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uth America Off Balance? Aggregate and Military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Dylan Motin(모틴 딜런)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비록 브라질이 인구와 경제 면에서 남아메리카의 지배적인 국가이지만, 다른 남미 국가들은 브라질의 패권추구 가능성에 대하여 걱정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국제관계학의 현실주의 이론이 예견하는 것과는 달리, 브라질에 대한 균형화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주요 주장은 남미 국가들이 종합 세력이나 잠재 세력과 균형화 하지 않고 군사력과만 균형화한다는 것이다. 남미 국가들의 종합 세력과 군사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 후, 브라질이 비록 종합세력으로 우세하지만 이웃 국가들에 대한 압도적인 군사적 위협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주로 국가들이 육상 군사력과 균형화하기 때문에, 다른 남미 국가들은 현재로서는 브라질의 전반적인 우위를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제 관계 이론과 남아메리카의 국제 정치 이해에 대한 함의가 많다. Although Brazil is the dominant power of South America in terms of population and economy, other South American states do not appear worried by a potential Brazilian bid for hegemony. Contrary to what realist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would predict, balancing against Brazil has yet to occur. This study’s main argument is that South American states do not balance against aggregate or aggregate power but against military power; after building a dataset of the aggregate and military power of South American states, I show that Brazil, although dominant in aggregate terms, is not an overwhelming military threat to its neighbors. Since states primarily balance against land military power, other South American states have no reason to fear Brazilian overall superiority for now. Accordingl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for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South America.

      • KCI등재

        프랑스의 근세 팽창정책 결정요인 연구: 루이 14세 시기 팽창과 균형, 책임전가를 중심으로

        모틴 딜런(Dylan Motin)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7 No.1

        본 논문은 국제관계론 발전을 위해 프랑스 근세 팽창정책 결정요인과 이에 대한 다른 강대국의 반응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프랑스 루이 14세의 팽창적 외교정책에 관한 기존 학자들의 인식은 루이 14세 개인적 영광추구의 동기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러나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유럽국제정치의 맥락에서 살펴보면, 개인적 변수뿐만 아니라 국제적 변수들을 고려해야만 1661∼1713년 프랑스의 팽창정책의 결정요인을 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그 시기를 해석하도록 본 논문은 방어적 현실주의와 공격적 현실주의라는 국제관계학 이론을 적용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루이 14세 재위 시기, 프랑스의 팽창적 대외정책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공격적 현실주의를 제시하며, 특히 세력분포 변수를 통하여 프랑스의 대외정책 팽창 양상을 잘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방어적 현실주의의 이론적 기대와는 달리, 강대국들은 대외적 팽창정책을 추구할 유인이 있음을 보여준다. It is common knowledge that the search for glory drove Louis XIV’s foreign policy. However, reducing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late-seventeenth and early-eighteenth centuries Europe to Louis XIV’s personality misses an important part of the story. In order to explain that era, I test against it offensive realism and defensive realism. I show that France was a potential hegemon from 1661 to 1713 and that it acted according to the predictions of offensive realism. France took all the opportunities to expand. Several great powers tried to pass the buck of containing France as often as possibl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ontrary to what defensive realism predicts, great powers have clear incentives to expand. Thus, offensive realism provides more insights than defensive realism. This study is of importance for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but also for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early modern Eur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