보여 주는 것으로 해석 된다. 넷째, 목회자의 연령에 따른 신유경험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검증결과 31세에서 40세 목회자들의 신유경험이 다른 연령층 목회자들에 비해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신유체험에 대한 형태의 전환 가운데 놓인 세대의 반응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목회하는 연령에 따른 신유사역에 차이를 변량 분석하였다. 결과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40세의 목회자들의 신유사역이 다른 연령층 목회자들에 비해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표 Ⅴ-2, Ⅴ-6, Ⅴ-14에서 신유에 대한 일반적 이해도, 목회적 이해도, 신유경험의 차이에서 31-40세 목회자들이 모두 현저히 낮게 나타난 것과 연관되어 동일선상에 있는 것임을 볼 수 있다. 여섯째, 신유가 교회부흥에 미친 영향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매우 긍정저긍로 나타났다. 교회부흥에 사중복음 중 신유가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지의 여부를 물은 결과 응답자 413명의 응답자 중 348명(84.3%)의 목회자가 ‘그렇다’라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목회자들이 신유가 교회부흥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교할 때 사중복음 중 어느 것을 가장 강조하는가를 물은 결과 응답자 413명 중 성결 195명(47.2%), 중생 163명(39.5%), 재림 35명(8.5%), 신유 20명(4.8%)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결교회 목회자들은 설교 시에 성결과 중생을 가장 강조하며, 재림과 신유를 가장 적게 설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인들에게 신유에 대해 강조한 적이 있는가를 물은 결과 대다수의 목회자들(98.1%)이 교인들에게 신유에 대해 강조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성결교회 목회자들이 타 교단 목회자에 비해 신유사역에 대해 어떻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413명 중 279명(76.6%)으로 과반 수 이상이 적극적이라고 대답한 반면, 신유사역을 하지 않거나 소극적이라고 답을 한 비율도 32.4%를 차지하고 있다. 그렇담녀 성결교회 목회자들이 신유사역에 소극적인 이유가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413명 중 ‘치유에 대하여 강조하기 않기 때문이다.’라고 답한 목회자가 175명(42.4%), ‘치유사역을 하다가 혹시나 문제가 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다.’라고 답한 목회자가 122명(29.5)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학교에서 배우지 않기 때문이다.’가 52명(12.6%), ‘치유를 알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가 42명(10.2), ‘교단에서 강조하지 않기 때문이다.’가 22명(5.3%)으로 각각 나타났다. 여덟째, 성결교단이 신유사역을 하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어본 결과 응답자 413명 중 ‘성령의 역사를 강조해야 한다.’95명(23.0%), ‘교단이 정책적으로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83명(20.1%), ‘신학교 교육과정에 신유과목을 배정해야 한다.’와 ‘교단 목회자들의 신유은사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가 각각 82명(19.9%)으로 나타났다. 성결교단 목회자들이 신유사역을 소극적으로 실천해 온 근본적인 이유는 특히 교단의 무관심과 신학교에서 가르치지 않은데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신유가 한국성결교회 교리와 전도표제의 차원을 넘어 복음주의 교회에서 실천신학으로 적응되어야 할 과제라고 사료된다. This dissertation is to research on analysis and solution about the understandings of pastors in the Korean Holiness Church on healing ministr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er has done literature research on healing ministry including preceding works on the subjec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healing ministry among the Fourfold Gospel in the pastorate, a questionnaire devised by the researcher for the survey was used.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for the research. First,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healing may be varied according to denominational affiliation, pastor’s age,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Second, the pastoral understandings of healing may be diverse on the basis of denominational affiliation, pastor’s age,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Third, the understandings of healing shown in the Bibl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denominational affiliation, pastor’s age,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Fourth, the understandings of healing experience in the field of ministry may be varied based on denominational affiliation, pastor’s age,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Fifth, the understandings of healing ministry in the field of ministry may be diverse based upon denominational affiliation, pastor’s age,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In the end, the remedies for healing ministry in the Korean Holiness Church may be varied according to denominational affiliation, pastor’s age,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The questionnaire for this research was composed of total 51 questions: 9 questions for basic personal information and 42 questions for the understanding and healing ministry. The locations for the survey were randomly selected and partakers for the survey were 450 pastors in total: 225 pastors belonging to the Korean Jesus Sungkyul Church, and 225 pastors affiliated with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answers was committed to the computing center of Sungkyul University and they used SPSS 11.0 windows. The newly-found consequences through the answer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verified the difference 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healing according to denominational affiliation. It showed that both the Korean Jesus Sungkyul Church and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had healing among the Fourfold Gospel, and they were identical in general understanding of healing.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general understanding according to a variable analysis by the pastoral age. The reason that the pastors in the age of 31 to 40 were weaker, in general understanding of healing, than those in 41 to 60 were due to the simple treating of healing as not more than a study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al science. On the other hand, the pastors in 20 to 30 have showed higher understanding of healing, and it is because of their concept. It showed that a transformed concept in general understanding of healing is applied to the pastors in the age of 31 to 40. Second of all, when the pastoral understandings of healing according to denominational affiliation were compared, considerable difference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degree of healing exist. As a matter of fact, the pastoral understanding degree of healing among the pastors of the Korean Jesus Sungkyul Church is higher than the one among the pastors of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t meant that both were standing on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healing shown in the Fourfold Gospel, however, the pastors of the Korean Jesus Sungkyul Church were stronger in pastral understanding of healing. Moreover, a remarkable difference about the understanding of healing is found when the differences of healing ministry according to the age groups of pastors were contrasted. The healing ministry of pastors between 31 and 40 is weaker than the one of other age groups. It is because, unlike the generation of pastor Lee, Sung Bong and pastor Kim, Eung Jo who had emphasized healing experience, they take healing as one of measures for the pastorate and the mordern medical science has developed. Third, it is shown that a meaningful difference about healing appears as the biblical comprehension degrees of healing according to the regions of the pastoral duties were compared. In sum, the result is that pastors in cities have higher pastoral understanding of healing than those in undeveloped areas. It shows that the pastors in cities are higher, at least, on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healing than the general, pastoral, and experiential understanding. It means that the pastors in the city areas are high in biblical understanding, however, weak in practical sides, such as general, pastoral, and experiential understanding. It shows their practical limitation in the healing ministry. Forth, it is shown that a difference about healing appears as the experience of healing degrees according to the age of pastors. It verified that the pastors in the age of 31 to 40 have meaningfully low experiences of healing. It is because they were in the middle of the experiential transformation of healing. Fifth, it is shown that a meaningful difference about healing appears as the healing ministry degrees according to the age of pastors. The pastors between 31 and 40 were meaningfully low in the healing ministry than other age groups. It is the identical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e very low general understanding, pastral understanding, and the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healing in the age group of 31 to 40 shown in the table V-2, V-6, and V-14. Sixth, it showed the influence of healing to the growth of churches. 348 (84.3%) out of 413 pastors said yes to the question, “Do you think that healing among the Fourfold Gospel has influenced your church growth?” It alludes that most of the pastors in this survey think healing has influence over their church growth. On the question, “Which one among the Fourfold Gospel do you emphasize the most in your sermons?” 413 respondents are orderly composed with 195 (47.2%) with Holiness, 163 (39.5%) with Rebirth, twenty (4.8%) with Healing, and thirty five (8.5%) with Jesus Second Coming. It testifies to a fact that the pastors in the Korean Holiness Church emphasize the most of Holiness and Rebirth while they underline the least of Healing and Jesus Second Coming in their sermons. However, most respondents (98.1%)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Have you ever stressed the importance of healing to your congregation?” Seventh, on the question, “What do you think of the healing ministry of pastors in the Korean Holiness Church in comparison with the one of pastors in other denominations?” 279 (76.6%) out of 413 respondents answered “more active than others” in majority while 32.4% of respondents responded “more passive than others or no sign of healing ministry.” To the question, “If so, why are the pastors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passive in healing ministry?” 175 (42.4%) out of 413 respondents voted for the answer, “because they do not emphasize of healing,” and 122 (29.5%) marked the answer, “because they are afraid to be in trouble as they do healing ministry on the sick.” Also, the answer of “because they did not learn healing in the seminary” came next with 52 respondents (12.6%), and the answer of “because they do not want to know of healing” chosen by 42 (10.2%) and the answer of “because our denomination does not underline the importance of healing ministry.” marked by 22 (5.3%) followed. In the end, for the question, “What method is needed to do healing ministry in the Korean Holiness Church?” 95 (23.0%) out of 413 chose the answer of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should be emphasized,” and 83 (20.1%) with the answer of “The denomination should constitutionally support healing ministry,” 82 (19.9%) with the answer of “The class of healing must be added to the seminary coursework,” and 82 (19.9%) with the answer of “The understanding towards the gift of healing for pastors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should be changed,” follow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fundamental reason the pastors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have hardly practiced healing ministry is because the Korean Holiness Church has been indifferent to a healing ministry and the seminary has not taught of heal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healing will be applied to the practical theology of the evangelistic churches as well as being more than the doctrine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and the title of its evangelism.

      • 사중복음의 21세기 통전적 성결선교신학적 해석

        정진웅 성결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study is to interpret 'Four-fold Gospel' of Korean Sungkyul Churches with a tool of the holistic hermeneutics for the 21st century. The 21st century needs a new theological answer for the post-modern era by the new interpretation. First of all, the study defines the 21st century of a missional situation as the challenge of pluralism and postmodernism, It discusses a necessity of the holistic theology of mission. With regard to interpretation of Four-fold Gospel, first, the gospel of 'regeneration'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for new life" to revive human lives emphasizing the Holy Spirit's role for salvation. Additionally, the researcher has found that the gospel of regeneration can be expressed mostly by planting new churches. Second, the gospel of sanctification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of new ability." It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being able to win the souls in the spiritual warfare.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gospel of sanctification has been developed with the educational missions of Sungkyul Churches. Third, the gospel of divine healing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of new body," It has been able to be interpreted extensively as various aspects such as cure and recovery in the meaning of normal divine healing, The study has asserted that the gospel of divine healing should go together with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missions. Finally, the gospel of the second coming has been interpreted as 'the gospel of new greeting', It has been further emphasized as the gospel of personal end cosmic eschatology. The researcher has suggested that it should discover the Christian mission about ecosystem and strengthen the missional works about the cosmic eschatology. Christianity moves from the southern region to the northern area in terms of geography of the missional works in the 21st century. Especially, South Korea has been strongly considered as the proper nation for the world missions in the diversified societies. Therefore, the Korean Sungkyul Churches should take a responsibility to make the people be mission-oriented with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Four-fold Gospel.' and to serve people all over the world. 본 연구는 한국성결교회 100년을 지나가면서 선교지향적 교회로서의 사명을 공고히 하기 위한 필요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며 한국성결교회의 ‘사중복음’을 21세기에 적합한 통전적 성결선교신학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1세기는 ‘이미’와 ‘아직’의 중간 시대이기에 새로운 신학적 정답을 요구하고 있고 다원주의 세계관이 지배적인 이 시대에 현대적이고 전통적인 복음주의적 성향을 가진 성결교회의 신학도 새로운 해석을 통한 세상과의 소통이 필요한 것이다. 선교는 본래부터 통전적인 사역이며 부분적인 구원이 있을 수 없는 것처럼, 부분적인 선교도 없다. 복음적 위임과 문화적 위임이라는 양분화된 입장의 분리가 아닌 통합적 방법으로 이해되고 다원화된 사회 구조 속에서 다양한 원리나 분산된 주장들을 하나로 새로운 통합된 방법이나 전략을 모색해 나가는 통전적이고 전인적인 신학이 필요하다. 이에 성결교회의 역사적이고 교리적인 배경 속에서 선교적인 배경과 요소들을 발견하고 그 전통을 계승,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는 진행된다. 더 나아가 발견된 선교적 요소들을 사중복음의 해석과 연합시켜 확장된 선교로 적용했다. 본 연구는 먼저 21세기의 선교적 상황을 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선교지형의 변화로 정의하며 통전적 선교신학의 필요성을 논한다. 다음으로 성결교회의 선교신학적 배경인 18세기의 웨슬리안 성결운동을 시작으로 19세기 성결부흥운동과 20세기 복음주의 운동의 흐름 속에서 사중복음이 성결교회의 신학으로 확립되었음을 고찰한다. 동양선교회(O.M.S)로부터 시작하는 한국성결교회의 선교적 태생과 정체성을 역사적 연구를 통해 제시함으로 사중복음의 21세기 통전적 성결선교신학적 해석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한 연구를 배경으로 사중복음을 해석하는데, 먼저 중생은 ‘새 생명의 복음’으로 정의하고 영혼구원우선 사상이 중심이 되는 생명을 살리는 복음임을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하여 해석했다. 또한 중생의 복음은 교회개척을 통하여 가장 잘 표현되어질 수 있음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성결은 ‘새 능력의 복음’으로 정의하고 영적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이 되는 복음임을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하여 해석했다. 또한 성결의 복음은 성결교육선교를 통하여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신유는 ‘새 몸의 복음’으로 정의하면서 특별신유와 일반신유로 나누어 고찰했다. 특별신유는 학문적으로 규정하거나 증명하기 어렵지만 그것을 강조하고 믿음과 능력으로 실행하는 복음임을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하여 해석했다. 또한 신유는 일반신유의 의미에서 치유와 회복으로 다방면으로 확대 해석될 수 있지만 특별히 기독교사회복지 선교로 나아가는 복음이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재림은 ‘새 맞이의 복음’으로 정의하고 복음주의 신학, 즉 전통적인 신학에서 강조되는 개인종말의 복음으로서 더욱 강조되어야 하는 것임을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해 해석했다. 재림의 복음은 생태계에 대한 청지기적 사명을 발견하고 우주적 종말에 대한 선교를 강화해야 하는 복음임을 제시했다. 21세기는 기독교가 남반부에서 북반부로 이동하는 선교지형의 변동이 있는 시대이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한국 교회는 선교를 통해서 탄생한 교회 역사가 있고, 선교사 파송국가와 선교현장 교회의 중간적 과정을 거쳐 왔으며,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원주의 사회의 세계선교에 적합한 국가적 교회임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성결교회는 웨슬리를 중심으로 유럽의 신학과 성결부흥 운동을 중심으로 미국의 신학이 합쳐진 채로 아시아에 들어온 선교지향적 교회라는 태생적 전통을 가지고 있기에 전 세계를 섬길 사명이 막중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 피비 팔머의 제단신학과 목회적 적용

        서민수 성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피비 팔머(Phoebe Walter C. Palmer, 1807-1874)는 19세기 미국의 유명한 부흥사, 저술가, 전도자, 그리고 성결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성결운동의 어머니였다. 감리교에서 자란 그녀는 미국의 19세기 말에 이르러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지도자가 되었다. 리차드 포스터(Richard J. Foster)는 그의 책 「생수의 강」(Stream of living Water)에서 “19세기 미국 기독교에서 팔머보다 더 깊은 영향력을 끼친 여자는 없을 것”이라고 평가하기까지 하였다. 대부분의 남성 전도자들로 주를 이루고 있던 시기에 그녀는 미국, 캐나다, 영국, 그리고 유럽 등지를 방문하여 캠프 집회를 통해 수천 명의 사람들을 회심시킬 뿐 아니라, 미국 기독교계에 있어 여성의 역할을 향상시키는 일을 감당하기도 했다. 특별히 그녀는 약 37년간 자신의 집을 개방하여 “화요성결집회”를 열었고, 이를 통해 수많은 신자들에게 성결의 경험을 체험하도록 도왔다. 또한 「성결의 길」(The Way of Holiness)과 같은 저서들을 집필하여 미국 내에 성결운동을 더욱 확산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그녀의 성결운동의 행보 속에서 수많은 성결교파가 태동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성결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그녀는 성결운동의 대표 모델이자 “성결운동의 어머니”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고는 크게 대표적인 성결운동가인 팔머의 생애와 그녀의 신학을 조명 및 평가해 보고, 이를 오늘날 목회 현장 속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먼저, 팔머의 생애와 사역을 가급적 시대순으로 살펴볼 것이고 “제단신학”으로 언명되는 그녀의 신학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녀의 성화론과 존 웨슬리의 성화론을 비교해 봄으로써, 전적 성화에 대한 웨슬리의 교리를 팔머가 어떻게 수정 및 변경시켰는지 추적해 볼 것이다. 그 이후 팔머에 대한 제단신학의 공헌점(유용성)과 한계점을 각각 살펴보고, 끝으로 팔머의 제단신학을 오늘 날 목회 현장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 그 대안과 방법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단신학의 신학적 평가와 더불어 신학적 유산을 계승하고, 나아가 오늘 날의 성결운동을 위해 그녀의 제단신학과 성결운동 속에 적용 가능한 부분을 찾아 21세기 교회와 목회 현장 가운데 접목시키려는데 본 논고의 최종적인 목표가 있다. Phoebe Walter C. Palmer(1807-1874) was a famous revivalist, author, evangelist and also a mother of Holiness Movement who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Holines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th century. Having grown up as a Methodist, she became a most influential female leader in the United State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his book, Stream of Living Water Richard J. Foster went as far as to evaluate her by saying, "Probably no woman exerted deeper influence on American Christianity than Palmer in the 19th century.” In an era when most of the evangelists were male, she traveled throughout th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anada, England and Europe. she not only helped thousands of people repent through camp meetings but also carried out the work of enhancing the role of women in American Christianity. Particularly, she held “Tuesday Holiness Meeting” for 37 years in her house, thereby helping countless number of believers experience holiness. Beside, she expanded Holines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all the more by writing such as the Way of Holiness, etc. Lots of Holiness denominations were created through her works, which became an immense influence on Holiness Movement. Accordingly, we can say that she is both a representative model of Holiness Movement and “the mother of Holiness Movement.” This thesis is going to illuminate and evaluate the life and theology of Palmer who was a representative activist of holiness and then apply them to the pastoral field of today. For this purpose, this writer is first going to observe Palmer’s life chronologically in detail as much as possible and intensively study her theology called “Altar Theology.” Then, by comparing her theory of sanctification with that of John Wesley, this writer intends to trace how Palmer corrected or changed the theory of Wesley concerning total sanctification. Then he will observe the contributions(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her altar theology by comparing her with John Wesley and then try to find out the alternatives on how we can graft them to the field of contemporary pastoral ministry. The final goal of this thesis is to evaluate and inherit theological legacies of the altar theology and to find out the applicable areas in her altar theology and holiness movement of today and then apply them to the 21st century churches and pastoral ministry fields for the sake of contemporary holiness movement.

      • 한국성결교회 성결론 형성 배경 및 정체성 연구

        김정호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한국성결교회 성결론 형성 배경 및 정체성을 연구한 것이다. 한국성결교회는 그 이름도 성결교회로 칭할만큼 성결을 강조함으로 그 특징을 이루고 있다. 그렇다면 성결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오늘 한국성결교회가 이해하고 있는 성결은 무엇인가? 여러 교파들이 거의가 전부 성결이란 용어를 사용하지만 성결의 내용과 신학적 정의는 큰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개신교의 시작은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에서부터이다. 루터는 천주교의 공로구원에 반대하여 구원은 오직 믿음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개신교는 루터의 칭의 교리 위에 세워졌다. 하지만 이 루터의 칭의의 교리가 여기에서 끝난다면 그것은 잘못이다. 칼 바르트는 우리를 의롭다고 인정하신 하나님은 우리가 실제로 의로와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칭의의 교리는 신앙의 출발점은 될지라도 목적은 아니다. 신앙의 목적은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벧전 1:16)고 말씀하신대로 온전한 성화이다. 필자는 본 논문 1장에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 형성 배경 연구를 통해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신학적 배경을 밝히고자 했다.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가 주장하던 성결의 도리를 그대로 전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웨슬리는 “칭의가 구원의 문이라면 성결은 구원의 방”이라고 주장하며 칭의 후의 제2의 축복으로 성결을 강조하였고 성결은 하나님께서 감리교회에게 전하라고 맡겨주신 “위대한 유산”이라고 말하면서 이것을 전하지 않는 감리교가 있을까 두렵다고 했다. 그러나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가 직접 창립한 교회가 아니라 웨슬리 전통을 물려받고 있는 교회다. 감리교가 18세기 웨슬리로부터 직접 유래한 데 반해,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를 계승한 19세기 미국 성결운동으로부터 유래했다. 그러므로 한국성결교회는 18세기 웨슬리신학과 그것을 시대적 상황 속에서 발전적으로 계승한 19세기 미국의 성결운동을 배경으로 탄생되었다. 2장에서 한국성결교회 주요한 인물들의 신학에서 그들이 성결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연구했다. 1907년 김상준과 정빈의 복음전도에 태동된 한국성결교회를 건축한 분이 이명직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명직은 한국성결교회 창립자는 아니었지만 그 이상으로 성결교회 신학과 교리 정립과 발전에 공헌했다. 김응조는 이명직으로부터 가르침을 받고 그의 신앙과 신학을 계승한 성결교 2세대였다. 이성주는 대표적인 3세대 성결교 신학자이다. 성결에 대한 이명직 그리고 김응조와 이성주의 정의는 동일하다. 중생과 성결을 구분한 것, 성결과 성령세례를 동일한 경험으로 이해하고, 또 성결을 원죄와 관련시킨 것은 이들의 성결론이 웨슬리 전통과 입장을 같이하는 것이며 더불어 19세기 후반 급진파 성결운동 노선에서 영향 받았음을 보여준다. 3장에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정체성 및 신학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한국성결교회는 1961년 분열되어 기독교대한성결교회와 예수교대한성결교회로 양립되어있다. 그러나 성결에 대한 주장과 입장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기성과 예성이 말하는 성결은 같다. “성결이란 중생 이후에 이루어지는 이차적인 축복이며 성결의 은혜를 받게 되면 인간의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는 원죄(혹은 부패성)에서 정결케 되며 성결은 성령의 사역이기 때문에 성령세례라고 불려진다.” 그래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은 다음과 같은 신학적인 특징이 있다.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안 성결교파중의 하나이며 웨슬리안 성결운동에서 강조하는 성결론의 핵심은 다음 세 가지이다. 그것은 중생과 성령세례가 구분된다는 것이고 성령세례는 곧 즉각적인 성결의 체험이며 또한 성결에 대한 이해는 명백한 죄성 제거설(eradication theory)을 주장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신학은 과거의 역사를 연구하고 분석하는 데서 끝나서는 안되며 오늘 우리의 문제에 대한 대답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레티 카우만(Lettie B. Cowman)과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

        김시은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레티 카우만(Lettie Burd Cowman)은 19세기 말 미국의 사회운동이 활발히 일어나던 시기에 태어나 하나님의 소명을 받고 1901년 동양 땅 일본에 도착하여 남편 카우만(Chalres Elmer Cowman)과 함께 사역한 동양선교회(OMS)의 시초가 되는 인물이다. 당시 여성으로서의 존재감은 바닥이었던 조선에서 복음을 선포한 레티 카우만의 활동은 21세기 여성사역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되어준다. 예수님은 그 어떠한 불평등적 요소와 조건에 상관없이 자신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모든 자에게 사역하였다. 교회도 마찬가지로 성별 양극화 현상으로 기울어가는 비성경적 시대상에 남성과 여성 모두가 동역자이자 협력자로서 함께 돕는 선한 영향을 미치는 사역의 형태를 나타내야 한다. 하나님의 일 하심에 있어서는 성별로 인해 남자와 여자가 가진 한계로 사역의 영역을 구분하지 않으셨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사역은 생물학적 차이를 제외한 모든 면을 고려하여 하나님께서 사용하실 ‘준비된 자’가 그 사역에 쓰임 받는 것이다. 진정한 교회는 ‘동일한 사람’으로 창조하신 남자와 여자가 연합하여 본질 되신 그리스도를 가르치고, 전파하며, 삶으로 표현해 내도록 도와주는 곳이다. 본 연구는 레티 카우만과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의 역사를 고찰하여 현대 한국교회 여성사역의 발전 인식을 고취시킴으로 여성사역의 활동과 영역을 적극적으로 확장시키고 넓혀가는 데 기여하기 위한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방식과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여 레티 카우만과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의 역사적 흐름을 분석하고 현 예수교대한성결교단 소속 여성사역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여성사역자들의 실제 상황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레티 카우만이 보여준 제한 없는 하나님의 사역과 그 행보는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자들의 소명의식을 확립하고 사명감을 고취시키는 촉매제 역할이 되어준다. 여성사역자들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사회인식의 발전과 동떨어진 교회의 여성사역자에 대한 인식은 역사적으로 깊은 뿌리를 두는 가부장적 유교문화의 관습이 가지는 병폐를 보여준다. 하나님의 창조 세계 가운데 사회와 함께 존재하는 교회는 진리의 불변성을 주장함과 동시에 시대가 가져오는 문화와 인식의 변화에 유연성을 함양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의 마지막은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사역자로서 남성사역자와 연합하여 서로를 보완하는 사역의 변화를 제시한다. Lettie Burd Cowman was bor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United States underwent active social movements. She became a founder of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OMS) together with her husband, Charles Elmer Cowman in Japan after she had received a call from God for a missionary in the Eastern land of Asia. She proclaimed the gospel in Joseon, the last dynastic kingdom of Korea where the rights of women were violated and the voices of women were hardly heard. Her missionary works done in Joseon provid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women's ministry in the 21st century. Jesus served all who absolutely needed Him regardless of any condition and inequality. Likewise, a church should represent a form of cooperative ministry that men and women as real partners and colleagues, support each other spreading a positive influence in a non-biblical era where gender polarization has been severe. Thus, God's work is for those who are ready to be "His servant" taking every aspect into consideration except for the biological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o conclude, the church we must pursue is a place where men and women who were created to be equal by God unite as the most beloved creature of God, in order to teach about Jesus, spread His message and help people to admit Jesus in their lives. The paper aims for the women's ministry to expand territories and be activated through rearranging awareness of women's missionary works inspired by the history of Lettie Burd Cowman and the Korean Women's ministry of Sungkyul(‘Holiness’) Church. The paper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through the survey. The literature review focuses on the historical analysis of Lettie Cowman's life work and the Korean Sungkyul women's ministry. The survey targeted the current women minister in Sungkyul Churches to fully understand the real-world situation. The unrestricted ministry of God and His actions shown by Lettie Cowman serve as a catalyst for establishing a sense of calling and emphasizing a sense of duty for female ministers of the Korean Sungkyul Church. The number of female ministers has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years. However, the churches which lack adaptability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awareness still have perceptions towards female ministers and it shows the ills of patriarchal Confucian culture that are deeply rooted. The church, which belongs to the society amidst the world God created should insist on the immutability of truth and simultaneously foster flexibility in the continuous changes of culture and awareness of women’s role in every territory.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the paper suggests a change of ministry in which male and female ministers unite as being on the same page sharing an identical understanding of the role in church and undertaking an identic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remedy and make up for each other.

      • 웨슬리 성화론과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비교 연구

        정화평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has its roots in Wesley's Holiness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However, Wesley's Holiness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was not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esley's thought influenced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and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th century was transmitted to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Although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succeeded Wesley, it is not the same as Wesley. For this reason,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and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being a spontaneous denomination. The doctrine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originated from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influenced by Wesley in the 18th century. However, unlike the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which started denomination-type missions in Korea led by foreign missionaries,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established by the initiative of natives named Jeong Bin and Kim Sang-jun.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denominations by the founder. For this reason,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clearly a Wesleyan who followed Wesley, but at the same time did not exactly follow Wesley alone. In other words, the theolog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is not the same as Wesley’s theology. This researcher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methodology to compare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with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s Holiness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denomination through the study of 'Holiness' of the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and to prepare a difference from other denomination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 of Holiness and Holiness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In addition, the researcher examined Wesley's theory of Sanctification, focusing on the Aldersgate incident. Also, Phoebe Palmer's Holiness movement and Wesleyan's Holiness theory in the 19th century influenced by Wesley were examined. Through this,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and Wesleyan Holiness theory were compared. Also,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examine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Holiness Theory of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OMS) following the 19th-century Wesleyan Holiness Theory. And through the Gospel Mission Hall(Bog-eum Jeondogwan), mother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established by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OMS),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examined. This researcher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Wesley's theory of Sanctification and the theory of Holiness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The Holiness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 instantaneous experience after regeneration, purification from original sin, and receiving power. This study intends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Although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clearly influenced by 18C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there is a clear difference.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did not bring Wesley theology as it was.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mo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19C American Wesleyan Holiness Theory called “Interpreted Wesley.” Although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was within Wesley's big framework, other elements were also widely accepted if they were consistent with the Bible. It is necessary to broadly understand that the 19C Wesleyan Holiness Movement centered on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church), the Oriental Mission Society(OMS) that resulted from it, and furthermore, the Christian & Missionary Alliance and Moody Bible Institute influenced the Holiness theory of the early Korean Sungkyul('Holiness') Church.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18세기 웨슬리의 성결운동에 뿌리를 둔다. 하지만 18세기 웨슬리의 성결운동이 초기 한국성결교회에 바로 전달되지 않았다. 웨슬리의 사상이 19세기 웨슬리안 성결운동에 영향을 미쳤고, 19세기 미국 웨슬리안 성결운동이 초기 한국성결교회에 전달되었다. 초기 한국성결교회가 웨슬리를 계승했지만, 웨슬리와 똑같은 것은 아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웨슬리의 성화론과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의 차이를 비교 연구했다.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자생적 개척 교단이라는 독특한 성격을 가진다. 초기 한국성결교회 교리는 18세기 웨슬리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웨슬리안 성결운동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외국인 선교사의 주도로 한국에서 교파형 선교를 시작한 장로교, 감리교와는 다르게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정빈, 김상준이라는 자국인의 주도로 세워졌다.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설립한 주체자가 다른 교단들과는 차별화된다. 이런 이유로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분명히 웨슬리를 따르는 웨슬리안이지만, 동시에 정확하게는 웨슬리만을 따르지는 않는다. 즉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신학은 웨슬리 신학과 같지 않다. 본 연구자는 웨슬리의 성화론과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을 비교하기 위해 문헌 연구 방법론으로 진행했다. 이러한 한국성결교회 ‘성결’의 연구를 통해 교단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하며 다른 교단들과의 차이를 마련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자는 성결의 개념과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성결을 살펴보았다. 또, 연구자는 웨슬리 성화론에 대해 올더스게이트 사건을 중심으로 웨슬리의 성화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피비 파머의 성결운동과 웨슬리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웨슬리안의 성결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웨슬리 성화론과 웨슬리안 성결론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19세기 웨슬리안 성결론을 따르는 동양선교회(OMS)의 성결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동양선교회에 의해 세워진 복음전도관(한국성결교회의 모체)을 통해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웨슬리의 성화론과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의 차이를 비교했다.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은 성령세례이고, 중생 후 순간적 경험이고, 원죄로부터의 정결이고, 능력 받음이다. 본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이 분명히 18세기 웨슬리의 성화론의 영향을 받았지만,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초기 한국성결교회가 웨슬리 신학을 그대로 가져오지 않았다.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은 ‘해석된 웨슬리’라고 불리는 19세기 미국 웨슬리안 성결론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초기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이 웨슬리의 큰 틀 속에 있지만 다른 요소들도 성서와 일치한다면 폭넓게 수용하였다. 만국성결연맹(교회)을 중심으로 하는 19세기 말 웨슬리안 성결운동과 그로 인해 생긴 동양선교회 그리고 더 나아가 기독교연합선교회과 무디성서학원 등이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에 영향을 미친 것을 폭넓게 이해해야 한다.

      • (성결교회 종말론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연속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박정철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research thinks that the academic self-esteem and self-respect lies in their consistent establishment. Talking of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Yesung theology, the meaning of ‘systematic’ at this point should include the meaning of ‘consistent’ necessarily. This study, the critical study on continuousness of the eschatology and disepensationalsim of holiness church is the very study on the meaning of the ‘consistent’ in other words, the consistency. This study starts with a rather challenging question, ‘i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the dispensational pre 1 thousand theory?’. The various problems that this question contains such as the identity of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in relation with the time-limited eschatology which appears as one shape of extreme disepensationalsim and the theological establishment and responses in the problems in which second advent should have existed already are being proposed a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us, this study was proceeded by focusing on the question, ‘I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the dispensational pre 1 thousand theory?’ and approaches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 through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ntinuousness of holiness church and disepensationa- lsim. The focus of this study in dealing with the eschatology and disepensationalsim of holiness church is as follows. First, the disepensationalsim is divided into the classical disepensationalsim, modified disepensationalsim and progressive disepensationalsim. Then which disepensationalsim is the disepensationalsim which becomes the object in the ‘continuousness’. In other words, it is specifying the object of continuousness. This task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and the reason for it is because the disepensationalsim which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into the classical disepensationalsim, corrective disepensationalsim and progressive disepensationalsim and oddly, that change and development is the process of correcting and deserting the doctrine, ‘two purposes and two people’, the basic doctrine of disepensationalsim. Thus, this study has proposed the reason of specifying the object for continuousness and the fact that the object should become classical disepensationalsim by proposing the ‘two purpose and two people’ doctrine, the doctrine which is the basis of the disepensationalsim through proof and investigating how this doctrine is being negated and deserted in the disepensationalsim through the change and development process of disepensationalsim. Of course that this is a result of assuming the historical continuousness of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and disepensationalsim. Second, it is the consistency in the continuousness and this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basic doctrine, ‘two purpose and two people’, the basic doctrine of holiness and disepensationalsim are not being operated organically by each other but that it is disco- nnected mutually. If the holiness church accepts the disepensationalsim based on the doctrine, ‘two purposes and two people’ can be possible when it accepts the doctrine of disepensationalsim, ‘two purpose and two people’. However, the holiness church negates the doctrine of disepensationalsim, ‘two purpose and two people’. The disepensa- tionalsim also does not accept the holiness of holiness church. Their ‘holiness’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holiness of holiness church. Here is the point where the problem of theological continuousness and consistency is raised. In other word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and the theoretical continuou- sness of the disepensationalsim are disconnected. These results, in other words, the theoretical continuousness negated in the historical continuousness raises new problem, of which the reason is because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has accepted the disepensationalsim of which the theoretical basis is totally different. This study has proposed as the conclusion, the mission work passion and mission work of disepensationalsim through the experimental evangelism of holiness church as the contact point. Although there is difference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mission work, in terms of the mission work passion for the ambition for the end, the holiness church and the disepensatio- nalsim have worthy contact points. Lastly, not should the disepensational pre one thousand theory negated in the theological continuousness be accepted a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but the establishment of new eschatology is needed. Also, such establishment should be the eschatology based on the uniqueness of the holiness church,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evangelism, and if it is the eschatology based on the experimental evangelism, it should naturally be a dynamic eschatology which has been made present as ‘here and now’. 연구자는, 학문적 자부심과 자긍심은 그것의 일관된 정립에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예성신학의 체계적인 정립을 말한다면, 그 때의 ‘체계적인’의 의미는 반드시 ‘일관된’의 의미를 포함해야 한다. 본 연구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연속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는 바로 이 ‘일관된’의 의미 즉, 일관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성결교회의 종말론은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인가?”라는 다소 도전적인 질문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이 질문이 함의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 즉, 극단적 세대주의의 한 형태로서 나타난 시한부 종말론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결교회 종말론의 정체성과, 문자주의적 세대구분에 따라 전체를 7세대로 나누고 각 세대를 천년으로 보았을 때 이미 재림이 임했어야 하는 문제들에 있어서의 신학적 정립과 답변을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연구는 “성결교회의 종말론은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성결교회와 세대주의의 역사적, 신학적 연속성의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질문에의 답변에 접근한다.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와의 연속성을 다룸에 있어서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첫째, 세대주의는 흔히 고전적 세대주의, 수정세대주의, 점진적 세대주의로 구분되는데 그렇다면 ‘연속성’에 있어서 그 대상이 되는 세대주의는 이 중 어느 세대주의인가? 즉, 연속성의 대상을 특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있어서 이 작업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고전적 세대주의, 수정 세대주의, 점진적 세대주의로 변화, 발전한 세대주의는 특이하게도 그 변화와 발전이 세대주의의 기초교리인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수정하고 버리는 과정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대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교리로써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근거를 통하여 제시하고, 이 교리가 세대주의의 변화, 발전과정을 통해 세대주의 내에서 어떻게 부정되고 버려지게 되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연속성의 대상을 특정해야 하는 이유와 그 대상이 고전적 세대주의가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물론 이는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역사적 연속성을 전제한 결과이다. 두 번째는 ‘연속성’에 있어서의 ‘일관성’인데 이는, 성결교회의 근간이 되는 교리인 ‘성결’과 세대주의의 근본교리인 ‘두 목적 두 백성’ 교리가 상호유기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단절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 것이다. ‘성결’을 근간으로 하는 성결교회가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근간으로 하는 세대주의를 수용한다면 그것은 세대주의의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수용할 때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성결교회는 세대주의의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부정한다. 반대로 세대주의 역시 성결교회의 ‘성결’을 수용하지 않는다. 그들의 ‘성결’은 성결교회의 성결과 전혀 다르다. 바로 여기에서 신학적 연속성과 일관성의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즉,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신학적 연속성은 단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 즉, 역사적 연속성 속에서 부정되는 신학적 연속성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는데 그것은 신학적 토대가 전혀 다른 세대주의를 성결교회의 종말론이 수용한 이유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결론으로 성결교회의 ‘체험적 복음주의’를 통한 ‘선교열정’과 세대주의의 ‘선교’를 그 접촉점으로 제시하였다. 비록 선교의 내용에 있어서의 차이는 있으나 종말의 대망을 위한 선교열정에 있어서 성결교회와 세대주의는 훌륭한 접촉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학적 연속성이 부정되는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을 성결교회의 종말론으로 그대로 수용할 것이 아닌, 새로운 종말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정립은 성결교회의 독특성에 기초한 즉, 체험적 복음주의에 기초한 종말론이 되어야 할 것이며, 체험적 복음주의에 기초한 종말론이라면 당연히 “‘지금 여기’로 현재화된 역동적인 종말론”이 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성결교회 「성결과 비전」유치부 교재 분석 연구 : 마리아 해리스 이론을 중심으로

        김세경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한국성결교회의 '성결과 비전' 유치부 교재를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교육목회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성결과 비전'은 성결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성결교단의 근간이 되는 사중복음을 우리의 삶 속에서 생활화하며, 각 교육의 주제별로 특성화 하여 교수-학습 전개의 효율성을 모색하는 커리큘럼이다. '성결과 비전' 유치부 교재는 유아 발달에 맞는 커리큘럼의 연구가 미흡하며, 교육목회적인 다섯 커리큘럼(코이노니아, 레이투르기아, 디다케, 케리그마, 디아코니아)을 균형 있게 학습하지 못하고, 신앙과 삶이 연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결과 비전' 유치부 교재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계획되어질 한국성결교회 유치부 계단공과의 기초적 근거가 되는데 있다. ‘curriculum’이라는 단어는 ‘달려야 할 코스’라는 뜻으로 커리큘럼 이론에서는 ‘출발점에서 일정한 목표점을 향해 달리는 유목적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지루(Henry A.Giroux)의 전통주의적 입장, 개념-경험주의적 입장, 재개념주의적 입장으로 흘러왔다. 교회교육을 위한 기독교 커리큘럼은 기독교적 삶으로 양육하는 목적을 가지고, 그리스도 중심으로 성경의 원리를 따라 사람들을 하나님의 임재하심 가운데로 인도하여야 하는 커리큘럼이다. 기독교 커리큘럼의 흐름은 일반 커리큘럼과 크게 다를 바 없으나 최근에는 협의의 커리큘럼의 이해를 넘어 교회학교를 포함한 교회 전체를 하나의 교육하는 기관으로 보고 교회의 여러 목회적 기능들을 교육적 관점에서 구조화하려는 광의의 커리큘럼의 이해로 전개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회중형성과 변형을 위한 교육목회 커리큘럼'(Fashion Me A People: Curriculum in the Church, 1989)이 있다. 해리스는 교회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을 ‘교회생활의 전과정’으로 정의하고, 신앙공동체에 속한 구성원(회중) 전체의 삶의 특징들이 커리큘럼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오순절 성령강림과 함께 형성된 원시 기독교공동체의 삶의 형태를 교육목회 차원에서 구조화하여 커리큘럼 이론으로 발전시키고 있는데, 즉 공동체가 지닌 공유성에 기초한 코이노니아(Koinonia) 커리큘럼, 예전과 관련된 레이투르기아(Leiturgia) 커리큘럼, 가르침의 사역과 관련된 디다케(Didache) 커리큘럼, 복음의 선포와 관련된 케리그마(Kerygma) 커리큘럼, 섬김에의 봉사와 관련된 디아코니아(Diakonia) 커리큘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목회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성결과 비전' 유치부 교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예견되어 진다. 먼저 교회교육과 가정신앙교육을 연계해야 하며, 절기교육과 예배가 연계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유아 발달에 맞는 다양한 교수매체와 놀이 활동이 개발되고, 보완되어야 하며, 새로운 성경 이야기 교수법 개발과 함께 유아발달에 맞는 교육주제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의 신앙과 삶을 연계시키는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This paper studied ‘Sungkyul and Vision’ which is a Christian Education textbook designed for children and taught in Sungkyul Church with an analysis on Christian Education curricula. ‘Sungkyul and Vision’ is specially designed for children to efficiently help them establish their identities as a christian and practice gospels. But ‘Sungkyul and Vision’textbook has such problems as lack of studying on curriculum fit for infantile development, unbalanced learning five christian education curricula-Koinonia, Leiturgia, Didache, Kerygma and Diakonia- and poor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fa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ckground for the curricula and the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 taught in Holiness Church by critically analyzing ‘Sungkyul and Vision’ textbook. The word 'curriculum' means the course to run, which means purposed course runn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constant goal in a curriculum theory. This has been streamed out of the Giroux's traditional, conceptual-empirical and reconceptual position. Christian curriculum for church education with the purpose to lead people to live as christian is a kind of Christ-focused and bible-based curriculum, with which people could be lead to presence of God, Recent tendency of christian curriculum move to wide-meaning beyond narrow-meaning, regarding church as educational institutes and trying to form various ministerial functions of church in an educational view point. Fashion Me a People: Curriculum in the Church By Maria Harris is well-known. Harris has defined curriculum for Christian Education as 'the whole course of church life', and defined that curriculum is consisted of particularities of all the church members, who have belonged to faith community It reconstructed the educational ministry from the typical life style of primitive christian community begun forming with the coming of pentecostal Holy Spirit, and developed into curriculum theory. In other words these are Koinonia based on commonness of community, Leiturgia associated with liturgy, Didache with educational ministry, Kerygma with protesting gospel, and Diakonia with sergeantship.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 order to make improvement in the above area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A curriculum similar to "playing house" in which children can learn how to practice religion in home environment in order to better connect the education in the church with religious education at home. And special pray programs with emphasis on discipline. More diverse teaching means and curricular designed for every growth stage of children. New approaches to studying the Bible and more customized study themes to children. More curricula which can help children connect their lives with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