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대미 사회-정치 인식 변화: 1960-1991년의 『조선중앙년감』을 중심으로

        WARD ROBERT PETER CHISHOLM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3

        North Korean official perception of the US society and politics is very important given what an significant role anti-Americanism plays in North Korean state identity. Yet it has largely remained neglected as a topic of research both in South Korea and elsewhere. Up to now, most research on North Korean official discourse on the United States has focused on other issues like the social reproduction of anti-Americanism inside North Korea, the portrayal of the United States as an acto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view of the United States as an imperial. The North Korean view of US society and politics within its broader ideology of anti-Americanism has remained largely unstudied. This article seeks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by focusing on how US society and politics are depicted in a particular official North Korean source: The Korean Central Yearbook. This source is published yearly by the state's wire agency, which makes longitudinal, qualitative analysis easier to do systematically. The period under analysis here is 1960-91, and this period was chosen because this is when Kim Il-sung, having faced Soviet and Chinese intervention in North Korean internal affairs, sought to distance the country from its erstwhile backers. North Korean discourse in this period with respect to US politics and society are quite consistent, with little change noticeable change in how ruling US elites are depicted. Conversely, in North Korean discourse, perceptions of US society become less positive, with less hope put in revolutionary/progressive forces, and more emphasis on the 'diseased and rotten' nature of US society as the period goes on. The latter may speak to loss of hope in 'progressive' social forces in the United States on the part of the North Korean elite. 반미주의를 국가 정체성의 기본적 요소로 삼은 북한에게 있어 미국 정치 및 사회에 대한 인식은 중요하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반미주의의 사회적 재생산, 역사적 배경, 주한미군 그리고 소위 미제국주의 등 북한 공식 담론의 다른 요소에 초점을 맞추었다. 북한 공식 담론에 있어서 반미주의를 구성하고 재생산하는 대미 인식에서의 미국 사회 및 정치에 대한 인식을 다루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아 온 북한 담론의 미국 사회 및 정치에 대한 담론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다. 담론의 실체 및 변화를 주기적으로 파악하는 데에는 북한 관영통신사인 조선중앙통신에서 매년 출간하는『조선중앙년감』을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1960년대에 접어드는 시점, 즉 북한이 독자적 외교노선을 취하게 될 때로부터 1990년까지의 북한 대미 정치-사회 인식을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아, 김일성 시대의 대미 인식 변화를 밝히고자 한다. 이 시기 동안, 북한 담론에서의 미국 정치에 대한 논의는 일정한 일관성을 지니며 미국 지도층에 대한 비난의 논조 및 내용에서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다. 반면에 미국 사회에 대한 인식은 시기별로 변화가 보이는데, 이는 미국 사회의 진보세력에 대한 북한의 희망이 감퇴되어 가는 현상 및 북한의 사상 변화로 해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