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anagement of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 on Nigeria maize field to attain Food Security

        Samuel A. Fasusi,Ji-Min Kim,Sungtaeg Kang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22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9

        Maize is an important cereal crop widely grown in all of Nigeria’s agroecology based on its economic and food values. This has led to its optimum production with Nigeria ranking top 12th maize producer in the world. Presently, the fall armyworm (FAW), Spodoptera frugiperda is considered a potential threat to food security in Nigeria due to its devastating feeding pattern on maize and its wide host range. Its invasive and high dispersal nature enhances its spread from its first reported state (Oyo) in early 2016 to the entire 36 states of Nigeria by the year 2018. It accounts for averagely an estimated 34% or more yield reduction in Nigeria’s maize field, hence, a need for an efficient management approach. Although most farmers rely on the use of insecticide, it is found ineffective because of the inaccessible location of FAW in maiz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management approaches adopted in Nigeria to control FAW and its impact on the insect pest population. Conventional measures such as planting improved seeds, avoidance of late planting, and polyculture to increase the natural enemy’s population have been used but with limited control of FAW. Maize lines with aflatoxin resistance or transgenic Bt-maize are found resistant to FAW. Botanicals such as neem extract lowered the percentage of leaf area damage, incidence of FAW larva infestation, and the number of larvae. It is difficult to curtail the menace of FAW through one control method, hence,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 KCI등재

        나이지리아 마 생산관련 결정요인과 제한요인

        Samuel A. Fasusi,김지민,강성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2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34 No.4

        Yam is an important tuber crop nutritionally, socio-culturally, and an income generator for many Nigerian. This explains its high demand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causing increased production as Nigeria leads world production with about 45.41 million metric tons annually. The peculiarity of yam production in Nigeria entails lower yield, high cost of production, and post-harvest losses. Yam produced in Nigeria falls far below the potential crop yiel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lose these yield gaps through the provision of solutions to the different constraints that hamper sustainable yam production. Despite the challenges, there is still in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impact of policies, weeds, pests, and diseases which constitute major constraints. Nigerian farmers mostly utilize indigenous cultural approaches to manage yam production. Their goal of production is to produce yam cultivars that are suitable mainly for food products leading to the neglect of other cultivars. Few selected institutions with a yam mandate have been working on improving the production of D. rotundata and D. alata through breeding yam cultivars suitable for consumption and resilient against pests and diseases. However, more extensive studies should focus on breeding programs for yam resilient under drought and flooding, with peculiar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at give unique textual qualities considered in pounded yam and other yam food products. In this review paper,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yam production in Nigeria and her efforts to achieve sustainable production are extensively studied. 마(yam)는 나이지리아에서 영양학적 가치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및 농민의 소득창출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덩이줄기 작물이다. 이러한 국내외적 수요에 따라 현재 나이지리아는 4,541만톤의 마를 생산하여 세계 마 생산량의 67%를 차지하는 마의 주요 생산국이다. 본 논문에서는 나이지리아에서 마생산과정의 문제점과 원인을 구명하고 생산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나이지리아 마 생산과정에서는 낮은 수량, 높은 비용 및수확 후 관리 미비 등 많은 문제점이 있고, 특히 농가수량과잠재수량과의 격차도 매우 크다. 2. 마 생산성 증대와 생산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위한 주요 제약요인으로 알려진 정책, 병, 충, 잡초 등에 대한 정보가충분하지 않다. 3. 국제 열대 농업 연구소(IITA)와 국립 뿌리 작물 연구소(NRCRI)는 마 유전체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수행되었으며, 탄저병 및 마 모자이크 바이러스(YMV)에 대한저항성과 연관된 유전자탐색 연구도 진행중이다. 4. 현재 나이지리아에서 전통 방식으로 조리되는 마 음식에적합한 질감을 나타내는 독특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보유하는D. rotundata와 D. alata 두 종을 이용한 광범위한 육종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5. 나이지리아 정부는 대출에 대한 접근, 마 생산 지역사회를 위한 저장 시설 제공, 비료 및 재배 재료와 같은 농장 투입물에 대한 보조금을 통해 정부 지원을 장려해야 하며 농민들은 덩이줄기이외의 다른 마의 부분의 영양학적 가치나 생산량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 KCI등재

        Current Status of Soybean Production in Nigeria: Constraint and Prospect

        Samuel A. Fasusi,김지민,강성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2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34 No.2

        Soybean is an important crop widely grown in the northern region of Nigeria for human and animal consumption. Commercial production of soybean in Nigeria has existed for eight decades. Current malnutrition and nutrient health problems in Nigeria warranted the introduction of high nutritive and affordable food sources such as soybean in the Nigerian diet. The high demand for soybean and its products has led to the rise in the cultivation of soybean in Nigeria. Although an increase in production has been recorded, the region of production has failed to achieve the potential yield per hectare. In improving soybean production in Nigeria, it is paramount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production. This review paper provides information on factors affecting soybean production across the regions of production in Nigeria. The identified factors responsible for the yield gap includ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agroecology shift, nutrient depletion and soil fertility, sowing date, the emergence of pests and diseases, and limited improved soybean cultivars. Adoption of improved soybean variety suitable in agroecology and sowing, at the appropriate sowing date by Nigerian farmers, can guarantee optimum soybean production. Further soybean breeding improvement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more improved varieties with superior performance in Nigeria’s agroecology to achieve yield potential. 나이지리아에서 콩은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인간과 동물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지난 80년간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중요한 작물이다. 현재 나이지리아에서 국민의 식생활에서의 영양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양가 높고 값싼 식품 원료도입이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콩 및 콩의 가공식품에 대한 수요 및 재배지역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나이지리아에서 콩의 수요량 증가에 비해 생산성이 향상되지 못하는 원인을 구명하고 생산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1. 나이지리아는 1908년 최초로 콩을 도입하고 1937년부터중부지역을 중심으로 상업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 및 생산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생산성이 ha당1ton 미만으로 낮은 실정이다. 2. 나이지리아에서 콩 생산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은 기후변화에 생태계변화와 더불어 비생물적 요인으로 고온, 침수, 가뭄 등과 생물적 요인으로 진딧물, 노린재, 딱정벌레 등 해충과 불마름병, 녹병 등 병원균 및 선충, 바이러스, 잡초 등이있다. 3. 나이지리아에서 콩 재배기술 향상을 위해 기후변화에 의한 농업생태계의 변화에 대응하는 기술과 토양 비옥도 감소및 병해충방제에 대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나이지리아에서 콩 품종개발을 위해 국립곡물연구소(NCRI)와 국제열대작물연구소(IITA)간에 협력연구가 수행되어오고 있으나 나이지리아의 농업생태계에 적응성이 높은 우수한 성능을 지닌 품종개발을 위해서는 한국과 같은콩 자원이 풍부한 국가와 국제협력을 통한 육종체계 개선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