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 메이커 교육의 활용가능성 탐색

        이연승(Lee Yeon-Seung)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0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을 구성주의 철학 및 융합인재교육과의 연관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 메이커 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첫째, 메이커 교육 둘째, 메이커 교육과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이다. 연구결과 구성주의 철학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은 융합인재교육과 연결되는 개념으로써, 놀이를 통한 배움을 강조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그 맥락을 같이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유아의 주도적이고 자발적인 놀이를 권장하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의 주체가 되는 메이커 교육은 유아의 진정한 놀이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적 접근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이커 교육이 담고 있는 교육적 가치와 방법을 잘 활용한다면,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지향하는 놀이의 가치가 유아교육현장에서 더욱 성공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 메이커 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using Maker Education in Child & Play Centered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potential connections between Maker Education, Constructivism/Constructionism, and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We found that Maker Education, founded on the philosophy of constructivism/constructionism, is closely related to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and that it is in line with the revised 2019 NURI Curriculum which empathizes learning through play. In Maker Education, a child becomes the main body of learning, which helps to realize a Child & Play centered curriculum that encourages active and voluntary play. Thus, Maker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eaching/learning for a child’s genuine play.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s of play that the revised 2019 NURI curriculum pursues can be manifested by utilizing the educational values and methods of Maker Educa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s the applicability of Maker Education to a Child & Play 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구성주의 관점을 가진 유치원 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실제

        조부경,현윤희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4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구성주의 관점을 가진 유치원 교사의 유아과학교육 실제는 어떠한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원에서 구성주의 유아과학 관련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고, 스스로 유치원에서 구성주의 유아과학교육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수업사례 제공 및 면접에 동의하는 유치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면담, 수업 실제 관찰, 수업 녹화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구성주의 관점을 가진 유치원 교사는 유아과학교육에 대해 생각할 때 ‘흥미’를 가장 먼저 떠올리고 이를 중심으로 수업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제 과학 활동 과정에서는 대부분 유아의 ‘흥미’만을 쫓아가는 수업이 되거나 반대로 ‘흥미’가 사라진 수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의 과학적 사고의 확장과 탐구를 위해서 ‘실험’에 몰입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실제에서는 탐색과 몰입의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지 못했다. 그럼에도 구성주의 관점을 가진 교사의 학급에서는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 그리고 유아와 물리적 환경간 상호작용하며 ‘협력’하여 발전해가는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방현실(Bang Hyunsil)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0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J 도와 C 도의 유아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를 이용하여 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One-way ANOVA) 실시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에서 나온 결과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은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놀이중심’「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유아교사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학력에 따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2019개정 누리과정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사연수 방법 및 교육방법을 구체적인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on teaching efficacy on play, as well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training and field-applied education methods for the play-oriented「2019 Revised Nuri Cours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227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eollabuk-do and Chungcheongnam-do.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by first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s in rel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using SPSS 25, as well a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fficacy of teaching play for children. One-way ANOVA was then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accordance to background variables, and a Scheffé post-hoc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Pearson 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fficacy of teaching play,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infant play on the efficacy of teaching play a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bout early childhood play and their individual senses of efficacy in relation to teaching play display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bout early childhood play and play teaching efficac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s well 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bout early childhood play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found to be correlated.

      • KCI등재후보

        뇌 기반 학습 원리에 기초한 유아영어교육의 시사점 탐색

        안경숙(Gyoung-Suk Ahn),허미화(Mi-Hwa Huh),서은미(Eun-Mi Seo)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8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뇌 기반 학습 원리 및 유아 대상의 영어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유아영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의 변화의 원리를 고려해볼 때 유아의 흥미와 동기유발 전략을 활용한 유아영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근한다. 둘째, 뇌의 다양성의 원리를 적용하여 각 유아의 학습양식의 다양성을 참작한 영어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셋째, 뇌의 발달적 민감성을 고려하여 영어그림책이나 놀잇감을 활용한 유아영어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뇌의 상호작용의 원리를 적용하여 유아 간, 유아와 교사 간, 유아와 영어활동자료 간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섯째, 뇌의 결합성의 원리를 고려하여 유아영어활동이 다른 학문적 영역과 연계되도록 한다. 여섯째, 기억유연성의 원리를 고려하여 다양한 기억회로를 통해 기억이 저장될 수 있도록 오감을 활용한 영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일곱째, 자원소모의 원리를 적용하여 영어활동 전후로 음식과 물의 섭취를 최적화하는 가운데 영어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viewpoint about brain science regarding the early English education. Considering many problems and issues in the present early English education, we suggested implications about ideal early English education based on the viewpoint of brain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brain changes, early English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based on children’s interest and motivational strategies. Second, using the variety of brain, teachers should use classroom activities considering individual child’s learning patterns and learning style. Third, brain is very sensitive so that classroom activities need to be developed using play based activities. Fourth, based on Interactive Brain Hypothesis, teachers need to interact with the children actively. Fifth, based on the brain connection, classroom activities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need to connect with other academic disciplines. Sixth, using cognitive flexibility, classroom activities need to be developed play or game based approach instead of using home-study materials. Seventh, children should take suitable food and water before they study English.

      • KCI등재후보

        유아 융합교육(STEAM)을 위한 유아교사의 스마트 디바이스 적용에 대한 요구도 분석

        김래은(Kim Rae Eun),송민서(Song Min Seo)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0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 융합교육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적용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의 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문제는 유아교사의 교육경력, 학력에 따라 유아 융합교육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적용에 대한 요구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대구, 경북지역 유아반 유아교사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버전으로 빈도분석, Cronbach’a를 산출하였고, 교육경력 및 학력에 따른 요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후 사후분석으로 Scheffe,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융합교육(STEAM)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적용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해서는 스마트디바이스 적용의 목적에 대한 요구와 교사연수 회의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인식 차이 에 대해서는 스마트 디바이스 적용의 목적에 대한 요구, 교육애 대한 연구지원의 요구, 스마트디바이스 효과에 대한 요구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emand for the application of smart devices for early childhood integrated STEAM education targe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en propose a plan to promote integrated STEAM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As such,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mands for smart device application for integrated STEAM educa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2.0, with Cronbach’s α being calculated. An one-way layout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post-analysis to heck the differences in demand based 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mand for smart device application for integrated STEAM educa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fferences in STEAM education were also found in accordance to educational backgrounds, particularly in regards to the purpose of smart device application, research support for education, and demand for smart device effects. In reflection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현장중심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구성주의교실에서의 참여관찰경험

        곽향림(Hyang-Lim Kwak),김은정(Eun-Jung Kim)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8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현장중심교육을 위해 실행한 구성주의교실에서의 참여관찰경험이 미래사회교육을 준비하는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는 이전 학년에서 유아교육개론과 아동발달을 수강한 2학년생 50명이었다. 참여자들은 놀이중심교육이 실행되고 있는 구성주의교실을 관찰하고 연구하였다. 이러한 참여관찰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주는 교육적 의미는 첫째 주관적 경험을 통해 이론과 실제를 연계하며 실천적 지식 이해해가기, 둘째 유아와 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반성적 재 개념화 해가기, 셋째 비판적 시각과 반성적 사고를 갖춘 교사로 성장해가기, 넷째 몰입과 즐거운 공유경험을 통해 유아교육에 대한 열정과 사명감 키우기였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현장중심교육을 위해 실행한 구성주의교실에서의 참여관찰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과 전문성을 함양함으로써 교사의 역량강화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student teachers’ observational experiences in the constructivist kindergarten classrooms for the field study which is opened to the sophomores as field-based education. This research, a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on data from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The findings reveal the 4 meaningful experiences of student teachers preparing the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First, they were understanding practical knowledge connecting the theories and practices through subjective experiences. Second, they were reconceptualizing the images of child and teacher. Third, they were becoming teachers in growing with critical view points and reflective thoughts. Finally, they were having the passions and senses of mission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immersions and shared experiences. The conclusions show that the field study in constructivist classrooms for field-based education contributes to strengthen teacher s ability through fostering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후보

        기독교유아세계시민교육이 유아인성에 미치는 효과

        진명선(Myoung-sun Jean)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1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기독교유아세계시시민교육이 유아인성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기독교유아세계시민교육의 유아인성교육에 활용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5주간 실험처치하고 사전-사후검사를 SPSS WIN 24.0로 대응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Schefff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기독교유아세계시민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 20명, 일반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실시한 통제집단A 20명, 기존 누리과정을 그대로 실시하고 있는 통제집단B 20명이다. 검사 결과 기독교유아세계시민교육이 유아 ‘인성전체’와 유아인성 핵심덕목인 ‘나눔, 배려, 존중, 질서, 협력’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기독교유아세계시민교육은 유아의 인성교육의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사회적 병리현상과 교육의 해체 앞에서 기독교세계관과 영적인 부분을 포함한 기독교교육을 실시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has on childhood character and to prove the possibility of its use in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verify its effects, three groups were evaluated with both pre- and post-tests that were then analyzed further with t-tests and ANOVA of the SPSS WIN 24.0 program, which deriv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led to the use of the Scheffé test in the program. The first group was an experimental group that consisted of 20 individuals taking Christian education, whereas the second and third groups were both control groups. Control group A consisted of 20 individuals taking general education, and control group B consisted of 20 individuals taking the existing Nuri course. The test results found that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personality as a whole” and “sharing, consideration, respect, order, and cooperation”, which are the core virtues of childhood character. Accordingly, a Christian approach may be a new valid method to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suggesting that a Christian worldview and spirituality should be taught at education sites to deal with both social pathology and the dissolution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반응중심 문학활동에 기초한 유아문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안숙경(Suk-Kyeong An),이성희(Sung-Hee Lee)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9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중심 문학활동에 기초한 유아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문해교육 활동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유아의 음운인식, 읽기 쓰기 흥미도, 읽기능력, 쓰기능력,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A유아교육기관의 만 4세 유아 25명을 실험집단으로 반응중심 문학활동에 기초한 유아문해교육을 실시하였고, B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25명을 비교집단으로 누리과정 문해교육을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23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적용 후 효과 검증을 위해 집단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반응중심 문학활동에 기초한 유아문해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운인식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유아의 읽기, 쓰기에 대한 흥미, 유아의 읽기능력, 쓰기능력, 언어표현력의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반응중심 문학활동을 통한 유아문해능력 증진의 필요성을 확인해 주었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문해교육의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iteracy education program based on response-based literary activit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previous studies, the present situation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literacy education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we constructed and applied the education activities and verified the effects of children s phonological awareness, reading and writing interest, reading ability, writing abilit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The subjects were 25 infants aged 4 years old at A kindergarten in D metropolitan city, and they conducted infant literacy education based on response-based literary activitie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ed 25 infants aged 4 years old Nursing process literacy education was applied as a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before the program,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23, and an averag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after applying the program. As a result, children s literacy education program based on response-based literary activiti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children s phonological awareness, but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and writing interest, reading and writing ability.

      • KCI등재후보

        유아의 시간에 대한 인식

        김수희(Kim Soo Hee),서은경(Seo Eun Kyeong),전다정(Jeon Da Jeong),권이정(Kwon Yijeong)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9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의 시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한 G유치원의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를 각각 10명씩 30명과 L어린이집의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를 각각 10명씩 30명을 표집하여 총 6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시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사하였다. 유아들의 시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Grant와 Suddendorf(2009)의 도구를 정여진(2015)이 번안해서 사용했던 도구를 본 연구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시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해 보고자 SPSS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Scheffe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만 3세, 만 4세 유아에 비해 만 5세 유아가 과거와 미래에 대한 시간개념의 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연령별로 과거와 미래의 시간개념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의 발달에 따른 시간개념의 인지 구성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이후 유아를 위한 관련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eschool children’s ability to differentiate time lines of past and future and how they perceive the concept of time. The study of Children’s perception on time lines was researched by age. Using a study tool that measures timelimes, this was conducted with 60 children in total aged three, four and five from two educational providers in Sejong city and this study analyzes children’s perception on time lines and different abilities across the age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five-year-olds performed better in understanding time lines and recognition of both past and futur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ged, three-year-olds and four-year-olds. In addition, the study shows obvious age-specific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past and future. This study aims to show how preschool children recognize abstract as well as complex nature of time and understand the time cognitive proces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The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that it can provide data based study materials of educational curriculum for history education related to the concept of time.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 실천에 관한 자기연구

        안민정(Min-Jeong, Ahn),조부경(Boo-Kyung, Cho)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21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교육 실천과정에서 교사는 어떠한 교육적 고민을 경험하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사가 구성한 구성주의 교육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20년 2월부터 11월에 걸쳐 이루어진 자기연구로 자기기록, 비판적 동료와의 상호작용 및 전문가 조언, 유치원 과학수업연구 과제, 비디오 녹화, 사진 및 녹음, 관찰기록 등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구성주의 교육 실천과정에서 드러난 교사의 교육적 고민은 충분한 시간의 기준 세우기, 관심과 흥미를 낯설게 보기, 물리적 환경을 함께 만들어가기, 몰입으로 이끌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교사는 구성주의 교육의 의미를 놀이를 통한 배움에 대한 믿음 가지기, 평형과 불평형의 반복 즐기기, 관계 형성으로부터 시작하기, 반복되는 경험을 통해 알아가기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성주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pedagogical thoughtfulness a teacher wil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constructivist education as well as the meaning of constructivist education formed by a teacher through such experience. As a self-study conducted from February to November 2020, this study collected self-records, interaction with critical colleagues and expert advice, research subject of science class, video recording, photographs and recordings and record of observation as data. As a result of study, the experience of a teacher in practicing constructivism education could be categorized as setting enough time standard, considering interests from a new angle, cre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s with children, and leading to immersion. Through this experience, a teacher understood constructivist education as having belief about learning through play, enjoying the repetition of balance and imbalance, starting with relationship formation, and building knowledge based on steady experience. This resul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help to teachers in the field who complain difficulties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constructivis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