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fects of odor stimuli on self-face perception depending on sex, BMI, and self-esteem: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Sun Ae Moon DGIST 2021 국내박사

        RANK : 233279

        Our face is the most powerful tool for socializing. It conveys a great deal of information about ourselves. For this reason, we regularly check our own reflections in the mirror in everyday life.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context and sensory stimuli alter face perception and evaluation. However, it is unclear how external sensory stimuli change neural processing of self-face perception and evalu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odor alters self-face perception and evaluation using the mean amplitude of event-related potentials (ERP) and post-survey ratings. Thirty participants showed differences in the mean ERP amplitudes in the frontal region of the left hemisphere after the onset of self-face perception when exposed to a pleasant odor (lavender) or an unpleasant odor (isovaleric acid). The responses also differed depending on sex, body mass index (BMI), and self-esteem. The self-face perception and evaluation response were more sensitive to odors in females than in males. Participants with high BMI or high self-esteem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ed odors. Interestingly, the neural modulation patterns in response to both odors were isovaleric acid–like in the high-BMI group but lavender-like in the high-self-esteem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cumulated feelings toward the self or sensitivity to the odor stimuli may produce different self-face perceptions and evaluations. The results will help us understand the modulation of neural activity patterns by odors during self-perception and evaluation. Furthermore, they demonstrate distinct responses to odor stimuli according to individual features such as sex, BMI, and self-esteem.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neuro-cosmetics or enhance social well-being. 본 논문은 긍정적 냄새 자극인 라벤더 (lavender) 또는 부정적 냄새 자극인 아이소발레릭에시드 (isovaleric acid) 제시 이후, 자기 얼굴을 보았을 때의 뇌신호 및 자기 얼굴 평가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자기 얼굴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성별,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자존감에 따른 뇌신호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으로는 뇌파 (Electtroencephalogram; EEG) 측정 후 사건 유발 전위 (Event-Related Potential; ERP)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자기 얼굴에 대해 (1) 얼마나 기분좋게 느껴지는지, (2) 얼마나 매력적으로 느껴지는지, (3) 얼마나 신뢰성 있게 느껴지는지, (4) 얼마나 지배적인 얼굴로 느껴지는지, (5) 얼마나 성숙하게 느껴지는지, (6) 얼마나 남성적인 얼굴로 느껴지는지 정도를 평가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챕터 3에서는 성별, 체질량 지수, 자존감에 따른 자기 얼굴 지각 및 평가에 대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추후 분석에서의 기준선 (baseline) 으로 사용하였다. 챕터 4에서는 라벤더와 아이소발레릭에시드 제시에 따라 기준점 대비 자기 얼굴 지각 및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자기 얼굴 시각 자극 제시 후 220-330 ms 시간대에 좌측 전두엽이 냄새 자극에 따라 유의하게 변화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서도 라벤더와 아이소발레릭 에시드의 제시에 따라 유의하게 자기 얼굴 평가가 달라지는 것을 밝혔다. 챕터 5 에서는 성별, 체질량지수, 자존감에 따라 냄새 자극에 반응하여 변화하는 뇌신호 및 설문 평가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여자들은 남성에 비해 냄새 자극에 더 빠르게 반응하여 뇌신호 변화를 보였으며, 냄새에 따라 자신의 얼굴에 대해 (1) 기분 좋게 느껴지는 정도와 (2) 얼마나 매력적으로 느껴지는지 항목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남자들은 냄새에 따른 뇌파 신호 및 행동 변화가 크지 않았다. 체질량 지수에 따른 그룹 및 로젠버그 자존감점수에 따른 그룹에서는 체질량 지수가 낮은 그룹, 자존감이 낮은 그룹에서 냄새에 따른 뇌파 신호변화가 확인되었으며, 체질량체질량 지수가 높은 그룹과 자존감이 높은 그룹에서는 냄새 간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라벤더 및 아이소발레릭에시드 냄새 모두에 대해, 체질량 지수가 높은 그룹은 자신의 얼굴을 볼 때 아이소발레릭에시드&자기얼굴 조건과 비슷한 뇌신호를 보였으며, 반대로 자존감이 높은 그룹은 라벤더&자기얼굴 조건과 비슷한 뇌신호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체질량지수가 높지만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에게서는 약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냄새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성별, 체질량 지수, 자존감에 따른 자기 얼굴 지각 및 평가 과정을 뇌신호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특성에 따라 외부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며, 이것이 자기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 속에서의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향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 제시 및 뇌신호를 통한 산업적 응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가 사람들이 기분 좋은 냄새로 더 행복한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 나가며, 우리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는 과학적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