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hite Americans’ Racial Attitudes Revisited -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Jaesung Ryu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7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14 No.2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tudies on racial attitudes of white Americans and critically reviews them. Drawing o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I point out that literature on white racial attitudes is barely successful in accounting for the reasons why white citizens who are committed to the principle of racial equality oppose race-targeted public policies. I argue that racial policy preferences are driven not only by political and racial predispositions, but also by the different levels of cognitive engagement in issues: individuals use different amount of relevant information in forming policy preferences, which in turn leads individuals to arrive at different understandings of racial matter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Views from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 Who Cares to Learn the Issues to Make Policy Judgments

        RYU Jaesung(류재성)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7 신아세아 Vol.14 No.1

          본 논문은 정책선호 결정과정에서의 개인들 사이의 정보 이용의 차이를 측정하고 그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정보이용 경로 추적 방법을 이용하여 302명을 대상으로 한 experimental data를 생성 축하였다. 지배적인 학설에서의 예측과 달리, 필자는 새로운 정보의 획득과 이용 및 선호하는 정보의 종류에 있어서 개인들 간에 헌저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대부분 특정 정책에 대한 사진 지식과 관심에 있어서의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듀얼프로세스모델(Dual-process Model)에 근거하여 설명하였다.   This study is among the first to estimate how individuals use new information while they are making policy judgments. Taking dual-process models and processing-tracing methodology, I examined information processing through which white citizens make policy judgments on affirmative action programs. Using experimental data (N = 302), I found that individuals vary in their motivation and ability to care to incoming Information I also found that individuals do not prefer partisan information to factual information when they are being exposed to both types of information. I account for the variations in the use of new information and types of information that individuals favor in terms of prior knowledge about and interest in the issue at hand.

      • KCI등재

        Party Contacting and Voter Turnout in the American Elections, 1960-2008

        Jaesung Ryu(류재성) 韓國아메리카學會 2011 美國學論集 Vol.43 No.1

        본 연구는 정당에 의한 전략적 동원 효과가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베이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을 시도한다. 미국 정치체제는 매우 분산적이어서 정당에 의한 유권자 동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자칫 정치체제 자체의 불능화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정당을 중심으로 한 유권자의 투표유입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선거연구(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y)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의 투표율에 대한 통계모델을 구성하고, 정당에 의한 투표 설득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그 효과가 지난 대통령 선거를 통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탐구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권자에 대한 정당의 전체적인 영향력 감소에도 불구하고, 투표 행위를 유인하는 정당의 역할은 유지되고 있으며, 정당에 의한 유권자 접촉 자체가 확대된 것은 아니지만 정당에 의해 접촉된 유권자의 투표 참여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프레이밍은 이념 성향을 어떻게 활성화 혹은 억제하는가?

        류재성(Jaesung Ryu) 한국정당학회 2019 한국정당학회보 Vol.18 No.2

        본 연구는 실험 설문 방법을 통해 프레이밍 효과의 발현 메커니즘을 규명한다. 본 연구는 정치이념이 한국 대중의 인지적 스키마 혹은 신념체계로 작동한다고 가정하고, 어떤 프레임이 정치이념을 어떻게 활성화하는가에 대해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프레이밍 효과는 활성화된 정치이념이 이슈 선호 선택에 적용된 결과로 가정하고 이를 통계분석 모델을 통해 검증한다. 본 연구는 통계분석 모델을 통해 3개 정책 이슈에서 프레이밍 효과를 확인했다. 프레임에 따른 선호 (구성) 변화는 다수-소수 의견의 변화 및 작지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로 나타났다. 더불어 프레임에 따라 정치이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작동하거나 그렇지 않았다. 프레임은 정치이념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함으로써 정치이념의 정책 선호에 대한 영향을 약화 혹은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임은 신념화되고 구조화된 정치이념을 활성화 ․ 강화 혹은 억제 ․ 약화함으로써 정치이념의 이슈에 대한 적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의 사항을 함의한다. 프레임에 의한 사건과 이슈의 이념화는 특정 이념적 정파의 승패 문제가 아니라 공동체 전체의 여론 수렴의 문제에 심각한 걸림돌로 인식되어야 한다. 프레임에 의해 활성화되는 정치이념의 선호 판단에서의 핵심적 역할을 고려하면, 정치이념의 역사적 ․ 구조적 ․ 집단적이며 동시에 개인적 차원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framing effects occurs based on the data constructed by survey experiment. For this, I hypothesize that political ideology as an cognitive schema or beliefs system plays a pivotal role in making policy preferences of Koreans and that analyzed how political framing activates or suppresses political ideology. Also I test hypothesis that framing effects are resulted from applicability of activated political ideology on policy issues.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I identified framing effects working in three policy issues. Changes in policy preferences range from majority change to small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And political ideology play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ole depending on framing. It turned out that political ideology activates(or suppresses) itself by certain political framing. This study shows that citizens’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policy issues under framing effects could be ideologically biased. This study implies that negative side of framing effects should be recognized and further studied. And the nature and origin of political ideology as an amalgam of historical, structural, and individual components should be further examined.

      • KCI등재

        집단 간 갈등 인지 결정요인 분석

        류재성(Jaesung Ryu) 한국정당학회 2016 한국정당학회보 Vol.15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갈등을 누가, 어느 정도로 심각하게 인지(혹은 평가)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집단 간 갈등의 ‘실체’가 아닌 그에 대한 ‘인지’와 ‘평가’를 중심으로 분석과 논의를 전개한다. 이를 위해 정치적 대상에 대한 인지와 평가에 있어 기본적이며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지적 스키마(schema)로서의 정치이념에 주목한다. 정치이념은 정치행태 및 선거 연구에서 주요 변수로 기능하는 것으로 연구되어왔지만, 그 본성(nature)과 기원(origin)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정치이념은 일종의 ‘자기확신’이며, 개인들은 이러한 자기확신의 과잉과 결핍 사이에서 이념에 ‘대한’ 개인적 태도, 즉 일정한 ‘이념태도’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이념태도는 자기측정(self-placement)으로서의 정치이념과 정책선호의 종합 혹은 요약 간의 ‘관계’로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본 연구는, 과잉적 이념태도를 가진 개인들은 정치엘리트의 이념적 프레임 혹은 정치적 신호에 ‘과도하게’ 이념적으로 반응하며, 더불어 집단 간 갈등에 대해서도 예민하게 인지하고 따라서 갈등 정도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과잉적’ 이념태도를 가진 개인들은 ‘조응적’ 및 ‘중도수렴적’ 이념태도를 가진 개인들에 비해 우리사회의 갈등이 심화된 것으로 인지,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집단 간 갈등에 대한 정치이념의 영향력을 이념태도라는 새로운 개념의 조작화에의해 검증했다는 의미가 있으며, 정치이념의 개인적 ․ 구성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ho recognizes group conflicts more or less seriously in Korea. This research takes the concept of political ideology as a vital scope which is considered cognitive schema that plays pivotal roles in the perceptions and evaluations about political figures and events. Political ideology has been known for a primary variable in the filed of political behavior and election studies. However its nature and origins are barely known. I argue that political ideology is a sort of self-confidence which varies/ranges from vague self-confidence to overt self-confidence. I call this ‘ideological attitudes,’ which are measured by the consistency/inconsistency between ideological self-placement measure and summarized measure of policy preferences. In this research I hypothesize that individuals with overt ideological selfconfidence are likely to ideologically framed respond to political elites’ issue frames or cues and thus they are likely to evaluate group conflicts more seriously and negatively. My analysis shows that individuals with overt ideological attitudes are more than those with moderate-oriented ideological attitudes and those with vague ideological attitudes to evaluate group conflicts more seriously and negatively.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approach to better understand the nature and origins of political ideology through the concept of ideological attitudes.

      • KCI등재

        정치 지식, 무지, 오인: 오답의 특성을 중심으로

        유재성(Jaesung Ryu) 한국정당학회 2021 한국정당학회보 Vol.20 No.3

        본 연구는 무지 및 오인을 지식과 각각 구분하고, 오답응답자는 모름응답자보다는 정답 응답자와 유사한 태도 및 선호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분석 결과, 오답우선자는 모름우선자와 비교해 고 연령, 남성으로서 정당에 대한 감정의 극성도, 정치효능감, 투표참여율이 높고, 정치관심도 및 총선관심도가 낮은 특성을 가졌는데, 이러한 특성은 정치 지식이 높은 응답자의 특성에 보다 근접한다. 더불어 오답우선자는 새누리당/자유한국당보다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호감도가 높고,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했을 가능성이 큰 것을 확인했다. 이상의 결과는 정치 지식의 효과를 [오인+무지]항과 비교해 평가하는 현재의 방식이 오인이 갖는 지식과의 공통된 특성이 [오인+무지]항 내에서 무지의 변이를 축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지식 평가 방식은 지식의 효과를 디플레이션(deflation)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오인이 갖는 특성을 새롭게 밝힘으로써, 지식, 오인, 무지에 대한 보다 근본적 분석, 혹은 보다 좁게는 오인에 대한 정교한 추가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misinformed are distinct from the uninformed and similar with the informed in terms of political attitudes, preferences, party choice in the elections. The misinformed are likely to be old, male, high in perceived party difference, high political efficacy and high turnout, and low in general political interest and electoral interest.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misinformed are closer to those of the informed than the uninformed.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misinformed are more likely than the uninformed to prefer and vote for the liberal party. These findings show that political knowledge index which is composed of correct answers as an opposition to incorrect answers and DK(Don’t Know) tend to deflate the effects of political knowledge on the several related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reports new finding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the misinformed and raises the questions of how political knowledge are different from misinformation as well as ignorance.

      • KCI등재

        정치이념의 구성 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 유권자는 왜 자신을 보수 혹은 진보라고 생각하는가?

        류재성(Ryu, Jaesu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19 정치정보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미지’의 영역이었던, 정치이념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주관적 SES, 집단 선호, 가치 정향을 독립변수로 한 정치이념의 구성을 설명했다. 즉 우리 사회에서 보수-진보 성향의 차이는 주관적 SES, 집단 선호, 가치 정향의 차이로부터 만들어진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다. 첫째, 본 연구는 정치이념의 사회경제적 토대를 확인했다. 자신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정치적 차원의 자유주의 가치의 수용, 평등 및 복지에 대한 신념, 북한에 대한 보다 유연한 태도로서의 진보 이념을 가질 가능성이 크고, 자신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경제적 개인주의, 정부가 주도하는 평등 및 복지 정책 확장에 대한 부정적 신념, 북한에 대한 완강한 태도로서의 보수 이념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둘째, 본 연구는 집단 선호로서의 감정을 정치이념의 독립변수로 가설화했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집단 선호는 정치이념을 구성하는 일종의 감정적 척도(affective yardstick)로서, 진보적 집단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보수집단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진보 이념을, 그 역의 경우는 보수 이념을 생성하게 한다. 셋째, 본 연구는 가치 정향을 정치이념의 구성요소로서 가설화하고, 가치정향 → 정치이념 → 정책 선호로의 일련의 인과구조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경제적 개인주의, 남녀 간 기회균등의 확대, 한국사회에서의 신뢰확대, 북한핵 실험 위협에 대한 느슨한 인지의 가치 정향이 진보 이념을 구성하는 가치 정향임을 확인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lements of political ideology, which has been unknown area in studying political ideology of Koreans, and hypothesizes and tests that subjective SES, group preferences, and value orientation consist of political ideology of Koreans.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socioeconomic base of political ideology. Those who think themselves in high SES are likely to be liberals in terms of acceptance of politically liberal values, beliefs in equity and welfare, flexible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In turn, those who think themselves in low SES are likely to be conservatives in terms of acceptance of economic individualism, negative attitudes toward government-led equity and welfare, and hard feelings against North Korea. Seco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group-oriented affects determine political ideology. Group preferences as an affective yardstick help constructing political ideology, in which positive preference toward liberal social groups induces liberal political ideolog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value orientation is a component of political ideology and determines policy preferences via political ideology. This study confirms that those who are more in line with economic individualism, more equal opportunity for women, trust in Korean society, and relatively easy attitudes toward nuclear threats from North Korea are likely to be liberals.

      • KCI등재

        정치이념의 방향, 강도 및 층위

        류재성(Jaesung Ryu) 한국정당학회 2013 한국정당학회보 Vol.12 No.1

        본 연구는 자기평가에 기초한 주관적 정치이념이 갖는 변수로서의 유효성을 정책 선호의 일관성으로 평가한 정치이념 층위와 비교분석한다. 본 연구는 주관적 정치이념과 정치이념의 층위 사이의 관련을 규명함으로써, 정치이념 형성의 메커니즘에 대한 일정한 함의를 제공하고 자 한다. 연구 결과는 정치이념 층위로서 측정된 정치이념이 한국 유권자의 정책 선호에 대한 일정한 요약과 그 요약의 구조화(혹은 체계화)의 정도를 반영하는, 보다 유효하며 신뢰성 있는 측정방식임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따라서 자기평가에 기초한 주관적 정치이념 측정 방식 관행에 대한 제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validity of political ideology measured by self-reported placement on liberal-conservative scale, comparing with another measure of political ideology captured by consistency of policy preferences.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mplication for how political ideology of mass public is formed or what is its foundation. My results show that measuring political ideology in terms of consistent policy preferences is more valid and efficient than self-reported political ideology to predict vote choice, and that political ideology as policy preference is more correlated with other relevant variabl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political ideology in Korean voters is likely to be linked to policy preferences rather than any reference group-based self-pla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