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비 종 다양성과 전통지식 연계를 통한 정원 조성방안 연구

        공민재(Minjae Kong),남홍식(Hongshik Nam),김광호(Kwang-Ho Kim),전성욱(Sungwook Jeon),김창현(Changhyun Kim),한송희(Songhee Han),손진관(Jinkwan S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곤충 및 나비가 선호하는 식물 대부분은 과거부터 농업, 한방, 약재 등에 활용하였고 식물자원을 활용하는 한방 이용형태는 선조들의 가치 있는 역사로 평가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나비 중 사육과 방사가 가능한 나비를 알아보기 위해 발생 시기별로 분류하고 도입을 인위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문헌고찰 통해 알아보았다. 실제로 나비정원을 운영하고 있는 대상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각 나비 종에 대한 기주식물과 흡밀식물을 선별하고 선별된 식물을 통해 전통지식 교육 콘텐츠 개발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물자원을 도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나비정원 조성과 생태교육 콘텐츠 확보를 위해 나비정원 도입 식물 103종을 순위별로 제안하였다. 103종에 대한 전통지식 분석한 결과 103종의 나비정원 도입식물 중 93.2%에 해당하는 96종에서 전통지식이 확인되었으며, 확인되지 않은 종은 7종에 불과했다. 전통지식이 확인되지 않은 7종은 부들레야, 미스김라일락, 금관화 등 재배를 위해 개량한 종으로 확인되었다. 103종의 식물에 대한 전통지식 내재 여부를 분석결과를 통해 교육 콘텐츠 자료로 활용하길 제안하였다. Most of the plants preferred by insects and butterflies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in agriculture, oriental medicine, medicine , etc. The form of oriental medicine that uses plant resources constitutes a valuable history treasure trove of our ancestors. To discover which species of butterflies could be released into gardens, we classified them by the time of occurrence , and reviewed literature before artificially introducing them in the gardens. We carried out a research study to select the host plants and absorbent plants for each butterfly species through this survey. We analyzed sites that operate butterfly gardens to derive the plant resources that can be used preferentially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103 species of plants were shortlisted for introduction into a butterfly garden that would form a basis for ecological education content. By analyzing these species, a traditional knowledge base was confirmed in 96 species, or 93.2%, of the 103 species introduced into the butterfly garden. Seven species, which did not appear in the traditional knowledge database, were identified as improved species for cultivation, such as budleya, Miss Kim lilac, and gold crown flower. This analysis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on the existence of 103 species of plants in the traditional knowledge database.

      • 한국, 일본, 네델란드 시설원예단지의 경관 선호도 비교분석 연구

        공민재 ( Kong Minjae ),이시영 ( Lee Siyoung ),강동현 ( Kang Donghyeon ),손진관 ( Shin Yukung ),신유경 ( Son Jinkwan ),김남춘 ( Kim Namch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농업생태계는 인간에게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시설원예 단지 조성은 불투수면적 확장과 생물서식처 단절로 인해 생태계서비스 기능 손실이 야기된다. 경관창출은 농업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중 높은 중요도로 평가된 항목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논, 밭, 과수원 등의 농업경관이 갖는 순기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시설원예단지 조성이 경관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1차 연구(2016 춘계학술발표, 130명 학생조사) 결과가 있어 국내 일반인의 의식조사를 실시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의 경관창출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닐하우스 경관은 한국:일본, 유리온실경관은 한국:네델란드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은 슬라이드 쌍대비교(AHP)와 형용사(10개)를 활용한 리커트 척도 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웹페이지를 제작해 국내 일반인 581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형용사이미지 평가 결과는 넓은, 자연적인, 시원한, 정돈된, 아름다운, 조화로운, 쾌적한. 개방된, 밝은, 좋은으로 총 10개를 1차 연구(15개) 결과를 바탕으로 추출하였다. 형용사 이미지 평가 결과 한국 비닐하우스 경관은 10개모든 형용사가 부정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었으며, 가장 부정적인 형용사는 자연적인(-)으로 인공적인 이미지로 평가 되었다. 다음으로는 시원한(-갑갑한), 조화로운, 아름다운 등의 순으로 우리나라 비닐하우스 일반 국민들에 있어 경관은 좁고, 인공적이며, 갑갑하고 아름답지않으며, 어둡고 나쁜 경관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일본 비닐하우스경관은 넓고, 시원하고 정돈되고, 아름다우며, 조화롭고 쾌적한 등 대부분 긍정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었다. 자연적인 이미지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부정이미지인 인공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었지만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과 네델란드의 유리온실경관에 대한 이미지평가 결과는 자연적인 이미지가 한국은 평균 -0.59/-3.00 이지만 네델란드는 -0.02/-3.00으로 가장 큰 차이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모든 형용사 또한 한국 유리온실이 네델란드 유리온실보다 낮게 평가 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HP 쌍대비교 또한 한국이 일본과 네델란드 경관 보다 선호도가 낮게 분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비닐하우스 경관을 일본을, 유리온실 경관은 네델란드를 지향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경관 내 녹지, 가변요소, 이격거리 등 요소분석을 통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우리나라 시설원예단지의 경관을 위해 개선방안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농촌지역 경관을 아름답게 유지, 개선하고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조성시 기존 농업생태계와 조화로운 경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농촌지역 시설원예단지의 경관 개선을 위한 이미지평가

        공민재(Kong Minjae),이시영(Lee Siyoung),강동현(Kang Donghyeon),박민정(Park Minjung),윤성욱(Yun Sungwook),신지훈(Shin Jihoon),손진관(Son Jinkwa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의 경관개선점을 찾아보고 친환경적 조성방법과 생태계 서비스 기능이 최소화로 저감될 수 있는 방안제시를 목표로 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평가요소에서 네덜란드, 일본 경관은 긍정적인 결과였으나 우리나라 경관은 다소 부정적으로 분석되어 비닐하우스는 일본을 유리온실은 네덜란드 경관으로 개선방향을 설정 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농업경관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태계서비스 기능 중 경관창출을 고려한 친환경 온실단지 조성을 제안을 제안하였으며, 앞으로 추진될 대규모 간척지 개발 사업에도 본 연구가 활용되길 기대하였다. Humans are provided with a wide range of public benefits from ecosystems and agricultural ecosystems, but the establishment of the horticulture complex could be a space that hampers the public function of the agricultural ecosystem. In this study, we sought to focus the function of landscape cre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 and tried to analyze the landscape of the horticulture complex.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build a greenhouse complex which is being indiscreetly introduced in the agriculture landscape through environmentallyfriendly manner and minimize the function of the ecosystem service. We divided the greenhouse complex into two categories of Plastic Greenhouse(v) and Glass Greenhouse(g), and compared them to the Netherland and Japan counterparts. Each image of research areas was selected by 3 pics and polled by a total of 101 peopl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Landscape Image are as shown in the figure. Netherland Glass Greenhouse scored 1.80 in terms of ‘Neat’ which is one of the given 15 adjectives. Study results shows that Korean Plastic Greenhouse landscapes need to endeavor Japanese vinly greenhouses and Dutch glasshouses. Consequently, an analysis on the elements of landscapes including green area, variant elements, separation distance is essential in order to improve our country’s greenhouse complex landscapes. In this regard, continuous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rural landscapes and harmonize large-scale horticultural facilities into the existing agricultural ecosystem.

      • KCI등재

        한국(韓國)에서 기혼부인(旣婚婦人)의 취업(就業): 과연 무엇이 문제인가?

        김민자 ( Minja Kim Choe ),공세권 ( Sae-kwon Kong ),( Oppenheim Mas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保健社會硏究 Vol.13 No.2

        이 논문은 한국 기혼부인들의 취업행태(就業行態)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토한 것이다. 최근 부인(15~64세)들의 취업의사(就業意思)는 여성취업(女性就業)을 반대하는 경우가 8퍼센트에 불과하며, 가정사정을 고려한 조건부 찬성이 35퍼센트, 그리고 원한다면 언제든지 취업을 해야 한다는 경우가 57퍼센트에 달한다. 이러한 취업의사는 부인들이 도시에서 성장한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정적 이유가 아닌 개인 적 이유에 의한 취업경험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실제 취업은 자의 (自意)에 의해서보다 가족에 의한 영향이 크고, 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6세 미만 어린 자녀를 둔 경우일수록 역상관관계(逆相關關係)를 볼 수 있다. 여기서 부인취업에 대한 긍정적 의식은 교육기회의 확대, 혼전취업(婚前就業)의 증가, 가사노동(家事勞動)의 기계화, 그리고 출산력 저하 등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에 의해서 높아질 수 있었지만 실제 취업은 개인적 전문지식 및 기술의 부족, 가정적 가사(家事) 및 자녀 양육 등 전통적 역할, 그리고 사회적으로 마땅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움 등에서 저항과 갈등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부인취업(婦人就業)은 부인 자신만의 관심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여성교육이 확대되면서 많은 고급인력이 양성되고, 또 기업은 인력난으로 경영에 차질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인력 수급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점에서도 관심을 갖게 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on married women`s attitude toward the employment. Although the data we analyze were collected at only one point in time, our ultimate concern is with change over time. The data used in our analysis are from the Survey on Family Life Cycle conducted in 1986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formerly the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This survey collected information on marriage, fertility, employment, family roles, and attitude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3,013 married women under age 65. Information on employment before and after marriage as well as the attitudes toward employment were collected. Married women in Korea hold quite liberal views on women`s work, with a majority of them espousing a woman`s right to choose whether she works, regardless of her marital or parental status. Fifty-seven percent of all married women endorse the idea of a woman`s freedom to choose to work; among those who grew up in urban areas, attended 12 years of school, and worked before married for non-familial reasons, the percentage rises to 68. This high level of support for wives` employment is surprising, given the strong family tradition that made a woman`s duties as a wife and mother her primary obligation in life, and the recency of mass labor force participation among married women. Although women born at different periods in the pas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attitude toward wives` employment, three other variables significantly predicted support for women`s employment. These were having grown up in an urban rather than a rural area, having attain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chooling, and having worked before marriage, especially for non-familial reasons. Marked shifts in the South Korean population during the past 3- 4 decades from rural to urban residence, toward secondary school completion, and for women, toward premarital employment in the formal sector of the economy, all suggest that women`s attitudes about the employment of wives are likely to have liberalized considerably during this period. The correlations between urban residence, education, and premarital employment and women`s attitudes also suggest the strong possibility of further liberalization of attitudes in the future. Do women`s attitudes affect actual labor force participation? An earlier analysis of the same data as were used in this analysis concluded that women`s attitudes do not necessarily predict their employment(Kong and Choe 1989). Women`s actual labor force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affected more by the perceived attitude of family members such as husbands and parents-in-law than by their own attitude. In addition, the same study reported that in urban areas controlling factors such as presence of young children, presence of older members in the household,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household, women`s level of education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her than being directly related, as one would expect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differentials in women`s attitudes found in the current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cent increases i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Korea probaly have not been driven by attitudinal changes. The high level of support for women`s employment expressed by Korean wives, however, suggests that the lag between behavioral and attitudinal changes noted in earlier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may be much shorter or non-existent in Kore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factors that would facilitat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especially among the more educated urban women. Support from family members, improved conditions of employment, making adequate child care available, and sharing of house work by family members are some of the changes that would be likely to facilitate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Obviously, Korean women strongly support the idea that a married woman has the right to work if she chooses to. It would appear that for many of these women, especially many of the best educated women in urban areas, significant barriers to their participation and realization of their full human potential still 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