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정상교합자의 안면 연조직 계측 분석

        유형석,한수연,백형선,김기덕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최근 들어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이용한 진단기법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3차원적인 두개악안면 분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정 치료나 악교정 수술 후의 결과에 있어서 안면 연조직의 분석은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 남자 12명, 성인 여자 11명의 CT 영상을 촬영하여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V works 4.0 프로그램 (Cybermed Inc., Seoul, Korea)으로 3차원 CT 연조직 영상을 재구성한 후에 soft tissue Nasion을 기준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좌표평면의 좌표계를 설정하여 정중선상의 soft tissue Nasion, Pronasale, Subnasale, Upper lip center, Lower lip center, soft tissue B, soft tissue Pogonion, soft tissue Menton 등 8개의 계측점과 양측성인 Endocanthion, Alare lateralis, Cheilion, soft tissue Gonion, Tragus, Zygomatic point 등 총 20개의 재현 가능한 안면 연조직의 계측점을 지정하였으며 V surgery 프로그램(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이들 계측점의 3차원적인 좌표와 기준 원점으로부터 각 계측점까지의 Net (δ=√ (X^(2)+Y^(2)+z^(2)))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안면 연조직 분석의 3차원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 계측점 간의 거리 계측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Na'-Sn과 En(Rt)-En(Lt)를 제외한 대부분의 계측값에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2차원적인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이나 안면 사진으로는 정확한 계측이 어려웠던 Na'-Zy, Na'-Ch, Na'-Go' (facial depth) 등의 정상치도 구하였다. 이상의 자료는 부정교합 환자와 악안면 기형 환자의 3차원적인 진단 및 치료 계획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udies for diagnostic analysis using three-dimensional (3D) CT images are recently in progress and needs for 3D craniofacial analysis are increasing in the fields of orthodontlcs. It is especially essential to analyze the facial soft tissu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In this study 3D CT images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taken to analyze. the facial soft tissue. Norms were obtained from CT images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12males, 11 females) using a computer program named V works 4.0 program. 3D coordinate planes were established using soft tissue Nasion as the reference point and a total of 20 reproducible landmarks of facial soft tissue were obtained using the multiple reconstructive sectional images (axial, sagittal and coronal images) of the V works 4.0 program: soft tissue Nasion, Pronasale, Subnasale, Upper lip center, Lower lip center, soft tissue B, soft tissue Pogonion, soft tissue Menton, Endocanthion (Rt/Lt), Alare lateralis (Rt/Lt), Cheilion (Rt/Lt), soft tissue Gonion (Rt/Lt), Tragus (Rt/Lt), and Zygomatic point (Rt/Lt).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landmarks and measuring method, the 3D CT images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measured and the normal positional measurements and their Net (δ=√ (X^(2)+Y^(2)+z^(2))) values were obtained using V surgery program. In the linear measurement between landmar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except Na'-Sn and En(Rt)-En(Lt). The normal ranges of Na'-Zy, Na'-Ch and Na'-Go' (facial depth) were obtained. which was difficult to measure by two-dimensional (2D) cephalometric analysis and facial photographs. These data may be used as references for 3D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s with malocclusion and dentofacial deformity.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성인 정상교합자 치관의 설측면 특징에 관한 연구

        유형석,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lingual morphology (size, angulation, contour, eminence) of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lingual bracket and lingual arch form in Korean. The subjects (Male : 50, Female : 50) were selected who have normal occlusion and dental casts were prepared. Tooth size, angulation, arch width, horizontal contour, lingual eminence were measured for all 28 teeth both upper and lower 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easuring items of all individual teeth for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obtained. 2. In comparison tests,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intermolar widths(6 to 6) before occlusal reductio and intermolar width(6 to 6,7 to 7) after occlusal reduction only, all the other measuring items showed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3. There was small variation in horizontal contour of lingual surface on lower incisors and upper and lower bicuspids. The other teeth showed somewhat greater variations. 4. There was offset between canine and bicuspid in upper arch while there was no prominent offset in lower arch.

      • SCOPUSSCIEKCI등재

        Y 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 내원환자의 지역분포와 부정교합 분류에 관한 연구

        유형석,유영규,이장열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1992년부터 1997년까지 6년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은 부정교합환자중에서 진단용 석고모형과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되고 지역 거주지가 확실한 9159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내원 환자의 성별 분포, 연령별 내원 환자의 분포, Angle씨 부정교합 분류, 제 I급 부정교합 양상의 분류 및 지역적 분포 특성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의 수가 1992년에 비해 1997년 86%가 증가하였으며 1995년 이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연령별 내원 분포에서 19세 이상군의 비율이 39.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춘기전 아동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성인 교정환자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Angle씨 부정교합 분류에 의한 내원 환자 분포에서 제Ⅲ급 부정교합자가 38.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제Ⅰ급 부정교합이 33.3%, 제 II급 부정교합은 28.6%의 빈도를 보였다. 4. 제 I급 부정교합자중 총생(crowding)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가 3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변화에서는 돌출(protrusion)환자는 점차 증가 양상을 보여 96년에는 33.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개교합과 반대교합 환자는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5. 내원 환자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서울시 환자가 전체 내원 환자의 70%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울시내원환자중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을 중심으로 반경 3-6km의 거주자가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경 9km이내에서 전체의 69%를 차지하였다. Distribution trends were examined in 9159 malocclusion patients who had been examined and diagnosed at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sity, Yonsei University over a 6 year-period from 1992 to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orthodontic patients in 1997 increased in comparing with that of 1992(86%) and after 1995, the number of annual patients showed an increase. 2. Age distribution had shown over-19 year-old group being the largest(39.9%) but percentages of pre-adolescent patients had been decreasing while that of adult patient had gradually increased. 3. Distributions in the types of malocclusion, the Angle`s Classification had shown : 33.3% for Class I, 28.6% for Class II and the largest 38.1% for Class Ⅲ. 4. Among Class I patients, crowding showed the largest(32.6%) and protrusion group had gradually increased to 33.9% in 1996.Otherwise openbite and crossbite groups tend to decrease, annually. 5. Geographic distribution showed a majority of patients from Seoul(above 70%). Among the patients from Seoul, group within the distance 3-6Km from Yonsei dental hospital was the largest(32.3%) and group within 9Km showed 69% of total patients.

      • SCOPUSSCIEKCI등재

        제I급 부정교합 환자의 발치와 비발치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 연구

        유형석,백형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5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와 영동 세브란스 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최근에 교정치료가 끝난 제 I급 부정교합 환자중 소구치를 발치하고 치료한 발치군과 비발치로 치료한 비발치 치료군 71명을 선정하고 다시 연령에 따라 청소년기와 성인으로 분류하여 교정치료 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분석 사진을 통하여 치아와 연조직의 수평·수직적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SN-MP angle, E-line에 대한 산순의 이동,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이동량,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이동량 등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치아계측항목과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유의차을 나타내었다. 2. 청소년기의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전치부 수평변화 항목,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에 대한 상,하순의 위치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성인에서의 발치와 비발치군간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전치의 경사도와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수평적 위치변화와, 상악 제1대구치의 수직고경 및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E-line과 수직기준선으로부터의 상,하순의 위치 변화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4. 청소년기와 성인 모두에서 SN-MP angle의 변화는 발치군과 비발치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71 Class I malocclusion sample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premolar-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Vertical and horizontal cephalometric evaluations on den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treatment. Also, treatment results in adolescent patients and adult patients were compar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all the dental and soft tissue measurements, with exception of SN-MP angle, upper lip to E-line, vertical movement of upper first molar, and horizontal movement of lower first mola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2. In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of adolescent samp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lips, and mesial movements of upper first molar. 3. In comparison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of adult samp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s, horizontal dental movements from vertical reference line, positional changes in upper and lower lips, and mesial movement of lower first molar.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N-MP angle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of both adolescent and adult samples.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정상 교합자의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안모비율에 관한 연구

        유형석,이기주,백형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4

        두개 악안면 기형환자의 종합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입체적인 평가와 진단이 중요하다. 그러나 흔히 전후방적인 골결평가에는 많은 분석방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안모 비대칭과 상 하악골 횡적인 부조화의 진단을 위해 필요한 횡적평가방법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횡적인 부조화의 적절한 진단과 치료는 안정된 기능교합의 형성에 있어서 전후방 또는 수직적인 부조화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기간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상하악의 횡적인 부조화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시진을 통한 임상적 방법으로는 간과되기 쉬우며 더욱이 특정적인 안모소견을 보이는 전후방 또는 수직적인 부조화와 동반된 경우에는 감별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정상 안모에 관한 정모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안모 비율의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96학년도 연세대학교 신입생중에서 협조 가능한 정상 안모와 거의 정상교합을 갖은 남녀 76명을 선정하여 안모 비대칭과 횡적인 부조화가 있는 악안면 기형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에 도움을 주는 자료를 얻고자 정모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을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계측항목과 그 비율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모의 수평 및 수직적인 계측항목과 그 비율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2. 정모의 폭경에 대한 고경의 비율은 0.837(남자:0.836, 여자:841)이었다. 3. 상악골과 하악골간의 폭경비율은 0.747(남자:0.745, 여자:0.752)이며,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4. 두개 안면부 폭경들간에는 서로 연관성이 나타났다.(두개 폭경, 관골전두봉합폭경, 안면폭경, 상악폭경, 하악폭경, 상악과 하악 구치부폭경) 5. 정모의 폭경이 증가할수록 안모고경과 다른 길이 계측치도 연관되어 증가하였지만 각도 계측값(Bjork의 합, 하악평면각)의 감소와, 후전 안면고경 비율증가로 인하여, Brachycephalic facial type의 안모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악안면 기형 환자의 교정치료 및 악교정 수술치료의 계획에 기준치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For the total treatment of skeletal malocclusions, 3-dimensional evaluation and diagnosis are essential. Although anteroposterior discrepancies can be evaluated through various methods, the satisfactory methods for evaluations of facial asymmetry and transverse discrepancies are yet to be found. The adequat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ransverse discrepancies may be more important in the maintenance of functional occlusion as well as for the stability of results obtained from othognathic surgery than the anteroposterior or vertical discrepancies. Since the soft tissue effects from the transverse discreapnies may not be pronounced, expecially when combined with anteroposterior or vertical discrepancies which have prominent characteristics, the differentiation of their effects may be the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as a reference for th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The present study evaluates 76 subjects from Yonsei University freshman with normal facial symmetry and occlusion.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and the normal values and facial proportions are obta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ransverse and vertical valu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and their ratio, with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re calculated. 2. The ratio of vertical values to transverse values i 0.837(male 0.745, female 0.841). 3. The proport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widths is 0.747(male 0.745, female 0.752),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4. Various degree of significant correlations are observed in the following craniofacial width;(Cranial width, Bizygomaticofrontal suture width, Facial width, Maxillary width, Upper&Lower Intermolar width, Mandibular width). 5. Although the facial height as well as other line measurements increase as the facial widths increase, angle measurement(Bjork, Sum, Mandibular Plane Angle, Gonial Angle), decreases and posterior to anterior facial height ratio increases, therefore indicating the tendency for a brachycephalic facial type. These results may be used as references for the treatment planning in orthognathic and othodontic treatments for the dentofacial deformity patients.

      • KCI등재

        즉시 부하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Periotest 의 유효성

        차정열,유형석,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3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Periotest values for the predic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s’ stability. Methods: Sixty orthodontic mini-implants (7.0 mm x Ø1.45 mm; ACR, 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 were inserted into the buccal alveolar bone of 5 twelve month-old beagle dogs. Insertion torque (IT) and Periotest values (PTV) were measured at the installation procedure, and removal torque (RT) and PTV were recorded after 12 weeks of orthodontic loading. To correlate PTV with variables, the cortical bone thickness (mm)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ithin the cortical bone and total bone area were calculated with the help of CT scanning. Results: The BMD and cortical bone thickness in mandibular alveolu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axilla (p < 0.05). The PTV values ranged from -3.2 to 4.8 for 12 weeks of loading showing clinically stable mini-implants. PTV at inser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T (-0.51), bone density (-0.48), cortical bone thickness (-0.42) (p < 0.05) in the mandible, but showed no correlation in the maxilla. PTV before remova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T (-0.66) (p < 0.01) in the mandible.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iotest is a useful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mini-implant stability, but it can only be applied to limited areas with thick cortical and high density bone such as the mandible. Periotest는 보철용 임플랜트 식립 3 - 4개월 후 골유착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요도 측정 기기로 교정용 미니임플랜트 안정성 평가에 적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Periotest 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성견 다섯 마리의 상악, 하악 협측골에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를 식립하고, 식립 시 식립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고 12주 동안 교정력을 부여한 후, 제거 시 제거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였다. 동요도 (Periotest value, PTV) 측정은 재현성을 위해 동일 부위에 2회 측정하였다. PTV와 다른 변수와의 상관성 분석을 위해 모든 실험견은 CT 촬영 후 식립 부위의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를 계측하였다. 동요도 측정에 대한 재현성은 0.96 의 상관계수를 나타내 매우 높았으며 (p < 0.001)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에 있어 하악골 협측치조골이 상악골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 (p < 0.05). 12주 동안 PTV 값은 -3.2에서 4.8의 범위를 나타내며 모든 임플랜트는 임상적으로 안정적이었다. 식립 시 PTV 값은 하악에서 식립 토오크(-0.51), 골밀도(-0.48), 피질골 두께(-0.42)와 상관성이 있었으나 (p < 0.05), 상악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제거 시 PTV 값은 하악에서 제거 토오크(-0.66)와 상관성이 있었으며 (p < 0.05), 상악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Periotest 를 이용하여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골밀도가 높고 피질골이 두꺼운 부위에서 제한적으로 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SCOPUSSCIEKCI등재

        전치부 반대교합 성인의 저작양상에 관한 연구

        손병화,유형석,박종진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1

        저작은 기본적으로 Brain system의 central pattern generator(CPG)에 의해 조절되며, CPG로부터 target 기관까지의 출력(output)은 oral sensory feedback에 의해 변형된다. 전치부 반대교합은 이 feedback mechanism에 영향을 미치어 muscle activity와 jaw movement를 바꾼다. 본연구는 정상교합자와 전치부 반대교합자의 muscle activity와 jaw movement pattern의 차이를 알고자 시행하였다. 대상은 각각 성인남녀 30명씩으로 하였으며 측정은 Biopak system의 EMG와 EGN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Resting시 실험군이 정상군보다 모든 근육(좌측 악이복근 제외)에서 높은 근활성도 를 보였다. 2. Clenching시는 정상군과 실험군간의 유의차가 없었다.(우측 악이복근 제외) 3. Swallowing시는 정상군이 좌우측 교근과, 우측 후측두근에서 실험군보다 높은 근활 성도를 보였다. 4. 최대 개폐구속도는 정상군이 실험군보다 큰 값을 보였다. 5. 최대개구량과 최대전후방운동량 및 측방변위량은 정상군이 실험군보다 큰 값을 나 타냈다. Mastication is basically regulated by central pattern regulator(CPG) of brain system target organ output from CPG is modulated by oral sensory feedback. anterior cross bite pattern infuluence the feedback mechanism and change muscle activity and jaw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 anterior cross bite group from normal group the selected sample groups were 30 normal patient, 30 anterior cross bite patient. EMG and EGN of Biopak system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resting state of mandible, anterior cross-bite showed the higher muscle activities in all the muscle.(exception:left digastric muscle) than normal group. 2. In clenching stat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ies of normal group and anterior cross bite group was noticed. 3. In swallowing state Normal group showed the higher muscle activities in left and right masseter muscle, right posterior temporal muscle. 4. In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normal group showed the higher value than anterior cross-bite. 5. In the mean value of the maximum opening, the maximum anterior-posterior movement from centric-occlusion, the lateral deviation from centric-occlusion, normal group showed the higher value than anterior cross-bite group. .

      • SCOPUSSCIEKCI등재

        제 Ⅲ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후 골격적 재발 양상에 관한 연구 : COMPARISON BETWEEN SSRO AND IVRO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과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의 비교

        이장열,유형석,유영규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3

        하악 전돌증의 치료를 위해 외과적인 술식이 교정임상분야에 도입된 이래로 많은 임상적인 성공사례가 보고되어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하악골 후퇴술의 대표적 술식으로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SSRO)과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IVRO)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물론 이 두가지 술식 모두 만족스러운 술후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술후 안정성과 재발의 양상과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하악 후퇴술후 시간경과에 따른 재발의 정도에 관한 국내의 연구는 국외에 비해 다소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시상 분할 골절단술과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후의 재발양상에 관한 비교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후 수술방법에 따른 재발 양상과 장기적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로 시행받은 24명(남자 10명, 여자 14명)과 구내 상행지 수직골절단술로 시행받은 26명(남자 10명, 여자 16명)의 수술 직전(T1), 수술 직후 48시간 이내(T2), 수술 후 4-8주(T3), 수술후 6개월 이상(T4)등 4장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여 두 군간의 기간별 재발 양상과 각 군내의 타 변수들과의 상관성에 관해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골의 수평적인 초기 재발은 시상 분할 골절단술군에서는 전방 이동,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군에서는 후방 이동양상을 보였다. 2. 두 군 모두에서 하악골의 수직적인 초기 재발과 후기 재발은 전안면고정이 감소하는 쪽으로 일어났으며 두 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시상 분할 골절단술군에서 수술시 근심절편의 후방회전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후기 재발이 더 전방으로 일어났다. 4. 두 군 모두에서 수술시 하악골 후퇴량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초기 재발이 더 전방으로 일어났다. To evaluate the relapse pattern and long-term stabilities depanding on surgical methods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of C1 III patients, the author selected 24 subjects(10 male, 14 female) operated by SSRO and 26 subjects (10 male, 16 female) operated by IVRO. Each subject took four lateral cephalograms : just before surgery (T1), within 48hrs after surgery(T2), 4-8 wks after surgery(T3), 6 month or more after surgery(T4), and the landmarks were digitized. The differences of relapse patterns in each interval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 of each group was tested.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1. Horizontal early relapse was forward movement of mandible in SSRO group, as compared to the backward movement in IVRO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2. Vertical early and late relapses were decreases in anterior facial height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3.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ndibular horizontal late relapse and surgical change of articular angle in SSRO group. 4.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mount of mandibular set-back and mandibular horizontal early relapse in both groups.

      • SCOPUSSCIEKCI등재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수완부 골성숙도의 추정에 관한 연구

        김경호,유형석,김석현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5

        성장의 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개체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여러 생리학적 지표(physiologic indicators)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중 골성숙도(skeletal maturity)는 성적성숙도(sexual maturity)와 신장의 성장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발육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선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하악견치를 포함한 일부치아의 발육이 골성숙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발육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선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하악 견치를 포함한 일부 치아의 발육이 골성숙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7세에서 15세까지의 한국인 남, 녀 아동 387명의 수완부 방사선 사진과 파노라마 사진을 이용하여 Fishman방법과 Greulich와 Pyle방법에 의해 골성숙도을 평가하였으며 변형된 Demirjiran방법에 의해 치아의 성숙도를 평가하여, 수완부 방사선의 사진의 도움 없이 골성숙도를 추정할수 있는 방법을 구하고자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수완부 골성숙도의 추정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성숙 지수의 추정을 위한 아래의 다중회귀모형은 84%의 설명력을 나타내며 연대연령, 성별, 하악 견치의 회귀계수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골성숙지수 = 0.60x 연대연령 -1.67x성별 + 0.88x하악견치 - 0.05x하악 제2대구치 -10.3 2. 골연령의 추정을 위한 아래의 다중회귀모형은 87%의 설명력을 나타내며 연대연령, 성별, 하악 견치의 회귀계수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골연령 = 0.75x 연대연령 - 0.55x성별 + 0.71x하악 견치 + 0.09x하악 제2대구치- 5.77 (성별: 남자=1, 여자=0., 하악견치, 제2대구치 : 각 발육단계별 평균연령) The evaluation of growth potency can be done with many physiologic indicators. It has been well known that skeletal maturity has a close relation with both sexual maturity somatic maturity, but the correlation between skeletal maturity and dental maturity was believed to be less certain. But, recent studies show that specific teeth, including lower canines, present close correlations with skeletal maturity. So, in this study, we study, we studied hand-wrist X-ray films and orthopantomograms of 387 Korean boys and girls aged from 7 to 15; the purpose was to determine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and to find out a new method to estimate individual skeletal maturity using multiple-regression model, without the help of hand-wrist X-ray film. As a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s were observed. 1. The following multiple-regression model can estimate skeletal maturity index(SMI) with 84% of accuracy, and regression coefficient of chronologic age, sex and lower canin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SMI = 0.60 x chronologic age - 1.67 x sex** + 0.88 x lower canine* - 0.05 x lower 2nd molar* - 10.3 *: mean age corresponding each developing atage, **: male= 1, femal = 0 2. The following multiple-regression model can estimate skeletal age with 87% of accuracy, and regression coefficient of chronologic age, sex and lower canin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Skeletal age = 0.75 x chronologic age - 0.55 x sex** + 0.71 x lower canine* - 0.09 x lower 2nd molar* - 5.77 *: mean age corresponding each developing atage, **: male= 1, femal = 0

      • KCI등재

        교정용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와 변형량이 재료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민샘,황충주,유형석,이상배,차정열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1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orce and stress depending on the type, deflection and thickness of the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materials after repeated loading. Methods: Four types of thermoplastic products were tested. Force until the deflections of 2.0 mm and the stress when the materials were restoring to its resting position were evalua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materials evaluated after 5 repeated loading cycles. Results: The interac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hickness and the deflection (p < 0.05) from the regression equation. Thickness and amount of deflection rather than products and materials showed the largest effect on force and stress. In all products, at least 159 gf of force was required for more than 1.0 mm deflection or when materials with 1.0 mm thickness were deflected. The stress recorded was more than 19 gf/mm². During repeated loading,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orce and the stress (p < 0.01), 10 - 17% reduction of force and 4 - 7% reduction of stress in average. Conclusions: Proper thickness of thermoplastic materials and deflection level of tooth movement should be decided for the physiologic tooth movement. Force decay after repeated loading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fficient tooth movement. 다양한 열가소성 교정 재료를 이용한 성공적인 임상 결과가 보고되었지만, 재료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열가소성 재료의 종류, 두께, 변형량과 반복변형에 따른 변형 시 필요한 하중과, 변형되었던 재료가 원래의 상태(resting position)로 돌아갈 때 재료의 복원력을 평가하였다. 실험적인 모델의 조건에서 투명교정장치의 재료로 쓰이는 4가지 종류의 열가소성 재료(0.5 mm, 0.75 mm, 1.0 mm 두께)를 최종 변형량이 2.0 mm가 될 때까지의 하중(gf)을 측정하였다. 변형 후 탄성력에 의해 원점으로 회복될 때, 재료의 복원력(gf/mm²)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5회 반복변형 동안의 하중과 복원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와 변형량에 대해 상호 교호작용이 관찰되었으며 (p < 0.05),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 및 변형량이 하중과 복원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재료 간 혹은 제품 간의 하중과 복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께가 1.0 mm이거나 또는 1.0 mm 이상 변형인 경우 최소 159 gf의 하중이 필요하였고, 최소 16 gf/mm2의 복원력이 발생하였다. 각 실험군에 대한 반복하중 시 하중과 복원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고 (p < 0.01), 평균 10 - 17%의 하중 감소와 4 - 7%의 복원력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하중과 복원력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요소는 재료의 두께와 치아의 이동량 이었다. 제품에 상관없이 두께가 1.0 mm 이상인 재료를 사용하거나 치아를 1.0 mm 이상 이동 시에는 과도한 힘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투명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생리적으로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치아배열을 위해 사용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와 셋업 시 치아 이동량을 고려하여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반복하중 후에 열가소성 재료의 피로도에 의한 힘의 상쇄를 고려하여 임상에 적용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