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ursuing equity in education : Rethinking affirmative action praxis for university-based meritocracy in indonesia

        Tanesab, Janiscus Pieter Sungkyunkwan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47359

        인도네시아의 포괄적인 교육 관리, 특별히 고등 교육에 대한 접근, 참여 및 성취의 불평등을 완화하려는 노력은 그 의도한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교육 시스템의 불균형은 인종, 성별, 사회경제적 편견 뿐 아니라 성취도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전국의 불공평한 학업 및 관리 시스템에도 존재한다. 지리적으로도 인도네시아 동부와 서부의 고등 교육 기관 간의 불평등도 여전히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염두에 두고 인도네시아 정부는 2030 년 UN 교육 지속 개발 가능 목표 (UN SDG4)를 위한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이라는 글로벌 비전과 함께 스마트 교육 혹은 양질의 경쟁력 있는 교육을 시행하기위한 전략적 사명을 내놓았다. 다만, 이 전략은 이질적인 전국의 각 군도 전체가 단순하게 추구하기 어려운 과제이다. 학업적 관점에서 일부 대학생 집단 중 특별히 AA (Affirmative Action) 정책을 통해 고등교육에 참여하였으나 기술이나 창의력 및 경쟁력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공평한 학업 과정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성과 위주의 AA 시스템이 AA 성과를 높이고 기대한 결과물들을 도출하기에 그 영향력이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정책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입학과정에서 주어지는 AA 장학금 정책의 결과적인 성과를 다루었다. 그러나 해당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집단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교육 시스템에서 성과 중심 학업 과정의 역할과 결과물 도출을 위한 성과 중심 입력의 포괄적인 관계를 신중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을 포함시켰다. 1) 성과 중심 학업 학습 과정의 매개 역할을 통해 학업 성취도에 대한 성과 중심 AA 입력의 효과에 관한 조사. 2-a) 학업 협력의 매개 역할을 통한 학업 성취도에 대한 성과 중심 학습 과정의 효과에 관한 조사. -b) 고등 교육 상 성취도에 대한 학업 협력의 직접적인 영향에 관한 조사. 3) 성과 중심 AA 시스템을 촉진하고 방해하는 요소에 관한 조사. 4) 인도네시아의 고등 교육에서 효과적인 성과 중심 AA 정책을 위한 가능한 행동 안건 제안. 본 연구는 John Rawls 의 두 번째 정의 원칙을 신 공공 행정 (NPA)의 현 사회적 형평성에 적용하였고, 포함된 요소는 공정성, 성과의 질, 성취도 및 Moore 의 공공 가치관리 (PVM) 등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민주주의와 교육의 이론과 현대 교육을 위한 변화 학습 업무, 사회 혁신 및 교육 경쟁 이론(협력-경쟁) 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연구를 설계하였고 실증적 및 사례 연구의 두가지 방법으로 연구를 각 장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 연구 방법인 사례 연구와 관련하여 교육 공평성에 대한 통계적 자료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표본은 인도네시아 동부 쿠팡이라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Nusa Cendana 대학(UNDANA) 등의 공립대학 중 인니 정부 장학금 제도 중 하나인 Bidikmisi를 시행하고 있으면서 성과 중심의 AA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대학은 성과 중심의 포괄적인 학업 과정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힘쓰고 있었기에 본 연구에 필수적이었다. 실증 연구의 검증을 위해 UNDANA 학부생 중 AA 정책 중 하나인 Bidikmisi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총 330 부가 회수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모형과 학업적 형평성 요소로 채택한 변수 간의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였다. 반면 사례 연구를 위해서는 총 7 명의 인터뷰 참가자를 대상으로 몇 차례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추가 자료로 해당 대학에서 제공한 서류들도 활용하였다. 수집된 인터뷰 녹취 자료는 사례 연구 분석 접근법의 여러 단계 즉, 주요 내용 구성, 테마 생성, 비교 및 대안 해석 개발, 최종 결과 도출 순으로 분석하였다. 복합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의 결과로 실증적 연구 결과로 성과 중심 AA 입력이 성과 중심 학업 학습 과정의 매개 역할을 통해 학업 성취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다만 성과 중심의 학업 습득 과정의 효과가 미비하여 다소 낮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찬가지로, 학업 협력은 성취도에 대한 성과 중심의 학업 학습 과정간의 매개 변수로서의 연관성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 협업은 학업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과 중심의 AA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지원 및 방해 요인으로는 입학 시스템 및 교육, 문화 및 교육 방법, 파트너십 및 경쟁, 기업가 정신 및 평가 시스템, 고등 교육의 품질 및 권한 부여 프로그램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 의제로서 고등 교육에서 성과 중심의 AA 정책을 위한 정책 동기화, 기업가 정신 프로그램 및 권한 부여 및 기타 혁신의 조화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론적, 정책 실행, 실질적인 공헌,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Indonesia’s inclusive governance for education ─ particularly efforts to mitigate inequalities of access,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s in higher education is falling short of its intended objectives. Disparities in Indonesia’s education system do not only exist in race, gender, and socio-economic biases, but also in inequitable academic and management systems that have impacted achievement gaps nationwide. Geographically, inequity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eastern part and western part of Indonesia also still widespread. With these problems in mind, the government put forth a strategic mission to produce smart or quality and competitive education, along with the global vision of “ensuring inclusive and equitable quality education for all” of 2030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Education (UN SDG4). Simply, this is not an easy task for the entire disparate archipelago to pursue. In academic practices, the 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ularly those from disadvantaged communities who were treated through Affirmative Action (AA) policy to get access and participated in higher education critically did not give much effective equitable academic process of empowerment to their skills, and creativities for quality and competitiveness. It is substantially argued that efforts to enhance the merit-based AA system for greater quality of AA achievements are still lacking. Regarding this practice, studies have addressed the effect of AA scholarship policy through the admission systems on the outcomes. However, they have not carefully considered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s of the meritorious inputs on the achievements through the role of a meritorious academic process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that may vary across diverse population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sought to: 1) examine the effect of the meritorious AA inpu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utputs)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the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2-a) examine the effect of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utputs) through the moderation of the academic collaboration; -b) examine the direct influence of academic collaboration on the achievement (output) in higher education; 3) determine factors that facilitate as well as impede the meritorious AA system; 4) address possible action agendas for effective merit-based AA policy in Indonesia’s higher education. The study applied John Rawls’s second principle of justice to the current dimensions of social equity in new public administration (NPA); and Moore’s Public Value Management (PVM). The study was also strengthened by the theory of democracy and education, and the current contemporary literary works for education. The study then, applied mixed-methods design, ─ quantitative and case study.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public university, i.e. the University of Nusa Cendana (UNDANA)-Kupang, in the Eastern Indonesia, due to the university has also been implementing merit-based AA policy (i.e. the ongoing Bidikmisi, current Smart Indonesia Program) for the disadvantaged students. It was also affording to enhance the merit-based system to the comprehensive academic process. Therefore, it was essential in conducting the current study. For data collection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of the quantitative method, 330 (i.e. ongoing Bidikmisi) AA participants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at UNDAN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association of the selected variables of the academic equity elements. Whereas, in the case study, a few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 sessions were applied to seven (7) interview participants as representativ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lso supported by other available document (hard data) provided in the office of student affairs of the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of interviews (recorded content) were analyzed in several steps of the case study analysis approach (i.e. organizing key constructs; generating themes and coding; developing comparisons and alternative interpretations; final findings). The results of the mixed-method study showed that for quantitative findings, the meritorious AA inpu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utput) through the full mediating role of the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although it was not quite strong due to the lack of effective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Likewise, the academic collaboration was lack of strong intervention to the significant association of the meritorious academic learning process on the achievement (output). However, collaboration alone had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utputs). Then, the supporting and imped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ritorious AA system are such as admission system and training, culture, and teaching methods, partnership and competition, entrepreneurships and evaluation system, quality and empowerment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Therefore, as action agenda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y synchronization, entrepreneurship programs and empowerment, and other collaborative innovations for the merit-based AA policy in higher education.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practical contributions,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were add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