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롤랑 바르트 사진론에 나타난 노장의 무위(無爲)에 관한 존재론적 연구 : 왕국유 의경론과의 비교연구

        이호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50

        이 글에서는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의 사진론에 나타난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무위(無爲) 개념을 존재론적 영역에서 분석하여 그의 사진론을 새로운 관점으로 정립하려고 한다. 더불어 노장(老莊)의 무위(無爲) 개념을 중심으로 롤랑 바르트의 사진론과 왕국유(王國維, 1877-1927)의 의경론을 비교하여 그들 사유의 존재론적 원리로서의 무위로부터 발화되는 참(眞)감정의 순수의식을 추적하려고 한다. 롤랑 바르트는 구조주의자로서 1970년 전 후에 후기구조주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그의 학문에 대한 전회(轉回)적 시선은 언어학자로서 언어의 언표 불가능한 사유체계를 새롭게 모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자신의 구조주의에서 벗어나려는 과정 속에 ‘Sérminair de Collège en france’에서 『중립』을 언급하며 이를 이해시키기 위해 노장의 무위를 차용한다. 롤랑 바르트가 언급한 무위는 어떤 판단을 유보시키고 정지시키는 현상학의 원리인 에포케(Epoché)의 개념으로 받아들인다. 원래 롤랑 바르트가 사용한 중립은 현상학의 후설로부터 시작하여 롤랑 바르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 실존주의자 사르트르가 사용한 용어이기도 하다. 롤랑 바르트는 노장의 도(道)와 무(無) 그리고 무위를 언급한다. 도는 도가의 대표적인 개념으로 언표 불가능한 역설적인 지점에 위치한다. 이 도를 드러낸 것이 무인데 무는 유의 존재론적 생성관계를 유지한다. 즉 무(無)는 유(有)를 이룸에 있어 만물의 시원적 원인성으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노장의 무위(無爲)는 유위(有爲)의 반대 개념으로 인위적이지 않고 작위적이지 않다는 것이지 아무것도 하지 않다는 의미가 아니다. 롤랑 바르트는 무위를 통해 ‘중립’을 해석하고 그의 사진론인 『밝은 방』에서 푼크툼을 제시한다. 이것이 그의 겨울정원의 어머니사진에서 드러난 놀라움에 대한 잠재태의 원질인 것이다. 반면 이 글의 비교 대상인 왕국유는 근·현대를 대표하는 중국의 지식인으로서 노장의 다양한 철학적 함의를 받아들여 형성된 전통 의경설과 서양의 관념론을 결합하여 자신만의 의경론을 이룩하게 된다. 그의 대표적인 개념이 『人間詞話』 언외지미(言外之味)이다. 이는 ‘언어 밖의 의미’를 강조한다. 이처럼 왕국유도 중국의 구조주의인 유교주의에서 벗어난 근현대 새로운 관점의 시선을 요구한다. 특히 그의 의경론인 『인간사화』에서 보여준 ‘유아지경(有我之境)’과 ‘무아지경(無我之境)’, ‘진감정(眞感情)’과 ‘진경물(眞景物)’은 롤랑 바르트가 ‘중립’을 대변하고 사진론에 적용시킨 노장의 무위와 연관성이 깊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롤랑 바르트와 왕국유의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발현된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그들의 사진론과 의경론을 비교 분석했다. 롤랑 바르트가 『밝은 방』에서 제시한 푼크툼(Punctum)은 그의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사진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선이다. 더욱이 푼크툼은 구조주의 관점에서 역설적이며 해체적인 의미를 품고 있으면서 구조주의로부터 벗어난 롤랑 바르트의 탈코드의 관점에서 언급한 중립 ・ 무위와 유사한 의미의 선상에 놓여있다. 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글에서는 『장자』의 무위를 알려주는 상망(象罔)을 통해 사진의 명증성으로 가려진 사진의 본질을 찾으려 했으며 무위를 통해 얻은 일종의 ‘깨달음’인 롤랑 바르트의 ‘푼크툼’이며 왕국유의 ‘언외지미’임을 밝히려 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Lao-Zhuang(Lao-tzu & Zhuang-tzu)’s concept of Wu-wei in the ontological domain shown at Roland Barthes’s Theory of Photography(1915-1980) and establish a new perspective for his theory of photography. Also, comparing Roland Barthes’s Theory of Photography with Wang Guo Wei(1877-1927)’s Artistic Conception based on Lao-Zhuang’s concept of Wu-wei, I intend to trace pure awareness of true emotions derived from Wu-wei (ontological principal of their thinking). Roland Barthes, a structuralist, took on the character of post-structuralism before and after 1970. As a linguist, such revolutionary perspective toward learning started with pursuit for new thinking from ineffable thinking system. Under the circumstances of trying to get out of structuralism, he mentioned ‘neutrality’ at ‘Sérminair de Collège en france’ and borrowed Lao-Zhuang’s Wu-wei for understanding. Wu-wei in which Roland Barthes mentioned is accepted as a concept of Epoché, the phenomenology principle that reserves and stops one’s judgments. Originally the term ‘neutrality’ of Roland Barthes was also used by Jean Paul Sartre, an existentialist philosopher who had a lot of influence over Edmund Husserl(phenomenology), Roland Barthes and others. Roland Barthes mentioned Lao-Zhuang’s Tao, Non-Being and Wu-wei. Tao is placed at the paradox of ineffability as a representative concept of Taoism. Non-Being is what has shown the Tao; Non-Being maintains correlation of Being’s ontological formation, i.e. Non-Being acts as original cause of all things in the formation of Being. Therefore, Lao-Zhuang’s Wu-wei is a contrary concept of Yu-wei(有爲); it means unconditioned and non-contrived, not doing anything. Roland Barthes interpreted ‘neutrality’ through Wu-wei and suggested the punctum from a light room in his theory of photography. This is an elementary substance of dynamis about astonishment shown from a photo of his mother posed in a winter garden. On the other hand, Wang Guo Wei (a representative Chinese scholar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as a comparison developed his own artistic conception by combining traditional artistic conception (formed by accepting Lao-Zhuang’s diverse philosophical implications) and western idealism. His representative conception is 人間詞話, 言外之味, which emphasizes ‘meaning beyond language’. In this way, even Wang Guo Wei demanded a new perspectiv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which breaks away from Confucianism, China’s structuralism. Particularly ‘有我之境’, ‘無我之境’, ‘眞感情’, and ‘眞景物’ shown from his artistic conception ‘人間詞話’ are highly connected to Lao-Zhuang’s Wu-wei, in which Roland Barthes mentioned ‘neutrality’ and applied it into the theory of photography. In this study, Roland Barthes’s Theory of Photography and Wang Guo Wei’s Artistic Conception were compared from post-structuralism perspective derived from these two’s critical views against structuralism. Punctum in which Roland Barthes suggested from a light room was a new view of understanding photographs from his post-structuralist perspective. Furthermore, Punctum is paradoxical and deconstructive from the structuralist perspective; it is in alignment with similar meanings of neutrality and Wu-wei, which were mentioned from Roland Barthes’s post-structuralism perspective. Conclusionally, I intended to not only seek essence of photographs covered by their evidence through shapeless form(象罔) which informed of Zhuang-tzu’s Wu-wei, but also verify a sort of ‘enlightenment’ obtained through Wu-wei, Roland Barthes’s Punctum and Wang Guo Wei’s 言外之味.

      • Indigenous spirit paradigm : an epistemological critique of protestant doctrine of the spirit, capitalism and environmentalism

        Annaguey, Roland Galutan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Yonsei Univers 2022 국내박사

        RANK : 247359

        본 연구는 기독교 정신의 특정한 사용 방법이 사람들과 환경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개신교 윤리 발전이 어떻게 신자유주의에 정통한 세계관이 전 세계의 비즈니스 세계에 접근하는지를 알려주고 형성했는지 탐구한다. 이것은 개발도상국, 공동체, 특히 종종 소외되고 배제되는 원주민 공동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인식론적 비판을 사용하여 현대 현실을 형성하는 널리 퍼져 있는 인식론적 상상력에 도전한다. 슬프게도 지배적 인식론은 어디에나 존재하며 기독교인들의 현실 이해와 해석을 결정하여 무의식적으로 환경을 파괴하는 데 기여한다. 이 연구는 영향의 순환을 드러내는데 첫째, 교회가 현재의 자본주의 정신에 영향을 미쳤고 둘째, 현대 자본주의의 상업주의와 소비지상주의가 기독교인들의 경제생활 수행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상업주의와 소비주의의 현재의 정신은 많은 기독교인들의 눈을 멀게 하여 그들의 삶의 방식이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였고, 여전히 현대 자본주의의 행위에 영향을 준 교리에 집착하고 있다. 이를 바꾸기 위해 신학기관들은 교회 사역자들이 신앙공동체가 환경파괴 완화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교인들에게 교육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등 논점을 전환해야 한다. 9개의 행성 경계 중 3개는 티핑 포인트의 직전에 있는데, 많은 과학자들은 일단 우리가 그 문턱을 넘으면 되돌릴 수 없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신앙 공동체로서의 기독교 교회가 계속 전파하고 있는 잘못된 인식론적 토대를 바로잡기 위해 매우 시급하게 행동해야 하는 이유다. This study interrogates the impact of certain ways of appropriation Christian doctrine of the Spirit on people’s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t explores at how the development of Protestant ethical principles informed or shaped how neoliberal informed worldviews approach the world of business throughout the world. This impact negatively on developing nations, communities, especially, the indigenous communities who are often marginalized and excluded. The study employs Emmanuel Levinas’s epistemological critique to challenge the prevalent epistemological imagination that shape contemporary reality. Sadly, the dominant epistemology is ubiquitous and determines Christians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reality thereby unconsciously contribute to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This study reveals the cycle of influence, first, the Church has influenced the current ethos of present-day capitalism, and second, the present-day capitalism’s ideology of commercialism and consumerism has influenced the way Christians conduct their economic life. This current ethos of commercialism and consumerism has blinded the eyes of many Christians to realize that their way of life is impacting the environment, and still clings to the doctrines that influenced the conducts of present-day capitalism. In order to alter this, theological institutions should shift their focus by revising their curriculums to include studies that specializes on theology and ecology, that will empower church workers to educate church members about how the faith community help mitigate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Three of the nine planetary boundaries are on the verge of their tipping points that many scientists believes that once we cross the threshold will be impossible to reverse. That is why as a community of faith the Christian church should act with great urgency to correct the flawed epistemological foundations that the church continues to propag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