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Comparison of Parent and Teacher Perception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Skills Affecting Kindergarten Readiness

        Zieleniewski, Craig A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Aurora University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47630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is descriptive quantitative study compared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skills affecting readiness for kindergarten.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364 parents and 50 teachers in one large Midwestern suburban school district. Respondents used five-point Likert scales to rate readiness skills in the domains of Approaches to Learning and Self-Regulatio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and Mathematics. Parent and teacher responses were compared using Wilcoxon rank-sum tests, and parent demographic data was analyzed using Kruskal-Wallis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expo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between kindergarten parents and teachers in all domains. Mean scores for parents were consistently higher than teachers, as teachers valued social skills over academics. Analysis of parent demographics revealed sever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sorted by race,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dentify existing gaps and promote more alignment between the attitudes of parents and teachers on kindergarten readiness.

      • The practice of poetry: Identity, community and subculture

        Craig, Ailsa New York University 2006 해외박사(DDOD)

        RANK : 247615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how poets develop and sustain a sense of belonging to local poetry communities and the subculture of poets. As such, it investigates how identity and commitment are produced and maintained net of consistent, formal institutional factors, and how those identities are interrelated to local communities and the subculture of poetry. I draw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poets in New York and Toronto, as well as ethnographic observation to explore how poets in these two cities recognize themselves and are recognized by others as members of a collective that involves shared understandings, values and interactional networks. Combining the insights of Howard Becker and Pierre Bourdieu, this research contends that community, subculture, and identity are not static, but the product of ongoing activities, interactions and relations. It is argued that being a poet not just a technical achievement, but an ongoing accomplishment maintained through poetic practice, continuing interaction and struggle, and a sense of belief that is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This work is therefore able to articulate connections between commitment and identity in various contexts and levels of analysis to present a view of how commitment works in central life activities.

      • More Than Just a Game: The Politic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ort in North Korea : 게임보다 효과있는: 북한 국내외 스포츠 정치

        Craig LaTouche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359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North Korea has become a member of an eclectic group of states, resisting the push towards liberal democracy that has swept the world in the past 20 years or so, while also living up to its nickname of the ‘Hermit Kingdom’.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created an inward turning, offensive pariah with North Korea, in comparison to the booming, capitalist and outreaching South Korea. The caustic rhetoric, nuclear tests, border hostilities and negotiation deadlocks characterize North Korea as a state unlike others, and it is clear that they are treated as such. States such as North Korea are not easy to understand in a conventional way,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North Korea through the means of s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history of North Korean sport, North Kore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ort policies thoroughly and identify the political utilization it attains and pinpoint the convergence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ort. Furthermore,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are analyzed by means of game theory, testing the event for participatory, cooperative and engaging properties in the event of North Korea’s participation or not. This paper presents North Korea use of sport as a tool for domestic stability and indoctrination while also as a mechanism for dialogue and an exceptional means to make progress in terms of cooperation and engagement, especially with South Korea.

      • Curriculum Balance in Taekwondo Gymnasiums

        Craig Rueter 경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359

        Taekwondo is a martial art and Olympic sport that has seen unprecedented growth in the last 67 years. “More than 60 million people in 190 countries around the world take part in Taekwondo” (“Taekwondo – About”). This growth is especially impressive given the difficulties that Korea has faced in that time. The modern history of taekwondo began with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in 1945. During the first few decades after the occupation, the 5 original gyms, or Kwans, branched out into 9 main gyms. The early leaders of the 9 Kwans didn’t always agree, and there was a lot of argument about what to call the art. The many names for the art included Taesoodo, Taekwondo, Soobahkdo, Kongsoodo and others. There was also a lot of disagreement about what federation the art should be united under and at least 5 separate foundations existed at different times. However, through discussions and disagreements, as well as the efforts of people in taekwondo and the Korean government, taekwondo finally came to be unified under the name “Taekwondo”. The Korean Taekwondo Association then became the national governing body in Korea, and th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and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were founded a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structors took the art of taekwondo to different nations around the world and taught it to the peoples of those countries. The languages and cultures of those nations were very different from Korea’s. An example of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ist cultur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collectivist cultures like are found in many Asian nations. “On the individualist side we find cultures in which the ties between individuals are loose: everyone is expected to look after him/herself and his/her immediate family. On the collectivist side we find cultures in which people from birth onwards are integrated into strong, cohesive in-groups, often extended families (with uncles, aunts and grandparents) that continue protecting them in exchange for unquestioning loyalty.” (Hofstede, pg. 11) Taekwondo functions in a collectivist way that can make it difficult for people from non-collectivist cultures to accept it easily. Additionally, taekwondo has evolved from the art practiced at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in that time teaching methods and the focus of instruction have changed. An example of this is the advent of Olympic sparring. The skills needed for success in a sparring competition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skills needed for success in other aspects of taekwondo. The preceding examples, along with many other challenges make it so that taekwondo, while being the same art in name, may not always be taught in a uniform manner across nations and schools.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try and understand how taekwondo is being taught around the world and what has changed in the art over time.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generation and nation of origin of the taekwondo instructor, as well as any changes in the instructor’s view of taekwondo over time affect, the way class time is used to teach taekwondo. A survey administered on-line asked participants questions about their instructors’ classes, their own classes and how the use of class time has changed or not over time. Surveys were hosted in English and in Korean. There were insufficient numbers of Korean language respondents (12) to perform statistical testing. However, for the English language survey a sufficient number (202) of surveys were received to perform statistical testing. Three hypotheses were tested. The first was that generation of taekwondo instructor affects the balance of time spent on different elements in gym curricula. The chi squared test for independence performed on instructors by generation for all of the data did not allow for any further tests to be performed. However, when using only data for US versus Korean instructors by generation, the chi squared test for independence did allow for testing in the category of sparring. For this t-test, the null hypothesis, Ho, was that no individual group of instructors spe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reater than average amount of time in their individual curricula in regards to the technique of sparring as compared to other groups. Due to the p values from the t-test performed, the null hypothesis would be rejected for: • instructors who started teaching in Korea before 1950 • instructors who started teaching in Korea from 1950-59 • instructors who started teaching in Korea from 1960-69 • instructors who started teaching in the US from 1970-79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se groups of instructors sp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greater than average amounts of time in their curricula teaching sparring compared to the time spent by the other groups. Next, t-tests were performed on the groups broken down by generation for USA versus Korea to examine the techniques that were given a less than average time in the curricula. The null hypothesis, Ho, was that no individual group of instructors spent a statically significant lesser than average amount of time in their individual curricula in regards to the technique of sparring as compared to other groups. By the p values from the t-test above, the null hypothesis would be rejected for: • instructors who started teaching in the USA before 1950 • instructors who started teaching in the USA from 1960-69 and • instructors who started teaching in Korea from 1970-79 • instructors who started teaching in Korea from 1980-89 Therefore, these groups of instructors spent less than average time in their curricula teaching sparring. The second hypothesis tested was that the nation of origin of taekwondo instructor affects the balance of time spent in gym curricula on the major elements. For US teachers versus Korean teachers, without consideration to generation,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broken down into difference of amount of time spent on each technique in the curricula, was in the technique of kicking (no contact). The two-proportion z test produced a p value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Korean teachers spent a greater than average amount of time on the technique of kicking (no contact) than their American counterparts. The third hypothesis tested was that change in instructors’ concept of taekwondo and changes in the art itself over time affected the balance of time spent in gym curricula on the major elements. Based on the p values from a 2-proportion z test, the following were concluded about taekwondo teachers who have over the years shifted the time spent on various techniques in their curricula: Those who have shifted the amount of time spent on techniques spent a greater than average amount of time on “kicking targets/pads/mitts” than those who have not shifted the time spent on various techniques. Taekwondo teachers who have over the years shifted the time spent on various techniques spent a greater than average amount of time on sparring. In the category of breaking, the teachers who over the years shifted the time spent on various techniques spent a lesser than average amount of time on breaking than the teachers who did not change their curriculum. In conclusion, for hypothesis 1, that generation of instructor affects the balance of instruction time in curricula, it can be concluded that for some generation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sparring. Therefore, in those cases the first hypothesis is correct. For hypothesis 2, that nation of origin of instructor affects the balance of instruction time in curricula, it can be concluded that for American versus Korean instructors Korean instructors spend more time on kicking (no target) than American instructors. Therefore, in the case of kicking (no target), the second hypothesis is correct. Finally, for hypothesis 3, that change in taekwondo and in instructors’ thinking about taekwondo affects the balance of instruction time in curricula, it can be concluded that for sparring, kicking targets/pads/mitts, and breaking, the third hypothesis is correct. 태권도는 지난 67년 동안 유례없는 성장을 보여온 무술이자 올림픽 스포츠 종목이다. “전 세계 190개 국가에서 6천만 명 이상이 태권도에 참가한다”. 이러한 성장은 한국이 당시에 직면했던 어려움을 고려해 볼 때 특히 인상적이다. 현대 태권도의 역사는 1945년 일본의 한국 점령이 끝나는 광복과 태권도는 지난 67년 동안 유례없는 성장을 보여온 무술이자 올림픽 스포츠 종목이다. “전 세계 190개 국가에서 6천만 명 이상이 태권도에 참가한다”. 이러한 성장은 한국이 당시에 직면했던 어려움을 고려해 볼 때 특히 인상적이다. 현대 태권도의 역사는 1945년 일본의 한국 점령이 끝나는 광복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후 처음 수십 년 동안, 기존의 5개 체육관이 9개의 주 체육관으로 분파되었다. 9개 체육관의 초기 지도자들은 항상 의견이 달랐고 소위 태권도 기술이라는 것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다. 그 기술에 대한 여러 이름으로 태수도, 태권도, 수박도, 공수도 등이 있었다. 그 기술을 어떤 단체 아래에서 단일화해야 하는 지에 대한 여러 의견 충돌이 있었고 최소 5개의 개별 단체가 여러 시기에 존재했다. 그러나, 논의 및 의견 충돌을 통해서뿐 아니라 태권도 관계자 및 한국 정부의 노력으로 말미암아 태권도는 마침내 “태권도”라는 명칭으로 통합되었다. 그후 대한 태권도 협회(Korea Taekwondo Association)가 한국에서 전국적인 관리 기구가 되었고, 국제 태권도 연맹(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및 세계 태권도 연맹(World Taekwondo Federation)이 국제 단체로 창설되었다. 지도자들은 전 세계 여러 국가에 태권도 기술을 전파했고 여러 국가의 국민들에게 태권도를 가르쳤다. 그러한 국가의 언어 및 문화는 한국의 언어 및 문화와 많이 달랐다. 이것의 한 예가 미국과 같은 개인주의 문화와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집산주의 같은 문화 간의 차이점이다. “개인주의자 입장에서 문화는 개인들 간의 유대감이 느슨한 문화이다. 모두 자기 자신과 자신의 직계 가족을 돌보는 것에 대해서만 생각한다. 집산주의자 입장에서 문화는 출생하는 그 순간부터 무조건적인 신뢰와 충성을 주고 받으면서 계속 서로를 보호하는, 강하고 끈끈한 무리 속에, 종종 대가족(삼촌, 숙모 및 증조부가 있는) 내에 소속된다.” (Hofstede, 11쪽) 태권도는 비집산주의자 문화의 사람들이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는 집산주의자 방식으로 작용한다. 또한, 태권도 기술은 일본으로부터의 해방 무렵에 실행했던 기술에서 더욱 발전하여 그 시기에 교수법 및 지도 중점 방안이 바뀌었다. 이 변화의 한 예가 올림픽 겨루기의 도래이다. 겨루기 경기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은 태권도의 다른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과 반드시 동일한 기술이 아니다. 전례에서 보아, 다른 많은 어려움과 함께, 태권도는 태권도라는 이름으로 동일한 기술이긴 하지만 여러 국가와 학교에서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가르치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세계적으로 태권도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시간이 감에 따라 태권도 기술 부문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고 이해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태권도 지도자의 세대(generation) 및 출신 국가뿐 아니라 시간이 감에 따라 태권도에 대한 지도자의 컨셉 변화가 태권도 수업시간을 사용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조사한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에서 참여자들에게 지도자의 수업과 참여자 자신의 수업 및 수업 시간의 사용이 시간이 감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설문조사는 영어와 한국어로 실시되었다. 통계 검정을 시행하기에는 한국어 응답자의 수(12명)가 충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영어 설문조사에서는 통계 검정을 시행하기에 충분한 수(202명)의 응답자로부터 설문조사를 받았다. 세 가지 가설에 대해 검정을 시행했다. 첫 번째 가설은 태권도 지도자의 세대가 수업 시간에 할당되는 각 기술의 학습 배분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다. 모든 데이터에서 지도자에 대해 세대별로 시행한 독립성 카이제곱 검정은 더 많은 검정을 시행할 수 없었다. 그러나, 세대별로 한국 대비 미국 지도자에 대한 데이터만 사용할 때 독립성 카이제곱 검정은 겨루기 부문에서 검정을 할 수 있었다. 이 t-검정에서 귀무가설(Ho)은 다른 집단과 비교 시 지도자의 어떤 개별 집단도 겨루기 기술에 관해 자신의 개인 커리큘럼에서 평균 배분 시간보다 통계적으로 상당히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여기서 시행된 t-검정의 p값으로 인해 그 귀무가설은 다음에 대해 기각된다 • 1950년 이전에 한국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지도자 • 1950-59년 사이에 한국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지도자 • 1960-69년 사이에 한국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지도자 • 1970-79년 사이에 미국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지도자 따라서, 이들 집단의 지도자는 다른 집단이 사용한 시간과 비교하여 겨루기를 가르치는 자신의 커리큘럼에서 평균 배분 시간보다 통계적으로 상당히 더 많은 시간을 사용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다음으로, 커리큘럼에서 평균보다 수업 시간이 더 적게 할당된 기술을 조사하기 위해 한국 대비 미국에 대해 세대별로 나눈 집단에 t-검정을 시행했다. 그 귀무가설(Ho)은 다른 집단과 비교 시 지도자의 어떤 개별 집단도 겨루기 기술에 관해 자신의 개인 커리큘럼에서 평균 배분 시간보다 통계적으로 상당히 더 적은 시간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위의 t-검정의 p값에 의해 그 귀무가설은 다음에 대해 기각된다. • 1950년 이전에 미국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지도자 • 1960-69년 사이에 미국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지도자 • 1970-79년 사이에 한국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지도자 • 1980-89년 사이에 한국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지도자 따라서, 이들 집단의 지도자는 자신의 커리큘럼에서 겨루기를 가르치는 수업에 평균 시간보다 더 적은 시간을 사용했다. 두 번째 가설은 태권도 지도자의 출신 국가가 커리큘럼에 할당되는 각 태권도 기술에 대한 수업 배분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다. 세대를 고려하지 않고, 한국 대비 미국 지도자에 대해서, 커리큘럼에 할당되는 각 태권도 기술에 대한 수업 배분 시간의 차이로 나눌때 통계적으로 상당히 큰 유일한 차이는 발차기 기술(접촉 없음)에서만 있었다. 두 집단의 크기를 비교하는 z-검정에서는 한국 지도자가 미국 지도자보다 발차기 기술(접촉 없음)에 대해 평균 배분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사용했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p값을 도출했다. 세 번째 가설은 시간이 감에 따라 태권도의 기술 변화 및 태권도에 대한 지도자의 컨셉 변화가 커리큘럼에 할당되는 각 태권도 기술에 대한 수업 배분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다. 두 집단의 크기를 비교하는 z-검정의 p값을 바탕으로, 수년 간 커리큘럼에 할당되는 각 태권도 기술에 대한 수업 배분 시간을 변경해온 태권도 지도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기술에 대한 학습 배분 시간을 변경해온 지도자는 다양한 기술의 학습 배분 시간을 변경하지 않았던 지도자보다 “대상/패드/미트 발차기”에 대해 평균 배분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사용했다. 수년 간 여러 기술에 대한 학습 배분 시간을 변경해온 태권도 지도자는 겨루기에 대해 평균 배분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사용했다. 격파 부문에서, 수년 간 여러 기술에 대한 학습 배분 시간을 변경해온 태권도 지도자는 자신의 커리큘럼을 변경하지 않았던 지도자보다 격파에 대해 평균 배분 시간보다 더 적은 시간을 사용했다. 결론적으로, 지도자의 세대가 수업 시간에 할당된 각 기술의 학습 배분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1에 대해, 일부 세대에서는 겨루기 부문에서 통계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가설 1이 옳다. 지도자의 출신 국가가 커리큘럼 수업 시간에 할당된 각 기술의 학습 배분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2에 대해, 한국 대비 미국 지도자에 대해서는 한국 지도자가 미국 지도자보다 발치기 기술(접촉 없음)에 대해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따라서, 발차기 기술(접촉 없음)의 경우에는 가설 2가 옳다. 마지막으로, 태권도 기술의 변화 및 태권도에 대한 지도자의 컨셉 변화가 수업 커리큘럼에서 할당되는 각 기술의 학습 배분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3에 대해 겨루기, 대상/패드/미트 발차기 및 격파의 경우에는 가설 3이 옳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