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尙州市 地域 農村 마을 숲의 役割에 대한 硏究

        김대섭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Historically, Agriculture is most important industries since existence of human being in the forestry. Ever since, rural area forestry is influenced organizing living spaces and formation for human life style. Also, development agro-forestry in rural area, transmit, recognizable case study of the eight(8) rural area forestry of near by Sangju-Si. The role of eight rural area forestry in Sangju-Si, provided recreation spaces and rise income generation for rural peoples. through the confronted grasp the meaning of expectation and request for the peoples to the rural forestry. Majority of peoples who lived thus eight rural area in Sangju-Si wanted rural forestry become not only recreation spaces but also, economically income generating sources of agro-forestry of rural areas, it meaning do not abundant forestry, must utilized for public work and promote national prosperity of rural areas. Requisition of eight rural area forestry needs to property of each forestry area for direct sales area of farmer's product pass through various rural activities for revitalize rural economy and income developments. Rural area forestry required protection and managerial spot for modification and rise efficiency of economic development for rural area and refreshed recreation spaces of rural people. 인류가 숲 속에서 출현하면서부터 농업을 시작하였으며,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산업이다. 마을 숲은 오랜 옛날부터 농ㆍ산촌 마을을 형성하고 있는 마을 주민들에게 행복한 삶의 생활 공간적 역할을 수행해온 것을 상주시 인근 8개 지역 농촌 마을 숲을 중심으로 현장설문조사를 통해 직접 체험함으로써 인식 하게 되었다. 상주시 8개 지역 농민들의 마을 숲에 대한 기대와 수요를 설문조사를 통해서 정확히 파악한 연구요지는 마을 숲을 활용한 농촌 경제소득향상과 동시에 여가 공간적 역할이었다. 상주시 8개 지역 농촌 마을 숲 인근에 살고 있는 주민들 대부분은, 마을 숲이 여가 공간적 역할은 물론,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농ㆍ산촌 마을 숲을 더 이상 방치하지 말고 복지농촌건설을 위하고, 내실 있는 공익사업과 쾌적한 농촌마을 숲으로의 활용을 원하고 있다. 상주시 8개 지역마다 특성에 맞게 마을 숲에서 다양한 행사를 통하여 농민들이 생산한 농산물을 직접 판매할 수 있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여 농가소득 향상과 농촌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마을 숲을 요구하고 있다. 마을 숲이 마을 주민들에게 쾌적한 여가생활 공간적 역할과 농촌경제 활성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마을 숲의 관리ㆍ보호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마을 숲은 효율적인 장소로서의 방향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 학교사회복지사의 유무에 따른 한부모 가정 중학생의 행동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인식 비교

        백현희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가 있는 학교의 학생들과 없는 학교의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 행동특성, 사회적지지를 비교하여 학교사회복지서비스의 확대와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Coopersmith(1967)와 McChale과 Chaighead(1988) 등의 연구를 참조하여 최조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행동평가척도의 타당화 연구를 실시한 한미현?유안진의 질문지를 참고하여 수정하였으며, 행동특성에 대한 척도를 시행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Harter(1985)의 ‘Social Support Scale'을 한유진?최나야(2004)가 번안?수정한 사회적 지지의 척도와 Dobow와Ullman(1989)의 SSAS(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와 SAB(Scale of Available Behavior)를 수정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지지원은 부모, 친구, 선생님, 학교사회복지사, 상담교사, 형제, 친척, 이웃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적인 사항은 성별, 학년, 가족형태, 학교생활만족도, 학교사회복지사 유무, 동거자, 지역사회서비스경험, 자원봉사활동 등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는 구미지역에 있는 중학교에 교육인적자원부 주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교사회복지사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를 각각 2개교씩 편의 선정하여 각 담임선생님과 학교사회복지사의 도움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18부를 배표하였고, 100% 회수하였으며, 그중 답변이 불성실한 7부를 제외한 총 111부를 최종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학교사회복지사 유무에 따른 행동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는 <표6>에서 보듯이 공격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우울/불안, 사회적 위축은 학교사회복지사가 있는 학교 학생들이 없는 학생들보다 평균 이 조금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둘째,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지지 모두 학교사회복지사가 있는 학교 학생들이 없는 학생들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함을 나타내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지원을 살펴보면, 정보적 지지는 친구, 부모님, 선생님, 형제 순을 보이고 있다. 학교사회복지사가 있는 학교나 없는 학교나 친구와 부모가 주된 지지원임을 볼 수 있으나 학교사회복지사가 있는 학교의 학생들은 없는 학교의 학생들보다 학교사회복지사와 상담교사에 대한 지지원의 비율이 높음을 볼 수 있다. 정서적 지지의 주된 지지원은 학교사회복지사가 있는 학교나 없는 학교나 친구와 부모, 형제가 주된 지지원임을 볼 수 있다. 물질적 지지의 주된 지지원은 부모님, 친구, 형제, 선생님 순을 보이며 학교사회복지사 유무에 따른 차이는 보이고 있지 않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두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사회복지사를 학교에 상주하는 경우 한부모 학생에게 관심을 가지며 다양한 사회적 지지와 연결하고 제공하려고 노력을 하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학교사회복지사가 시범사업으로 표류하고 있으며 특히 구미의 경우 학교사회복지사가 상주한 지가 아직 2년이 채 못 되고 있어 학교사회복지사가 한부모 가정 학생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 시간이 오래되지 않아 아직 학생들의 내면적 성격변화인 자아 존중감의 변화나 행동특성상의 변화를 보여주지는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사가 시범사업으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사회복지제도가 정착되어 한부모 가정 학생과 같은 취약한 환경에 있는 학생을 위한 체계화되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The effects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e on behavior pattern and soci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ingle pare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e on the behavior patterns and soci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ingle parent on the purpose to expand the school social work practice and improve school social work programs for them. We compared the behavior patterns and soci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ingle parent in the middle schools where school social workers attended, relative to the schools having no school social workers. The study subjects were 111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ingle parent living in Gumi city at 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aggressive behavior pattern was observed among students who did not have support from school social work practice in the schol. Second, the support for information, emotion, and economy was higher among students who had school social work practice in the school. Third, the main sources of the support for them were from friends, parents, teachers, and siblings. Moreover, school social workers were the main providers for the support as well when the school provided school social work practice. In the aspects of the support for emotion and economy the main source was from parents, friends, siblings, and teachers, however school social workers did not contribute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we would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school social workers pay attention to the students of single parent and tried to give social support for them. However, since the school social work practice in Gumi city just started two year ago in a few school as a model for others, the effects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e on the behavior pattern and soci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ingle parent appeared to be not remarkable. Thus, the school social work practice should be expanded to all the schools and more systemiz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give continuous support for the students with single parent or with poor environment. Second,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be more qualified to meet students needs and to give continuous support, sinc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chool social workers did no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support for the emotion and economy well-being.

      • 中小企業 産業災害 및 對策에 관한 基礎調査 硏究 : 경북, 구미, 김천, 상주지구

        조재용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07

        현대의 생활은 과거에 비해 여러 가지의 물질적 혜택과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있는데, 이렇게 편리한 현재 생활을 만들어 가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과 복잡한 기계들을 바탕으로 하는 산업활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고도로 발달된 자동화 시스템과 기계의 설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므로서 물질 문명의 혜택이 증가됨과 동시에 산업사회의 생산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귀중한 몸을 다치거나 생명을 잃어버리는 산업재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의 혜택에 대한 관심들은 많은 반면에 생업과 기타의 산업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산업재해의 피해자들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은 편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산업재해에 대한 제도적인 모순점은 산업재해 방지의 모든 것들을 근로자가 떠맡아야 하므로 서 산업재해의 결과 역시 사용자의 면책사유에만 제공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인은 대량의 설비 기기 파손 및 잘못된 작동으로 인하여 생기는 인명과 재산의 손해를 방지하고, 개선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조사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학계와 산업계에서 산업재해에 대한 많은 연구조사들이 진행되었는데, 그것은 드러난 재해요인을 제거하는 방안의 한 부분 실행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이와 같은 사건의 해결점을 찾으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세계의 여러 나라들 중에서 경쟁 대상국과 다른 개발도상국에 비해 우리나라 산업에서 월등히 높은 재해 발생률이 나타나는데, 논문의 자료에 따라 산업현장의 안전 사고를 조금이라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관리의 기본방향을 설정, 모색하여 안전대책을 이루어야 하겠다. 둘째, 안전교육의 내용과 실무의 적합성으로 현장 노동자들에게 작업에 알맞은 수칙 과 모두가 이해하기 쉬운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안전관리 개선을 위한 의견을 반영함으로서 재해의 위험성에서 벗어나야 한다. 넷째, 안전수칙의 철저한 준수 및 안전장치를 잘 활용하여 자신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임을 인식시켜야 한다. Looking back at the turn of the century, we can find that labor, who had led industrialization process, was not appreciated due to mechanization and the lack of investment for improvement of the labor environment. despite their effort for value, they helplessly fell prey to industrial disasters and were left behin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co-existence of a variety of occupation, owing to the change of industrial organization and enlargement of the range of labor due to the change of employment structure, brought about prolonged working hours, accumulation of fatigue, and low wages. in particular, industrial innovations for the maximization of labor efficiency through mechanization and rigid labor control caused occupational diseases and more severe industrial disasters. these disasters afflicted labour physically and mentally, and families economically. even the companies In which they belonged to suffered. but in fact, the general recognition of the industrial disasters has still remained low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jured laborers has become an obstacle to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aking into account comparatively much higher rates of industrial disasters compared to those of our competition and a series of disasters, prevention of industrial disaster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we should deal with. I have identified the problems The first, preventing for disaster. The second, result of quest. The third, a study on industrial disaster. The fourth, identified preventing.

      • 慶北 尙州 玉洞書院의 配置와 建物形式에 關한 調査硏究

        이순호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19C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당시 훼철을 모면한 경북지역의 서원 9개소 중 하나이며, 상주지역의 대표적 서원으로 들 수 있는 옥동서원을 집중 탐구하여 우리나라 서원의 전형적 모습과 경북지역 비훼철 서원 8개소를 비교분석하여 옥동서원의 배치와 건물형식 중심으로 건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1. 옥동서원은 1518년(중종13)에 현재 위치와 인접한 신덕리에 방촌(·村) 황희(黃喜)의 영정을 봉안하고 공부하던 백화서당이 그 모태로서 17세기 초에 서원으로 승격됐다. 이 시기는 조선시대 최초 사액서원인 소수서원(16C)이 건립된 후 약 반세기가 지난 때로, 향사의 기능은 점차 강화되고 강학은 약화되는 경향을 보여주던 시기이다. 사액은 경북지역의 비훼철 서원 8개소보다 다소 늦은 1789년(정조13)에 받았다. 18세기 후반에 문루를 세우고 19세기 초에 전사청을 두면서 서원으로서의 구색을 갖추었으며, 전체적으로는 17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는 서원건축의 배치와 구성 건물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2. 옥동서원의 입지를 보면 산을 등지고 전면에 내천 및 넓은 들판과 좌·우측 멀리에는 산들이 감싸고 있는 아늑한 곳으로 특히 현재 서원이 자리한 수봉리는 예전에 장수황씨의 집성촌이었다. 마을의 자연부락명은 정주학에 연유한 지명으로 일관(一貫), 오도(吾道), 신덕(新德), 동산(東山) 등으로 후진양성을 위하여 붙어진 마을 이름으로 옥동서원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또한 조용하게 수양하며 독서하기에 좋은 산천경계가 수려한 위치로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조건을 제대로 갖춘 장소라 하겠다. 배치형식은 산자락 끝의 경사지를 이용하여 앞쪽에 강학공간을 앉히고 그 뒷쪽에 제향공간을 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식이다. 전후 일축선상에 주요 건물인 문루·강당·내삼문·사당이 차례로 앉고 지원시설인 전사청이 배치된 유형은 17·18세기에 주로 나타난 서원 건축 배치형식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여겨진다. 3. 현재 옥동서원을 구성하고 있는 문루·강당·사당·전사청 등의 건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문루는 고상주택 양식을 취한 복합형 건물로 2층 좌·우측 온돌방의 함실 아궁이를 출입문인 회보문 바깥쪽에 설치했다. 동·서재 건물을 별도로 배치하지 않고 문루의 2층 좌·우측 온돌방이 동·서재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이는 17·18세기 이후부터 강학기능이 약화되면서 주로 나타나는 형식으로 16세기 후반의 경북지역 비훼철 서원과 다른 모습이다. 대청 좌·우측 온돌방의 출입문 가운데 기둥 상부에 놓인 용두각으로 장식한 층도리 뺄목은 흔치않은 수법으로 눈길을 끈다. (2) 강당은 동선상의 편의를 도모하기위하여 배면을 제외한 세 면에 쪽마루를 시설하고, 배면 가운데에는 출입이 가능하도록 머름 없는 쌍여닫이 판장문을 설치하였다. 특히 배면의 창호는 후대에 개변된 것으로 같은 시기의 건물에서 종종 찾아 볼 수 있는 모습이다. 또한 대청과 양측 온돌방 사이의 창호는 3분합 맹장지 들어열개문으로 대부분 19세기 이후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창호형식이다. 초익공의 촛가지는 둥그스름한 네모 형으로 위쪽을 뽀족하게 혀를 빼낸 모양새는 다소 이색적이다. 강당 건물은 배면 좌·우측의 고식(古式)의 영쌍창 등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19세기 이후의 모습을 주로 보여주고 있다. (3) 사당 정면에 반 칸 크기의 툇간을 놓고 툇마루를 깔았는데, 이는 옥동서원이 건립되던 18세기 당시는 강학기능이 줄어들고 제향기능이 강화되던 시기로 제례의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빠른 시기의 경북지역의 타 비훼철 서원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형식이다. (4) 전사청은 관리사로의 출입을 고려하여 담장사이의 관리사 쪽으로 내밀어 앉히고 좌·우측면에 창호를 내었는데, 경북지역 타 비훼철 서원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이다.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전사청의 이건 연대는 금번 해체공사 때 발견된 상량 묵서명으로 보아 1815년(순조15) 또는 1875년(고종12)로 추정된다. 이상으로 옥동서원은 영남학파의 학통을 이은 상주의 대표적 서원으로 배치와 구성건물의 형식을 중심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17·18세기, 부분적으로는 19세기 이후의 건축적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Ok-dong Seowon, the representative one in Sangju region, by investigating it intensively and comparing it with eight typical Korean Seowons preserved in that area based on its arrangement and structure. Ok-dong Seowon is one of the nine Seowons in Kyoung-buk province that were excluded from the demolition commanded by Heung-seon-dae-won-gun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Consequently this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k-dong Seowon was stemmed from Baek-hwa Seodang in Sin-deok-ri neighboring the present location. This was the place where the scroll portrait of Bang-chon Hwang-hee was enshrined in 1518(Jungjong 13). It was raised to the status of Seowon in the early 17thcentury. Compared to So-su Seowon(16c), the first tablet-granted one during the Cho-seon Dynasty, Ok-dong Seowon was built about half a century later on. This was a time when the function of religious service was strengthened while its scholastic functions were weakened gradually. It was bestowed the tablet in 1789(Jeongjo 13) a little later than other eight undestroyed Seowons in Kyoung-buk province. It became to have an assortment as a Seowon since its gate tower had been built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Jeonsacheong had been fixed for the religious service in the early 19th century. Overall, it features the typical placemen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eowon between the 17th century and the 18th century. Topographically, Ok-dong Seowon is located in a snug and cosy place because it is facing a stream and an extensive field with its back leaning against a mountain. It is also surrounded by mountains both on the left and the right. It is located in Su-bong-ri where Hwangs family lived collectively in the past. It was named Il-Kkwan, O-do, Sin-deok, or Dong-san drawn from Jeong-ju-hak. The name of the village was given in hopes of improving education of future generations and it is related to the name of Ok-dong Seowon. It is obviously quite a satisfactory place for Confucain scholars to read and cultivate their minds because it is endowed with the beauty of the natural environment. It surely satisfies the conditions of a Seowon required during the Choseon Dynasty. In regards to its arrangement, it appears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typical Seowon architecture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Using the slope of the hillside, the studying place was set in the front of the building while the place for religious service was at the back. It is regarded as the typical layout of the Seowon architecture becausemain buildings including the house gate, auditorium, three-compartment door, and shrine we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of the front and back of it and then the supporting facility named Jeon-sa-cheong was furnished. Ok-dong Seowon consists of these main buildings: gate tower, auditorium, shrine, and Jeonsacheong. According to this study, it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gate tower is a compound building which takes the architectural style of Ko-sang housing. The fireplaces in the kitche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floor was installed outside of the gate Hoi-bo-mun. Dong-jae(a residence hall in the east) and Seojae(a residence hall in the west) were not set out in a separate way and aside room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floor of the gate tower which functioned as a residence hall. This structure shows the trend that the scholastic function was being enfeebled gradually sinc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it is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eowons which were not dismantled in the 16th century in Kyungbook Province. The center pillar above the door of the guest room was decorated with the fringe Ppael-mok which draws attention because it was engraved in the peculiar shape of a dragon's head. The convenience of movement was considered when they designed the auditorium. Three sides of the auditorium were furnished with a narrow wooden veranda except the back side. In the middle of the back side of the auditorium, a wooden sling door was installed to guarantee space for entrance and exit. Windows and doors on the back side were renovated later and this style can be often noticed among other buildings constructed during the same period. The door between a hall and two under-floor heating rooms adopted the style of Sam-bun-hap Maeng-jang-ji lift-and-open door. This was the common door form in the later 19th century. The shape of Chot-ka-ji on the Cho-ik-gong is a round rectangle and it looks somewhat unique because of its pointed upper part. The rest parts of the auditorium, except the old styled window slide, are mostly keeping the structure the 19th century afterward. Half-Kan-sized wooden floor was furnished in front of the shrine to provide convenience of the religious service when performing ancestral rites. Strong emphasis was laid on the worship function rather than on the scholastic function when ok-dong Seowon was constructed in the eighteenth century. This especially draws attention because we cannot find this arrangement from preserved other Seowons which were built in advance in Kyoung-buk Province. Jeonsacheong was placed close to the superintendent's office between fenced considering incoming and outgoing. Windows and doors were install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This structure never be found from other preserved Seowons in Kyoung-buk Province. It was proved to be moved and reconstructed in 1815(Sunjo 15) or in 1875(Kojong12) deducing from Muk-seo-myoung which were engraved at the time when the ridge beam was put up although the age-date was not presumed clearly before. Through researchingand analyzing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Ok-dong Seowon, a representative one in Sang-ju area, which maintained the scholastic mantle of the school of Yeong-nam. Focusing on its arrangement and the features of constit

      • IGS座標를 이용한 都市地域 Laplace Point 確立에 관한 硏究

        박상철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07

        사회가 정보화사회로 발전함에 따라서 정확한 지형정보의 획득은 산업사회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매우 중요한 측위시스템으로 GPS에 대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GPS는 두 점간의 거리를 1/100만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세계 폭넓게 구성되어 있는 국제 GPS Network 측점에 의해 대륙간 위치 결정, 지구 변형과 회전 및 변화 측정, 위성궤도 결정 등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GS 측점을 이용한 대륙간 초장기선을 GPS 관측데이터로 SJ 측점과 GPS 기준망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고, WGS 84와 Bessel 좌표계 변환 결과와 TS(total Station) 값을 비교하여 GPS 기준망과 좌표변환의 효율적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전세계 약 200개의 IGS 측점 중 한국의 TAEJ(대전)과 SUWN(수원), 일본의 TSKB(쭈쿠바)와 USUD, 중국의 SHAO(상해) 등 총 5곳의 IGS 상시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DAY 364(1998. 12. 30)∼GPS DAY 003(1999. 01. 03)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IGS Global Data Center에 인터넷 접속을 통한 GPS 방송궤도력을 전송 받았으며, 이들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자료 처리하여 초장기선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약 70km에서 1120km 기선에 대해 5일간의 방송궤도력 데이터를 6시간, 12시간으로 처리하여 약 0.01∼0.04ppm의 양호한 상대정밀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IGS 분석보고서에서 산출한 기선 거리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Float 해석과 Fixed 해석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Float 해석이 Fixed 해석보다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산출하였고, 기선 길이에 따른 표준편차가 Fixed 해석값은 일정하지만, Float 해석값은 상당히 불규칙적이었다. 또한 IGS 상시관측 데이터를 이용해 상주대학교의 SJ측점을 결정하고, 교내 삼각망을 구성하기 위해 GPS 상대측위기법으로 결정된 SJ측점을 기준으로 각 지점의 좌표를 획득하고, 이들 데이터 좌표변환을 수행한 좌표값과 TS 지상측량방식의 좌표값을 비교·분석하여 0.2∼0.5m 정도의 차이값 발생하였고, 또한 조합방법에 의한 분석결과는 좀 더 높은 정밀도와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국제 GPS Networks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기본도 작성과 지적재조사 사업을 비롯한 각종 국토개발분야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21C GPS 국가 기준점 구축에 대해 IGS 상시관측대의 정확한 위치 오차와 지반변동에 관한 연구, GPS의 단점보완 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obtain precise geo-information,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GPS, a new precise positioning system, has recently aroused the lots of interest in acquisition of exact geo-information. This GPS determine not only determination of the earth deformation and rotation, tracking of satellite orbit but also measure the distance by 1/10^6 accuracy. Accordingly, this study was analyzed the accuracy upgrading of relative positioning and also the setup of national GPS reference network using IGS(International GPS Services) station. By comparing values of coordinate transformation between WGS 84 and Bessel frame and TS, was proposed the effective solution for that. Firstly, This study presents the various of accuracy for very long baseline by using GPS. I got the GPS data for neighbor nations(USUD, TSKB in Japan, SHAO in China) including Korea(TAEJ, SUWN) and broadcast ephemerides from the IGS global data center through internet using the FTP. Relative accuracy of about 0.01∼0.04ppm was obtained in 6hr or 12hr-data processing for 5 days-GPS data about 70km ∼ 1120km baseline. In comparison with IGS analysis report, result of this study go without difference of accuracy. Results, that compare float solution with fixed solution, is good the latter more than the former. Also,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baseline has the big difference. For triangulation in Sang-ju university, I determined the SJ station using this stations and compare GPS relative positioning with Total Station System using SJ station. By comparing values of coordinate transformations, which were transformed into bessel coordinate system using the existing program with those of the Total Station, a difference of about 0.2∼0.5m appeared. It shows that GPS/TS combination method results in high precision and effectiveness at 3-dimensional coordinate measurement. Therefore, positioning using IGS can be applied to the basemap mapping, a land register ang NGIS. And from now on, the study on the accurate positioning errors of IGS continuative observation and land deformation and the study on the supplement of GPS defect are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Control Station by GPS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