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연구

        주재홍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1727

        본 연구는 학교의 의사결정 영역 중 교사들의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은 어떻게 달라지고, 이에 따른 교사의 참여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의 의사결정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에 따라 의사결정 참여도는 어떠한가? 2. 학교 의사결정 영역에서 교사들의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3. 교사의 의사결정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에 따른 의사결정 참여도는 의사결정 영역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경영 영역을 6개 영역으로 나누고 그 영역에서 의사결정이 필요한 업무를 23가지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질문지는 서울, 경기, 전라북도 16개 초등학교 교사 600명에게 배포하였고 520명으로부터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각 설문의 응답에 있어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6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들은 5단계로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에 1점, '그렇지 않다'에 2점, '보통이다'에 3점, '다소 그렇다'에 4점, '매우 그렇다'에 5점을 부여하였다. 다음으로 학교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에 따라 교사의 참여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두 집단 평균차 검증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의사결정의 각 영역에서 적절성, 전문성, 관할권 중 어떤 변인이 의사결정 참여도를 유의미하게 예언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든 독립변수들이 동시에 투입되는 입력(Enter) 방법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의사결정 적절성과 의사결정 참여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의사결정의 적절성이 높은 집단이 적절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의사결정 참여도와 전체적인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2. 교사의 의사결정 전문성과 의사결정 참여도와 관계를 살펴보면 의사결정의 전문성이 높은 집단이 전문성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의사결정 참여도와 전체적인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3. 교사의 의사결정 관할권과 의사결정 참여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의사 결정의 관할권이 높은 집단이 관할권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의사결정 참여도와 전체적인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4. 교사들은 대체로 학교 의사결정 영역 중에서 교육목표 관리(학교교육 목표 수립, 학교연간운영계획, 학교중점 사업계획 수립), 교육조직관리(교무분장 조직의 설계, 학습지도 조직, 부장교사의 임명), 교육과정 관리(학습평가 계획, 교내장학 계획, 특별활동 운영계획, 학생생활지도 계획 수립)에서 적절성이 높았고, 교육조건 관리(표창 대상자 선정, 근무평정 결정, 학교예산의 운용 계획, 학교시설의 설치 및 수리 관리), 교육성과 관리(학교경영 계획 수립, 학교경영결과의 평가), 지역사회 관리(학교운영위원회 조직 및 운영계획,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개선)에서 적절성이 낮았다. 5. 교사들은 대체로 학교 의사결정 영역 중에서 교육목표 관리(학교교육 목표 수립, 학교연간 운영계획 수립, 학교중점사업계획의 수립), 교육조직 관리(학습지도 조직), 교육과정 관리(학습평가 계획, 교내 장학계획, 특별 활동 운영계획, 학생생활지도 계획)이 높았고, 교육조건 관리(표창 대상자 선정, 근무평정 결정, 학교예산의 운용 계획, 학교 시설의 설치 및 수리 관리), 교육성과 관리(학교경영 계획 및 학교경영 결과의 평가), 지역사회 관리(학교운영위원회 조직 및 운영계획,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 개선)에서 전문성이 낮았다. 6. 교사들은 대체로 학교 의사결정 영역 중에서 교육과정 관리(학습평가 계획, 교내 장학 계획, 연구수업 대상자 결정, 특별활동 운영계획, 학생 생활지도의 계획 수립)에서 관할권이 높았고, 교육 조직 관리(교무분장 조직의 설계, 부장교사의 임명, 학교운영위원회 조직 설계), 교육목표 관리(학교 교육목표 수립, 학교중점사업계획 수립), 교육조건 관리(학교예산의 운용 계획, 학교 시설의 설치 및 수리 관리), 교육성과 관리(학교경영계획의 수립, 학교 경영결과의 평가), 지역사회 관리(학교운영위원회 조직 및 운영 계획,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개선)에서 관할권이 낮았다.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of how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of teachers are changed in decision-making at school, and in accordance with that, how participation degree of teachers are changed.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the subjects of study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are participation degree in decision-making as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of decision-making of teachers? 2. How are changed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of decision-making of teachers in decision-making fields of school management? 3. How are changed participation degree in decision-making as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of teachers? To solve the above subjects of study, the fields of school management are divided with 6 fields. An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600 teachers of 1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ung-Gi, and Jeon-Buk, and 520 copies were collected from them. Except 6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 of the object of study, the others were evaluated with 5 levels. Points were given to each question as the following criterions : "absolutely not" is 1 point, "not so" is 2 point, "medium" is 3 point, "somewhat so" is 4 point, "absolutely so" is 5 point. Next, T-test, a test to averag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done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based on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in decision-making procedure of schoo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make out with a way to use the Enter method put simultaneously independent fluent, in order to know what fluent among suitableness, professionality, and jurisdiction can significantly forecast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of decision-making in the each field of decision-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vie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uitableness of teacher's decision-making and the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a group having higher suitableness of teacher's decision-making shows higher participation degree for decision-making than a group having low it. 2. Revie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 in decision-making and the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a group having higher speciality of teachers has higher participation degree than a group that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 is low. 3. Revie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jurisdiction of teacher's decision-making and the teacher's participation degree for decision-making, a group that the jurisdiction of teacher's decision-making is high has a higher participation degree for decision-making than a group that the jurisdiction of teacher's decision-making is low. 4. The items that the suitableness of teachers are high among the decision-making fields of school appear as follows :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an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al objective, annual management plan of school, establishment of a priority undertaking plan of school),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rganization (a plan for allotment system of school affairs, a system for study instruction, appointment of a chief teache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study evaluation plan, a plan in school supervision, management plan of special activity,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uidance plan). Contrarily, low items are as follows,'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selection for awardee, decision of teacher efficiency rating, management plan of school budget, setting up and repair of school facilities), administration of educational results (establishment of school management plan, evaluation of school management results), management of local society (organizing and management plan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mprovement of relation with school and local society). 5. The items that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s appears highly in the decision-making fields of school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al objective, annual management plan of school, establishment of a priority undertaking plan of school),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rganization (a system for study instruction, appointment of a chief teache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study evaluation plan, a plan of promotion of learning in school, management plan of special activity,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uidance plan), while low items are as follows '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selection for awardee, decision of teacher efficiency rating, management plan of school budget, setting up and repair of school facilities), administration of educational results (establishment of school management plan, evaluation of school management results), management of local society (organizing and management plan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mprovement of relation with school and local society). 6. The items that the jurisdictions of teachers appear highly in the decision-making fields of school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study evaluation plan, decision of object students for research class, management plan of special activity,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guidance plan), while low items are as follows'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rganization (a system for study instruction, appointment of a chief teacher),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establishment of school educational objective, annual management plan of school, establishment of a priority undertaking-plan of school),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selection for awardee, decision of teacher efficiency rating, management plan of school budget, setting up and repair of school facilities), administration of educational results (establishment of school management plan, evaluation of school management results), management of local society (organizing and management plan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improvement of relation with school and local society).

      • 바람직한 校長의 資質과 職務遂行에 대한 初等 敎員의 認識 硏究

        전상희 弘益大學校 敎育經營管理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1711

        사회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데 학교교육은 그대로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학교교육이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는 말로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말이기도 하다. 이는 중요한 학교교육을 이끌어 갈 학 교장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에서 새로운 시대의 바람직한 교장의 자질 및 직무 수행에 대 한 인식을 정립해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장의 자질과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하여 교장선생님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본다. 둘째, 교장의 직무 수행에 대하여 교장선생님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학교경영면, 교육과정 운영면, 교직원관리면, 학생관리면, 일반직무수행면, 시설. 재무관리면, 지역사회 및 대외관계 면에서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비교해 본다. 셋째, 유능한 교장의 확보방안 및 교장으로서 앞으로 관심 가질 직무와 교장과 교사와의 업무면에서 개선점을 알아본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교장이 갖추어야할 자질과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유능한 학교장 확보 방안 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서울시와 인천시, 그리고 경기도의 교장 74명 과 선생님들 47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for Windows 8.0 프로그램으로 전산 처리하였다. 각 문항별 응답의 단순빈도(백분율)를 통하여 경향을 분석하고, 각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Chi-souare(x²)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람직한 학교장의 개인적 자질로는 업무처리에 공정성과 합리성을 가장 중요하다(45.7%)고 보고 있고, 교육자적 자질로는 교육자로서의 교육철학과 신념이 가장 중요하다(69.9%)고 보았으며, 관리자적 자질로는 조직 관리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69.3%)고 보고 있다. 또한 교장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로 영어 구사 능력과 컴퓨터 구사 능력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장의 직무수행에 대하여 학교경영면에서는 학교간 경쟁체제 도입에 대해서는 필요는 하나 도입을 서두르면 안된다(각 50.0%, 38.4%)고 보고 있고,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선택권에 대해서도 필요성은 인정하나 도입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보고 있다. 학교 평가에 대한 의견에서는 모두 학교 발전에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은 하나 평가 방법이 바뀌어야 한다(전체 64.2%)고 생각해 학교 평가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학교장의 학교재량권 도입에 대해서는 교장과 교사 모두 도입에 적극 찬성하고 대책과 능력을 갖추도록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전체 44.3%)고 보고 있다. 그리고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에게 강조할 교육내용으로 교장선생님 은 창의력 신장을 강조해야 한다(55.4%)고 보았고, 교사들은 자율에 따른 책임감 육성을 강조한다(65.0%)고 보고 있다. 초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수준은 교사는 모두 인터넷과 문서작성을 어느 정도 하는 수준까지 지도해야 한다(41.7%)고 보고 있다. 교직원 관리면에서 선임·수석교사제의 도입에 대해서는 교장선생님은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고(43.2%), 교사들은 필요성을 인정하나 도입을 서두르면 안 된다(35.0%)고 보고 있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교장선생님은 대학원 진학등 자기 개발을 위해 노력하며(39.2%), 현장연구 등 각종 연구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기(33.8%)를 권장하였으나, 교사는 각종 연수활동에 적극 참여한다(40.3%)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부족한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장선생님은 기부금 창구를 통한 학부모의 찬조를 가장 좋다(62.3%)고 본 반면 교사들은 교육세의 확충을 통한 간접적인 중대 방안이 가장 좋다(67.1%)고 여기고 있다. 셋째, 유능한 교장선생님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장선생님은 교장 자격연수 시수 및 내용을 확대시켜야 한다(70.3%)고 본 반면 교사는 다양한 현직 연수 기회를 확대해야 된다(53.0%)고 보고 있다. 교사들만의 의견을 알아본 결과 교사와 교장과의 업무 개선점에 대해서 교사들은 각종 회의 방법을 가장 개선해야 된다(35.5%)고 보고 있고, 부장교사들은 각종 공문서의 결재 방법을 가장 개선해야 된다(37.0%)고 보고 있다. 교장선생님들만의 의견을 알아보면 교원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 해서는 교원의 우대 정책 실현에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한다(35.9%)고 보고 있다. 교장 직무를 수행하면서 가장 애로점을 느끼는 점은 낡고 노후한 건 물 보수 문제(29.7%)로 보고 있다. 위의 결과의 요약을 토대로 바람직한 교장상에 대하여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선생님의 자격 연수시 연수 시수 및 내용을 확대하여 교장으로 서의 자질을 두루 갖출 수 있도록 하며, 현직 연수도 병행하여 교장의 직무 수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학교간 경쟁체제 도입과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 선임·수석교사제의 도입은 보다 신중히 고려하고, 학교의 재량권 확대는 적극적으로 추진되 도록 교육행정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교육에서 강조될 점은 창의성 교육과 자율에 따른 책임감 육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학교의 낡은 전물과 시설의 개·보수와 교직원 복지시설 확충을 위해 앞으로 계속적인 교육 투자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장은 교사와의 업무에서 각종 회의 방법과 공문서의 결재 방법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There are some indications that while society is changing school education is stagnant. It means that school education has to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also it makes us realize the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Considering this aspect, to formulate the desirable quality of a principal and the understanding about performance of their duties in this new ages, the subjects of study is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o know how a principal and teachers understand the competencies that a principal must have. Second, to know perception of principals and teachers about the performance of principal's duties. The concrete contents are as follows: school management, management of curriculum, personnel management, administration of students, performance of general duties, management of facilities, financial management, understanding of their local society and in exterior relation. These issues will be compared with each other. Third, to know how to acquirable principals duties that principals must execute and improvemen measures for principals and teachers.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7 principals and 477 teachers in Seoul, Gyung-Gi, and Incheon.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are as following : qualities with which a principal must be equipped and the perception on execution of duties, a plan to ensure principal having ability. The data were computerized by SPSS for Window 8.0 program. Answers of each ques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centage. After that, Chi-square (xˇ2)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mong each group.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45.7% of respondents regard a fairness and a reasonableness in dealing with his/her own work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al's quality. 69.9% of them consider that education philosophy and faith as educator's quality are the most important. Also 69.3% of respondents think that ability to manage an organ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as administrator's quality. But it appears that ability to speak English and operate computer are not so important as a principal's quality. Second, in relation to school management and execution of principal's duties, it appears that introduction of competence system among schools is necessary(50% of respondents), but it doesn't have to be hurry on with (38.4% of them). And they think that although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have the right to choose the school, it doesn't have to be hurry on with its introduction. In relation to school evaluation, 64.2% of respondents think that though there must be the need of school developing but it needs to change the evaluation way, This shows that it needs to be studied for the ways of school innovation. And in relation to introducing the discretion of principal, 44.3% of respondents positively agree to introduce it, and recognize that they have to exert every effort to have ability or a countermeasure. And for education contents that they want to emphasize to students, 55.4% of principals emphasize development of creativity, 65.0% of teachers emphasize development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41.7% of teachers think that they have to teach Internet and word-processing to some extent. In aspect of administration for teacher, for introduction of head teacher system, 43.2% of principals agree to introduce it positively, while 35.0% of teachers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t, but it should not hurry on with. In relation to the way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a teacher, 39.2% of principals think that teachers have to exert every effort, for example, like going on to graduate school, and 33.8% of principals encourage the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of study such as actual study. But 40.3% of teachers think to be good to participate in various workshop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way to expand the insufficient fund of school, 62.3% of principals think that it is best to be supported by students' parents through donation window. However, 67.1% of teachers regard an indirect expanding way like expansion of education tax as the best way. Third, in relation to the way to ensure principals having ability, 70.3% of principals judge that it needs to expand the number of hour and the contents for qualification training of principal, while 53.0% of teachers that it needs various incumbent training opportunities. About improvements of duties of a principal and teachers, 35.5% of teachers think that various discussion methods have to be improved, 37.7% of chief teachers think that signing method on various public documents have to be improved. About the way to raise the teacher's morale, 35.9% of principals count as being important to realize policy treating teachers considerately. And 29.7% of principals regard repair and management of old building as the most difficult problem among principal's dutie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A few conclusions for desirable principal's figure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enlarge the contents and period of study and training for principals to expand their own qualifications. Also, simultaneously, it needs to have an incumbent training to help a principal's duties. Second, the authorities concerned education must take a prudent attitude in the followings introduction of competition system among schools, the education demander's right to choose a school, introduction of head teacher system, and must actively propel the enlargement of school discre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education of creativity and the promoting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Fourth, it needs to repair old building of school, to expand facilities for teacher's welfare, and to invest continuously in education. Fifth, a principal must know that it needs to have a reform measure for the signing custom on public documents and the conference method in the affairs with teachers.

      •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 운영에 따른 교육정보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김두경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1711

        1998년부터 교육부에서는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일선학교에 보급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학교조직의 변화가 이루어져 학교종합정보 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교육정보부가 신설되었다. 교무조직에서 새로이 등장한 교육정보부는 그 업무가 교무조직 내에서 많은 부서와 연관되어 있고 업무추진에 있어 타 부서와의 업무 차별화를 이루지 못하여 과중한 업무가 편중되어 교육정보부 본연의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학교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조직에서 교육정보부가 수행하는 역할과 업무 영역의 한계성을 명료하게 제시하여 학교 업무의 균형적인 발전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사 분석을 위해서 부천·시흥시에 소재한 공립 중학교와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및 교감·교장을 대상으로 시흥지역 중학교 3개교, 고등학교 3개교, 부천지역 중학교 12개교, 고등학교 10개교 총 28개 학교의 교사 515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연구 자료의 통계 처리를 위하여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x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 운영에 있어 교사들이 교육정보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이 학교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 운영에 있어 특정 부서에만 업무가 편중되어 교사 본연의 수업을 미루고 업무에만 매달리지 않도록 학교 실정에 맞게 제 규정을 마련하여 업무의 효율성이 있도록 하여야 한다. (3)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 운영시 학적관리업무, 신입생·진급·반편성처리 업무, 학교생활기록부 관리 및 검토 업무는 교무부, 성적처리 및 관리업무는 교육정보부, 건강기록부 관리 업무는 체육부에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다. (4)종합정보관리시스템 운영이 교원업무경감에 실질적인 보탬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필요한 연수를 수시로 실시하여 교무업무지원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여야 하며, 사용하기 쉬운 프로그램의 개발로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5)컴퓨터에 관련된 업무가 교육정보부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 교육정보화의 핵심부서로서 교무업무지원관리, 인터넷 서버관리, 네트워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학교 홈페이지 관리, 소프트웨어 구입 및 관리, 교원정보화 연수 등은 타부서에서도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6)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운영함에 있어 교육정보화를 선두에서 이끌어 가야 하는 부서인 교육정보부 교사의 교내인사는 학교실정에 맞는 적절한 인원 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developed the 'School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has been distributing it to each school, which has led to the change of the organization of school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which has newly appeared in the organization of school affairs, is related with many other departments. Consequently, the business of the department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ones of other departments and too much work is assigned to it. The reality is that the department is unable to play it's own role because of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lear borderline in business between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others, and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in school busines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both literature study and survey were done. The survey was aimed at teachers, assistant principals, and principals serving at public middle and highschool in Bu-chon, and Shi-heung. For this task,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and distributed to the randomly sampled 515 teachers from 28 schools in total, 3 middle schools and 3 high schools in Shi-heung, and 12 middle schools and 10 high schools in Bu-chon.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rocessed by computer, using the SPSS/PC+ program, and x²test(chi-square) was carried out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groups.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data are as follows; (1) As for the operation of the School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is being operated actively in schools and teachers feel need for educational informationalization. (2) With regard to operating the School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ome regulation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fficiency of work which will prevent a specific department from taking too much work and help the teachers to devote themselves to teaching, their proper and prior job. (3) When operating School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t is proper that the business of the school register, remove, organization of class, and students' school life record is given to the instruction department, processing and management of grade to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the management of students' health record to the department of the physical education. (4) For the School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o be virtual help for reducing the teachers' workload, School-Business Aiding System should be used actively through teacher training whenever possible, and eas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every teacher to be able to make convenient use of them. (5) For the business regarding computer not to be solely assigned to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it should focus on the management of school-business aid, internet server, and network while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home page, software,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informationalization should be dealt with by other departments. (6) The number of the staff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who should lead educational informationalization with the School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ould be determined proper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each school faces.

      • 사립중등학교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조순옥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1695

        세계가 국제화시대로 접어들면서 대부분의 주요 선진국들은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 자율경쟁체제를 도입하는 등 교육 개혁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창의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교육정책의 기본 방향을 재정립하기 위한 제1차 교육개혁방안을 1995년 5원 31일에 공포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 분야 중에서도 사학(私學)의 학교운영전반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문제를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학의 변천과정을 시대별로 고찰하고, 학생선발, 교원의 인사, 교육과정 운영, 교육재정, 교육의 질적 관리 등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학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미국, 영국, 일본, 호주 4개국의 사학 제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학제도와 관련된 국·내외의 선행 연구보고서와 관련전문서적들이 분석되고, 인터넷 자료가 활용되었다. 우리나라 사학의 변천과정을 고찰한 결과, 우리나라의 사학은 일제시대에 일본에 의한 탄압과 통제로 축소되었으나, 해방을 맞으면서 급속히 늘어나는 교육인구의 수요를 해소하기 위하여 그 수가 급격히 늘어났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학교의 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사립학교설립기준이 완화되었고, 이로 인해 사립학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사립학교가 부실하게 운영되는 등 사립학교운영 전반에 결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1961년 8월과 9원에 사립중·고·대학에 관한 「감시 조치법」및 「교육에관한임시특례법」을 제정하였고, 1963년에는 「사립학교법」을 제정하였다. 또한 당시 중학교입학으로 과열된 입시경쟁을 해결하기 위해 1969년에 중학교의 무시험추첨입학제도, 1974년에 고등학교 연합고사에 의한 추첨제입학으로 평준화제도가 도입되는 등 사학에 대한 동제가 강화되었다.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주요선진국들에서 교육개혁 조지가 강화됨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도 교육정책 및 교육여건의 정비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강하게 인식 하였고, 이에 따라 정부는 1995년에 ‘5·31 제1차 교육 개력 방안을 공포하였다. 이것은 기존의 획일적인 교육정착적용과 방향을 크게 벗어나 수요자 중심의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학이 설립이념에 맞는 교육목표를 수립하고 자율적이고 창의적으로 학교운영을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주었다. 그렇지만 갑작스런 교육개혁으로 인하여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생겨나게 되었으므로, 이런 문제점들은 우리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우리나라 사학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평준화정책을 수정·보완해야 하고, 사학교원들의 신분보장제도가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수정·보완책이 필요하며, 학교재단과 학교경영자들에게 설립이념과 교육 철학에 관한 연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학교 단위의 학교운영위 원회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이 마련되어야하고, 제 7차 교육과정은 전면적으로 수정·보완하여 현실에 맞게 운영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사학법인의 재단 전입금을 늘리고 원조보조금을 줄여야 하며, 학생납입금을 자율적으로 책정해 야 하며 학교재정의 수입·지출 등을 투명하게 밝힐 수 있도록 법제화하여야 하고, 세제상의 혜택을 확대하고, 학비보조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사립학교가 국가나 지방으로부터 재정지원을 원하는 경우와 원하지 않는 경우를 자체적으로 선택하여 결정하게 하고, 그 결정에 따라 학교운영권의 부여정도가 차별화 되어야 한다. 학교 운영이 평가받은 후에는 그 평가결과처리에 대하여 해당단위학교에 재정적인 혜택을 포함한 다양한 해택을 부여하여야 하며, 평가결과처리로 발생할 수 있는 학교간의 위화감, 과열경쟁, 형식주의 등에 치우칠 수도 있을 부작용에 대한 수정·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당국의 정책 을 자문할 수 있는 법정 자문기구를 설치·운영하여야 하며, 정책을 공포하기 전에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기구를 법제화해야 하이, 논의 결과 등은 명확하고 신속하게 밝혀야 한다. 나아가 사립실업계고등학교를 활성화 시켜야 하며, 사학간 자율경쟁체제를 도입·강화하고, 자립형 사립고와 특성화 ‘고등학교’를 활성화시켜야한다. 「사립학교법」을 수정·보완하고,사학운영에 대한 건의사항을 정부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합법적인 기구를 설치하며, 책임경영제를 도입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사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정책적 차원의 뒷받침과 사학의 자체적인 자구책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에서 판단해볼 때, 사립학교는 우리나라 교육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의 발전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므로 정부는 사립학교가 설립이념과 교육목적에 맞추어 효율성을 추구하는 학교운영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차원에서 조성·지원해 주어야 하고, 사립학교도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학교를 운영하도록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As the world becomes internationalized much more, most of the advanced countries are attempting to reform their educational systems, for example,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according to demands" and the autonomic competition. Korea announced the First Educational Reform Plan concerning the fundamental directions of the educational policies on May 31st in 1995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ies of education and to cultivate the creative young people. Trying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private schools, this report has researched into the transformation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present conditions such as students selections, personnel managements of teachers, curriculums, educational finances. At the same time, this report has studied on the private educational systems of USA,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Australia to get the hints on the development of private school systems. A lot of reports, textbooks and internet materials were used to get informations on this subject. While the private schools had decreased owing to the suppress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y were rapidly on increase to meet the educational demands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However, the rapid increase of private schools produced a lot of problems, as they had been founded on weak bas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Korean government proclaimed "The Supervision Act on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on August in 1961, "The Provisional special Act on Education" on September of that year and "The Act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had 6 chapters, 74 articles and the supplement. Furthermore, the lottery system for middle school entrance and the leveling system of high schools have been introduced in 1969 and in 1974, by which the government could strengthen the control on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s the advanced countries promoted their educational systems in the 1980's,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the necessities of reformations of the education systems and proclaimed the 5·31 First Education Reform Plan in 1995, which made possible the escape of uniform education policies and the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education to satisfy the needs of the educated. However, the sudden reforms resulted in a lot of problems, which must be solved in the future. The educational systems of private schools must be developed in the following directions. The leveling systems should be revised and supplemented, while the guarantee systems for teachers should be reformed. For the same time, the introduction of training system for the private school managers would be advisable to help them understand the establishment ideals and the educational philosophy more clearly. The education committees should be activated and the 7th Educational Plan should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be adapted to realities. The foundations of private schools should increase the financial supports for schools to reduce the aid from the government. The schools must have the right to decide on the school fees, and the finance of schools must be legislated to make public the incomings and outgoings. In addition, the benefits of the taxation system should be widened, and the assistance systems of school fees must be introduced. Furthermore, the private schools should have the right to decide if they are subsidized or not, which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cope of the school management. A variety of benefits, including the financial one, should be bestowed to schools, after the appraisal for schools. The solutions to mitigate a sense of incongruity and the excessive competition should be prepared. The consultative organs should be established to advise on the policies of educational authorities. And the discussing body,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legislated, while the results should be made public clearly and rapidly. The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be activated, while the autonomous competition systems must be introduced and strengthened. "The Act of Private Schools" should be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there must be a body through which the proposals for the management of private schools could be transmitted to the government. In conclusion, th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the spontaneous efforts of private schools should be harmonized. Judging from m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Korea, the private schoo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in the educational spher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private schools with policies and systems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embody the founding ideals and the educational objects. At the same time, the private schools should make active efforts to accomplish their founding aims more effectively.

      • 중학교 특기·적성 교육 실태 및 개선 방안 탐색 연구

        심순섭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1695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활동은 과다한 사교육비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 계발 및 보충·심화 교육 등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고 바른 인성을 정착시키며, 학교의 시설 및 인력 활용을 극대화할 목적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재 정 지원 아래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거의 모든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다. 아무리 좋은 목적을 가진 교육시스템이라 할지라도 직접적인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교육공급자인 교사는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특기·적성 교육의 현황을 탐색하여 특기·적성 교육의 효율 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재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특기·적성교육에 대해 중학교 교사 및 학생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중학교 특기·적성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중학교 특기·적성 교육의 개선 방향은 무엇인가? 연구의 방법으로는 경기도 남부지역중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지역에 위치한 학교를 각각 2개씩 무작위로 표집하여 중학교 교사 265명과 학생 128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중학교 특기·적성에 관한 중학교 학생 및 교사들의 인식, 중학교 특기·적성 운영 실태 및 특기·적성에 관한 개선방향에 관한 문항을 자작 구성하여 활용하였으며 구성 결과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하여 분석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및 교사들은 특기·적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기며 학생의 특기와 적성계발, 능력향상 및 진로지도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 하였으나 전반적인 교육현황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하며 사五육비 감소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부서와 수업시간의 다양함과 좋은 프로그램 구비가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특히 중소도시.. 학생들이 대도시 및 읍면 지역의 학생에 비하여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둘째, 특기·적성 지도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는 해당 프로그램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가장 필요하다고 여기나 특기·적성 교육에 관한 연수를 받은 지도교사는 15%정도이다. 또한 특기·적성 교사로 참여를 해보았거나 현재 참여하고 있는 교사는 전체의 24.5%가 되나 참여한 활동에 대해 만족하는 교사가 30%내외이었다. 지도하는데 문제점 및 애로사항에 대해서는 특기·적성과 관련된 다른 업무가 많아 지도를 위한 자료준비가 힘들다고 느끼는 교사가 73.8%가되었다. 특기·적성교사로 참여하고 싶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다른 업무가 많아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해서가 가장 많았다. 셋째, 특기·적성 교육 지도교사의 구성은 대도시로 갈수록 외부 강사가 많았으며 중소도시 및 읍면지역으로 갈수록 학교교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한편 특기적성교육담당을 담당했던 선생님은 전 체의 24.5%로 나타났으며 선생님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수업 업무를 경감시켜야 한다고 인식하는 교사가 56.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사의 연수기회 제공 34.7%, 지도비 인상 6.O%, 인사상 우대 1,1%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기·적성 교육에 대해 평가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는 21.1%밖에 되지 않았다. 평가의 방법은 부서별로 자율적으로 하는 방법이 가장 많았고 또한 발표회개최, 설문지 조사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형식적인 평가에서 벗어나 주기적인 평가와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의 개선에 노력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 사한다. 여건의 미흡만 탓하지 말고 주어진 여건에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적극적인 자세와 함께 운영체제 개선을 위한 주기적인 평가 및 피드백 시스템을 구안·적용할 때 보다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관리자의 관심과 담당교사의 노력이 따라야 할 것이다. 다섯째, 중소도시의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대도시 및 읍면지역에 비해 관심도, 필요성, 특기 및 적성계발에 미치는 영향, 참가호응도, 장소의 만족, 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등의 요소에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중소도시에 비해 대도시는 외부강사중심의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읍면지역은 특기·적성 교육을 희망하는 학생에 대하여 국가에서 무료로 교육을 해주고 있다. 그러나 중소도시는 수요자의 경비로 특기·적성 교육을 운영하면서도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 및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중소도시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및 지도 교사 및 강사에 대한 유인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특기·적성 교육환경 및 시설에 대해 학생 및 교사들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 사교육을 효율적인 공교육으로 전환시켜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일반 학원만큼의 공간적·물리적 시설환경 및 기자재시설을 구비하려는 재정적 뒷받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특성화 및 전문화된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다. 이미 시행하여 효과를 보았던 과정의 프로그램이나 좋은 자료를 발굴하여 인터넷 온라인상의 각 시·도 교육청에 탑재하는 방법이다. 현장의 일 선 교사에게 특성화·전문화된 각종 프로그램 및 자료를 손쉽게 제공하여 공유함으로써 특기·적성 교육의 일반화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문 강사를 구하기 쉽지 않은 중소도시 및 읍면지역에 특성화 및 전문화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지역간 교육의 양과 질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먼저 교육공급자인 교사 및 강사가 담당분야의 전문인이 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연수경비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금이 있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담당 교사의 업무 부담 감소의 노력도 함께 경주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효율적인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되기 위해서 공간적·물리적 시설환경 및 기자재시설의 확보를 위해 정부차원의 재정적 뒷받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강사들을 대상으로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의미, 목적, 운영 방법, 효과 등에 대한 주기적인 연수 와 회의 및 공동 연구실을 마련하면 수업준비 및 학습 자료 제작 등 교수 활동에 필요한 정보의 교환이 보다 더 쉽게 이루어 질 것이다. 특히 사교육을 접할 기회가 많은 도시에 비해 기회가 적은 읍면지역의 학교는 유능한 강사의 초빙이 힘들어 주로 학교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사 및 강사참여의 활성화를 위해 읍면 지역은 강사비를 차등지급하고 시설확충을 위한 보완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넷째, 수강 후 성취감을 맛볼 수 있도록 다양한 특기·적성 교육 발표 기회 제공이다. 특기·적성 교육을 받은 학생이 자신의 특기와 소질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는 학생들의 성취감을 고취시키고 자아 존중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더불어 특기·적성 교육 발표 지역대회에 참가하여 입상한 경력이 중요한 특기자들의 중요한 고입·대입 전형자료로 활용되면 특기·적성 교육이 크게 활성화 될 것이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operated in middle school, to identify its problems and to prepare the improvement measures. The study focus are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actual state of middle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y. Second,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understand of the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y. Third, how can the improvement measures be prepared, focusing on the problems detected by from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state of the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y. The study investigated 265 teachers and 1289 students in 8 middle schools located in Kyung-gi Province. Measuring tool is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5 questions requiring choice or open-ended answer and 15 questions of 5 point Likert criteri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ata type in frequency, percentage, F-test, t-test and x^2-test. The program used was SP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d positive views on the necessity,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School Extra Activity for Talent. But they recognized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 of class are not so good and it didn't reduce of the fee which was the private lesson or institute. Second, about 85% of the guidance teachers had never taken required training, and this way they lacked expertise. To enhance their expertise, more training courses should be offered. And 24.5% teachers were had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alent and Aptitude classes among all teachers who answered this questionnaire. Also there were at least 30% teachers among them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activities. Third, the composed of teachers are some different. It mainly consists of instructors who are not school teachers m as a teacher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alent and Aptitude class of in big city. But there are chiefly school teachers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alent and Aptitude class in the small city and country. Fourth, only 21.1% of the guidance teachers had taken appraise during and after class. The method of it is mainly self autonomy in each class, to have special events to show up and through the paper which has questions to express out their opinions. Fifth, students who are in small city had negative views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alent and Aptitude. Because the big city has many kinds of classes and guidance teachers. Also there is free class which is charged in Nation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alent and Aptitude in the local, country area. Comparing with other areas the small city doesn't have good merits. Sixth, the quality of the relevant school programs was considered less by all the groups than that of the programs by private education institute. In addition, the school programs lacked diversity. Therefore, school needs to develop multiple, better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above,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specialized and characteristic programs and log on the Internet. Second, it is essential to effort continuously so much to be an expert as a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alent and Aptitude guided teacher. For the problem of teacher's poor expertise, lots of training should be given to teachers so that they could strengthen their expertise, and teachers should voluntarily try to develop their skill too. It is necessary to aid their fee in Educational Affairs. Third, as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hindering factors, the problem of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school facilities should be solved out by expanding budget to enlarge the informa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from the effort of school and government level 80 that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y could be active.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many kinds of express chances to the students who are in and after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alent and Aptitude class. It will be a very good chance to have much achievement and self-esteem. Also if the awards which are concerned about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alent and Aptitude have influenced the entrance of examination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alent and Aptitude will be spread over.

      • 초등교사의 정보소양능력에 관한 연구

        박춘선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1695

        21세기는 인간의 창의력에 바탕을 둔 두뇌의 힘이 개인, 조직,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결정하는 지식기반사회이며, 지식기반사회의 중요한 부분을 국민의 정보화 능력이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열린 교육과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통한 창조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 개혁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과 기반이 교육정보화이다. 이에 따라, 초·중등 각 학교에 교육정보화의 근간을 이루는 물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물적 기반이 갖추어졌다 하더라도 이를 운영하는 교사의 정보소양능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정보화의 발전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교사의 정보소양능력의 정도와 이를 수업에 활용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정보소양 능력은 연령 및 성별, 직급에 따라 어떤 차이점 이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에서 교수-학습활동에 정보화의 활용정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론적 기저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서울시교육청에 소속되어 있는 초등교사에게 1000매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는데 자료처리가 유효한 응답자 수는 735이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지식·정보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성별, 직위, 연령, 담당학년 등 범주변수에 관계없이 대체적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원의 정보소양 능력은 정보화에 대한 관심도의 정도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퓨터의 기본적인 활용능력은 갖추고 있으나 응용 소프트웨어나 기타 컴퓨터 주변장치가 전문화 될수록 활용능력은 감소하는 결과로 나 타났다. 셋째, 범주변수 간의 유관성 검사를 동해 몇 개의 문항에서는 성별에 있어서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담당학년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정에 컴퓨터를 보유하고 모뎀이나 전용선으로 연결하여 인터넷을 활용할수록 상대적으로 정보소양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수. 학습에서의 활용정도는 교사의 활용능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E-Mail이나 인터넷 대화방 등을 통한 교육지도나 상담 활동은 그 수치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결과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면, 정보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는 상당히 높으며, 기본적인 정보소양능력도 갖추어졌으나,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능력은 아직도 미흡 하며 특히, 교수-학습에서의 활용정도는 다소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직도 초등교육에 있어 on-line 학습보다는 off-line학습에 치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터넷의 빠른 보급과 확산으로 우리 교육시장은 인터넷 사이버 교육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학교 교육은 인터넷으로 하는 원격교육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교과서는 전자교과서로 대체돼 off-line교육은 on-line교육으로 급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교사의 정보소양능력은 더욱 중요시 될 것이며 정보소양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21c century is a knowledge-based society where the brain power on the bases of human creativity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individual, an organization, and a nation is going to exist and prosper, and the nations' information ability is taking up a crucial part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Korea is promoting an education reformation to cultivate a creative man of ability through realizing an opened education and a lifelong education, and the critical basis and factor to make possible the education reformation is the information of education. Accordingly, material basis that bases the information of education were provided to each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However, if the teachers' knowledge of information ability dose not supports the material basis, operation of those facilities operation will be limited. To exam the standard of teachers' knowledge of information ability and the its usage level,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s have been fixed. First, what differences are there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of information ability according to age, gender, and position of duty? Second, to what degree dose teachers make use of their knowledge of information ability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documents and preceding studies in concern with the above research contents was analyz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and a survey was distributed to 1000 elementary teachers who are affiliated with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material, collecting 735 of valid questionnaires.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bove process. First, regardless of gender, duty position, age, and charged grade of class, respondents were overall fully cognizant of the interest and necessary of the knowledge-information education. Second, teachers' knowledge of information ability was not proportionate to their interest in information. Although respondents had an ability of basic computer usage, their usage ability decreased while the applied software or other related computer equipment is specialized. Third, through the contingence verification within categorical variables, respondents' knowledge of information ability was great in several questions as they were younger, were assigned to a higher grade of class, were using the computer in their house and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a modem or an exclusive line, as more of female teachers than male teacher in regards to the gender had more knowledge of information ability. Fourth, the usage standard in teaching and learning was poor considering the teachers' usage ability. Especially, the numerical value of education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E-Mail or the Internet chatting room was low. Considering all the contents, teachers were very interested in information education and had basic knowledge of information ability, but did not have sufficient ability in specific fields and especially low in using it on teaching and learning. This shows that the off-line learning is valued more than the on-line learning in elementary education. Due to the rapid provision and dissemination of the Internet, an era of the Internet cyber education has come into our education market, and the school education is changing to an Internet remote-education while the electronic books are replacing the textbooks making the off-line education alter into the on-live education. More importance will be attached to the teachers' knowledge of information ability and measures to enhance it are required.

      • 대안교육에 관한 교원의 인식 연구

        한중호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중등학교에서의 대안교육 대상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대안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이 설정되었다. 첫째,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대안교육운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대안교육 수요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대안교육 및 대안학교 설치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현 교사들의 대안교육운동에 대한 참여 의지는 어떠한가? 넷째, 대안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배경변인(성, 나이, 학교급)별 차이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지역 초등학교 4개, 중학교 5개, 일반계 고등학교 3개, 실업계고등학교 3개, 총 15개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질문지는 각 학교에 초등학교는 30부, 중·고등학교는 40부씩 560부를 배포하였다. 대상자로부터 441부의 질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자료 처리는 SPSS- PC^+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수에 따른 비율분석(%)과 x²검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들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대안교육 운동에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교육 형태는 농어촌 지역에 소규모 학교를 세워 자연 친화적이고 공동체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형태나 기존학교가 능력별 반 편성, 이동수업, 체험학습,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학교운영방식의 개편을 통해 교육하는 형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능력부족 학생이 학교 부적응 학생보다 수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안교육은 학업 외의 분야에만 관심을 갖는 학생을 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나타났다. 셋째, 대안교육의 내용은 인간성 및 사회성 개발교육을 선호하고 있으며 교과교육의·규제는 불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독립적 학교형태를 원하고 있지만 공공시설을 활용한 대안학교의 설치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안 학교교원의 자격은 자격증 제도가 필요하나 교과교육의 경우 기존 자격증 소지자도 가능하다고 나타났다. 그 경우 직전교육·훈련이 필요하고 교육 및 훈련비 일부를 정부에서 지원해 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안학교의 설립·운영비용의 일부를 정부에서 지원하고, 운영비용은 공립학교 수준 이상 지원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나타났다. 여섯째, 기존학교의 운영방법개선 방안으로는 교과별, 특기·적성별로 수준별, 능력별 반 편성 운영 및 전체 수업시수를 일정수준 감축하고, 감축된 시간을 학교가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하는 것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특수한 분야의 교육을 받기 원하는 학생들이나 학교 부 적응 학생에 대한 별도반/별도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필요하고, 종교 계열이나 사범대 부속학교의 선택권 부여도 긍정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일곱째, 자녀의 대안학교 선택에 대하여는 긍정적이나 자신의 전직은 현직을 보장받는 선에서 희망하는 소극적인 면을 보이고 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교사들의 대인교육운동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안교육 수요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대안교육 및 대안 학교의 설치·운영비용 및 대안교육을 담당할 교원 양성 등에 필요한 재 정직 지원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 나은 대안교육을 위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lans of alternative education which can educate effectively the students of alternative educational systems for the curren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our specific research subjects were set up as such: First, how is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alternative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plan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lternative educational schools that are able to serve the need of alternative education effectively? Third, how much do the teachers want to take part in the current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Fourth,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lassified by their backgrounds (sex, age, the kind of school)? To examine above subjects I made the questionnaires which 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consisted of the teachers of total 15 schools from 4 elementary schools, 5 middle schools, 3 academic high schools and 3 technical high schools. I distributed each elementary school 30 questionnaires, and each middle and high school 40 ones-total 560 questionnaires. After collecting 441 questionnaires from the objects I used SPSS-PC program for the data analysis. And I took statistics by ratio(%) according to frequency and the test of Chi-squa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this. First, most of the teachers at schools agree to the need of the currently discussed alternative educational system, and in which there are many kinds of models. The one example is a nature-friendly and community type education on a small scale in countryside. And another preferable type is one adapted from the current classroom situations like the same ability class organization, classroom-moving class, learning through experience, personality-development programs. Second, the students lacking scholastic aptitude are in need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more than the maladjusted students. And that means the more need of th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interested in the fields out of school contents. Third, the contents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is asked to hold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personality and sociability, and the regulation to the curriculum contents is surveyed not desirable. In the respect to the form of the school, independent style is preferred, however, adaptation from the public establishment is also positively considered. Fourth, concerning the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s, the separate license system is needed but in the cases of the each subject, current license is suggested to hold valid, in which cases, before-the-field education and the consistent training are asked, and the government subsidy seems to be asked. Fifth, it is surveyed that people want the government to subsidize the part of the budget for establishing and running alternative schools. And it is shown to be appropriate that. the subsidy should be above that of the current. public schools. Sixth, in the respect of the current school running system development, it is shown that people want the various kinds of class organization by the standards of subjects, specialty, aptitude and ability, and reducing the whole class numbers and the self-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are thought to be desirable. In addition to the above, for the students who want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and the maladjusted ones, the additional class and curriculum are surveyed to be necessary. And, the allowance of the free choices for the religious or teachers' college students is positively considered. Last, when the teachers' are asked the preference of the moving to the alternative schools, they responded rather passively on the condition of keeping the civil servant. positions, however, the alternativ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is regarded much more affirmative. Synthetically, teachers' recognition of alternative education is shown high. And the financial support i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teacher in charge of alternative education. The investigation of preferable alternative education will have to go on wide.

      •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 서울시 소재 중학교를 중심으로

        이종대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와 실천 가능 정도에 대한 인식,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이해수준, 실천 가능성, 효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학교설립별, 성별, 수업담당별, 교직경력별,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 횟수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조사 대상은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의 11개 지역교육청별로 공·사립 중학교 1개교씩 총 22개 중학교의 교사들을 표집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65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선행연구와 자료를 토대로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적합하도록 작성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 평균차 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x²(Chi-Square) 검증, 신뢰성 검증(Cronbach α), Scheffe의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를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내용에 대한 이해수준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평가에 대한 이해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수준별 교육과정, 특별활동, 재량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편제와 시간배당에 대한 이해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대한 이해수준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내용에 대한 실천 가능성 정도는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 가능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재량활동, 교육평가, 특별활동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편제와 시간배당에 대한 실천 가능 정도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대한 실천 가능 정도는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방안으로 교실 등 시설설비 보완과 학급당 학생수 감축 등 학교에 대한 효율화 필요성 인식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각종 자료의 발간 보급, 학교 교육운영비의 증액 등의 재정적 지원과 교원 증원 및 연수, 교원 양성체제 및 직무체계 개편 등의 교원에 대한 효율화 필요성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정책방향에 대해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부분 수정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에 대해서는 학교의 자율을 대폭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 전반에 대해 전면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먼저 기존의 교육과정관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새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시행을 유도하기 위한 여건 조성과 지원체제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새 교육과정의 실행과정과 실행실태를 조사·분석하여 문제점과 원인을 밝히고, 교육과정의 적합성과 실천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understanding, a recognition of possibility to implement and opinions on effective adn1inistration of curriculum of the Seventh Middle School Curriculum(below 7th MSC) in an object to seek an effective and practical way to implement the new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questions were set to verify effects of an establishment of school, the gender, subjects of teaching, a period of experience, a frequency of training in the 7th MSC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recognition of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and the opinions on effective administration. The researcher selected the teachers from total twenty-two middle schools as the subject of sample, choosing one public and one private school from each of eleven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under the control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final six hundred and sixt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tool of study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and data to fit the objectiv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mean difference analysis of two groups(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one-way ANOVA), x²(Chi-Square), the reliability analysis(Cronbach α), and multiple comparison of Scheffe were conducted with SPSS program. The major results, which have been analyzed by the study questions, were as below. Firs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7th MSC was high in general. Especially,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was the highest, and leveled education, a special activity, and a discretion activity were followed in order. Seco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ime distribution on the 7th MSC indicated high. Third, the organization and the management of school curriculum in the 7th MSC indicated high in general. Fourth, the teachers' recognition of possibility in implementing major revisions in the 7th MSC was generally low. Especially, the leveled education marked the lowest possibility in its implementation, and the discretion activity,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special activity were followed in order. Fifth, the level of possibility of implementing organization and time distribution of the 7th MSC were moderate. Sixth, the level of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organiza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school education in the 7th MSC was appealed to be generally low. Seventh, as a way of effective administration of the 7th MSC, methods to improve efficiency of school, such as increasing number of classrooms and other facilities, and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were mostly recognized. Next, suggestions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7th MSC, such as issuance and supply of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financial support to increasing educational operation cost of schools, an increase of teachers and training courses, a reorganization of teacher training system and duty were also highly recognized. Eighth, for the policy of the 7th MSC a partial modification and a revision about the leveled curriculum were suggested, and opinions on expanding authority of schools on the discretion and the special activity were largely emerged. Also, overall revisions on the 7th MSC were appealed to be necessar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7th MSC, suggestions were made as below to effectively carry out new education curticu1urn. First, the teachers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to slough off existing education curriculum. Second, the development of condition and support system to induce effective implication of new curriculum should be accomplished. Finally,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actual condition of new curcicu1urn, problems and causes should be verified, and method to increas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and appropriateness of new curriculum should be sought. For this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followed.

      • 學級經營에서의 意思決定 制約要因에 관한 硏究 : 서울특별시 人夫系 高等學校 中心으로

        지윤섭 (池允燮) 弘益大學校 敎育經營管理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1695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teachers should escape from class-management that is simple and standardized and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ities and abilities, they must instruct effectively and reasonably. Through this course, teachers should decide their reasonable and creative intentions, which can influence on students' future and are connected with national competition. This study is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effectively by minimizing factors that are restricted in the course of making decision-intention for reasonable and effective class-management. Question-survey is carried out on 350 teachers of 20 high schools in Seoul, Korea. Among them, I collected question-papers again and analyzed them by using SPSSWIN 11.0. As teachers are diverse, I divided them into genders, experiences, ranks, and many restricted factors a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 factors in school, factors out of school.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goes. 1. Teachers are more restricted by factors in school and out of school than by individual ones. 2. In individual factors the problem of household, one's own interests except beliefs and values don't influence greatly on decision-making of teachers. 3. Male teachers are restricted to students-directions because of rank-raising such as transferring and promoting. This tells us that we need systematic devices and improvement for school education only. 4. Among factors in school, the degree of restriction is high due to authoritative system, the lack of information and material, precedents and practice. In this situation, supporting system of flowing information and material swiftly and transferring of authority resolutely are needed naturally. 5. In the case of male teachers, reasonable decision-making is restricted due to the personal relationship with principal and vice-principal. 6. In decision-making of teachers, teachers are sometimes restricted by human relations between colleagues, the scanty of time, the deficiency of school budgets. 7. In factors out of school, teachers are greatly restricted by administrative direction from superior offices, overworked task given from things out of school, traditions and practices in community. 8. Teachers are sometimes restricted by educational laws in current, social opinions, political atmosphere. 9. In high school, because most of task is made of same grade units, creative decision-making and characteristic class- management are greatly restricted. 10. Teachers are sometimes restricted by other factors such as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health, religion, overcrowded class, large-scale school, personal gaps of students, and so on. Accordingly, to do class management reasonably and effectively through creative decision making of teachers, we should change authoritative system into democratic system for having many chances of discussion, and provide information and material for teachers in order to get rid of trial and error. In addition, teachers should enhance professional knowledge steadily through self-training and self-learning. Finally, superior office should minimize administrative directions for teachers to spend more time doing class management. 교사들은 학교의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학급경영에서 학생의 개성과 능력에 알맞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지도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들이 내리는 의사결정은 학생의 미래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과도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들이 학급경영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위한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제약을 받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이를 최소화하여 교육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20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325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WIN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사결정의 제약요인을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가치관,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 가정 사정, 자신의 신분상승, 이익 관계 등 개인적인 요인과 학교 내의 권위주의체제, 정보와 자료의 부족, 관행이나 선례, 동료교사와의 개인적인 인간관계, 시간의 부족, 학교 예산의 부족, 교장 또는 교감과의 의견대립 시 자신의 의견 수용관계 등 학교 안에서의 요인, 상부기관의 행정 지시 및 지표, 학교 밖으로부터 주어지는 과다한 업무, 현행 법규, 지역사회의 관습과 전통, 이익단체 및 학부형의 의견, 사회적 여론, 정치적인 분위기, 교직단체 등 학교 밖에서의 요인으로 나누어 고찰 하였으며, 각 요인별로 교사들의 성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에게는 개인적 요인보다는 학교 안 요인, 학교 밖 요인이 더 큰 제약이 되고 있다. 둘째, 개인적 요인에서 신념과 가치관을 제외한 가정 사정, 자신의 이익관계는 교사들의 의사결정에 크게 작용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남교사의 경우 전직이나 승진 등의 자신의 신분 상승으로 인하여 학생지도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는 교사들이 학생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개선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다. 넷째, 학교 안 요인에서 권위주의 체제, 정보와 자료의 부족, 관행이나 선례로 인한 제약정도는 매우 높다. 과감한 권한 위임과 신속하고도 원활한 정보와 자료의 지원체제가 요망되고 있다. 다섯째, 남교사의 경우 교장, 교감과의 개인적인 인간관계로 인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제약이 되고 있다. 여섯째,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 시간부족, 예산부족은 가끔 교사들의 의사결정에 제약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교 밖 요인에서 상부기관의 행정지시 및 지표, 지역사회의 관습과 전통, 과다한 업무로 인한 제약은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다. 여덟째, 교육관련 법규, 정치적인 분위기 사회적 여론은 가끔 교사들에게 제약이 되고 있다. 아홉째, 고등학교에서 대부분의 업무가 동학년 단위로 획일적으로 이루어지는 관습은 창의적 의사결정과 특성 있는 학급경영에 제약이 되고 있다. 열번째, 그 외교사들의 의사결정에 제약이 되는 요인으로서 전문지식의 부족, 건강, 종교, 과밀학급, 과대학교, 학생들의 개인차 등이 있다. 따라서 교사들이 창의적인 의사결정으로 학급 경영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위해서는 학교안의 분위기를 권위주의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바꾸어 대화와 토론의 기회를 많이 만들어 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또한, 정보와 자료를 많이 제공하여 시행착오를 겪는 일이 없도록 하고, 상부기관은 행정지시를 최소화하여 교사가 과다한 업무로부터 벗어나 학급경영에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줌이 바람직해 보인다. 한편, 교사는 자기연찬과 연수를 통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꾸준히 향상시키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퇴직교원의 교육활동 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

        김희수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교직에서 전문적 경험을 쌓고 퇴직한 교원을 교육활동에 재참여하게 함으로써 고급인적지원을 활용하고 그들의 전문성을 사장시키지 않으므로 퇴직교원의 복지를 향상하고 현직교원의 정서적 안정감을 높이며 그들의 사기를 앙양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퇴직교원의 교육활동 재참여의 필요성과 참여 가능 분야 및 참여방안, 그리고 교육활동 재참여를 위한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교원의 요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경기도와 서울시내 초?중?고등학교 교사 37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퇴직후 생활준비 활동에 대한 영역(6문항), 퇴직교원의 교육활동에의 참여(14문항), 퇴직준비 교육에 대한 요구(5문항) 등 25문항을 구성하여 활용하였으며 응답형태를 다양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문항별로 반응빈도를 조사한 후 백분비를 산출하여 대비하고 문항별로 분석 종합하였다. 그리고 항목별로 빈도차를 검증하기 위해 x2(Chi-Square)를 산출하고 그 유의도 수준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원들이 퇴직 후에도 할 일이 보장된다면 현재의 생활에 활력을 주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갖게 된다.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해 정서적 안정감이 필요하며 특히 인간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에게는 필수적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이를 위해 퇴직교원의 교육적 재활용은 필요 불가결한 요소이다. 둘째, 정년제는 조직 발전을 위한 신진대사를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전문적 경험을 쌓은 교원의 경우에는 퇴직 후 건강하고 능력이 있다면 그들이 쌓은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한 일이다. 셋째, 청소년 문제는 오늘날의 많은 사회문제 중에서 그 심각한 정도를 더해가고 있다. 또, 근로 청소년의 교육 및 생활지도도 중요한 사회교육 문제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점에서 퇴직교원을 학생들의 인격적 성숙을 위한 교육에 활용토록 한다. 넷째, 퇴직교원의 활용은 현재의 사회문제(노인문제, 청소년문제 등)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사회상태를 만드는데도 도움이 된다. 또, 현직교원들도 퇴직교원을 활용하는 제도마련의 필요성을 상당수(55.8%)가 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도가 마련 되었을 때 93.4%가 참여를 원하고 있다. 다섯째, 퇴직교원을 활용하는 제도로서 도입된 평생교육요원의 개념은 교원자격증을 소지한 퇴직교원 중에서 선발, 임용된 자로서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및 성인의 인성교육을 담당하는 자라고 정의한다. 또한 평생교육원은 퇴직교원 모두를 임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자격요건을 두어 엄격하게 심사하여 선발한다. 평생교육요원의 보수는 그들의 노력에 대한 소정의 금액이 지급되어야 한다. 보수를 지급함으로써 그들의 전문적 경험에 대한 사회적 안정을 해 주어야 한다. 여섯째, 평생교육요원은 그들의 전문적 경험에 적합하게 활용되어야 한다. 즉, 그들의 교육 경험은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활용되어야 한다. 일곱째, 교원들은 퇴직준비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고(94%) 평생교육차원에서 퇴직 준비교육을 지속적으로 장기간 실시해 줄 것을 요구한다. 퇴직교원을 교육적으로 재활용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노인복지정책이나 퇴직공무원 후생복지 정책 차원 이상의 경제적 정책이고 교육투자정채임을 정부, 교육관계당국, 국민 모두가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퇴직교원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제도를 새로 도입하는 것은 교원의 사기를 앙양하고 올바른 청소년 교육에 대비하는 제도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퇴직교원을 평생교육요원으로 재가동하여 충효교육, 예절교육, 인성교육, 자연보호캠페인 등을 주도하고 문제 학생들에 대한 상담을 맡으며 적성검사, 생활지도, 안전지도 등 교육의 일부분을 맡아 퇴직교원들이 현직교사들의 든든한 협력자가 되는 것은 고급인력의 재활용, 전문성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국가사회에 교육적, 경제적으로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며 이는 재직시 2세 국민을 교육시킨 교원으로서 당연히 맡아야 할 의무이며 본분이 아닐 수 없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at to draw up a plan, which encourages the present teachers, raises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improves retired teachers' welfare, through making retired teachers to rejoin in education activity, To achieve the object, the necessity of retired teachers' rejoin in school activity,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fields, plans to take part in, and requirement of teachers in education of retirement preparation for rejoining school activity are considered. The method of study is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f 3? teachers, who are occupying th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Kyonggi-do and Seoul. And questionnaire is composed and utilized with 25 questions, which of them deal with the field of providin for their old age after retirement, 14 of them treat of taking part in education activity of retired teachers, and 5 of them are about demand on education of retirement preparation. Also it varies form of answers. Collected materials are calculated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After examining the response frequency by each item, it is set against calculated percentage, and the result is analyzed and synthesized by items. In addition, to verify the frequency difference by items, % 2(Chi-Square) is calculated and its significant level i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if teachers had guaranteed work place, their life would be enlivened and have well-balanced mind emotionally, In order to 80 along with other people, especially teachers, emotional stability is indispensable concern, because they take charge in human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al reappointment of retired teachers is requisite factor. Second, the regulation of teacher retirement ae is needed for rejuvenate of organization. However, if a teacher is health and has professionalized capacity to teach student, it is desirable socially to be remained with their experience in education field. Third, among many social problems, juvenile problems are being more serious. Also, education and guidance of working juvenile is one of the social education problems. In this point of view, retired teachers can educate student's character building. Fourth, reappointment of retired teachers also can arrange the present social problems - labor problems, juvenile problems and 80 on - and help to create desirable social environment. In addition, 55.8% of incumbent teachers also agree with the necessity of reappointment system, and if that system is prepared, 93%4% of them want to take part in. Fifth, concept of the long-life education personnel, which is the other plan to reappointment a retired teachers, is defined a person, who charges character education of teenagers and adults in school and community, as selected teachers among the retired teachers that hav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The long-life education personnel are selected strictly with regular necessary condition, not to appoint all retired teachers. The long-life education personnel should be supplied with suitable amount of money on their effort. As payment, their specialized experiences have to be acknowledged. Sixth, the long-life education personnel should be properly used as their experience. Namely,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must be used to obtain education achievement in school and community. Seventh, 94% of present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y demand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education of retirement preparation continuous from the long-life education point of view. Introduction a system of retired teachers' reuse educationally is economic policy beyond elderly persons' welfare policy or retired government employees welfare policy, and government, education bureau, and all the Korean nation should recognize that policy is educational investment policy, Also, introduction a system will encourage the teacher, and prepare the right juvenile education. After reappointment of retired teachers as the long-life personnel, they make to lead loyalty and filial piety education, propriety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and protection of nature environment. Also, when the long-life personnel undertake consulting the juvenile in trouble, students' living guidance, aptitude test, and safety education, they can be rel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