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의 과학기술정책과 4차 산업혁명의 남은 과제

        강철구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20 사회과학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일본이 경기침체를 극복하고 국가 차원의 전략적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과학기술정책과 4차 산업혁명을 어떻게 도입하고 진행하고 있는가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일본은 과학기술정책의 일환으로 AI, 바이오, 양자기술 등에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에서는 빅 데이터나 인공지능, 로보틱스 등의 기술적 진보 외에도 저출산·고령화, 지방소멸, 환경 및 식량문제, 수질문제 등 일본사회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도 개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산업의 규제를 완화하고 낡은 관행을 개혁하며 인재시스템을 수정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한국 역시 향후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산업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각종 규제정책을 완화하는 한편 정부와 기업 간에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 막스 베버의 종교사회학에 나타난 기독교의 이해 : 비교종교학의 관점에서

        안신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4 사회과학연구 Vol.36 No.1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는 ‘합리화’의 과정에 있는 서구사회에서 종교가 자본주의체제를 일으키는 정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밝혔다. 절대정신을 강조하는 헤겔의 관념론과, 자본과 노동의 하부구조가 종교와 사상의 상부구조를 결정짓는다고 본 마르크스의 유물론과는 다른 제 3의 길을 선택한 셈이다. 그는 당시 자본주의가 발전한 영국, 미국, 네덜란드에서는 칼빈주의가 사회구조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중세시대의 수도원 금욕주의는 칼빈주의의 예정론 아래에서 세속적 금욕주의로 발달하고 자본주의의 정신에 영향을 주었다는 ‘선택적 친화론’을 펼쳤다. 사람은 자신이 신으로부터 영원한 생명을 얻었다는 사실, 즉 구원받았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주어진 직업에 소명의식을 갖고 최선을 다하고 금욕적인 생활을 유지하며 자본을 축적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중국과 인도의 종교들과 유대교에서는 이러한 자본주의 정신이 발전하지 않았음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종교와 사회의 상호영향에 대한 균형 잡힌 그의 시각은 여전히 유효하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Max Weber(1864-1920) understanded various traditions of Christianity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Karl Marx emphasized the influence of capital upon thought, but Weber regarded religion as the independent cause of the spirit of capitalism. He criticized Marx's materialism and attempted to prove that religions in China, India, and Judaism couldn't contribute to the rise of capitalism because of the lack of their rationalization. In Max Weber's sociology of religion, Catholicism seeks for the asceticism of traditionalism, but Calvinism challenges its believers to realize inner worldly asceticism. According to Calvinistic predestination, God has chosen some to eternal life and others to everlasting punishment. Therefore, people try to show the sign of salvation by working hard and saving money. He argued that the Protestant ethic helped people to have the spirit of capitalism. In conclusion, Weber is still the good model of religious scholar balancing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without value judgment, understanding the depth and meaning of social systems.

      •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진섭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21 사회과학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삶의 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동시에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7년 대전광역시에 거주 하는 고령자 4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음의 주요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부족하고 약한 사회적 지지체계를 보완하며 우울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마련과 실천현장의 개입이 이뤄져야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 배재대학의 “일본취업IT인력” 송출 현황 및 과제

        강철구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4 사회과학연구 Vol.36 No.1

        최근 한국의 대학환경이 급변하면서 대학을 평가하는데 있어 대졸자들의 취업이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대학들이 대졸자 취업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도입하고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대졸자들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취업을 선택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대졸자들은 맹목적인 취업활동을 하기 보다는 자신의 전공과 흥미 등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취업준비활동을 해야 하고, 대학 역시 그에 알맞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 본 연구는 배재대학교 일본학과 졸업생들이 전공지식을 살려 한국과 지리적 환경이 비슷하고 또 대학 4년간 습득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일본’이라는 특정 국가에 취업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한편, 학교에서 외부연수기관과 협력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현황 및 과제 등을 통해 향후 일본으로의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재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취업준비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새롭게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는 일본이 20여 년 간의 장기 경기침체에서 벗어난 이후 최근 IT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일본으로의 취업 전망이 밝은 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의 인력시장은 블루오션시장(blue ocean market), 아니 어쩌면 틈새시장(niche market)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본 취업과 관련하여 향후 해결해야 할 문제 등을 정확히 진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할 경우 한국 대졸자들의 대일본 인력 송출에 대한 평가를 올바르게 받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Korea has been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On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is an important variable when evaluating the university. Accordingly, most universities have introduced a variety of programs for employment, but, in reality, not all graduates will have it that the best job for them. Therefore, graduates will be considered for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university also needs to provide an appropriate program for graduat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seeking new ways to effectively prepare for the job they want to work in Japan after graduate PaiChai University. This is Japan's increasing demand for IT resources away from long-term recession last 20 years because employment prospects are bright side of Japan. Thus, the labor market in Japan may be a blue ocean market, or a niche market.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solved the problem in related to the recruiting in Japan and to accurately diagnose for the remaining problems.

      • 지역사회를 위한 대학의 역할

        조찬래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6 사회과학연구 Vol.38 No.1

        본 고는 대전 지역내 충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대학의 상생적 역할을 위한 대학의 우선적 역할에 주목한다. 일반적으로 대학의 고유 기능인 교육과 연구행위는 그 지역에 대한 경제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측면에 이르게 포괄적 영향을 준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타 지역들의 경험적 사례들을 볼 경우, 연구기능이 지역의 특성과 연관될수록 지역사회와의 결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음이 발견된다. 충남대의 ‘비전 2025 장기발전계획’과 “대전시와 대학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2012)는 지역내 대학의 역할을 보여준다. 본 고는 이를 통해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충남대의 적극적 역할을 전략적 차원에서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충남대가 대학의 본래의 목적인 교육과 연구에 충실하여 양질의 학생들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학내 구성원들간 합의와 실천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계획이 충남대의 재정확보와 확충보다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은 공공서비스적 성격을 전제로 하여야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방식이 아닌 충남대가 지역사회를 선도하는 방식으로 지역사회발전에 참여하여야 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ole of university for the win-win of a local society and university. For this purpose, Chungnam University in Daejeon is studied. In general the education and the research as the innate function of university have an inclusive effect not only on the economic aspect of a local society but also o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it. Therefore, when observed from empirical case studies on other local societies, it is founded that the more related the function of research is to the attributes of a local society, the higher the degree of coupling of a university with a local society is. “Vision 2015, Long-term Development Scheme of Chungnam University” and “The Study on Scheme of Cooperation of The Daejeon City and Universities” typically present the role of the university within a local society. This study proposes the active role of Chungnam University for the development of Daejeon City in the strategical aspect. Firstly, Chungnam University is needed to have an agreement and practice among members composed of it in order to produce many excellent students, devoting to the education and the research as an inherent purpose. Secondly, the scheme for the development of a local society should be based on the public services for the local society rather than on the acquisition of academic finance of Chungnam Universtiy. Finally, Chungnam Universtiy should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a local society non in the way Chungnam Universtiy meets the demand of a local society but in the way Chungnam University leads a local society.

      • 아펜젤러 선교사의 삶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해석

        안신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9 사회과학연구 Vol.4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life and thought of Henry G. Appenzeller, American missionar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religion. First of all, it will explore the social situation in which Appenzeller was able to enter Korea as educational missionary and explain the context of Korea's times at home and abroad. This is the first time that King Gojong's permission of mission was issued to Korea, which needed U.S. support and help for the imperial expansion of the neighboring powers, enabling the educational and medical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Before Appenzeller's successful entry into the country in 1885, there were the financial support from J. F. Goucher, the persuasion of R. S. Maclay and a help from Kim Ok-kyun. But Appenzeller paid attention to evangelical spread through education. Secondly, the death of Appenzeller was too sudden. After the second sabbatical year, Appenzeller traveled by boat to attend Mokpo meeting of the Bible Translation Committee and died in a sea disaster. The incident was not just an accident, but a martyrdom that occurred while trying to rescue the accompanying Koreans. He suffered from rapid aging as missionary work in Korea expanded. He had a strong will to establish the best university that taught in the spirit of Christianity. Finally, his missionary work was concentrated in Pai Chai Hang Dang (Pai Chai College), which nurtured useful people in the country for democratization and modernization. He pursued education as a whole, including liberal education and theological education, and practiced traditional missionary work that emphasize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denominations while strengthening evangelicalism. A religious and sociological study of his entire life is need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아펜젤러 선교사의 생애와 사상을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우선, 그 가 한국에 교육선교사로 입국할 수 있었던 사회적 상황을 탐구하고, 한국의 국내외 시대 적 맥락을 설명할 것이다. 주변 열강의 제국주의적 팽창에 대하여 미국의 지원과 도움이 필요했던 한국에 고종의 윤허가 내려지면서 서양선교사의 교육과 의료 활동이 가능해졌 다. 1885년에 아펜젤러의 성공적인 입국이 이루어지기 전에, 가우처의 재정지원, 매클레이 의 설득, 김옥균의 도움 등이 있었다. 그러나 아펜젤러는 교육을 통한 복음전파에 관심을 기울였다. 둘째로, 아펜젤러의 죽음은 너무 갑작스럽게 발생하였다. 두 번째 안식년을 마치 고 돌아 온 아펜젤러는 성서번역위원회의 목포모임에 참석하기 위하여 배를 타고 이동하 다가 해난사고로 사망하였다. 이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동행한 한국인들을 구조하 려다 발생한 순교였다. 그는 한국의 선교가 확장되면서 건강이 쇠약해졌고 급속한 노화를 경험하였다. 그는 기독교정신으로 가르치는 최고 수준의 대학교를 설립하려는 강한 의지 를 갖고 있었다. 끝으로, 그의 선교활동은 배재학당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민주화와 근대화 를 위한 국가에 유용한 인재를 양성하기를 원하였다. 교양교육과 신학교육을 포함한 전인 적인 교육을 지향하였고 복음주의를 강화하면서도 교파간의 협력을 중시하는 통전적 선교 를 실천하였다. 앞으로, 그의 전 생애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재평가가 필요하다.

      • 일본의 수출규제와 한국의 부품·소재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강철구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9 사회과학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2019년 7월 1일 일본의 대한국 수출규제조치와 관련된 배경을 검토하고 일본 정부의 조치에 대응하여 한국 정부의 부품·소재산업 분야의 행·재정 지원과 더불어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은 향후 일본과의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 의 지원뿐만 아니라 대중소기업간 협력 및 분업구조를 갖추면서 기업환경을 획기적으로 개 선해 나간다면 부품소재산업에서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한일 양국은 상 호 간에 백색국가 명단에서 제외하는 등 글로벌 분업구조와 자유무역주의 원리가 작동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어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 갈등구조 상황을 빠른 시간 안에 해 결해야 하는 숙제를 남겨 두고 있다. 이제부터 한일 양국은 경제협력에 관한 사고전환 및 새로운 중장기 경제 전략에 대해 상호 노력을 해나가야 한다. This study reviews the backgrounds of Japan’s export restraints actions to Korea, and analyzes the strategies for strengthen business competitive power as well as supporting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planing for the parts and materials industry in Korea. Korea needs to have cooperation and division structure between big and small businesses as well as government support to reduce the technological gap with Japan. In addition, if the business environment is drastically improved, the competitiveness of the parts and materials industry will be strengthened. Above all, however, Korea and Japan will have to resolve the conflict structure in a short time that mutually excludes from White List. The continuation of this phenomenon does not benefit both countries, because the global division structure and the principle of free trade do not work, Therefore, Korea and Japan should make mutual efforts to change their thinking about economic cooperation and to make new mid-to long-term economic strategies.

      • 시베리아 샤머니즘인가, 아니면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인가?

        양민종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7 自然科學論文集 Vol.17 No.1

        이 글의 목적은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 문화구조 해명에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대안적인 연구방법론을 제기하는 것이다. 우선, 서구연구자들 사이에서 전개되어온 샤머니즘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이해의 양상들을 살펴본 뒤,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일종의 종교발생론과 관련된 구조주의적인 담론임을 설명하였다.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론 발표 이후 샤머니즘의 일반적인 개념이 이전보다 오히려 더 모호해지고,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가 범세계적인 샤머니즘연구의 일부분화 된 원인으로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의 연구대상이 시베리아샤머니즘세계의 전반적인 문화가 아닌 ‘샤먼’과 인간의 ‘영적인 기술’의 발현양상에 국한되었기 때문으로 설명하였다. 기존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와 엘리아데 샤머니즘의 연구대상이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만 동일할 뿐, 실제로는 서로 다른 영역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는 별개의 이론임을 구체적으로 지적한 것은 이 글의 독창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아데 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과 시베리아-동아시아 문화를 왜곡시킨 문제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아데가 샤머니즘연구에 기여한 바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바람직한 샤머니즘세계의 문화연구를 위해 서사시와 신화를 비롯한 구비문학텍스트연구의 필요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is trying to point out that 'the Eliade's well known theory on the Siberian Shamanism' does not actually reflect the essence of the siberian cultures and the siberian shamanisms. And the Eliade's Shamanism theory has little to do with any contribution to encourage to study the local cultures of the Siberia, because it implies that the Shamanism is not the typical culture of the Siberia but ‘an archaic form of the human spiritual techniques’. The author comments that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theory that explains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itself but a theory that explains an origin of human religious systems and spiritual techniques. Firstly, because the theory is not a struc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s but an attempt to extract an element of the siberian shamanisms. Secondly, it became the concept of the religious approach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ontext of the Siberia. According to the autho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Elide's Shamanism, 1951 in Paris, many of the western scholars in this field came to admit that the Shamanism is a human common religious heritage which happened to be found by westerners in the Siberia first but can be found in anyplace-else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at is so-called 'the world-wide phenomenon of the Shamanism'.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that the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very study of the siberian culture and we need to discard the way of Eliade for the further cultural studies in the Siberian area. The possible way of studying the essence and history of the Siberian Shamanism would be the study of the historical facts of Sang Dynasty and the Ancient Korean Kingdoms. The study of Siberian and Eastern Asian Mythology would help to reconstruct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and the societies of the ancient Eastern Asia.

      • 재정러시아의 시베리아 변경정책

        박태성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7 自然科學論文集 Vol.17 No.1

        러시아의 변경정책은 국가 영토의 병합과정과 더불어 형성, 발전되었다. 19세기 전반에 형성된 변경정책의 근본 방향은 국가정책의 보편적 원칙-조세수입의 증대, 통치의 용이함, 국경지대의 안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시베리아는 러시아 땅에 병합되면서부터 중앙정부에 의해 조직화된 착취 대상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초 스뻬란스끼에 의해 행해진 개혁은 시베리아의 지정학적 특성에 근거한 지방의 복합적 입법을 위한 최초의 시도였다. 현지인의 입장에서 추진되고 시베리아의 지역성을 고려한 통치제도의 개혁은 동방 변경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 왔으며, 이 법규는 20세기까지 시베리아 행정통치의 근간이 되었다. 그러나 제정러시아의 시베리아 변경정책은 제국의 안정과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였다. 영토의 병합과정에서 필연적인 단계인 행정체제의 강화작업을 위한 법적 토대가 형성되었지만, 중앙정부는 이런저런 이유로 제도의 근대화 과정을 가속화시키지 못했던 것이다. The policy of Russian region(okraina) was form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enlargement of the territory.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the regional policy in the 19th century is inseparably related to the general principles - an increase of tax income, an easiness of administration, a security of the border land. Siberia was exploited systematically since being merged into the Russian territory. Nevertheless early in the 19th century M. Speransky's reform was first try to legislate on the basis of the geopolitical character of Siberia. The reform of the regional administration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iberia newly changed the aspect of the region and was continued to the 20th century. But Russian regional policy was not carried out practically in spite of very important factor of the statement and development of the Empire. Though legislative foundation for the complement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is made, the central government could not accelerate modernization of the system for various reasons.

      • 대전광역시 관광레저분야 도시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박근수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6 사회과학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관광레저부문 도시마케팅전략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도시마케팅과 브랜드개념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전광역시의 도시마케팅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의 도시마케팅 브랜드컨셉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대전광역시의 관광 레저부문 도시마케팅전략을 7가지 발전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7가지 도시마케팅 전략을 최근 발표된 대전광역시의 제4차 대전관광개발 5개년계획에서 구상하는 신규 관광단지 개발에 적용해보았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ourism leisure industr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o suggest city marketing strategy including several implications. This study adopted the concept of city marketing and city brand in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ourism leisure industr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city marketing brand concept of "leading edge high technology" as a proper concept for Daeje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seven different suggestions with some interesting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