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진미정 ( Meejung Chin ),성미애 ( Miai Sung ),손서희 ( Seohee Son ),유재언 ( Jaeeon Yoo ),이재림 ( Jaerim Lee ),장영은 ( Young Eun Chang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3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family life and relationships as well as how these changes affect perceived stress among married men and women.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family time use, household work, child care, leisure activities, income and expenditures along with relationships between spouses and children using a sample of 627 married persons surveyed online from May 19 to 25, 20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time spent on household work, child care, and family leisure have increased and that the perceived burden of household work and child care has also increase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ime use, household work, and child care. Leisure activities have changed toward more time watching TV or online media and playing online games and less time on outdoor activities, shopping, and meeting friends. About 38% of respondents reported a reduction in household income and 22% reported an increase in household debt. The majority experienced no change in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children, approximately 20% of the sample reported a positive change in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children. The findings of multivariate regression indicated that change in work time, negative change in household economy, negative change in household work and negative change in relationships with spouses were associated with marital stres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negative changes in child care and in relationships with children did not affect stress among married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 KCI등재
      • 서울시민의 가족정책 인지도 및 관련 요인 탐색

        진미정(Meejung Chin),노신애(Shinae Noh),김아영(Ah-Yeong Kim)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서울시민 대상으로 가족정책(아동돌봄정책, 가족친화제도,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인지도와 관련되는 개인적 특성과 정책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만 25~74세 서울시민 1,102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빈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족친화제도의 인지도가 가장 높았고,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다. 아동돌봄정책 중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친화제도 중에서는 육아휴직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가장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정책별로 차이가 있는데 공통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미혼자보다 기혼자의 인지도가 높았다. 또한, 미취학자녀나 초등자녀가 있는 응답자가 해당 연령과 관련된 정책 인지도가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도입시기와는 상관성이 없었으며, 예산이 클수록, 서울시 정책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중앙정부 정책인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족정책 인지도는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정책은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홍보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awareness of family policies among Seoul citizens, as well as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The family policies under examination in this study consist of ten types of childrearing, five types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and five type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Data were first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of 1,102 adults aged 25-74, and then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logistic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e proportion of adults who know about each type of family policy and the effect of both individual and policy-related factors on their awareness. The most well-known policies are those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with participants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for parental leave. However, the least awareness i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among which public childcare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the best known. Awareness levels are related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budget and scope of the policy. Awareness about some types of family policy is lown, suggesting that public advertisements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and for consequent use of family polic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진미정(Meejung Chin),정혜은(Hye-eun Chung)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3

        본 연구는 미혼남녀의 결혼지연 현상을 가치관 접근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2005, 2009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중 미혼남녀 5,984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결혼, 출산, 성역할 규범 등 가족 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고, 가족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난 5년 사이 남성의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지고, 전통적 성역할분업과 남성생계부양모델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졌다. 여성의 결혼의 필요성과 혼전 동거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지고,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진 반면, 성역할태도는 보수적으로 변화하였다.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이 높고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부양모델에 동조하는 사람일수록 걸혼의향이 더 높았다. 남녀 모두 결혼 필요성에 대해 동조할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빨랐으며, 여성은 혼전동거에 대해 수용적일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높았다. 결혼 및 자녀의 필요성과 같은 당위적 규범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된 반면, 자녀의 정서적 가치가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강화되었다. 가족 가치관이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계획연령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성별, 가치관 영역,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family values (attitudes toward marriage, children, and traditional sex roles) and examines how the values influence on their intentions of marriage and expected age at first marriage. A sample consists of 5,984 never married men and women drawn from the 2005 and 2009 National Marriage and Fertility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endorsement on marriage and children has decreased while endorsement on traditional sex role attitude has increased over the past five years. Those who have higher values on marriage, children, and traditional sex role have a higher likelihood of marriage intention. However, the effects of the family values on marriage intention have weakened during the period. The endorsement on marriage lowers the mean ages of the expected first marriage.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family values during the period, this study find that normative aspects of the family values have lower effects, whereas individual aspects of the values have stronger effects over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vary across sex, time, and the aspect of the values.

      • KCI등재
      • KCI등재

        지리적 근접성이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진미정 ( Meejung Chin ),유재언 ( Jae Eon Yoo ) 대한가정학회 201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0 No.7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geographic proximity and program participation at a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HFSC). Drawing demographic and ge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participant list at a local HFSC in Seoul for the period 2009 to 2011, this study calculated the geographic distance from the individual residence to the center for 2,343 participants. We found that single time participants had a longer distance from their residence to the center than multiple time participants. When we compared the proximity by program areas, we found that the geographic distance to the center was shorter am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than among non participant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ther areas of programs. In terms of the target group, the distance was shorter among adult program participants. Finally, the average distance among participants in multiple session programs was shor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 proximity and program participation depended on program areas, target groups, and the number of sessions.

      •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비판적 검토와 가족정책의 과제

        진미정(Meejung Chin)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2

        이 글은 2021년 4월 발표된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기조와 내용을 가족정책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건강가정기본법에 근거하여 2021~2025년의 가족정책을 총괄할 4차 기본계획은 가족제도의 개선을 위한 내용은 강조되어 있으나 가족관계와 가족생활의 향상을 지원한 정책 내용은 미흡하여 편향적인 기본계획이 되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가족생활의 어려움이 커지고 관계상의 갈등과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 4차 기본계획이 대응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보편적, 예방적 성격의 가족정책에 대한 몰이해, 가족 변화에 대한 단편적인 접근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조와 행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념이 아닌 과학에 기초한 가족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기본계획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행계획을 추가로 수립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지역사회 전달체계에서 실제 주민의 가족관계와 가족생활 향상을 위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4th National Plan for Healthy Familie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is plan, which will be implemented during 2021 to 2025, challenges traditional family norms by presenting alternative laws and leads to an advance in family laws. This plan, however, leaves policy gaps in terms of enhancing family life and relationship, especially for those families who have experienced economic and relational hardships due to COVID-19.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to complement the resultant policy gap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