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Effects of fluoride on osteoclastic bone resolution during experimentally moved rat molars

        김도훈,문윤식,고재승,김현만,Kim, Do-Hoon,Moon, Yoon-Shik,Ko, Jea-Seung,Kim, Hyun-Man The Kore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6

        교정적인 치아이동은 치주조직, 특히 치조골의 개조를 필요로 한다. 불소는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방해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불소의 섭취가 교정적인 치아이동시 압박측 치주조직에서 파골세포의 출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40마리의 백서에게 60일동안 불화나트륨(NaF)가 각각 0, 10, 25 mg/kg/일 함유된 물을 음수시킨 후, 약 50-70g의 교정력을 가하여 상악 제 1 대구치를 근심쪽으로 경사이동시켰다. 교정력을 가한 24, 48, 그리고 96 시간 후에 대조군과 실험군을 희생시킨 후 조직편을 제작하여 상악 제 1 대구치의 압박측 치주조직 $450\times700\;{\mu}m^2$을 관찰하여 출현한 파골세포의 수와 흡수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모든 측정시간에서 25 mg/kg/일 군에서 대조군보다 파골세포의 수가 유의성 있게 적었다. (p<0.05) 2. 24, 48시간 측정에서 25 mg/kg/일 군에서 대조군보다 흡수되는 면적이 유의성 있게 적었다. (p<0.05) 3. 대조군에서는 48시간에서 96시간 사이에 흡수되는 면적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10 mg/kg/일 군과 25 mg/kg/일 군 모두에서는 약간 증가하였다. Orthodontic tooth movement requires remodelling of periodontal tissues, especially alveolar bone. Fluoride is known to be a potent inhibitor of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nsumption of fluoride on osteoclast numbers appearing on the pressure side of alveolar bones at experimental tooth movement. 40 male rats were exposed to 0, 10, 25 mg/kg/day of sodium fluoride(NaF) in their drinking water for up to 60 days. Orthodontic appliance were activated to mesially tip maxillary first molar with 50-70g. The rats were sacrificed at 1, 2, 4 days after initial activation. The number of osteoclast was counted in a $450\times700\;{\mu}m^2$ area interradicular septum on the pressure side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The results were as fellows, 1.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steoclast number between control group and 25 mg/kg/day group at all measured time. (p<0.05) 2.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tive bone-resorption area between control group and 25 mg/kg/day group except at 96 hours post activation. (p<0.05) 3. There was slight reduction of active bone- resorption area in control group from 48 hours to 96 hours but in both 10 mg/kg/day group and 25 mg/kg/day group a slight increase was observed from 48 hours to 96 hours.

      • SCOPUSSCIE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과 SWA on masse sliding retraction 시 전치부 치축 조절 요인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정혜심(Hye-Sim Jeong),성상진(Sang-Jin Sung),문윤식(Yoon-Shik Moon),조영수(Young-Soo Cho),임승민(Seung-Min Lim)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5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을 이용한 교정 치료가 보편화되며, SWA와 이를 이용한 on masse sliding retraction 은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치료법이 되었다. 그러나 고정원을 성공적으로 보존하려는 노력에 비해, 발치 공간 폐쇄시 전치부 치축 조절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1소구치를 제거한 상악 치아와 치주 인대 그리고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기준모델을 제작하였고, 제1대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 주호선 10 mm 상방에 식립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고정원으로 사용할 경우, 측절치-견치 사이의 견인 훅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거나, 주호선에 보상 만곡을 부여하는 것이 전치부 치축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또한 전치부 치축이 설측 경사된 모델을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발치 공간 페쇄 시 설측 경사된 전치부 치축을 유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2 mm 높이의 견인 훅에 대하여 후상방으로 견인력을 가할 경우 발생하는 함입력으로 인하여 전치부 설측 경사가 더 감소되지는 않았다. 견인 훅의 높이가 5 mm인 경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면,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이 일어나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이 심화되었다. 4 mm의 보상 만곡은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을 일으키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을 감소시켰다. 또한 전치부가 설측 경사된 모델을 기준모델과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한 경우 치근면의 응력 분포와 25000배 확대된 그래프 상에서의 치아 이동 양상은 매우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니 임플랜트-SWA sliding 생역학을 구사 시 견인 훅의 위치와 와이어 상의 보상 만곡의 유무에 의해 전치부의 치축 조절이 달라지며 실제 임상에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With development of the skeletal anchorage system,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ssisted on masse sliding retraction has become part of general orthodontic treatment. But compared to the emphasis on successful anchorage preparation, the control of anterior teeth axis has not been emphasized enough.<br> Methods: A 3-D finite element Base model of maxillary dental arch and a Lingual tipping model with lingually inclined anterior teeth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the axis of anterior teeth when OMI was used as anchorage, models were simulated with 2 mm or 5 mm retraction hooks and/or by the addition of 4 mm of compensating curve (CC) on the main archwire.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roots and a 25000 times enlarged axis graph were evaluated.<br> Results: Intrusive component of retraction force directed postero-superiorly from the 2 mm height hook did not reduce the lingual tipping of anterior teeth. When hook height was increased to 5 mm, lateral incisor show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and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increased.4 mm of CC added to the main archwire also induc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of the lateral incisor but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decreased. Lingual tipping model showed very similar results compared with the Base model.<b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ight of the hook and compensating curve on the main archwire can influence the axis of anterior teeth. These data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부정교합과 차등적 소구치 발치가 치아 크기 부조화에 미치는 영향

        김희헌(Hee-Hun Kim),성상진(Sang-Jin Sung),문윤식(Yoon-Shik Moon) 대한치과의사협회 201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8 No.3

        To establish the ideal occlusal relationship, the values of tooth size and ratio must be in a normal range. In this study,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Bolton’s anterior ratio and overall ratio using mesiodistal dimensions of teeth measured on diagnostic models of 334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were calculated and differences in Bolton ratio according to the groups of malocclusion patients were studied. Also the changes that can occur in overall ratio before and after hypothetical tooth extractions were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nterior ratio of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was 78.0 ± 2.69%, and the mean overall ratio was 91.56 ± 2.28%. 2. The largest value of tooth size ratio could be found in Class Ⅲ group, followed by Class Ⅰ and Class Ⅱ groups in order. However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values of overall ratio reduced significantly after premolar extractions in all malocclusion groups, which was much more significant in the extraction of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first premolar(U5L4) or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second premolar(U5L5). 4. The values of overall ratio reduced significantly after premolar extractions in all 3 groups divided based on Bolton ratio, which was much more significant in the extraction of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first premolar(U5L4) or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second premolar(U5L5).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전치부 반대 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에 관한 연구

        문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ects on anterior crossbite patients using chin cap and labiolingual arch appliance. In the present study, Ⅰ statistically evaluated measurement values on a cephlogram before and after treatment form twenty anterior crossbite c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craniofacial patterns, cranial base increased after treatment. 2. In the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 ANB and Facial convexity significantly increased. 3. In the denture patterns, occlusal plane, U1 to FH and Overjet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contrary overbite decreased significantly. Lower incisors inclined lingually. 4. In the soft tissue profile changes, lower lip protrus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 SCOPUSSCIEKCI등재

        4개 소구치 발치를 통한 교정치료시 나타나는 안모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진희관,문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5

        본 연구는 네 개의 소구치 발치 후 교정치료시 아직 성장중인 청소년과 왕성한 성장 시기를 지난 성인간의 연조직 변화의 차이를 관찰하고자 한다. 서울중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중 남자 18세 및 여자 16세를 기준으로 성인군과 청소년군으로 연구대상을 나눈 후 두군간 연조직 변화를 조사하였다. 교정치료에 의한 치아 및 경조직의 변화를 포함하여 연조직 변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 구순후경, 앵글씨 구치관계 및 치열궁길이 부조화 등을 변수로 하여, 변수와 연조직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경조직 계측항목중 성인의 Is, Ii, U1PP, L1MP의 감소와 청소년의 Is, Ii의 감소 및 A, Pog'의 증가와 유의성이 있었고, 수직변화는 성인의 Pog의 증가. Ii의 감소와 청소년의 모든 항목의 증가와 유의성이 있었다. 2. 연조직 계측항목중 성인의 Ls, Li, ILS의 후방이동과 청소년의 Sn, SLS, Ls, Pog'의 전방이동이 유의성을 보이고, 수직변화는 성인에서 볼 수 없는 반면 청소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성을 보이며, 청소년의 이순각의 감소, 성인과 청소년의 ΔLsE, ΔLiE및 청소년의 ΔLiSP 등에서 유의차를 보였다. 3. 수직, 수평 기준선에 대한 경, 연조직 변화간 상관관계는 성인에서 ΔVIs와 ΔVLs가 가장 컸고, 그다음으로 ΔIi/ΔLi, ΔIi/ΔILS, ΔID/ΔLi와 ΔID/ΔILS 등이 높았으며 청소년에서는 수직, 수평 변화의 모든 항목간 유의성이 높았다. 4. 연조직의 profile변화는, 상하전치절단연의 후방견인 및 치축변화가 두군간 연조직변화와의 상관성에 차이를 보이나, 하순의 이동은 공통적으로 경조직 변화에 덜 영향받으며, 두군에서 비순각 및 이순각은 유의성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상순후경이 얇을수록 두군 모두 Sn-Pog'에 대하여 상순이 더 많이 후퇴하였고, 하순후경이 얇을수록 청소년군에서만 E-line 및 Sn-Pog'에 대하여 하순이 더 많이 후퇴하였다. 6. 치료전 앵글씨 구치관계는 연조직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7. 치료전 치열궁길이 부조화는 연조직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soft tissue profile changes between the growing patients and the adult who had passed the growth peak, in orthodontic treatment with four premolar extractions. The results which was taken by correlating the soft tissue changes with hard tissue changes, lip thickness, molar relationship and arch length discrepancy in both groups was like the followings. 1. Significant hard tissue changes were decrease of VIs, VIi, U1PP, L1MP, HIi and increase of HPog' in adults and decrease of VIs, VIi and increase of VA, VPog' and all vertical measurements in adolescents. 2. Significant soft tissue change were decrease of VLs, VLi, and VILS in adults and increase of VSn, VSSLS, VLs, VPog' and almost all vertical measurements in adolescents, and ΔLsE, ΔLiE in adults and ΔLsE, ΔLiE, ΔLiSP and ΔMlang was also significant 3.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ΔVIs and ΔVLs was the greatest in adults and the next was ΔIi/ΔLi, ΔIi/ΔILS, ΔID/ΔLi and ΔID/ΔILS. In contrast, all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easurements of hard and soft tissue in adolesc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errlation. 4. There were differences in correlation between soft tissue changes and incisor inclination and retraction at both groups, but the power lip, nasolabial angle and mentolabial angle were commonly less influenced by the hard tissue changes in both groups. 5. The thinner the upper lip was, the more the ΔLsSP was in both groups, and the thinner the lower lip was, the more the ΔLiE and ΔLiSP was in adolescents. 6. Molar relationship didn't influence the soft tissue profile changes. 7. Arch length discrepancy didn't influence the soft tissue profile changes.

      • SCOPUSSCIEKCI등재

        성장기 골격성 Ⅰ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모두부방사선 계측의 특징

        성상진,문윤식,김정국,정현성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2

        악안면 기형과 부정 교합의 성공적인 교정 치료를 위하여 안모의 3차원적인 평가가 필수적이지만 교정의사는 주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 기초한 진단 및 치료계획에 익숙하다. 이는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 관한 계측치, 악골의 폭경 성장에 관한 지식과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관심이 부족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I 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6세에서 16세 사이의 남자 130명과 여자 171명을 대상으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상의 두개골 및 상하악골의 폭경을 계측하여, 연령과 경추골 발육지표(CVMI)에 따른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다항 회귀모형(polynominal regression models)과 변수선택법(method of variable selection)을 이용하여 적합한 회귀모형(regresslon model)을 각 성별에서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령에 따른 각 계측치의 평균 및 개별 계측치(individual measurement)의 70%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추정하여 그래프로 작성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모든 폭경 계측치는 나이 또는 CVMI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6세부터 16세까지의 총변화량은 상악골 폭경보다는 하악골 폭경이 그리고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더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Mx-Mn difference, Mx-Mn width differential, Mx/Mn ratio는 연령과 CVMI에 따른 남녀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3.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나이에 따른 남녀 계측치의 평균 및 신뢰구간을 70%로 추정하여 상악골폭경,하악골 폭경, Mx-Mn difference, Mx/Mn ratio에 대한 그래프를 얻었다. 4.한국인의 상하악골 폭경은 성장기 동안 서양인에 비하여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성장기 부정교합 환자의 폭경 성장 평가와 폭경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한다면 치아 석고모형 만을 이용하는 한계를 적절히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alocclusion and craniofacial deformation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But the orthodontists are not familiar with diagnosis and treatment plane based on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Since orthodontists do not posses a sufficient knowledge in standard value of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and of clinical importance for transverse jaw growth. In this study male(n=130) and female(n=171) aged from 6 to 16 and diagnosed as Class I malocclusion were selected to analysis width of cranium, maxilla and mandible on the posteroanterior cephalogram. The changes as a function of chronologic age and cervical vertebrae maturity index(CVMI) were examined. The proper regression model was selected by sex with polynominal regression models and method of variable selection. Mean of each measurements and 70% confidence interval of individual measurement according to age was assesed and a graphs were made. Results are as follows : 1.All the measurements for the width are gradually inclesed as increase in chronologic age and CVMI. From the total amount of change between age 6 and 16, there is a tendency that mandibular width is broader than maxillary width and the width of male is broader than female. 2.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in Mx-Mn difference, Mx-Mn width differential, Mx/Mn ratio according to age and CVMI. 3.Mean of each measurement and 70% confidence interval of individual measurement according to age and sex were assessed and graphs were made for maxillary width, mandibular width, Mx-Mn difference, Mx/Mn ratio. 4.The width of maxilla and mandible in Korean children are broader than Western children during growth period.

      • KCI등재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과 SWA en masse sliding retraction 시 전치부 치축 조절 요인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정혜심,성상진,문윤식,조영수,임승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5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고정원을 이용한 교정 치료가 보편화되며, SWA와 이를 이용한 en masse sliding retraction은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치료법이 되었다. 그러나 고정원을 성공적으로 보존하려는 노력에 비해, 발치 공간 폐쇄 시 전치부 치축 조절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1소구치를 제거한 상악 치아와 치주 인대 그리고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기준모델을 제작하였고, 제1대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 주호선 10 mm 상방에 식립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고정원으로 사용할 경우, 측절치-견치 사이의 견인 훅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거나, 주호선에 보상 만곡을 부여하는 것이 전치부 치축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또한 전치부 치축이 설측 경사된 모델을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하여 발치 공간 폐쇄 시 설측 경사된 전치부 치축을 유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2 mm 높이의 견인 훅에 대하여 후상방으로 견인력을 가할 경우 발생하는 함입력으로 인하여 전치부 설측 경사가 더 감소되지는 않았다. 견인 훅의 높이가 5 mm인 경우 후상방 견인력을 가하면,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이 일어나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이 심화되었다. 4 mm의 보상 만곡은 측절치의 치관 순측 및 치근 설측 이동을 일으키고, 견치의 비조절성 후방 경사 이동을 감소시켰다. 또한 전치부가 설측 경사된 모델을 기준모델과 같은 실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한 경우 치근면의 응력 분포와 25000배 확대된 그래프 상에서의 치아 이동 양상은 매우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니 임플랜트-SWA sliding 생역학을 구사 시 견인 훅의 위치와 와이어 상의 보상 만곡의 유무에 의해 전치부의 치축 조절이 달라지며 실제 임상에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With development of the skeletal anchorage system, orthodontic mini-implant (OMI) assisted en masse sliding retraction has become part of general orthodontic treatment. But compared to the emphasis on successful anchorage preparation, the control of anterior teeth axis has not been emphasized enough. Methods: A 3-D finite element Base model of maxillary dental arch and a Lingual tipping model with lingually inclined anterior teeth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the axis of anterior teeth when OMI was used as anchorage, models were simulated with 2 mm or 5 mm retraction hooks and/or by the addition of 4 mm of compensating curve (CC) on the main archwire.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roots and a 25000 times enlarged axis graph were evaluated. Results: Intrusive component of retraction force directed postero-superiorly from the 2 mm height hook did not reduce the lingual tipping of anterior teeth. When hook height was increased to 5 mm, lateral incisor show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and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increased. 4 mm of CC added to the main archwire also induced crown-labial and root-lingual torque of the lateral incisor but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was decreased. Lingual tipping model showed very similar results compared with the Base mode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ight of the hook and compensating curve on the main archwire can influence the axis of anterior teeth. These data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clin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