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보이아에서 이스키아까지 : 이탈리아에 최초로 나타난 그리스 정착민의 정체성 구축

        세바스티안뮐러 ( Sebastian Muller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7 서양고대사연구 Vol.49 No.-

        이탈리아 나폴리만의 이스키아섬에 있는 피테쿠사이는 기원전 8세기에 그리스 중부에 있는 에보이아섬의 그리스인들이 서쪽으로 이동하며 발견하여 최초로 건설한 도시이다. 본 연구는 에보이아에서 피테쿠사이로 넘어 온 그리스 정착민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다양한 사람들과의 경험을 통해 어떻게 그들이 정체성을 구축했는지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부 그리스의 에보이아섬에 있는 레프칸디의 원기 하학적인 묘지 자료와 피테쿠사이에서 가장 오래된 매장지를 비교한 결과, 이탈리아 피테쿠사이로 이주한 최초의 그리스 정착민들이 여전히 새로운 터전에서 그들의 장례의식과 정체성을 보존했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들은 그들의 고유한 문화 요소를 ‘외국’ 요소로 대체하며 서로 다른 문화 사이 환경에 적응해갔다. 피테쿠사이는 에보이아인에 의해 건립되었지만 정체성이 재정립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창조된 제3의 장소로 해석되며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이해 될 수 있다. Pithekoussai on the island of Ischia in the Bay of Naples is the first foundation of Greek people in the west who, among others, came from the island of Euboea in Central Greece in the eighth century B.C.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he Euboean settlers constructed their identity in a new environment and under the experience of encountering various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Based on a comparison of mortuary data from the Protogeometric cemeteries at Lefkandi on the island of Euboea in Central Greece and the earliest burials in Pithekoussai, it will be argued that the first settlers preserved key aspects of their funerary rituals and, thus, their identit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adjusted to the inter-cultural environment by replacing elements of their own culture by ‘foreign’ elements.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re well understandable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in which Pithekoussai, though founded by Euboeans, can be interpreted as a third place in which identities were re-negotiated and newly created.

      • KCI등재

        Status and Prestige in the Dark Age Community at Lefkandi Euboea

        Sebastian Muller(세바스티안 뮐러) 효원사학회 2015 역사와 세계 Vol.- No.47

        초기철기시대는 선사시대 중 가장 긴 불가사의한 시간에 속한다. 후기 청동기에 나타난 궁중 사회의 붕괴와 고대 기간까지 외견상 드러나 보이는 문화의 쇠퇴는 암흑시대 개념을 만들었다. 그러나 고고학적 자료의 증가뿐만 아니라 최초의 그리스 작가인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문학은 그 시대에 관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앙 그리스 유보이아 섬의 현대적인 마을 레프칸디(Lefkandi) 주변의 여러 지역들에 매장된 초기철기시대의 고인들을 통하여 당대 공동체 사이에서 나타난 사회적 차이의 유형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레프칸디 주변에 풍부하게 매장된 자료들은 기원전 1050부터 유보이아섬 공동체가 이미 지중해 동부권과 활발한 교역을 한 900년대 초기까지의 중요한 기간의 사회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무덤내의 매장품들 조합을 통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대에 확립된 확고한 지위가 있었다. 기원전 10 세기의 명망 높은 물품과 호화로운 매장품의 증가는 지중해 동부권에서의 지역간 접촉의 요충지로 급부상한 레프칸디 지역 사회의 성장을 보여준다. The Early Iron Age is one of the most enigmatic periods in Aegean prehistory. The collapse of the Late Bronze Age palatial society and the seeming cultural decline until the Archaic period created the notion of a Dark Age. However, the growing number of archaeological sources as well as the literary tradition of the first Greek authors, Homer and Hesiod, provide numerous information on that tim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modes of social distinction in the Early Iron Age community that buried its deceased at several locations near the modem village of Lefkandi on the island of Euboea in Central Greece. The richly equipped burials cover the crucial period from 1050 to ca. 900 BC in which Euboea was already involved in trade activities with the east Mediterranean area. As can be shown on basis of artefact combinations within the burials, there were firm status positions established at that time. The increase of prestige items and lavish grave equipment in the tenth century BC demonstrates the growing inclusion of the community at Lefkandi in the newly emerging network of inter-regional contact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 KCI등재

        Foreignness as a Means of Elite Distinction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n the Korean Peninsula

        Sebastian Muller(세바스티안 뮐러) 효원사학회 2018 역사와 세계 Vol.- No.54

        본 연구는 약400년-668년경 삼국시대 한반도의 상류계층을 묘사함에 있어서 나타나는 외국적 요소를 다룬다. M.Sahlins의 ‘외국의 왕’과 Mary W. Helms의 ‘비전(祕傳)지식’의 인류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의 상류층이 외국계통 또는 초자연적 기원의 계보의 서사를 통해 그들의 권력을 정당화했다는 점을 주장한다. 우선, 본고에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포함된 시조신화와 상류층을 구별하는 법과 관련된 여러 다른 언급들이 재검토된다. 또한 상류층 구성원이 그들의 초자연적인 기원과 능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소수만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비전지식을 키우고 과시했는데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료로써 본 연구는 고고학적으로 유물들을 선택했다. 시조신화의 비유적인 인물과 두 계층 간 상류층 문화의 형성은 높은 경쟁과 상호의존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 아래서, 특정한 시조들 또는 영향력있는 가문들이 실제로 외국출신인지 또는 이것이 그 권역에 힘 행사를 유지하고 정당화하기 위한 주장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element of the foreign in the self-portrayal of the elit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ca. 400-668)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anthropological concepts of M. Sahlins’ ‘stranger-king’ and Mary W. Helms’ ‘esoteric knowledge’ it is being argued that the elite of Koguryŏ, Paekche, Silla, and the Kaya polities justified their claim to power through the narration of a foreign or supernatural origin of their lineage. As a basis for the examinations the progenitor myths included in the Samguk Sagi and Samgku Yusa as well as other remarks related to elite distinction are reviewed. Additionally, selected archaeological finds are interpreted as material expressions of the cultivation and display of esoteric knowledge that might have supported the narrative of the supernatural origin and abilities of the elite members. The trope-like character of the progenitor myths and the formation of an inter-polity elite culture demonstrates the high competition and interdependencies between the elite members of the polities. Under this circumstances it is difficult to assess, whether particular founders or influential families were indeed of foreign origin or if this was just a claim by the local elite to maintain and justify their exertion of power.

      • KCI등재

        Mediterranean Cultural Influences on the Northeast-Alpine Area in the Early Iron Age (750~600 BC)

        Sebastian Muller(세바스티안 뮐러) 효원사학회 2014 역사와 세계 Vol.- No.45

        본고는 초기 철기 시대(기원전 750-600년 경)의 북동-알파인 지역에 녹아있는 지중해지역의 문화적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지중해를 통해 유입된 유물들이 할슈타트기의 동쪽지역에는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의식에 사용된 도자기 그리고 각종 그릇 장신구들의 주제와 관련하여 드러난 많은 증거들이 이탈리아와 그리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지역의 여신에 대한 묘사들은 지중해 지역과 북동-알파인 지역사이에 예상보다도 더욱 강력하게 연관이 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시대 그리스인의 숭배 상들과 강한 관련을 보여준다.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지중해지역으로부터의 문화적 요소들에 대한 전파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특히 소위 ‘호박길’로 불리는 곳이 지중해의 중심으로부터 인접한 지역들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연결 통로였던 것이다.

      • KCI등재

        Late Bronze and Early Iron Age Warrior Stelae in Andalusia as Mnemonic Signs of Cultural Memory

        Sebastian Muller(세바스티안 뮐러) 효원사학회 2019 역사와 세계 Vol.- No.56

        이베리아 반도의 남서쪽 안달루시아에 있는 전사 비석은 후기 청동기와 초기 철기 시대 (기원전 1300-750년경)의 현상을 나타낸다. 이 비석은 당대에 가장 중요하면서 동시에 수수께끼였던 발견들에 속한다. 시각적 요소에 대한 레퍼토리는 다소 제한적이지만, 대서양과 지중해의 영향력을 조합하며 지중해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연결성을 드러낸다. 고고학적 맥락의 해석이 부족하여, 전사 비석의 발견은 대부분 후기 청동기 및 초기 철기 시대 환경에서 비석의 기능과 의미에 관한 해석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비석의 잠재된 다양한 기능을 수렴하는 접근법을 도입하기 전에, 현재까지의 해석들을 요약하고 재논의하기 위함이다. 전사 비석과 특히 그 위에 표현된 묘사는 안달루시아 지역들과 이베리아 반도의 서부 문화의 기억을 위한 기호로써 해석된다. 전사 비석은 기존의 비석에 대한 평범한 해석 저편에 도달한 담론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따라서 공동체의 정체성 구성의 형성과 영속에 결정적인 요소였다고 주장되는 바이다. Warrior stelae in Andalusi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Iberian Peninsula are a phenomenon of the Late Bronze and Early Iron Age (c. 1300-750 BCE). The stelae belong to the most significant but also most enigmatic finds in that period. Although rather limited in their repertoire of visual elements, they combine Atlantic and Mediterranean influences and, thus, represent one of the key features of the Mediterranean: connectedness. The lack of archaeological context has led to a number of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stelae in their Late Bronze and Early Iron Age environment. The present article recapitulates and discusses these interpretations before promoting an approach that takes the potential multi-functionality of the stelae into account. The stelae and particularly their depictions are interpreted as mnemonic signs of the cultural memory of the communities in Andalusia and the western part of the Iberian Peninsula. It is being argued that the stelae were important elements in a discourse beyond the mundane and that they were crucial components for the formation and perpetuation of the communities’ identity constructions.

      • KCI등재

        Revisiting the Archaic Chamber Tombs of Morgantina, Sicily

        Sebastian Muller(세바스티안 뮐러) 효원사학회 2016 역사와 세계 Vol.- No.49

        본고는 동쪽 시칠리아의 중심에 위치한 고대 도시 모르간티움의 고대 석실분(기원전 600년-450년)을 다룬다. 이는 그리스 식민지 시대에 여러 지역 사회와 그리스 간의 만남과 교류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유적지다. 카타니아 평야의 동쪽 국경의 산 능선에 위치한 이 도시는 그리스의 건축학적인 특성, 도기 및 매장 관습과 같은 그리스의 문화적 특성에 의하여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과정에 있었다. 본고를 통하여 그리스인들이 시칠리아의 고대도시에 거주하고 있었다는 것과 또 어떻게 원주민들에게 그리스의 문화적 요소들의 동화가 가능했는가에 관한 의문에 대한 답을 하고자 한다. 물론 민족성이라는 것을 매장관습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실제로 이 고대 마을에서 그리스인들의 존재에 대한 단서들이 발견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여러 가지로 제기되는 발굴된 단서들의 다른 용도들 이외에, 일상생활 그리고 특히 장례식에서 그리스 물건의 사용이 모르간티움 원주민의 정체성이 변환되는 과정에 기여했다는 것을 ‘문화적 기억’과 ‘사물의 행위’ 개념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rticle deals with the Archaic chamber tombs (ca. 600-450 BC) of the ancient city of Morgantina in central east Sicily which is an important location for understanding the encounter and interchange of Greek and local communities at the time of the Greek colonization. The city, located on a mountain ridge at the eastern border of the plain of Catania, became increasingly affected by Greek culture, represented in architectural features, Greek pottery, and burial customs, in course of the Archaic period. The article aims to answer the questions whether Greek people were residing at the Archaic town, and how the process of the apparent acculturation of Greek cultural elements by the local population possibly worked. Although ethnicity is extremely hard to grasp in the burial context there are indeed hints for the presence of Greek people at the Archaic town. It is argued, by drawing on the concepts of "cultural memory" and the "agency of things", that besides others the usage of Greek items in daily life and particularly in the funerary rituals contributed to a process of identity transition of the local popul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