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재난관련 조례 분석연구 - 부산광역시 및 부산 16개 구ㆍ군을 중심으로 -

        Sinjung Kweon,Youngmi Yoo,Sunyoung Michelle Cho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재난대응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부산광역시 의 재난관리 조례와 부산의 16개 구‧군 재난관리 조례를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조직시스템 평가모형(Yun, 2011)인 유기성, 전문성, 통합성, 현장대응성의 4가지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장대응성과 관련된 조례조항이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그 다음으로 유기성, 전문성, 통합성 순이었다. 개선방안으로는 민관협력을 토대로 재난에 있어 적극적인 정보공유 뿐만 아니라 업무체계의 일원화가 필요하며, 조례는 합목적성과 실효성을 갖추어야 함 등이 제시되었다. Sinc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disaster management have been at the core social issues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relevant ordinances of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and its 16 autonomous regions, called gu in Korean, based on the evaluation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al system, which consists of interrelatedness, professionalism, integrity and responsiveness. As a result, the ordinances related to responsiveness are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in the ordinances, followed by interrelatedness, professionalism and integrity. A range of suggestions are accordingly discussed, including: establishing a community network cooperating officials is necessary for fluent communication; the work system needs to be interrelatedly restructured for unity; more compulsory provisions are required; should be considered for purposefulness and effectiveness in the ordinance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재난관련 조례 분석연구 -부산광역시 및 부산 16개 구·군을 중심으로

        Kweon, Sinjung,Yoo, Youngmi,Cho, Sunyoung Michelle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재난대응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재난대응과 관련된 부산광역시의 재난관리 조례와 16개 구 군 재난관리 조례를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조직시스템 평가모형(Yun, 2011)인 유기성, 전문성, 통합성, 현장대응성의 4가지 차원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현장대응성과 관련된 조례조항이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그 다음으로 유기성, 전문성, 통합성 순이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유기성과 통합성을 보완하기 위한 민관의 적극적인 정보공유의 활성화와 업무체계의 일원화의 필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Sinc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disaster management have been at the core social issues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relevant ordinances of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and its 16 autonomous subregions, called gu in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evaluation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al system, which consists of interrelatedness, professionalism, integrity and responsiveness. As a result, the ordinances related to responsiveness are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in the ordinances, followed by interrelatedness, professionalism and integrity. A range of suggestions are discussed, including: establishing cooperative network between officials and the community; and restructuring of the work system for unity.

      • KCI등재

        Analysi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OP Manual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

        So Jeong Lee,Kang Min Kim,Sunyoung Michelle Cho,Jung Soo Lee,Song Sik Choi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Crisisonomy Vol.13 No.5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매뉴얼’의 텍스트를 언어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기법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에 나타난 핵심 개념(키워드)들의 구성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뉴얼에 나타난 하위 및 상위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의 연결망 관계와 핵심 키워드의 연결망 관계의 중심성 분석을 시도하여 그 특성들과 개선점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매뉴얼은 SOP700에서 다루고 있는 자연재난 안전관리를 중심으로 하여 기술되어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의 주요 행위자로 소방기관, 이용자, 관리자라는 키워드가 높은 중심성을 보이며 매뉴얼의 주요한 위치에 등장했다. 셋째, 예방과 대비라는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아 재난 발생 전 단계와 관련한 절차에 강조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매뉴얼은 이용자의 취약한 특성을 포함하여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시설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매뉴얼의 개선점을 발견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s an aim of analyzing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Manual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in Korea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attributes of and relationships among keywords in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manuals. Firstly, natural disasters and fire had highest centrality in the manuals. Secondly, the main performers described in the manual were found to be fire station, clients and workers of the welfare facilities. Thirdly, regarding their ascribed duties, prevention and preparedness were at the center of the whole network, which means that the manual focuses on preventing remedies. Overall, the manual is believ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traits of clients and be written from their perspectives. A few discuss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