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The effects of medical student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조민아(Mina Cho),Yoon-Seon Lee 한국의학교육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34 No.2

        Purpose: Based on the logic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P) is one of the most well-established predi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P), we predicted that fear of failure (FF) would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OP and 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F on the influence of SOP on AP in medica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56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completed a battery of questionnaires.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cross-sectional data obtained through an offline survey.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ed demographics and psychological scales, including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 and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IBM SPSS ver. 22.0 (IBM Corp., Armonk, USA). Results: SOP ha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AP (β=-0.420, p<0.001). Also, SOP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P through FF (β=0.0393; 95% confidence interval, 0.040-0.0936).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F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P and AP. Conclusion: Although SOP among medical students might play an adaptive role to lessen AP, in cases FF gets higher, SOP could have opposing effects via the mediating effect of FF, leading to an actual increase in AP. Attempts to deal with the FF among medical students should be made for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 지연 행동 간의 관계

        조민아(Mina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 인정 욕구, 학업 지연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업 스트레스에서 학업지연 행동으로 가는 경로에 있어 인정 욕구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의과대학생 156명을 모집하여 설문을 실시 하였다. SPSS 29.0과 PROCESS macro v4.2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학업 스트레스는 인정 욕구와 학업 지연 행동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인정욕구는 학업 지연 행동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인정 욕구는 의과대학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 지연 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의과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업 지연 행동에 영향을 주고, 인정욕구는 부분매개로서 학업 지연 행동을 높일 수 있어, 이러한 결과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업 지연 행동의 예방적 학습 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edical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pproval motivation. Methods All the results and data obtained from this research were gained from conducting surverys on 156 students from 1 medical school which was located in Seoul.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v4.2. And also,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ademic stres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pproval motiv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lso, approval motiva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Mediating effect of approval motivation for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higher academic stress makes effe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edical school students, approval motivation can play a role in the alteratio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s a partial mediator, and can serve as initial data of preventive and counseling intervention.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 행동 간의 관계 : 의과대학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조민아(Mina Cho),이윤선(Yoon-S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의과대학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학업 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의과대학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의과대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자기지향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 의과대학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학업지연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기지향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의과대학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의과대학생의 자기지향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사회부과완벽주의는 의과대학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과대학 스트레스는 학업지연행동과 정적 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과대학 스트레스는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부과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자기지향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스로 완벽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의과대학생들은 학업 지연행동을 적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와 달리 사회적으로 부여되는 완벽주의 경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지연행동이 증가할 수 있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기지향완벽주의 경향이 있는 학생들도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얻을수록 학업지연행동을 더 적게 하게 되므로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정서적 지지와 격려가 중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medical school stress,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medical students. And we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cal school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156 who enrolled college of medicine, Seoul, using survey from February to March of 2019. To measu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ocial support, medical school stres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medical school stress scale, The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and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For correlational analysis, we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cal school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self-oriented perfectionism among medical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we found no relations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lso, we fou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dical school stres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We found medical school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also, we fou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oreover, we found medical school stress fully mediated socially-prescribe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ocial support moderated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Conclusions Medical students who have self-oriented perfectionistic tendencies are not likely to procrastinate. However, Students who hav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re tend to academic procrastinate when they felt stress. And also, the effect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differed according to social support level. More social support bu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 KCI등재

        중학생의 정서적 외상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조가영(Cho, Kayoung),조민아(Cho, M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정서적 외상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를 2017년 12부터 2018년 1월 사이에 수집하였으며, 총 39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적 외상은 분노억제, 분노표출과 정적 상관이, 고통감내력과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고통감내력과 사회적지지는 분노 억제, 분노표출과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분노 조절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정서적 외상과 분노억제, 분노 표출 간의 관계를 고통감내력이 부분매개하였고, 정서적 외상과 분노조절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완전매개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traumatic experience and anger expression of adolesc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45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nd only 394 data were used to analyz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 among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traumatic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s with anger-in, and anger-out. And also emotional traumatic experi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 with distress tolerance, and social support. Distress tolerance and social suppor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 with anger-in and anger-out. Social suppor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control. As a result of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emotional traumatic experience and anger expres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distress toleranc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traumatic experience and anger-in and anger-out. Social support had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traumatic experience and anger-contr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nd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김미영(Miyoung Kim),조민아(Mina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2020년부터 시작된 COVID-19라는 감염병 시대의 비대면 집단상담과 대면 집단상담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총 7회기로 이루어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H 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부생을 실험 집단(32명)과 통제집단(10명)에 배정하였고, 실험집단은 2개의 대면 집단과 2개의 비대면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 되었다. 측정 도구로는 공감 능력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사후, 추후 시점에 따라 조사하였다. 분석에는 사전, 사후, 추후 3번의 조사에 모두 응답한 실험집단 14명과 통제집단 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공감능력은 사전 보다 사후의 결과가 더 높았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대인관계 유능성과 공감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대면 집단과 비대면 집단은 대인관계 유능성과 공감 능력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에 참여한 학생들이 작성한 매 회기 경험 보고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자기 이해, 대인관계 역량, 상담 역량에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면 집단과 비대면 집단 모두에서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진 시켰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gar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pathic competence. And also this study verified to compare the effects of non-contact and contact program implementing methods. Methods For this purpose, 32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program group and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conducted contact and non-contact for 7 weeks. The empathic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t pre-test. post-test, and 1-month follow-up test. For the analysis, data from 14 people in the program participation group and 8 people in the control group who responded to all three surveys were used.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ounseling program experienced significant increases in each of the scal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according the contact and non-contact participation methods was not significant.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report data, ‘self-understan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unseling competency’ were derived. Conclusions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gar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pathic competence was verified.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제행동 대처경험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웅기(Kim Ung Gee),조민아(Cho M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대한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둔 어머니의 문제행동 대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52개의 의미단위, 23개의 하위 범주, 6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 하였다. 발달장애 청소년을 둔 어머니들의 문제행동 대처 경험으로부터 도출한 6개의 상위범주는 ‘문제행동의 심화’, ‘문제행동 심화의 원인’, ‘문제행동 대처를 돕는 긍정적 요인’, ‘더 나은 삶을 위한 개인적 자원’, ‘더 나은 삶을 위한 사회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한 후, 상담 및 교육의 실제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problem-cop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raised developmental disabled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interview with 6 mothers who had experiences on parenting and problem-coping with developmental disabled adolescent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 s method of psychological phenomenolog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2 meaning units, 23 subcategories, and 6 upper categories were drawn. Especially, 6 upper categories which generated with mothers who had experienced problem-coping with developmental disabled adolescents were intensifying problem behavior , underlying causes of problem behavior , positive factors for enhancing problem-coping , personal supports for better life , and social resources for better life .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 KCI등재

        중년기 위기감과 정신건강의 관계

        김미영(Miyoung Kim),조민아(Mina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성인(45세~64세)을 대상으로 중년기 위기감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스트레스 대처 전략(문제해결중심, 사회적지지 추구, 회피중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성인남녀 444명을 대상으로 2022.7.1.~8.31일에 설문조사를 한 후, 성실하게 응답한 427명을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중년기 위기감, 마음챙김, 스트레스 대처 전략, 간이정신건강을 활용하였다.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주요 변인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을 적절하게 설명하는지 확인하였으며, 경로분석을 통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AMOS를 통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중년기 위기감은 정신건강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중년기 위기감과 정신건강에서 마음챙김은 유의한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 전략은 회피중심 대처만 중년기 위기감과 정신건강 사이에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년기 위기가 높을수록 마음챙김 수준이 낮으며 이는 정신건강을 나쁘게 한다. 중년기 위기 수준이 높을수록 회피중심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으며 이는 정신건강을 좋지 않게 한다. 따라서 회피중심 대처 전략을 강화한 마음챙김 기반 프로그램을 통하여 위기감을 겪고 있는 중년성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problemsolving- centered, social support seeking, avoidance-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life crisis and mental health in middle-aged adults (45 to 64 years old). Method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444 adult men and women from July 1 to August 31, 2022, and 427 people who responded faithfully were analyzed.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midlife crisis, mindful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brief mental health. To analyze the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was analyzed, an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checked whether the measurement variables appropriately explained the latent variables and verifie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through path analysis.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AMOS.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midlife crisis has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Mindfulness was found to mediate significantly between midlife crisis and mental health. As for stress coping strategies, only avoidance-centered coping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midlife crisis and mental health significantly. Conclusions The bigger the midlife crisis, the lower the level of mindfulness, which worsens mental health. The higher the level of midlife crisis, the higher the level of avoidance-centered stress coping, which leads to poor mental health. Therefore, through a mindfulness-based program that strengthens avoidance-centered coping strategi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help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adults who are experiencing a sense of crisis.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분석

        김수지(Kim Suji),조민아(Cho M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초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의 상호적 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10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의 초등학교 1학년 5~7차 데이터 중, 2014년 당시 12세이면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개년도 동안 지속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1,811명의 종단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이전 년도의 자아존중감은 이후 년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전 년도의 교우관계는 이후 년도의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의 상호 관계성을 검증한 결과, 이전 년도의 높은 자아존중감은 이후 년도의 긍정적인 교우관계를 예측하고, 이전 년도의 긍정적인 교우관계는 이후 년도의 높은 자아존중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는 상호 간 정적 교차지연 효과, 즉, 상호적인 영향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초기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과 교우관계는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mong early adolescents(from 5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o first grades in middle school) through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Methods A three years longitudinal annual data(2010 KCYPS;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for this study. Among 5th grade in 2014(T5 in panel data), 1811 students who consistently participated annual survey from 2014 to 2016 were analyzed.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that measuring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in previous yea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in next year over time. Second, peer relationship in previous yea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er relationship in next year over time. Third, the previous self-esteem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sequent peer relationship and also the previous peer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next year s self-esteem. The results showed that a reciprocal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mong early adolescen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ur conclusion is that a reciprocal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mong early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