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범에 대한 형가중제도

        최병각(Choi Byung-Gak) 한국형사법학회 2008 刑事法硏究 Vol.20 No.2

          This article analyses enhancement of sentence for recidivism including repeat offence, habitual offence and multiple offences in Korean Criminal Law,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California"s Three Strikes Law.<BR>  The purpose of the Three Strikes law is to ensure longer prison sentences and greater punishment for those who commit a felony and have been previously convicted of serious and/or violent felony offences. Under the mandatory sentencing scheme the court must double the sentence of felony charged for two strikers. And the court must impose a sentence of at least twenty-five years to life for the three strikers. Especially a recidivist cannot be granted probation or have his sentence suspended. Repeat offenders can only serve their sentences in state prison and they must serve at least eighty percent of there sentence to be eligible for parole. Only a prosecutor can move to dismiss an alleged prior felony conviction in the furtherance of justice or if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to prove the prior conviction. But the California Supreme Court held that a trial judge could, on his or her own motion, dismiss a prior strike in the interest of justice.<BR>  There are three ways to enhance sentence for recidivists in Korea. If a defendant is convicted of repeat offence which has been committed within 3 years after release or exemption from imprisonment, the upper term is increased to two times. When a person commits several acts which could be integrated as a habitual offense, he or she shall be punished by increasing one half of sentence for normal offence or otherwise enhanced sentence. In cases a criminal is convicted multiple offences in the same proceeding or separate proceedings, the final penalty will be the most severe sentence, one half of that, or parallel imposition.<BR>  In order to ensure proper sentence for recidivism, we need to adopt the mandatory sentencing schemes such as Three Strikes law. And specialized penalty with narrower boundary is necessary as a starting point.

      • KCI등재

        상습범의 법제와 개선방향

        최병각(Byung Gak Choi)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1 비교형사법연구 Vol.3 No.2

        Recidivism may be the most complicated problem in criminal policy. It is important to prevent exconvicts from reoffending because crimes of recidivists tend to be severe in quality and large in quantity. Especially how to regulate habitual offenders is a key point in crime control. Almost all countries are carrying out various countermeasures such as extended sentence, indeterminate sentence, life imprisonment and preventive detention (Sicherungsverwahrung) to cope with the persistence of habitual offenders. There is a dual system of extended sentence and preventive detention for the habitual offender in Korea. But recently a proposal to eliminate extended sentence was widely advocated in literature and adopted by the Criminal Act Amendment Draft of 1992. In this article a new proposal to abolish preventive detention is suggested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grounds.

      • KCI등재

        매춘행위와 형벌권의 한계

        최병각(Byung Gak Choi)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2 비교형사법연구 Vol.4 No.1

        Prostitution is an act of engaging in sexual activity as a business. Such a commercialized sex has been viewed as immoral in most countries of all ages. The legislative policy related to prostitution may be categorized as prohibition, regulation and permission. From the prospective of criminal law the most fundamental issue is why we punish prostitution as a crime. But the question is that the penal repression of prostitution could not abolish prostitution in reality and the limits of punishment might be present at least. Especially voluntary prostitution has little room for retribution, partial enforcement of prohibition leads to the failure of deterrence and punishment without proper treatment cannot contribute the rehabilitation of prostitutes.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prostitution was proscribed as a crime, but concubine and official kisaeng were widely allowed. During the colonization of japan licensed prostitution was recognized and involuntary sexual comforters were transported to the military bases. After emancipation from colonization, licensed prostitution was abolished in 1947 and rigid Prostitution Prohibition Act was enacted in 1961. According to the act prostitution and patronizing prostitutes were subject to the same penality, but promoting prostitution was punished with harsher sanction. Notwith- standing the act prostitution was not suppressed because of arbitrary and episodic prosecution. Recently the proliferation of sexual crime including sexual trafficking with juveniles became a serious social problem. Eventually the Protection of Juvenile Act of 1999 has increased the penalty on promoting prostitution of juveniles and the Protection of Juvenile`s Sex Act of 2000 has introduced public disclosure of patron and promoter of juvenile prostitution. So to speak the main target moved from supplier to consumer in the market of juvenile prostitution. But regarding the prostitution policy more strict reaction is insisted continuously, decriminalization of prostitution deserves consideration also.

      • KCI등재

        유언비어에 대한 규제와 한계

        최병각 ( Choi Byung-gak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2 비교형사법연구 Vol.23 No.4

        유언비어를 경범죄처벌법이나 긴급조치에 의하여 처벌하거나 국가모독죄를 두기도 했지만 형법과 정보통신방법의 명예훼손죄와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가 유언비어에 대한 형사처벌의 기본이다. 불온통신 단속규정과 허위통신죄에 대하여 명확성 원칙과 과잉금지 원칙에 위배하여 위헌이라는 결정이 내려지고, 인터넷 실명제에 대하여도 이용자의 익명표현의 자유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인터넷 언론사 내지 서비스제공자의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위헌결정이 내려졌다. 그러나 명예는 사회에서 개인의 인격을 발현하기 위한 기본조건이므로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의 우열은 쉽게 단정할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허위사실공표죄와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죄는 물론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에 대하여도 과잉금지원칙에 반하여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은 아니라는 합헌결정이 내려졌다. 날로 심각해지는 사이버 유언비어에 대응하여 정보통신망법에 서비스제공자의 책무를 강조하면서, 이용자에게 사생활 침해나 명예훼손 등 침해사실을 소명하여 정보삭제 또는 반박내용 개재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서비스제공자가 임의로 30일 이내의 임시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두었다. 또한 방송통신위원회는 명예훼손 정보의 처리를 거부·정지·제한하는 명령을 내릴 수 있고, 불이행하면 형사처벌의 대상이 된다.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미국 연방대법원이 다수의 판례를 통하여 개발한 공인 이론, 현실적 악의 원칙, 의견과 사실 이분론, 공공의 이익 기준 등을 우리나라의 법제와 실무에 적절하게 원용할 수 있다. 명예훼손에 해당하거나 허위로 판명될 여지가 있는 의혹을 제기한 경우 그것이 의견표명이 아닌 사실적시라는 점과 그 내용이 진실이 아니라 허위라는 점 및 허위임을 알고 적시·공표·유포했음까지 검사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로 입증해야 하고, 법원이 자유심증에 따라 인정해야 한다. 그러나 의혹을 진실로 믿을 상당한 이유가 있다면 사후에 허위로 밝혀져도 처벌할 수 없다든가 의지적 요소를 갖추어야 고의를 인정할 수 있다든가 미필적 고의로는 부족하고 확정적 고의라야 처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든가 논란이 있다. 구체적인 사안을 두고 허위사실이나 허위인식 여부에 대한 판단 자체가 주체, 시점, 근거 등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는바, 이는 재판의 오류와 시정에 있어 법령 위반이 아닌 사실오인의 문제일 뿐이다. When someone spread a rumor pointing out facts which may infringe other’s honor, she or he shall be punished by defamation. If the asserted fact is false and the defendant has awareness of falsehood, the penalty will go higher. Especially defamation using newspaper, magazine, radio or other publication including television or internet with intent to damage good reputation is sanctioned more strictly. In regard to public office election announcing false facts with intent to win or lose a election is a crime as namely fake news. But critical remarks against public officer and public figure should be widely permitted on the ground of free express. Accordingly the distinction between opinion and fact and the determination of true or false are very important in processing a concrete case. Whether the defendant aware false facts and has a special intention should be surely proved by the prosecutor. If the judge make a mistake in fact finding, appeal is allowed in the name of misunderstanding the facts.

      • KCI우수등재

        친족상도례와 고소불가분

        최병각(Choi, Byung-Gak) 한국형사법학회 2021 刑事法硏究 Vol.33 No.3

        친족은 혈연, 혼인, 입양으로 형성되는데, 법률상 효력은 배우자, 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에 미친다. 친족상도례에 따라 친족간 재산범죄(강도․손괴 제외)는 배우자, 직계혈족, 동거친족, 직계혈족․동거친족의 배우자는 필요적 형면제, 비동거친족은 친고죄로 하고, 친족 아닌 공범에게는 적용하지 않는다. 형제자매는 생계를 달리해도 가족이나 동거해야 형면제 대상이다. 사실혼 관계로 친족상도례를 적용할 수 없으나 사실상 이혼을 이유로 친족 특례를 배제할 수 없다. 친양자와 종전 친족간에 친족상도례를 적용할 필요는 없다. 친족상도례에 따른 형면제 판결은 유죄판결이고, 친족관계에 대한 착오가 유무죄나 형면제 여부에 영향이 없다. 친족 범위를 변경하는 민법 개정이 있으면 형면제는 형의 경중에 직결되기에 행위시 원칙, 재판시 예외로 적용하되, 친고죄는 소송조건이기에 재판시 기준으로 적용한다. 형면제 대상을 공소권 없음으로 불기소하지 않고 기소한 경우 공소기각판결이나 공소기각결정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까운 동거친족을 유죄판결인 형면제 대상으로 하고, 먼 비동거친족을 공소기각판결로 종결하는 친고죄 대상으로 하는 법제가 위헌은 아니라도 개혁 입법이 요구된다. 친고죄의 고소․고소취소의 효력은 공범에게 불가분이다. 이 경우 임의적 공범인 공동정범, 교사범, 방조범, 간접정범은 공범으로 고소․고소취소가 동일한 효과를 가지나 필요적 공범은 각자 정범으로 따로 판단해야 한다. 친고죄는 고소권자의 고소를 전제로 검사가 기소재량을 행사할 수 있고, 기소 이후에 고소의 추완은 허용되지 않는다. 기소 전 고소취소는 소추조건의 불비(형소법 제372조 제2호)이고, 기소 후 고소취 When a person commits certain property crimes such as larceny, fraud, embezzlement against his/her relative, he/she shall be exempted from penalty on conviction or prosecuted only by victim’s complaint. The former exemption rule apply to the near relatives sharing common dwelling, the latter complaint rule apply to the distant relatives living apart. If a participant to the crime subject to the relative thief rule is not a relative, he/she shall be treated as usual. Though accomplice liability derives from the primary party, it is fair to treat all participants as possible as equal. The victim has a right to make a complaint for a crime, but it is not allowed to select a criminal precluding other participants. The prosecutor has a discretion to prosecute a criminal among all participants. The relative thief rule discriminates relatives by exemption or complaint. The near relative is exposed to the prosecution expecting penalty exemption if convicted. The distant relative is able to escape from the prosecution leading to penalty by a missing complaint. In a case when near relative and distant relative participates a crime with non relative accomplice, if the victim does not make a complaint against distant relative, near relative is eligible for prosecution exemption also. If the victim revokes a complaint during trial against the near relative, the distant relative is not eligible for prosecution nullification. But if the victim revokes a complaint against the distant relative, all relative’s prosecution shall be nullified.

      • KCI등재

        사인 작성 진술서면의 증거능력

        최병각 ( Byung Gak Choi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1

        According to the criminal procedure act §313 ①, the document written by a private person is admissible when autograph, sign or seal of writer or speaker is certified and correctness of record is confirmed by writer or speaker in the courtroom during the trial. And the document which recorded the statement of the defendant is admissible when correctness of record is confirmed by writer in the courtroom during the trial and especially reliable circumstance is affirmed, even if speaker deny the statement in the document. Although testimony of witness and defendant shall be more important, hearsay evidences are widely accepted in relation to the criminal cases. The condition admitting hearsay should be strictly construed.

      • KCI등재

        세월호 7시간, 그때는 지금은?

        최병각(Choi, Byung-Gak)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東亞法學 Vol.- No.94

        표현의 자유에 대한 한계가 인정되어 사실이나 허위사실을 적시 또는 유포하는 행위는 형법과 정보통신망법에 의한 명예훼손죄나 공직선거법에 의한 허위사실공표죄로 형사처벌의 대상이 된다. 주장 내용이 사실인지 의견인지 먼저 구별하고, 사실이면 진실인지 허위인지를 변별해야 한다. 주장한 사실이 허위이고 허위사실임을 알고 적시․유포했음을 검사가 입증해야 한다. 피고인에게 의혹 사실의 존재에 관한 소명자료를 제출하게 한다거나 소문의 진위에 대한 확인을 소홀히 한 것만으로 고의를 인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허위사실이나 허위인식에 대한 재판 결과에 오류가 있는 경우 사실오인인지 법령위반인지 제대로 구명해야 한다. 대법원이 사실오인의 문제를 법리 오해나 채증법칙 위반을 내세워 상고심으로 다루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세월호 7시간 사건의 경우 의혹을 제기한 발언이 사실을 암시․적시하는 행위인지 아닌지, 악의적이고 심히 경솔한 표현으로 현저히 상당성을 잃은 것인지 아닌지 여부가 핵심이다. 제1심과 항소심이 유죄판결을 내린 반면, 대법원은 무죄 취지로 판단하였다. 법리를 달리한 것이 아니라 사실 인정을 다르게 한 것인데, 그때의 유죄와 지금의 무죄를 나중에 역사는 어떻게 판단할지 의문이다. The free express may be restricted by defamation. Defamation may be justified when it is made for public interests. Criticism against public officer and figures may be sanctioned only when it is made by malice and serious recklessness. First of all whether it is about fact or opinion should be strict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usage, context and circumstance. And whether asserted fact is true or false should be determined on the concrete foundation. Especially whether the accused has awareness for false fact or not should be ascertained by the prosecutor. The supreme court has finally settled the case of seven hours during sinking of Sewol by a not-guilty decision converting lower courts’ guilty judgments. Although the tool namely contravention against logic of evidence reviewing is used, it is not a matter of violation of law, but the error of wrongful fact finding.

      • KCI등재

        법조경합의 본질과 특징

        최병각 ( Choi Byung-gak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6 비교형사법연구 Vol.18 No.4

        한 사람이 하나 또는 수개의 행위로 동일한 형벌법규를 수회 위반하거나 수개의 형벌법규를 위반한 경우 그 법률위반이 서로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어떤 범죄가 성립하고 어떻게 처벌해야 하는지가 문제이다. 우리 형법은 제40조에서 “일개의 행위가 수개의 죄에 해당하는 경우”를 상상적 경합범으로, 제37조에서 동일인이 범한 “수개의 죄”를 실체적 경합범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행위가 하나인지 여럿인지를 나누는 기준이나 성립하는 범죄가 일죄인지 수죄인지를 결정하는 표준을 따로 규율하고 있지는 않다. 행위의 개수를 먼저 따진 다음에 성립하는 범죄의 개수를 판단하는 것이 논리적(logical)이지만, 죄수를 따져 수죄로 평가되면 비로소 행위가 하나인지 여럿인지 판단을 하는 것이 합리적(rational)이다. 범죄의 성립요건인 실행행위, 보호법익, 범죄의사, 구성요건, 법정형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죄수를 결정하여야 한다. 수죄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건 실행행위가 전부 또는 일부 중첩되는 경우 전체 범행과정을 통해 실질적으로 수개의 구성요건이 실현되었어도 구성요건론상으로는 수개의 행위이나 경합론상으로는 1개의 행위로 보아 상상적 경합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법조경합이란 한 개 또는 수개의 행위가 수개의 구성요건을 실현하지만 구성요건 상호간의 관계에 따라 한 개의 구성요건만 적용되고 다른 구성요건을 배척하여 일죄가 되는 경우를 말하는데, 특별관계, 보충관계, 흡수관계, 택일관계의 4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법조경합의 본질은 부진정 경합(unechte Konkurrenz)인 바, 외관상 상상적 경합과 외관상 실체적 경합으로 나타난다. 법조경합은 이중평가금지의 위반을 회피하는 동시에 당해 구성요건의 고유한 적용영역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형사사건의 실무에서 공소장이나 판결문에 기재할 적용법조를 특정하는 것이 핵심이고, 이에 법조경합을 불가벌적 사후행위, 포괄일죄, 상상적 경합, 또는 실체적 경합과 분명하게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체법적 차원에서 행위·죄수·경합의 문제를 어떻게 규정짓고 판단하는가에 따라 절차법적 차원에서 범죄사실·공소사실의 동일성에 따른 다양한 문제의 해결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There is no guideline to certify number of act or crime in Korea. An act may be evaluated one crime or plural crimes and certain crime may be consisted of one act or plural acts. When diverse codes defining identical crime are competing in regard with a single act or multiple acts (Codes Competition), the special, primary, inclusive, or alternative code (crime) shall be applied prior to the general, supplementary, partial, or substitutive code(crime). When a single act constitutes several crimes (Compound Crimes), punishment provided for the most severe crime shall be imposed(the Criminal Act §40). When a defendant commits several crimes(Concurrent Crimes), punishment shall be imposed by the most severe penalty such as death or life imprisonment, by one half of the maximum increased imprisonment or fine penalty, or by different kind penalty together(the Criminal Act §38, §39). *

      • KCI등재

        판례평석 : 소년법의 적용과 전자장치 부착명령

        최병각 ( Byung Gak Choi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1 비교형사법연구 Vol.13 No.1

        The korean juvenile law has adopted the discretionary mitigation of sentence on the basis of juvenile characteristics since 1988. And the court made it a rule that juvenile mitigation is available only to the offender who is juvenile at the time of adjudication. But juvenile offender may suffer unjust disadvantage in sentencing and appeal because of delayed processing. To avoid such an injustice any offender who was juvenile at the time of committing a crime should be benefited by juvenile mitigation. Futhermore the age criterion which divides juvenile and adult has been changed from 20 years to 19 years in 2007. When an offender committed a crime before amendment of the juvenile law and the trial was held after that, juvenile mitigation should be possible because he/she was juvenile according to the old law as favorable to the accused. The korean legislator has introduced electronic monitoring for the violent sex offender in 2007. But the offender who is under 19 years old shall be exempt from attaching electronic devices. The court ruled that it may order electronic monitoring for the juvenile offender because the law only excludes execution of electronic monitoring for the benefit of juveniles. However such an interpretation might produce so many problems including disparity or distortion in sentencing, appeal and parole. In fact identity disclosure and chemical castration for the violent sex offender could not be applied to the offender who is juvenile at the time of adjudication. So the court should not order electronic monitoring to the juvenile offender. In order to prevent recidivism after release of imprisonment the electronic monitoring could be imposed by the parole board if he/she is not juvenile at that time.

      • KCI등재

        휴대폰의 압수와 저장정보의 탐색

        최병각 ( Choi Byung Gak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0 비교형사법연구 Vol.22 No.3

        압수는 사전 영장이 원칙이나 체포현장, 범죄현장, 긴급체포에는 영장 없는 압수가 허용되고, 이러한 긴급압수에는 사후 영장에 의한 통제가 따른다. 하지만 임의제출물 압수는 사전·사후 영장 없이 가능하다. 압수물을 증거로 사용하자면 영장 발부 여부를 불문하고 압수의 합법성을 재판 단계에서 따로 따지는데, 임의제출물이면 제출의 임의성이 핵심이다. 긴급압수, 특히 현행범 체포현장에서 임의제출물 압수의 형식으로 사후 영장을 우회하는 것은 허용할 수 없다는 논리도 나름 일리가 있지만, 우리 입법자가 영장주의의 독자적인 예외로 인정한 임의제출물 압수의 적용 영역을 축소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제출의 임의성을 확보하려면 압수거부권의 사전 고지를 의무화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오히려 임의성 요건을 엄격하게 해석함으로써 강제나 종용에 의한 제출물이면 위법수집증거로 파악하여 증거능력을 부정하는 것이 확실하다. 제출의 임의성은 증거능력 요건사실에 해당하기에 증명정도는 ‘상당한 정도의 증명’으로 충분하다. 휴대폰 자체가 증거물로 압수되지만,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를 증거로 사용하려면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의 법리가 적용된다. 휴대폰을 임의제출물로 압수하였어도 휴대폰 저장정보를 탐색하려면 사전 영장이 필수적이고, 사건과의 관련성이 확인되고 당사자의 참여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휴대폰 특성에 적합한 디지털포렌식 기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In principle the seizure is only permitted with a prior warrant. But in case of arrest scene, crime scene, and emergent arrest it is possible to seize certain things subject to control by a post warrant. However the seizure of voluntary submission is available without prior or post warrants. In order to use confiscated materials as evidence, whether or not a warrant is issued, the legality of seizure is separately reviewed by the trial court. It is unacceptable to use the form of voluntary submission instead of substantial emergent seizure in order to circumvent the control by a post warrant, voluntary submission itself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xception to warrant principle. Although it is advisable to obligate the prior notice of the right to refuse seizure, but rather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voluntariness of submission by strictly interpreting the consent requirement. If the submission is made by force or compelling it should be identified as the illegally obtained evidence and denie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The prosecutor is burdened to prove the voluntariness of submission by a significant proof. The mobile phone itself is not identical to the electron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phone regarding evidence law. Even if the mobile phone is confiscated as a voluntary submission, a prior warrant is essential to search the stored information. Especially the relevance to the case must be confirmed, and the right to participate must be guarante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gital forensic techniqu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