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간도 국민회군과 安武(1883~1924)의 독립운동

        김경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사학과 한국사(Ⅱ)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Ahn mu Born in Jongseong, Hambuk, adjacent area of Manchurian border in 1883, He had served as training officer of Korean empire soldier. After the Korean empire army was disbanded by the Japanese empire in 1907, he joined the teacher training course in Hamil School. Felt the needs of education while he served as training officer, Ahn mu served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the same school after completing the teacher training course of Hamil School. At that time,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culated the patriotism in the students teaching the military gymnastics. While Ahn mu was working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 Ynag Han-Ho and Mun Hee-Mok were managing Boseong School. They were looking for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needed for Boseong School and as they had close relationship with Ahn Su-Ick, the father of Ahn mu, they could bring Ahn mu to Boseong School through Ahn Su-Ick. While Ahn mu was working in Boseong School, Korean empire was annexed to Japanese empire, he, Yang Han-Ho and Mun Hee-Mok decided to seek asylum in North Gando for independence Movement. Korean people in North Gando mostly suffered from hardship of life. Ahn mu educated the youth uniting the Korean society in North Gando. He was building the outpost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Hwarong-hyeon where they settled was the area many Korean people resided and had abundant human resources. These three persons was going to start the independence movement systematically by organizing the organization. However, the name and the specific activities of this organization were not known. Maybe he seemed to engage in the activities in the branch of Ganminhoe. Later, Ahn mu participated i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founded in 1919. In 1920, he was appointed as commander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rmy established by Korean National Associatio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seemed to possess the certain weaponry and army and Ahn mu increased the size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rmy under the full support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s the size of independence army was growing bigger, Japanese empire tried to collapse the organization by attacking the independence army. The National Association army distinguished itself in the Bongoh-dong and Cheongsan-li battles through the alliance with other independence armies. The role of National Association army was not limited to the police or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To redeem the defeat, Japanese empire provoked the Hunchun incident together with Chang Tsolin and caused Gando incident using that. The independence army moved toward Milsan in order to avoid the attack by Japanese empire and not to harm the Korean people. Korean people in Maritime Province wanted to provide the help for the independence army to settle down and the independence army accepted such offer. Belonged to independence army, Ahn mu moved to Milsan and reorganized the independence army as Daehan Tonggunbu. The purpose of gathering the independence army in Free City was to resist against Japanese empire by gathering the scattered forces. Ahn mu took the charge of Second Brigade, which was in charge of Youngahn-hyeon Amidst the chaos after the Bolshevik Revolution, Bolsheviki tried to use the fighting power of the independence army welcoming the organized Korean troops. On June 07, 1921, Kalandarishvili proclaimed in Free City that he was the commander in chief of Goryeo Military Government Council and Ahn mu participated in Goryeo Military Goverment Council. Later, the troops of Ahn mu, Lee Cheong-Cheon and Gong Beon-Do were incorporated to Third Brigade of Goryeo Revolutionary Army Council on June 26. After the Free City incident, Far Eastern Secretariat of Comintern ordered to suspend the mobilization to Manchuria and to move the troops to Irkutsk. Ahn mu and Gonh Beom-Do refused the movement to Irkutsk and Ahn mu came back to Manchuria, later. When Ahn mu came back to North Gando was around December, 1921 and he organized the Jungryeong Branch of Goryeo Communist Party together with Goo Chun-Sun and colleagues, through which he would like to receive the support from Far Eastern Secretariat. He made the efforts to propagate the communist, to raise the fund for war and to equip the weaponry. However, since the forces of independence movement did not united and were scattered, he advocated to hold the convening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He was elected as military representative of Borth Gando together with Kim Jwa-Jin. However, since there was no fund to organize the united army, the integration was failed. In the meantime, Executive Committee of Comintern established Goryeo Revolutionary Military Office and implemented the military training and the communist propaganda by gathering the armed groups of each area in one place. The reason why Ahn mu maintained the relation with Comintern or Military Government Office was to rebuild the independence army organization in North Gando with their help. To do that, He had traveled various times Chita and Irkutsk. In addition, there was attempt to bind the Korean people in Maritime Province. It was that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worker-peasant government was promoted in the area of Songjeongwan and Khabarovsk. Irkutsk faction tried to build the worker-peasant governemt, that is, the communitarian government in the country trying to get the required fund from Sovient and to use Goryeo Revolution Army and Red Army as milirary organization. Together with them, Ahn mu obtained the commitment from Soviet to receive the full suppor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secret agreement with Soviet Government. As such, the reason why Comintern suppo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s was to cope with Japan. Later, Ahn mu participated in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in February, 1923. He belonged to Soldier Group of Creative Faction and they demanded to make new organization making claims similar to Creative Faction. Suffered from Gando Incident and Free City Incident, Ahn mu felt the limit of Provisional Government and came to have the thought of Creative Faction. The central executive committee of Goryeo Communist Party located in Maritime Province charge 4th Military District (Donghwa, Gilim, Hwaryong, Ahndohyeon) to Ahn mu and this army was the advanced unit of Hyeolseongdan. They mainly engaged as guerilla unit, that collected the war fund and performed the guerilla warfare. In addition, while Ahn mu collected the war fund by establishing Manmongshindang and made effort to get the communist supports through Red Flag Unit, he engaged in the activity as National Committee member participating in National Committee organized in Vladivostok in February, 1924. National Committee was the movement to make new organization after the breakdown of 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They tried to establish the organs of propaganda in important place and to ally with labor groups, etc.. After March, 1924, Ahn mu also did his best to collect the war fund with the colleagues followed him continuously. Then, the Japanese police who detected the trace of Ahn mu with the security force of Japanese consulate ambushed him nearby the north foot of Moa Mountain (about 3 li west of Yongjeong-chon), Yeongilhyeon at 15:00 on September 6 and was shot during the firefight and arrested. Wounded, Ahn mu rejected the treatment by Japanese empire in Jahye Hospital in Yongjeong to the end and died next day. At that time, his age was 41. 안무는 1883년 만주 국경 부근인 함북 종성에서 태어나서 대한제국 군인으로 복무했으며, 교련관으로 활동했다. 1907년 대한제국 군대가 일제에 의해 해산된 이후 그는 함일학교에 교원양성과정으로 입학했다. 교련관을 지내면서 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던 안무는 함일학교에서 교원양성과정을 속성으로 졸업 한 후 그곳에서 체육교사로 근무했다. 당시 체육교사는 병식체조를 가르치며 학생들의 애국심을 심어주었다. 안무가 체육교사로 근무하는 동안 양한호와 문희목은 보성학교를 운영하고 있었다. 그들은 보성학교에 필요한 체육교사를 찾고 있었는데, 안무의 아버지인 안수익과 친분이 있었다. 양한호는 안수익을 통해 안무를 보성학교로 데려올 수 있었다. 안무가 보성학교에 근무하던 중 대한제국이 일제에 병탄되면서 그와 양한호, 문희목은 독립운동을 위해 북간도로 망명을 결심하게 되었다. 북간도의 한인들은 대부분 생활고를 겪고 있었다. 안무는 북간도 한인 사회를 결집시키며 청년들을 교육했다. 독립운동을 위해 전초를 마련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이 정착한 화룡현은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던 곳으로 인적 기반이 풍부했다. 이들 셋은 단체를 만들어서 체계적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려고 했다. 다만 이 단체의 이름이나 구체적인 활동은 알려지지 않았다. 아마도 그는 간민회 지회에서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안무는 이후 1919년에 성립된 대한국민회에 참여했다. 1920년 그는 대한국민회에서 창설한 대한국민회군의 사령관을 맡았다. 대한국민회군 창설 이전부터 어느 정도의 무기와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안무는 대한국민회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국민회군의 규모를 키워나갔다. 독립군의 규모가 커져가자 일제는 독립군을 공격해 조직을 와해시키려고 했다. 봉오동·청산리 전투에서 국민회군도 다른 독립군과 연합을 통해 전투에서 큰 전공을 세웠다. 국민회군의 역할이 경찰, 치안 유지에 국한되어 있던 것이 아니었다. 일제는 패배를 만회하고자 중국 군벌인 장작림과 손을 잡고 훈춘사건을 일으켰고, 이를 이용해서 간도 참변을 일으켰다. 독립군은 일제의 공세를 피하고 한인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밀산으로 향했다. 연해주에 있던 한인들은 독립군의 정착에 도움을 주려 했고 독립군은 이러한 제안에 응했다. 안무는 대한독립군단에 속해서 밀산으로 이동했고, 밀산에서 독립군을 대한총군부로 재편성했다. 독립군의 자유시 집결 목적은 분산되어 있던 힘을 모아서 대일항전을 하려는 것이었다. 안무는 대한총군부에서 중국 영안현을 담당한 제2여단을 맡았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혼란 속에서 볼셰비키는 독립군의 전투력을 이용하려고 했다. 이에 조직된 한인 부대를 적극적으로 환영했다. 1921년 6월 7일 갈란다라시윌린은 자유시에서 고려군정의회의 총사령관임을 선포했고, 안무는 고려군정의회에 참가했다. 이후 6월 25일 안무, 이청천, 홍범도 부대는 고려혁명군정의회 제3연대로 편성되었다. 자유시참변 이후 7월 5일 동양비서부에서 고려혁명군대의 만주 출동 계획을 정지하고 군대를 이르쿠츠크로 이동하라고 지시했다. 안무와 홍범도는 군대의 이르쿠츠크 이동을 거부했고, 안무는 끝내 만주로 돌아왔다. 안무가 북간도에 돌아온 것은 1921년 12월 즈음으로 구춘선 및 동지들과 함께 돈화현에서 고려공산당중령총회를 조직했고, 이를 통해 동양비서부의 지원을 받으려고 했다. 그는 공산주의 선전, 군자금 모집, 무기 확충에 노력했다. 하지만 독립운동세력은 결집되지 못하고 흩어져 있었기 때문에 운동의 한계가 분명히 드러났다. 중국 관내 독립운동계는 독립운동계의 통합을 위해 국민대표회의 개최를 주창했다. 이때 안무는 김좌진과 함께 북간도지역 군사대표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통일 군단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재정이 마련되지 못한 탓에 통합은 실패하였다. 한편 코민테른 집행위원회는 고려혁명군정청을 만들고, 각 처의 무장단을 한 곳에 모아 군사교육과 공산주의 선전운동을 함께 진행했다. 안무가 이렇듯 코민테른이나 군정청과의 관계를 유지해 갔던 것에는 그들의 도움을 받아 북간도에서 독립군 조직을 재건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그는 여러 차례 치타와 이르쿠츠크를 왕래했다. 뿐만 아니라 연해주 일대의 한인들을 묶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1923년 1월 송전관 및 하바롭스크 부근에서 새로운 노농독립정부 수립을 추진한 것이다. 이르쿠츠크파는 국내에 노농정부, 즉 공산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려 했으며, 필요한 자금은 소비에트의 지원을 받고, 군사 조직은 고려혁명군과 적위군을 이용하려 했다. 안무는 이들과 함께 소비에트 정부와 밀약을 통해 독립운동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받기로 약속을 얻어내기도 했다. 이렇듯 코민테른이 한국인들의 독립운동을 지원한 것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함이었다. 이후 안무는 1923년 2월 국민대표회의에 참석했다. 그는 창조파 계열의 군인구락부에 속했는데, 그들은 창조파에 가까운 주장을 하며 새로운 조직을 만들 것을 요구했다. 안무는 간도참변과 자유시 참변을 겪으며 임시정부의 한계를 느꼈고, 이에 창조파의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이다. 연해주에 있던 고려공산당중앙집행위원부는 연해현한인위원회와 흑룡현한인위원회로 조직을 개편하면서 안무에게 제4군구(돈화, 길림, 화룡, 안도현)를 맡겼는데, 이 부대가 혈성단 전위대였다. 그들은 주로 군자금 모집 및 게릴라전을 펼치는 유격부대로 활동했다. 또한 안무는 만몽신당을 만들어 군자금을 모집하고, 적기단을 통해 공산주의 지원을 받으려고 노력했다. 그러면서 1924년 2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결성한 국민위원회에 참가해서 국민위원으로 활동했다. 국민위원회는 국민대표회의의 결렬 이후 새로운 조직을 만들려는 움직임이었다. 이들은 요지에 선전기관을 만들고, 노동단체 등을 연합시키려고 했다. 안무는 1924년 3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신을 따르는 동지들과 군자금 모집에 힘을 쏟았다. 그러던 중 안무의 움직임을 포착한 일경이 영사관 경비병력을 이끌고 9월 6일 오후 3시 연길현 모아산 북쪽 산기슭(용정촌 서쪽 약3리) 부근에서 안무를 기습했다. 서로 총격전을 벌이다가 안무는 총상을 입고 체포되었다. 상처를 입은 안무는 용정의 자혜병원에서 일제의 치료를 끝까지 거부하다가 다음 날 사망했다. 이때 그의 나이는 41세였다.

      • 조선후기 노론의 지역기반 변동연구 : 畿內 진출가문의 묘역변동을 중심으로

        유준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사학과 한국사(Ⅱ)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3711

        Postulating that the family to seize political hegemony in the Joseon Dynasty builds up the regional base by possessing the tombs and land near modern-day Seoul and in modern-day Gyeonggi-do Province,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in terms of the possession or expansion of the regional base in Gyeonggi-do Province from Bukin faction, Namin faction, Soron faction to Noron faction, through the political events such as the change of political hegemony from the meritorious elite(Hungu: 勳舊) to Neo-Confucian literati(Sarim; 士林) and enthronement of King Injo subsequent to dethronement of a predecessor king, Gapsul Hwanguk and enthronement of King Yeongjo caused by the factional politics. From the premise, first, I look into the move of the tomb spots of a pivotal ancestor and other ancestors into Gyonggi-do Province and change of their stronghold in the families of Andong Kim, Gigye Yoo, Yeoheung Min and Gyeongju Kim in order to grasp the distribution of Noron families' tombs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Second, the paper takes a look at the move of the regional base of Gwangsan Kim clan and Eunjin Song clan from initial strongholds to the Gyeonggi-do Province unde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Gyeongsin Hwanguk and Gapsul Hwanguk in the late 17th century. Third, the paper examines the case of the loyal family that is among the meritorious elite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with Seoin faction through the marri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 and disciple with the faction as the loyal family drifts apart from King family, integrates into Noron faction and maintains or expands the regional base or the tombs of the loyal family in the Gyeonggi-do Province. As described above, the paper looks into three types of Noron faction to advance to the Gyeonggi-do Province in the chapter 2, 3 and 4 respectively. In chapter 2, the paper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Noron families' tombs located in the Gyeonggi-do Province. The first case, Andong Kim clan that live generation to generation inside the Gyeonggi-do Province from 16th century after moving from an initial stronghold and secures the stronghold in Seoul by taking up pubic offices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become a meritorious retainer and then build their tombs in the Gyeonggi-do Province. The second case, Gigye Yoo clan that go to their hometown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and establish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 Goyang and Hwado, Namyangju, Gyeonggi-do Province as Neo-Confucian literati seizes the political hegemony. The third case, Yeoheung Min clan that go to their hometown, Daejeon, after King Sejo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and build up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 Namyangju through Eulsa Sahwa. The fourth case, Gyeongju Kim clan that build up their tombs in the Gyeonggi-do Province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but go back to Seosan, act as the major family in the region and build up their tombs in Namyangju and Yeoju located in the Gyeonggi-do Province through emergence of Queen Jeongsun in power. These clans play a pivotal role in enthronement of King Injo in the 17th century, lead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 with Qing Dynasty in China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are integrated into Seoin-Noron faction and are involved in the historical events such as Yeasong dispute, Gisa Hwanguk, Gapsul Hwanguk, Shinim Sawha and enthronement of King Yeongjo. During the events, the clans maintain their tombs situated in Gyeonggi-do Province constructed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or construct the other tombs in other areas in the Gyeonggi-do Province. The clans like Andong Kim, Yeoheung Min and Gyeongju Kim lead political situation as a member of Noron faction, and mak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king family through cultivating queen, becoming a father in law of a king or a son in law of a king, while the clans construct their tombs in the Gyeonggi-do Province. Gigye Yoo clan finally seize the political hegemony in the process of Shinim Sahwa occurred as part of power struggle between factions and build the tombs and secure the stronghold in Seoul. In addition, establishing the stronghold for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heir tombs in not only the Gyeonggi-do Province but the Chungcheong Province served as the hinterland for the advance to the political world of the capital. In the chapter 3, I take a look at the type that the clans build the tombs in the Gyeonggi-do Province after Gapsul Hwanguk. Gwangsan Kim clan and Eunjin Song clan, the key families of Noron faction, advance to the Gyeonggi-do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when Kim Jangsaeng and Song Siyeol hold the political hegemony of the dynasty. Gwangsan Kim clan case, Kim ban, Kim Ikhui and Kim Mangi, sons of Kim Jangsaeng receive public posts and actively lead the political situation. The daughter of Kim Mangi become Queen Ingyeong, Kim Mangi become a father in law of King Sukjong. Thus, the political influence enables the clan to construct the tombs in the Bukbang-myeon, Gwangju, modern-day Daeyami-dong, Gunpo-si. Eunjin Song clan case, the clan live for a long time in Hoedeok and Cheongju. As Song Siyeol seize power in the days of King Hyojong, the political clout enables the clan to build the tombs in Manui, Suwon, modern-day Dongtan. The common feature of the two clans is that as the big shots in the two families who reside for a long time in Chungcheong region are directly involved in the politics in the 17th century, the growing influence makes the clans to establish their tombs and strongholds in the Gyeonggi-do Province. It shows that the influential clan in the hometown becomes a major clan in the capital area since the 17th century owing to the seize of the political hegemony. In the chapter 4, I explain the Lee Gyeongyeo's prince Milsung clan and Lee Huwon's prince Geangpyeong clan. The two clans are loyal families but are classified as the Seoin-Noron faction because of the relationship established by marriage and master and disciple. The two clans are a member of the loyal family as a prince. Thus the clans can foster their tombs in the vicinity of the capital called Hanyang such as Gwangju region, modern-day Choi-dong, Hanam-si, Hakdang-ri, modern-day Seolleung and Daemosan Mountain in Suseo. But, after several generations pass, the clans drift apart from the loyal family, integrated into the nobility and establish the relationship with Neo-Confucian literati by marriage and master and disciple. In addition, during the power struggle between factions of Neo-Confucian literati, the clans from the loyal family that belongs to Seoin-Noron faction receive the public posts and actively join in the political activities. Like other Noron clans, the clans can maintain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 the Gyeonggi-do Province and expand the tombs and stronghold to other Gyeonggi regions and Hose regions. The clans from the loyal family's establishment of the close relationship with major clans of Seoin-Noron faction by the marriage give the chance to join in Seoin-Noron faction to the clans initially of the loyal family. The Noron families hold the political hegemony amid the factional politics and then go through the ups and downs in the process of Gabin Yeasong, Gisa Hwanguk and Shinim Sahwa. However, since King Yeongjo, Noron clans secures the political hegemony and become the major clans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hus, Noron clans secure the areas for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 several regions of the Gyeonggi-do Province. I realized that Noron clans are not clans that possess the large land inside the Gyeonggi-do Provin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while experiencing the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shift of power from the meritorious elite to Neo-Confucian literati and enthronement of King Injo subsequent to dethronement of a predecessor king,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 and the expedition plan to conquer the Qing Dynasty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Yeasong dispute and Gapsul Hwanguk, Shinim Sahwa and enthronement of King Yeongjo caused by the factional politics, Noron clans ultimately take political hegemony and expand the areas for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side the Gyeonggi-do Province or newly advance to other Gyeonggi regions. As the factional politics unfolds, the aspect in the regional base of each faction changes. The Yongnam region-based clans losing the political power since King Inj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family, issue the genealogy and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construct and run lecture halls in order to unite the members of the clan and band other clans together. Meanwhile, the Hoseo region-based clan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olitical world of the capital as a de facto power. The Gyeonggi region has the tombs of the l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 as a hinterland of power. The Gyeonggi region-based clans enter the political world of the capital and the Gyeonggi region serves as a hinterland of power.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the Noron faction takes power since King Yeongjo, Seoin clans as a major faction of Noron faction increasingly acquire the ownership of tombs, agricultural land and villas.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한 가문은 서울 근교 및 畿內에 묘역과 토지를 소유하여 지역기반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전제하여 훈구와 사림의 교체와 붕당정치 과정에서의 인조반정, 갑술환국, 영조의 즉위 등 정치적 사건으로 북인, 남인, 소론세력의 지역기반이 기내에서 밀려나고 노론세력이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하면서 지방에서 기내로 묘역이 진출하거나 기내에서의 지역기반 또한 확장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한 전제하에 첫 번째는 기내 소재 노론계 가문의 묘역 분포를 검토하여 안동김씨, 기계유씨, 여흥민씨, 경주김씨 가문의 중흥조와 기내묘역의 이동, 세거지 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17세기 후반 경신대출척과 갑술환국을 배경으로 광산김씨와 은진송씨 가문이 지방에서 기내에 자리잡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는 왕실가문으로서 조선전기에는 훈구세력이었으나 왕실과의 관계가 소원해지며 서인계 사림들과 혼맥관계와 사우문인관계 등을 형성하며 노론세력에 편입되어 기내에 지역기반이나 묘역을 유지하거나 확장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기내 진출의 노론가문을 세 가지 유형을 각각 2, 3, 4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기내 소재 노론계 가문의 묘역 분포를 검토는 기내에 16세기부터 세거해온 노론가문들은 16세기 지방에서 세거하다가 대대로 벼슬을 역임하고 공신에 들어 京邸를 마련한 후 기내에 묘역을 마련한 안동김씨, 조선전기에는 충청도로 낙향하였다가 사림정치의 전개를 계기로 기내의 고양과 남양주 화도에 묘역과 세거지를 마련한 기계유씨, 조선전기 세조대 이후 대전지방에 낙향하였다가 을사사화의 신원과정에서 남양주에 묘역과 향제를 형성한 여흥민씨, 조선초 기내에 묘역을 마련하였으나 서산으로 낙향하여 지역의 유력가문으로 활동하다가 정순왕후의 배출과 수렴청정으로 인하여 남양주와 여주로 묘역이 기내에 진출한 경주김씨 등을 사례로 들었다. 이들 가문은 17세기 인조반정을 주도하고 병자호란 이후 척화에 앞장섰으며 서인-노론으로 이어지는 정치세력에 편입되어 예송과 기사환국과 갑술환국, 신임사화와 영조의 즉위를 통한 붕당정치의 중요한 사건을 거치며 조선전기에 확보한 기내의 묘역을 유지하거나 기내의 다른 곳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또한 노론가문으로서 정국을 주도함에 따라 왕비를 배출하여 국구가 되거나 부마가 되는 등의 왕실과의 혼맥을 통해 안동김씨, 여흥민씨, 경주김씨의 경우처럼 새롭게 기내에 묘역을 형성하였으며 기계유씨의 경우처럼 붕당정치 과정에서 신임사화를 거치며 최종적으로 주도권을 확보를 계기로 기내의 묘역과 경저를 확보하였다. 또한 기내지역 뿐 아니라 주로 충청지역의 지방에도 묘역과 세거지를 형성하여 이념집단으로서 중앙정계의 배후지 역할을 하였다. 3장에서는 지방에서 갑술환국 이후 기내에 묘역을 마련한 유형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에 기내에 진출한 노론의 핵심가문인 광산김씨와 은진송씨가문은 17세기 사계 김장생과 우암 송시열 등의 전국적인 정국운영을 배경으로 기내에 진출하였다. 광산김씨의 경우 김장생의 아들 김반과 김익희, 김만기의 관계진출과 주도적 정국운영을 배경으로 김만기가 숙종의 비인 인경왕후를 배출하여 국구에 오르면서 기내의 오늘날의 군포 대야미동인 광주 북방면에 묘역이 진출하였고, 은진송씨의 경우에는 회덕과 청주 등지에 세거하다가 효종의 북벌 이후 우암 송시열의 정국운영과 그에 따른 기내의 활동을 배경으로 오늘날의 동탄인 수원 만의에 묘역이 진출하였다. 두 가문의 공통점은 17세기 이후 충청지역에 주로 세거하던 가문의 인물이 정국운영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면서 커진 정치적 영향력으로 인하여 기내에 묘역과 세거지가 진출한 경우이다. 지방의 가문이 17세기 이후 한국의 사상과 정국을 주도하며 기내에 정착하는 주요가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왕실출신 가문이면서 혼맥관계와 사우문인관계로서 서인-노론세력에 속한 사례로 이경여의 밀성군파 가문과 이후원의 광평대군파 가문을 들 수 있다. 두 가문은 왕자의 신분으로 왕실의 일원이었던 관계로 조선시대 광주의 영역이었던 하남 초이동과 오늘날 선릉인 학당리, 수서 대모산과 같이 기내에서도 한양에서 가까운 곳에 묘역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세대가 지나고 가계가 복잡해지면서 이들 가문은 종실로서의 신분에서 벗어나 사대부에 편입되면서 사림에서의 혼맥관계와 사우문인관계를 통한 사회기반을 구축하였다. 또한 붕당정치의 전개와 사건에 따라 서인-노론에 속한 왕실출신 가문은 관계에 진출이 계속되어 정국주도에 참여할 수 있었고 다른 노론가문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기내의 묘역과 세거지를 유지하거나 기내의 다른 지역과 호서지역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또한 왕실출신 가문이 서인-노론에 속할 수 있었던 계기는 서인 및 노론의 주요 가문들과의 혼맥을 통하였다는 점도 특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노론가문은 붕당정치가 전개되면서 조선후기 정치적 주도권을 확보하였으나 갑인예송과 기사환국, 신임사화 등의 부침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영조 이후 노론이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하면서 조선후기 유력 벌열이 된 노론가문은 기내의 다수 지역을 묘역과 향제 등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 노론은 조선 초부터 기내에 대규모 토지를 가진 고정적인 벌열가문세력이 아니라 훈구에서 사림으로의 교체 이후 붕당정치의 전개로 인조반정, 병자호란의 척화와 북벌, 예송과 갑술환국, 신임사화와 영조의 즉위로 노론이 최종적인 정국주도로 기내에 묘역과 향제, 토지의 소유가 확장되거나 기내에 새롭게 진출하는 가문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붕당정치의 전개에 따라 각 지역에 기반을 둔 각 붕당의 지역기반의 양상은 달리지게 되었다. 영남지역은 중앙정계에서 배제된 인조 이후 문중조직 강화와 족보, 문집의 간행, 서원의 건립과 운영 등을 통해 문중 내의 상호보장과 타문중과의 연대를 꾀하였다. 이에 반해 호서지역은 인조 이후 이념집단으로서 중앙정계의 배후세력의 역할을 하였으며, 경기지역은 조선초기 왕실이나 지배층의 배후지로 묘소가 있다가 집결하면 중앙으로 진출하고 그 배후 근거지가 되었다. 조선후기 서인은 영조 이후 노론이 집권하면서 노론 핵심세력의 묘소, 田莊, 별업 등의 소재지를 늘려갔다.

      • 신라 誓幢의 설치와 확대

        홍성열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사학과 한국사(Ⅰ)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11

        신라의 군사제도는 크게 삼국통일 이전 중고기의 군사제도와 통일 이후의 군사제도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三國史記』에는 중고기와 통일 이후시기에 모두 보이는 誓幢이라는 군사조직이 확인된다. 삼국통일을 거치면서 해체되거나 새로 창설되는 다른 군사조직과 달리, 서당은 중고기부터 꾸준히 모습을 보이며 통일 이후에는 규모가 확장하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서당의 설치 배경과 통일 이후 핵심 중앙 군사조직으로서 규모가 확장된 것을 사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서당이 처음 설치된 것은 진평왕 5년으로, 기존 군사조직이 존재했음에도 서당이 창설 된 것은 당시 정치상황과 관련이 있다. 당시 귀족들은 왕위계승까지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왕권은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귀족들의 영향력을 억제하고 군사권에 대한 국왕의 직접적인 통제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귀족의 힘이 미치지 않는 군사조직을 창설한 것이 서당이다. 서당은 부대의 성격을 나타내는 글자인 ‘誓’와 군사력, 군사조직을 나타내는 ‘幢’이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로, ‘국왕에 충성을 맹세한 군대’로 해석할 수 있으며 국왕의 직속 부대를 뜻한다. 서당은 시위부 설치 이전 국왕의 최측근 군사조직으로 국왕의 친위군 성격을 가졌으며, 이들은 田獵 등을 통해 국왕이 직접 召募하였다. 서당의 지휘관으로는, 『삼국사기』 무관조에서는 장군 2명이 하나의 서당을 지휘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 기록은 통일 이후 군제 정비를 통해 정리된 기록이므로 그 이전은 다를 수 있다. 중고기 侍衛府‧罽衿幢 같은 국왕 직할 부대의 지휘관이 大監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중고기 서당의 지휘관도 대감일 것으로 생각한다. 7세기에 들어서면서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에게 거듭된 침공으로 인해 신라의 방어 요충지인 大耶城까지 함락당하는 상황에 이르자 친위부대인 서당도 대외전쟁에 출정하였다. 하지만 대외전쟁에서 임무를 마치고 복귀한 후에는 다시 국왕의 친위 군사조직으로서 활동을 했을 것이다. 7세기 후반 발발한 삼국통일전쟁과 나당전쟁으로 인해 신라의 군제는 크게 확대되었으나, 종전 이후 그 필요성이 감소되어 개편 및 축소되었다. 그러나 개편 과정에서 서당은 다른 군사조직들과 달리, 신라의 핵심 중앙 군사조직으로 확대되었다. 통일 이후 신라 핵심 중앙군사조직으로 서당이 선택된 것은 국왕의 직속 군사력으로 창설되었고, 병력의 충원도 국왕이 직접 소모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귀족세력의 영향력이 유지되는 군사조직을 축소 또는 해체시키고, 서당을 확대하여 九誓幢으로 편제하였다. 피복속민 출신을 서당의 구성원으로 편성한 것도 신라 귀족과 연고가 없는 이들을 핵심 중앙군으로 포함시켜 국왕이 군사권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9서당 구성 군사조직의 구성원이 피복속출신이라는 이유로 지금까지는 이들이 포로로 구성된 군사조직이고 천민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보았는데, 신라인으로 구성된 서당처럼 신분이 일반민인 사람들로 구성되었고 이는 국왕의 의지가 반영된 소모를 통해 충원했을 것이다. 결국, 서당 군사조직의 창설과 확대는 왕의 군사권 장악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또한 신라 중고기인 진평왕 때 설치되어 삼국통일전쟁 및 나당전쟁을 거쳐 이후 신라의 핵심 군사조직으로 바뀌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서당을 신라 중고기에서 삼국통일전쟁 이후까지 시대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군사조직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당 군사조직을 파악하는 것은 신라 국왕이 귀족들의 힘을 억누르면서 군사권을 장악해 나가는 과정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The military system of Shilla can be divided into the system before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and the system after the unification. However, in the Samguksagi, there was a military organization called “Seo-dang”(誓幢) which existed both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In contrast to other military organizations that were disbanded or newly founded after the unification, the Seo-dang,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Junggogi(中古期), rather expanded even after the unification. In the present study, I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eo-dang and its expansion as a core military organizatin after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The Seo-dang was first established in the 5th year of King Jinpyeong(眞平王). Despite other preexisting military organizations, King Jinpyeong established another one, Seo-dang, because of the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ime. At that time, the nobility had a relatively greater power over the regal authority so that they even played a role in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In this circustance, King Jinpyeong tried to strenthen the regal power, by establishing a new military organization, which allowed him to directly control the military and reduce the noble's influence on it. The word, Seo-dang consits of two words : "誓(Seo)",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unit, and "幢(Dang)", which represents military organization. It is interpreted as "the army which pledges allegiance to the king." Since the Seo-dang was under direct control of the King, the King, himself, recurited the soldiers of the Seo-dang. Althogh it is known that the Seo-dang was commanded together by two appointed generals according to Samguksagi, this might be different in the pre-unification era, since the record documented only the military system that were organized after the un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mmader of the Seo-dang was “Dae-gam(大監)” as commanders of other King's Corps such as siwibu(侍衛府) or ‧gyegeumdang(罽衿幢) were a “Dae-gam(大監).” In the 7th century, the Seo-dang also took part in the battle against Baekje(百濟) and Koguryeo(高句麗), even though the King's corps were generally not involved in the war against foreign countries, when Silla even lost Dae-ya Castle(大耶城), the important defensive center of Shilla, by Baekje and Koguryeo. However, after returning from the war, it must have served as the king's military again. The military system of Silla had greatly expanded due to the war among the Three Kingdoms and the Nadang War in the end of the 7th century, but after the wars, as the military was relatively less necessary, it became reorganized and restructured. However, after the unification, the Seo-dang, in contrast to other military organizations, rather turned into the core military organization of Silla. It is chosen as the core organization because the king had a direct control over it, recruiting his troops by himself. The Seo-dang expanded to the larger organization, Gu-seo-dang(九誓幢), which led to decreasing the noble’s influence on the military organization and disbanding them. The kings mainly constituted its members with those who were conquered and had no relationship with Silla noblity, and this can be also understood as an effort to strengthen the control over the military rights. Meanwhile, although the Seo-dang has been considered as an army of the war-prisoners or slaves since the Gu-Seo-Dang’s members were the conquered, it seemed that even after the unification, the Seo-dang was composed of common people of Silla as before the unification, and the soldiers were reinforced only depending on the Kings’ will. To conclude,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the Seo-dang was closely related to the king's military dominance. It was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and it became the core military organization of Silla after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War and the Nadang War(羅唐戰爭). The Seo-dang can be defined as a key military organization through the entire Silla dynasty.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f the Seo-dang is an important step to comprehend the process of the kings’ dominance over the nobles by controlling the military organizations and suppressing the influence of the no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