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Aspergillus usamii KCTC 6954에 의한 ginsenoside Rb1로 부터 의약용 소재인 compound K로의 생물학적 전환

        조미나 ( Mi Na Jo ),정지은 ( Ji En Jung ),윤현주 ( Hyun Joo Yoon ),장경훈 ( Kyung Hoon Chang ),지희숙 ( Hee Sook Jee ),김기태 ( Kee Tae Kim ),백현동 ( Hyun Dong Pai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는 인삼의 주요성분인 ginsenoside Rb1으로부터 보다 높은 생리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compound K를 생산하기 위하여 Aspergillus usamii KCTC 6954에서 유래된 β-glucosidase를 사용하여 생물전환을 실시하였다. 15일 동안의 배양 중, 효소활성 측정은 ρ-nitrophenyl-β-glucopyranoside를 기질로 하여 분해 생성되는 ρ-nitrophenol (ρNP)을 비색계로 측정함으로써 실시되었다. 그 결과로서, 균주의 성장 속도는 접종 후 6일 후 최대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β-glucosidas 활성도는 175.93 μM ml-1 min-1로 나타났다. 또한 효소 반응의 최적 조건은 pH 6.0 이내에서는 60oC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 중 ginsenosides 분석 결과, 배양 9일 후에는 Rb1는 Rd로 전환되고 15 days 후에는 compound K로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반응에 있어서는 Rb1는 1시간 이내에 ginsenoside Rd로 전환되었고 8시간 이후에 최종산물인 compound K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Rb1으로부터 주요 생물학적 전환 경로는 Rb1→Rd→F2→compound K로 나타났으며 이는 차후 Rd나 compound K와 같이 강한 생리기능성을 갖지만 자연에 미량 존재하는 물질의 대량생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β-Glucosidase from Aspergillus usamii KCTC 6954 was used to convert ginsenoside Rb1 to compound K, which has a high bio-functional activity. The enzymatic activities during culturing for 15 days were determined using ρ-nitrophenyl-β-glucopyranoside. The growth rate of the strain and the enzymatic activity were maximized after 6 days (IU; 175.93 μM ml-1 min-1). The activities were maximized at 60oC in pH 6.0. During culturing, Rb1 was converted to Rd after 9 d and then finally converted to compound K at 15 d. In the enzymatic reaction, Rb1 was converted to the ginsenoside Rd within 1 h of reaction time and compound K could be detected after 8 h. As a resul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Rb1→Rd→F2→compound K is the main metabolic pathway catalyzed by β-glucosidase and that β-glucosidase is a feasible optio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 bioconversion processes to obtain minor ginsenosides such as Rd and compound K.

      • KCI등재후보

        하악골에 발생한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환아의 증례보고

        윤현주,이제호,윤정훈,이종갑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1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는 Langerhans Cell 의 비정상적인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임상적 양상은 단독 골병소에서부터 여러 장기를 침범하여 치명적인 경우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나이가 어릴수록, 침범된 장기의 수가 많을수록 예후는 좋지 않다. 악골의 경우는 전체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환자의 10~20%에서 나타나며, 주로 초기에 이환된다. 본 환아는 만 3세 때 하악골 전반에 걸친 동통으로 본 치과병원에 내원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임을 확진 받은후 소아과에 의뢰되어 화학요법에 의해 치료되었다. 재발의 가증성이 있어 현재 주기적 검사중이며, 하악 좌측 제2소구치배의 상실로 인해 향후 교정치료 및 보철치료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본 증례는 치과병원에서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임을 확진한 후 조기치료를 시행해 주어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LCH) is characterized by proliferation of Langerhans cells. The clinical manifestation varies from solitary bone lesion to multi-system, life threatening disorder. The younger the patient is and the more system is involved, the worse the prognosis is. The jaw is involved 10~20 percent of all LCH and it is involved usually in early stage of LCH. In this case the patient is three years old girl who suffered from pain of whole mandibular body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confirmed the dignosis LCH. She is referred to pediatrics and managed with combined chemotherapy. Due to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we follow up the girl and she need orth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 in the future because of the loss of lower left 2nd premolar. We report this case because early recognized LCH in dental hospital result in good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