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에서 ‘비방할 목적’의 판단 기준 - 대법원 2020. 3. 2. 선고 2018도15868 판결을 중심으로 -

        김지수 ( Kim¸ Jis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홍익법학 Vol.22 No.3

        본고는 사이버 명예훼손죄로 통용되는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에서 ‘비방할 목적’애 관한 판단을 중심으로 대상판례인 2018도15868 판례를 평석하였다. 대상 판례에서 대법원은 네이버밴드에 게재된 사이버 대학교 총학생회장 입후보자격 관련 글에 대한 댓글에서 ‘비방할 목적’과 ‘공공의 이익’ 중 ‘비방할 목적’이 두드러진다고 판단한 1심과 2심의 판결을 뒤집었다. ‘비방할 목적’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과는 행위자의 주관적 의도라는 방향에서 상반되므로, 행위자의 주요한 동기와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 인정된다면 부수적으로 다른 사익적 목적이나 동기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비방할 목적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시한 것이다. 위와 관련하여 2016. 02. 16. 선고된 헌법재판소 판결은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제1항의 ‘비방할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비판할 목적’과 구별되지 않는 불명확한 개념으로 명확성 원칙에 위배되어 청구인들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와, 개인의 명예라는 인격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람을 비방할 목적을 가지고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공공연하게 사실을 드러내어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는 자를 처벌하는 것이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하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비방할 목적을 중점으로 두 판례의 논거를 살펴본 후에는 대법원이 지향해야할 판단구조와 입법적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언해보기로 한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commentary on the case regarding “the purpose to vilify” in defamation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In the case, the Supreme Court reversed the ruling of the first and second trials, which judged that the comments, mentioning the qualification of the student president of a Cyber University on Naver Band, lean more to "the purpose to vilify” than to “the public interest.” Because “the purpose to vilify” is inconsistent with something that is of the public interest concerning subjective intentions, the Supreme Court judged that if the main motivation and purpose of the actor are recognized as for the public interest, it would not be considered as defamation, even if it contains other private purposes or motives. In this regard,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 issued in February 16, 2016, reviewed (1) whether “the purpose to vilify” in the Article 70 is an ambiguous concept that is undistinguishable from “the purpose to criticize”, which in turn violates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and the claimants' freedom of expression, and (2) whether the relevant provision of the Criminal Act violat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contrasting arguments of the two precedents described above, the proper (ideal) judgment structure of the courts and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will be discussed, focusing on the purpose to vilify.

      • KCI등재

        냉전기 한 자유주의자의 ‘저항’ 담론 형성과 분단 사유 : 김재준의 경우

        고지수 ( Koh¸ Ji-so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 통일과 평화 Vol.12 No.2

        역사인물의 내면은 역사 전환의 계기를 따라 형성, 변형, 종합되는 변화론적 과정으로 접근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김재준의 경우 기독교적 규범의 생애 적용과정 중 긴장요인의 관찰이 중요한데, 인간본성으로서의 ‘자유’ 획득, 성속이원론의 일원화, 정교분리 규범의 해소 등이 대표적이다. 김재준의 ‘인간 자유’ 및 ‘인간 존엄’ 획득은 1930년대 장로교 교권주의에 대항한 신학 자유운동, 1950년대 한국장로교 신학적 ‘이단논쟁’에서 전체주의(총회권력)와 개인(신앙양심의 자유) 간의 극단적 대결 경험에서 형성된다. 김재준의 기독교적 양심의 자유, ‘인간 자유’ 획득 경험은 현대사회 보편인권론의 한국적 맥락의 발현으로 접근될 수 있다. 1970년대 전체주의 유신체제에서 김재준의 ‘인간 자유’ 극대화 논리는 국내외 민족민주운동 노선 경합에서 야당정치인 김대중의 ‘선 민주·후 통일’ 노선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대미외교를 통한 자유진영 연합노선으로 전개되어 냉전기 분단선 안에 포섭된 한계요인이 있다. This study traces the formation of the inner thoughts of Kim Jae-joon, a pioneer of the Korean ecumenical social movement and a figure who left a trace of the national democratic movement in the 1970s as a features of liberalism. It is reasonable to approach the inner side of historical figures as a process of forming, transforming, and aggregating along the momentum of history transformation. In the case of Kim Jae-jun, it is important to observe tension factors in the life-long application of Christian norms, such as acquiring “freedom” as a human nature, unifying ‘성속(聖俗)dualism’, and resolving the norms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Kim Jae-joon’s acquisition of Christian “human freedom” and “human dignity” is formed from the experience of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totalitarianism (violence of the majority vote) and individuals (freedom of religious conscience) in the theology free movement against Presbyterianism in the 1930s and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Kim Jae-joon’s experience in acquiring Christian “human freedom” is approached as an example of the Korean context of universal human rights theory based on modern “fundamental human freedom.” Kim Jae-joon’s maximization of “human freedom and human dignity” was combined with Kim Dae-jung’s “first democracy and post-unification” line in the debate on the route of national democracy movements at home and abroad under the totalitarian system in the 1970s. Specifically, there is a limiting factor that was developed as a free-world alliance line through diplomacy with the United States and was contain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division line during the Cold War.

      • KCI등재

        사이공 함락 이후 미 의회 한국 안보·인권 논쟁과 냉전 자유주의 접근 - 1975년 미 하원 “한국 인권 청문회”를 중심으로 -

        고지수 ( Koh¸ Ji-so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이 연구는 1975년 4월 미 하원 국제관계위원회 국제기구소위원회 주최로 열린 ‘한국·필리핀 인권문제와 미국정책’ 청문회를 통해 사이공 함락 직후 미국 사회에 형성된 동아시아 안보 인식 층위들을 확인하고자 했다. 사이공 함락 직후 ‘다음은 한반도가 될 것’이란 안보 불안은 한국 관련 여론을 분열시켰고 미국의 아시아, 대한정책에 대한 회의와 우려, 재검토를 촉구하는 여론을 확산시켰다. 베트남 붕괴 이후 미 의회는 남베트남 붕괴 원인을 권위주의 통치, 인권억압, 부패 권력이 국가 분열을 초래한 것으로 진단하고 정치적 자유 요인을 유도함으로써 국민통합과 지역 안정을 이루는 자유주의 논리를 강조하였다. 한국의 경우 청문회 증언들은 주한미군 감축, 군사원조 축소 등 유신 정부 ‘혼내주기’ 방법들을 제시했으나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목표인 전쟁 재발 방지와 안보 균형 전략의 재확인으로 귀결되었다. 냉전기 미국 대외정책에서 민주주의 이상과 지역 안보이해가 상충할 때 현실주의적 현상 유지 전략의 귀결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s of “East Asian security awareness” formed in American society immediately after the fall of Saigon through a hearing titled “Korea-Philippines Human Rights Issues and US Policy” held by the US House International Relations Committe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uman Rights and Oversight Subcommittee in April 1975. Immediately after the fall of Saigon, security concerns that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the next to fall divided public opinion in the US and kindled calls for a review of US skepticism and concerns about its policies on Asia and Korea. After the collapse of Vietnam, the US Congress diagnosed authoritarian rule, human rights suppression, and corruption power as causing national division, and emphasized liberal approaches to achieve national unity and regional stability by strengthening political freedom factors. In the case of South Korea, testimony at the hearing suggested a strategy of “reproach,” such as reduction of US forces in Korea and reduction of military aid to Yushin government, but it resulted in the re-confirmation of the US’ East Asian goals of deterrence and a strategic security balance. In US foreign policy, when the ideal of democracy and the Cold War regional security strategy conflict, one can identify the dilemma that results in the realism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 Domestic and foreign disinfection industry trends in response to COVID-19

        Jisoo kim(김지수),Jungsook Choi(최정숙),Jihoon Seo(서지훈),Inwoo Choi(최인우),Philjoon Kim(김필준),Jongryul Sohn(손종렬) 환경독성보건학회 2021 한국독성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2021 No.5

        Since the COVID-19,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disinfection in the space where many people stay for a long time, with the spread of new infections caused by Cluster Infection in multi-use facilities in Korea soaring. Since COVID-19, natural ventil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alone have difficulty in controlling bio-aerosols in multi-use facilities, and considering water-borne infections as an infection path of COVID-19, a diverse disinfection process is required. Since the declaration of COVID-19 pandemic, attempts to replace human resources with robots or drones have been increasing due to the spread of non-face-to-face culture that minimizes interpersonal contact. Domestic disinfection is carried out through disinfectant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coronavirus, such as cleaning, spraying disinfection through dispensing drugs, and direct disinfection. Disinfecting spray is also avoided by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n Korea and the WHO.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disinfection is low except in the space where the disinfectant is directly contacted, and the disinfectant stimulates the skin, eyes, and respiratory system, which is not recommended due to the high risk of exposure to the human body. Although most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ed disinfection technologies have UV lamp and spray disinfection methods, they have clear limitations such as weak spray disinfection effects or ozone from ultraviolet lamps. the disinfection technology needs to be considered for the harmful effects of human exposure of chemicals in disinfectants that are made for the purpose of removing microorganisms, so continuous interest and verification of the technology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