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대성 지향의 디자인교육 패러다임 연구

        김예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75

        국문초록 이 연구는 동시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동시대적인 디자이너 상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되는 디자이너의 양성과 배출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20세기의 산업사회에서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은 정치, 경제, 문화를 포함한 사회 모든 면에서 기술과 정보를 바탕으로 외형과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산업사회와 지식정보화 사회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급변성이다. 매순간 새로운 기술과 정보들이 쏟아지고, 새로운 분야가 생기는가 하면 기존의 분야 내에서 새로운 분야가 파생되기도 한다. 급변하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디자인의 패러다임도 예외일 수는 없다. 따라서 산업과 문화의 교두보역할을 하고 있는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고찰은 동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이너 교육의 전제가 되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디자인 교육은 본질적으로 산학연계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국내대학들은 디자이너 양성교육에서 이러한 특수성을 간과한 채 단순히 일련의 학과 또는 세분화되고 답습된 전공의 틀 속에서 디자이너 교육을 실행해왔다. 그 결과 대학의 디자인 교육에서 산업적 요구를 수용하는 면이 미흡했고 또한 국내대학들의 난립 이후 도래한 대학의 재정적 위기도 이에 전문디자인 교육에 악재로 작용을 해왔다. 대학의 운영에 바탕이 되는 재정이라는 실질적인 면에서도 디자인 교육과 산업의 연계성은 필수적이다. 한편 대학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무시할 수는 없다. 교육, 연구, 봉사는 대학이 가진 본연적 기능이고 사회적 책임 수행의 의무이기도 하다. 이에 두 가지 대립 요소인 산업적 특수성과 대학의 본연의 기능을 융합시키는 디자인전문대학원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다. 동시대성을 지향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대학에서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의 세계적인 변화에 따라 해외 몇몇 디자인 대학원에서는 이미 선진 디자인 교육이 정착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디자인전문대학원들에서도 그 흐름에 맞추고자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물건과 서비스의 창조자’ 김현미, 시각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인 기업가 정신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권 6호, 2015, p.131 로서 책임을 질 수 있는, 기존과는 다른 위치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디자이너 양성을 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인을 고려해서 국내, 해외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했다. 전문적인 디자인 교육으로 일시적인 유행이나 시류에 편승하는 것이 아닌 지나간 시대와 다가올 시대의 시공간적 거리를 둔 ‘시차’에 의한 ‘틈’을 통해 시대를 읽고 예측해서 흐름을 선도해 갈 수 있는 디자이너의 지속적인 양성은 향후 디자이너의 위치와 역할뿐만 아니라 디자인 산업 구조를 바꿀 원동력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높여준다. 정보공유 미디어기기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발달로 인한 정보지식 기반사회로의 변화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 전파와 공유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국가 간, 기업 간의 기술 격차를 줄였다. 그리하여 과거 디자인이 대기업의 전유물이었다면 이제는 일반인도 자신의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디자이너가 ‘전문가’로서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은 계속되어 왔으며 그에 대한 대답을 본 연구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국내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디자인 전문 인력 부족으로 독자적인 브랜드와 디자인 등을 자력으로 개발하고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산업 현실에서 디자인 교육은 실무에 바로 투입될 뿐 아니라 디자인의 전문성과 성취의 수준을 높이는 디자인 기업가를 필요로 한다. 전통적으로 사회에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무만을 강조했던 교육에서, 스스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독립적인 경제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디자이너 동일출처 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교육으로의 이동이라는 면에 현실적으로 대학 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본다. 이 연구는 이 같은 디자인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사례를 통해 디자인 전문대학원 존재와 해당교육의 당위성을 입증한다. 또한, 전문 대학원이 용역 기반의 디자인 산업 구조를 스스로 바꿔갈 수 있는 자생력을 지닌 디자이너를 양성함으로써 교육을 통한 디자인 구조를 재정립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변화에 따른 시대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디자인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동시대적인 디자인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을 예측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과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교육동향을 포함한다. 그리고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디자인 지원 사업과 산업부 과제 수행 과정 추적조사를 통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논한다. 나아가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다 학제간 융합 커리큘럼과 동시대적 디자이너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동시대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장에서는 동시대성의 이론적 고찰과 시대의 흐름에 따른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동시대성의 개념적 의미에 대해 이론적 조사를 하고 이를 통해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는 동시대적 패러다임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를 돕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쳐 여러 철학자들이 연구, 토론을 하며 남겨온 동시대성과 동시대인에 대한 정의를 알아봄과 동시에 그 개념이 앞으로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제시 한다. 또한, 20세기 산업 사회의 디자인 패러다임과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가 가져온 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해 조사해 보고 사회적인 패러다임이 디자인 패러다임에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그로 인한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동시대성 교육 동향에 대한 내용이다. 해외 디자인 교육기관은 RISD의 다학제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과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고, 알토대의 정부 주도하의 융합교육 프로그램과 자생 가능한 디자인 생태계를 구축을 위한 학교의 노력을 알아보았다. 국내 디자인 교육기관으로는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와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의 융합디자인교육과정을 통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학제 기반 융합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4장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에서 추구하는 동시대적 교육 사례 연구로 2009년부터 시작된 사회적 기업과 연계한 디자인 지원 사업을 살펴본다. 교육의 사회적 책임에 따른 대학의 동시대적 움직임을 통해 교육과 산업이 상생하는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하는 대학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산업부과제의 일환인 기업연계형 인재 양성프로그램 사업을 통해 산업을 주도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고자 한다. 대학은 주문-생산 형식의 현재의 디자인 용역 기반 구조를 탈피해서 주도적으로 프로젝트 발생 능력을 겸비한 디자이너 양성과 배출이 가능해야한다. 이는 앞으로의 디자인 산업 구조에 적합한 디자인 전문 이력 양성이 우리가 당면한 디자인 교육의 과제이며 그에 맞는 동시대적인 해결안을 목표로 제시한다. 기존의 산학협력체제에서 기업과 학생간의 갑-을 구조와 같은 부작용이 드러남에 따라, 이를 극복할 수 있고 현재 교육체제에 응용이 가능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환경과 관계없이 자생 가능한 디자이너를 키워내는 교육을 제안한다. 이에 산업부의 기업 연계형 인력양성프로그램 과제 수행을 통한 학교-학생-기업의 선순환 구조를 경험함으로써 주도적인 디자이너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재구성된 디자인 생태계를 제안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 산업이 주문에서 시작되는 용역 기반의 구조였으나 교육의 기회를 통한 디자이너 스스로의 기획, 생산체계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 시대에 창조적인 디자인 사고가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의 키워드는 ‘통섭, 융합, 동시대성’이다. 비즈니스와 디자인, 디자인과 기술, 기술과 비즈니스 이렇게 서로 다른 영역이 동시대성을 만났을 때 우리는 새로운 시너지를 발견할 수 있다. 이질적인 영역이 융합하여 발생하는 시너지를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진 인재양성이 우리 디자인 교육의 동시대적 해결안일 것이다. Abstract A Study of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 by Kim, Ye Eun Dep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contemporaneit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image of contemporaneous designer, and to seek a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suitable to that image. The shift from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to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has led to the changes of forms and paradigm in all aspect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industrial society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rapidity of changes. In every moment, new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flow out, a new area is created, and a new area in an existing area is born. In the rapidly chan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design paradigm cannot be exceptional. Thus,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examine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hich serve as bridgeheads of industry and culture. That’s because of the fact that examination of changes of design paradigms is precondition of designer education demanded by the contemporary age. As design has close relationship with industry, design education cultivating designers is essentially characterized by industry-college link. However, Korean colleges, ignoring such a special characteristics of designer cultivation education, have performed designer education in the frame of a series of departments, or divided and traditional majors. As a result,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not been sufficient in accepting demands of related industries in design education. Financial crises of Korean colleges caused by emergence of too many colleges have served as negative element to special design education, as well. In the practical aspect called finances which works as the basis of college management, it is essential to link design education and related industries. Meanwhile, we cannot ignore the original functions and roles of college.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re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and its duty to the society. Accordingly, the existence of graduate school of design which can fuse industrial specifics and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is highlighted. The design education paradigm seeking contemporaneity is required in college. With the global changes toward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some graduate schools on design have already adopted advanced design education. To keep up with such a trend, Korean graduate schools on design too try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creat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can survive in the market’ and perform role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ages, and in different positions than those of previous ages. Considering such elements, this study compared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cultivation of designers who do not free-ride temporary fads and moods, but can read the age and predict the future trend, and lead the flow through ‘a crack’ of ‘time lag’ of space-time distance between the past age and the future age can not only boost the position and role of designers in the future, but raise the possibility that it will serve as energy to convert the design industrial structure. Another big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changes into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one caused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sharing media devices and digital technology is electric wave and sharing. These two elements have narrowed the technological gap between countries and between companies. Accordingly, design was monopolized by big companies in the past. But, now, common people can ‘design’ for their own businesses. In such contemporary circumstances, the question whether designer will maintain its position as ‘specialist’ has continuously existed.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Owing to lack of design-specialists, mos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have difficulty to develop and use their unique brands and designs for themselves. In such a situation in industrial places, design education needs to cultivate designer businessmen who can immediately start to work in such companies, and, raise levels of speciality and achievement of desig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how much college education has contributed in reality in the aspect of change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emphasizing only on practices aiming to teach knowledge and techniques needed to provide design services to the society to the education searching for and cultivating designers who can develop contents for themselves and play the role of independent economic subjects. Using the case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iming to cultivate such designers, this study proves justification of such graduate school and related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to reestablish design structure through education by cultivating designers who have potentials to convert design industry structure for themselves. By examining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age and corresponding changes of social and design paradigms, this study predicts a design education paradigm based on contemporaneous design philosophy. The research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education trends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nd other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it discusses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hrough follow-up investigation of the design support project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and performance of the Ministry of Industry project. Furthermore, by showing interdisciplinary fusion curricula and contemporary designer cultivation programs, it implies that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s are changing. Chapter Ⅱ examines theories of contemporaneity and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ith the change of time. After doing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cepts of contemporaneity, it tries philosophical approach. It is the stage to help understand basic concepts for researches of contemporaneous paradigms. In this stage, it examines definitions of contemporaneity and contemporaneous people discussed by various philosophers in various ages, and it offers how we can apply the concep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nvestigates design paradigms of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and those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nd how social paradigms affect design paradigms, and how corresponding design education paradigms have changed. Chapter Ⅲ deals with contents of contemporaneity education. As desig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foreign countries, the multi-discipline-based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 on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ers of RISD, and the government-led fus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efforts of the university to establish sustainable design eco-system of Aalto University. As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chapter deals with multi-discipline-based fusion projects in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of KAIST and the fusion design 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l Design, Hongik University. Chapter Ⅳ treats the contemporary education case study pursued by Visual Design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It is the design support project linked with social enterprise which started in 2009. We can notice efforts of universities to build a eco-system where education and industry can coexist through contemporary moves of universities according to soc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In addition, they try to cultivate industry-leading designers through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part of the project of the Ministry of Industry. College should be able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create project by themselves, escaping the current design service-based structure with the form of order-production. It argues that it is our challenge to cultivate design specialists suitable to the future design industry and suggests a contemporaneous solution matching it. In the existing industry-college cooperative system, some negative effects lik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and students were revealed. Thus, the chapter offers a new education paradigm which can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and be applied to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an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survive for themselves regardless of environments. Based on the virtuous cycle of school-student-company through performing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this chapter offers a design ecological system where designers can display their capacities as they wish. Chapter Ⅳ inspects conversion education systems in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compares global design education whose paradigms are changing.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of Aalto University and RISD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and of other universities with contemporaneous trends.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while the Korean design industry has been the service-based structure which starts with order, it can be changed into a new structure where designers make plans and make products for themselves by educating designers. The key words of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think creatively in this new age are ‘conversion, fusion, and contemporaneity’. When different fields such as business & design, design & technology, or technology & business meet together, we can discover new synergy. Cultivation of talent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solve given problems by synergy acquired from fusion of different fields may be contemporaneous solutions of Korean design education.

      • 체험형 DIY 디자인교구 개발 연구

        변희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43

        오늘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우리는 인공지능과 차별화할 수 있는 인간의 역량으로 창의성을 말하고 있다. 전 세계의 많은 국가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교육에서 디자인교육을 실시하기도 하고 초등교육에서는 디자인교과를 핵심교과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나아가 국가적 차원의 디자인교육정책을 만들어 미래의 창의적 인재양성을 목표로 시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외 여러 국가에서는 이미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여 조기교육으로서의 디자인정책을 일찍부터 시작한 나라들이 많이 있다. 국내에서도 유·아동기의 조기디자인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교육정책으로 디자인 교과서를 제작하고 미술과 디자인을 구분하며 디자인영역의 수업 비중을 늘려가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디자인 교육은 아직 만들기, 꾸미기 등의 시각적 표현방식과 완성된 결과물 중심의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디자인 수업을 통한 제작결과물이 나오기 이전의 해결책을 스스로 탐구해보며 찾아가는 과정에 중점을 둔 디자인 수업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수업과 연관되어 활용할 수 있는 교구의 종류는 수학이나 과학 분야에 치중되어있고, 제작한 교구의 결과물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체험형 교구의 종류를 찾아보기 쉽지 않다. 이 논문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과 산업통사자원부의 기업 연계형 인력양성프로그램 사업의 일환인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를 통하여 ㈜디자인아이피와의 MOU를 맺어 연구·개발된 내용으로 바탕으로 국내 디자인교육에 도움이 되고, 창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체험형 DIY 디자인교구를 제시하였다. 이 교구는 디자인의 프로세스를 경험할 수 있는 워크북 형태의 교재형 교구와 2차원과 3차원의 감각을 교차하며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DIY 교구,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사용가능하며 착용 가능한 체험형 교구를 포괄하는 ‘체험형 DIY 디자인교구’라 정의하여 연구·개발한 내용을 토대로 현장실습과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워크북형태의 교재형 교구를 통해서는 일상생활에서 매일 접하고 착용하는 ‘슈즈’를 중심으로 하여 디자인 기획에서부터 기초이론, 슈즈의 종류, 상황별 슈즈디자인, 나만의 브랜드 만들기, 패턴 활용하여 슈즈디자인하기 등의 과정을 단계별로 실습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직접 제작하고 완성하여 신을 수 있는 DIY 슬리퍼패턴 교구는 완성될 형태를 구상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상상력을 키우며 스스로 완성해나가는 성취감과 자신감,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착용하면서 다양한 방면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자연스럽게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소근육을 발달과 컬러감각, 조형감각, 재질과 소재에 따른 공감각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학습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위의 개발한 교구를 바탕으로 현장실습을 진행하면서 유·아동들의 사용하는 과정과 완성해나가는 단계의 관찰·평가를 통해 향후 보완해야할 점을 제시하고, 연구 개발된 교재와 교구를 바탕으로 연령별, 난이도별, 산업분야별로 나누어 향후 다양한 방면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oday when we mee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 call the creativity as the differential competency of the human-beings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Many countries over the worl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esign to implement the design education from the early childhood period, to include the design subject as one of the essential subjects, and moreover to establish the national policy of design education so as to execute it with the goal to develop the future creative talents. There are many countries in overseas where they started the early education of design earlie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sign. In Korea, it has been started to produce design textbook and to expand the portion of design class separating the classes of art and design upon recognizing the needs of early design training in the early childhood and children periods. However, current design education consists of the classes mainly oriented with the visual expression ways such as shaping, decorating, and so on, and completed outcomes, which lacks the design classes focusing on the process to seek the solution by themselves before coming out the production outcomes by the design class. In addition, the types of teaching tools to be utilized in the class were concentrated in math or sciences, and very few experience types of teaching aids were found to be used in the real life with the outcomes of teaching tools produced. In this article, experience type of DIY design teaching tools was suggested to assist the design education and to enhance the creativity based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s upon MOU with DesignIP Co Ltd. by ‘Capstone Design Project’ which was one of the corporate associat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betwee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in Kookmin University and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Utilization plans of the teaching tools were sought to a variety of fields and the onsite practices based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s by integrating these teaching aids including workbook type of textbook style aid that could experience the design process, DIY tools to experience two and three-dimensional senses, and ‘experience type of DIY design tools’ to integrate the experiential tools that could use in the daily life and wear. By workbook type of textbook style teaching tools, it was organized focusing on ‘the shoes’ that everyone wears every day to practice and experience them from the design planning to the processes stepwise such as basic theory, types of shoes, shoes design by situations, making my own brand, designing shoes using patterns and so on. DIY slipper pattern teaching tools that can be produced, finalized and put on by themselves can develop the imagination to design the final form and express it creatively, motivate the achievement sense and self-confidence to complete it by themselves, and seek the development potential into various ways naturally using it in the daily life. Also from this, it will be able to help develop fine motor skill, and improve sense of color, sense of plastic, synaesthesia by materials and substances. Further improvement areas were suggested by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the processes that children used and the steps to complete them during the onsite practices based on the developed teaching tools above. Moreover, potential of utilization in various areas were proposed dividing by the age groups, the level of difficulties, and the industries based on the developed teaching tools and textbooks.

      • 디자인 환경변화의 대응전략으로서 비즈니스 디자인 교육모델 연구

        천애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43

        디자인은 기술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기술시장의 확대는 디자인 시장의 확대로 이어진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한계를 넘어선 ICBM(IoT, Cloud, Big data, Mobile) 플랫폼 시대의 부가가치창출 관점에서 디자인은 비즈니스에 보다 적합하다. 혁신을 이끄는 비즈니스 디자인은 미래의 가치를 만든다. 디자인은 그동안 경영전략의 일부로 스타일링 또는 판매촉진을 지원하는 기능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시대가 변화하고 디자인의 역할과 가치는 확장되고 있어, 비즈니스 성공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 디자인 분야의 시장 확대 방안에 대한 모색으로서도 비즈니스 디자인은 새로운 가능성 확보를 위한 기회요소이다. 산업혁명의 움직임 속에서 시대의 변화를 이끌 주역들은 창의적 아이디어와 패기로 무장한 청년 디자이너들이다. 장기화된 불황과 이에 따른 취업률 저하로 인해 디자이너로서 활동할 기회는 그리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잠재력 있는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기업연계형 비즈니스 디자인 교육을 통해 실무 경험을 쌓고, 창의적 창업 프로그램으로 기업가정신을 함양하여 미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융합형 고급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 필요한 시기이다. 시대적 변화에 맞춰 디자인 교육의 전략적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식 기반의 새로운 시대적 패러다임과 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동시대의 디자인의 가치 변화에 따른 디자인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산학연계형 비즈니스 디자인 교육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청년창업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가지 기본 방향을 토대로 경영전략의 일부로 사업을 지원하는 기능을 넘어서 보다 능동적이고 독창적인 비즈니스 디자인, 더 나아가 스스로의 비즈니스를 디자인 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사례연구 하였다. Design has b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technology market leads to the expansion of design market. In terms of creating the added value in the era of ICBM (IoT, Cloud, Big Data, Mobile) platform beyond the development and limit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sign is more suitable for business. Business design driven by the innovation creates future values. Design has been playing a role to support the styling or sales promotion as a part of the management strategies. However, times have changed and the roles and values of the design are being expanded, and the design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business success. Business design is also an opportunity for the new possibilities as a way to secure the market expansion in design area. Leaders who will lead the changes of the era of industrial revolution are young designers armed with creative ideas and ambition. Due to the prolonged recession and consequent decline in the employment, the opportunity to act as a designer is not so easy in reality. It is a time when the convergence type advanced talent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which enables the potential promising design major students to build hands-on experiences through business-linked business design education, develop entrepreneurial spirits through creative entrepreneurship programs and actively cope with future chang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design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Based on the new 시대적 paradigm of knowledge based and the convergence of idea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design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value changes at the present times and the education model of industry-academy linked type business design. Based on the two basic directions of revitalizing the young entrepreneurs and regional economy, this study conducted the education process case studies which enable more active and creative business design and furthermore, their own business design, beyond the function to support the business as a part of management strategies.

      • 사회적 이슈에 관한 모션디자인 연구

        조안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본 연구에서는 최근 미디어의 발달로 대중화된 모션디자인의 사회적 이슈 전달 능력 검증과 향후 발전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모션디자인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질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문제들을 다루는 사회적 이슈는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사회적 이슈에 관한 모션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모션기법을 활용한 모션디자인 콘텐츠를 사회적 문제의 분류체계에 맞추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 사례를 통하여 사회적 이슈를 알리고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 제작된 콘텐츠가 어떤 모션그래픽의 구성 요소로 제작되었는지 분석하였다. 글의 목차로 우선 모션디자인의 개념과 모션디자인의 표현기법(일러스트레이션, 인포그래픽, 무빙 타이포그래피, 시네마그래프, 몽타주)을 정리하고 선행연구의 모션그래픽 구성요소를 사회적 이슈 콘텐츠에 맞게 재구성하여 ‘구조적 측면’ (움직임, 이미지, 텍스트, 사운드)과 ‘내용적 측면’ (내러티브, 인터랙티브, 수사, 기호)으로 구성하였다. 사례는 Vimeo 사이트로부터 Social Issue(사회적이슈)라는 키워드로 검색된 4,268 개의 비디오와 이를 바탕으로 각 비디오가 제공하는 연관 링크를 따라 탐색하여 추가된 비디오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학자 헨슬린(James M. Henslin)의 분류체계에 부합하는 대표 사례만 남기고 버리는 방식으로 축소 정리하여 12개의 대표 사례를 표집하였다. 표집한 사례는 헨슬린(James M. Henslin)의 사회문제 분류체계에 맞춰 ‘사회적 상황에서 일탈행동’, ‘사회적 불평등’, ‘사회변화 및 거대문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모션디자인을 분석하여 구조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의 구성요소 중 어떠한 그래픽 요소가 주로 쓰이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모션디자인 콘텐츠는 구조적 측면의 구성요소와 내용적 측면의 구성요소가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상호보완적으로 쓰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각 구성요소의 활용도는 달랐다. 사회적 이슈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텍스트요소를 많이 활용하며, 구성된 이야기에 맞는 적절한 이미지요소와 움직임요소를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 이슈 내용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쌍방 커뮤니케이션 방법인 인터랙티브요소가 포함된 콘텐츠는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이미지요소, 기호요소, 수사요소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 모션디자인 콘텐츠가 사회적 이슈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데 있어 어떠한 양상을 띠는지를 알려준다. 향후 미디어의 발달과 보급에 따라 모션디자인 콘텐츠는 더욱 확산 될 것이며 무의식중에 대중의 관심을 끄는 모션기법 또한 콘텐츠 개발과 가공의 측면에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타진할 것임에 따라 이 연구가 제공하는 정보와 시사점은 매우 중요하다. This study verified the capability of motion design to deliver social issues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paper analyzed the case of motion design using motion expressive techniques and motion graphic contents such as 'Illustration,' 'Infographics,' 'Moving typography,' 'Cinemagraph' and Montage. First of all, it summarizes the concept and kind of motion design and reconstruct the motion graphic elements of previous researches base upon the contents of social issue. The graphic elements were categoirzed into 'morphological aspect' (movement, image, text, sound) and ‘communicative aspect’ (narrative, interactive, investigation, symbol). The case is drawn from 4,268 videos retrieved from Vimeo site using a keyword ‘Social Issue’, and extra videos provided by the related links of the videos. After collecting the videos, 12 representative cases were sampled by weaving out similar or identical ones. The sampled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James M. Henslin's classification system as 'deviant behavior in social situation', 'social inequality', 'social change and big problem'.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investigated whi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morphological and communicative aspects were mainly used in motion design. In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onal design contents dealing with social issues utilize morphology aspect and communication aspect intertwined and complementally. However, the utilization of each elements was different. In order to convey the information of social issues, many text elements were utilized, and appropriate image elements and movement elements were used. However, in providing social contents, it showed that there is not enough content including interactive elements. Also, in order to convey a lot of inform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image elements, symbol elements, and investigation elements were commonl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how current motion design contents convey social issues to the public. Motion design contents will spread more and mor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media in the future. The motion technique that attracts the public's attention unconsciously will also explore possibilities of content development and processing in terms of infinite possibilities, which will be vital in th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