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천화력발전소 매립 석탄재에서 분리한 미연탄소의 재활용 방안

        이수정,조세호,이영석,안응모,조성백,Lee, Sujeong,Cho, Seho,Lee, Young-Seak,An, Eung-Mo,Cho, Sung-Bae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1

        폐자원으로 분류되는 석탄재의 미연탄소를 경제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서천화력발전소 매립 석탄재로부터 미연탄소를 분리한 후 활성탄소 제조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정선부선을 4단계 실시하여 얻어진 미연탄소 정광의 고정탄소 품위는 87%로 얻어졌다. 미연탄소 정광에 포함된 결정질 불순물로는 주로 석영과 뮬라이트가 존재하였다. 화학적 활성화 전 미연탄소의 비표면적은 $10m^2/g$로 매우 낮았으며, 이는 국내 무연탄의 높은 탄화도와 관련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미연탄소는 대체로 다공성이며 결정학적으로는 터보스트래틱 구조를 갖고 있었다. 미연탄소 1 g과 KOH 6 g 을 혼합하여 활성화시킨 경우 얻어진 비표면적값이 $670m^2/g$로 가장 높았으며 미세공이 발달된 것을 확인하였다. KOH 용액을 사용한 경우 질소흡착량이 분말상 활성화 시료보다 낮게 나타난 것은 탄소입자의 젖음성 및 함침성이 낮은 때문으로 추측되었다. 본 실험에서 제조한 활성탄소는 미세공 분포가 높은 기능성 활성탄소의 세공특성을 보이며, 범용의 활성탄소에 준하는 비표면적값을 나타내 기존의 석탄계 활성탄소보다 우수하며 회분 함량도 적정 수준이었다. 따라서 공정의 경제성과 미연탄소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수용 활성탄소 대체재나 혹은 카본블랙 대체용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Feasibility of utilizing unburned carbon residue in coal ash as a potential precursor for the production of activated carbon was assessed to seek for solution to recycle unburned carbon residue. The unburned carbon concentrate generated from the 4 stages of cleaner flotation has a grade of 87% carbon. The crystalline impurities in the concentrate included quartz and mullite. Unburned carbon had a low specific surface area of $10m^2/g$, which might be related to a high degree of coalification of domestic anthracite coal. Carbon particles were mostly porous and have a turbostratic structure. When 1g of carbon was activated with 6g of KOH powder, the highest specific surface area value of $670m^2/g$ was achieved. Low wettability of unburned carbon particles, which was resulted from high temperature combustion in a boiler, might cause poor pore formation when they were activated by KOH solution. The activated carbon produced in this study developed micropores, with an equivalent quality of general-purpose activated carbon made from coal. Hence, it is concluded that chemically treated unburned carbon can be used for water purification or an alternative to carbon black as it is.

      • KCI등재

        경성부 공원녹지계획의 의의와 한계

        김영민(Kim, Youngmin),조세호(Cho, Seh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경성의 도시계획 문헌을 중심으로 근대 공원녹지계획의 내용과 의의를 분석하고 그 한계와 문제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1910년대와 1920년대의 도시계획에서 공원녹지계획은 중요한 사안이 아니었지만 1934년 조선시가지계획령의 제정과 함께 위상이 높아진다. 다섯 종류, 38개소의 공원이 계획된 1930년의 계획안과 여섯 종류, 140개소의 공원이 계획된 1940년의 공원계획 결정안이 가장 체계적인 경성의 공원녹지계획을 보여준다. 경성의 공원녹지계획은 문화 · 여가의 측면보다 보건 · 위생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제도적으로는 지역지구제의 녹지지역과 풍치지역, 도시시설로 지정된 공원의 이원화된 공원녹지계획의 체계가 나타난다. 경성의 공원녹지계획은 대부분 실행되지 못했는데, 제도적 체계의 미비와 모순, 전시 상황이라는 특수한 외부 조건, 과도한 계획 목표의 설정이 그 원인으로 지적된다. 현실적 제약 속에서 계획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연녹지를 공원으로 편입하고, 지역지구제와 토지구획사업을 통한 실행을 강구하였으며, 대한제국 황실 소유 토지의 공원화를 추진하는 대안이 제시되었다. 완전히 실행되지는 못했으나 경성의 공원녹지계획은 여러 측면에서 발전된 내용을 갖추었으며 1940년 계획안은 해방 이후 서울 공원녹지계획을 수립하는 틀의 역할을 한다. The study analyzes park and green space plans of Gyeongseong(Seoul) based on official planning documents and examine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the 1910s and 1920s, establishing the park plan was not a priority agenda of urban planning; however, with the enactment of the urban planning law in 1934, a park and greens space plan became one of the essential steps of the urban planning process. Park plans of 1930 and 1940 present the most developed and systemized structu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former suggested 38 parks in 5 categories, and the latter proposed 140 parks in 6 categories. These planning documents emphasized the role of parks as sanitation infrastructure; whereas the function of leisure and cultural space was not considered important. The land-use zoning system and designation of park as urban facilities were proposed to implement the park plan. The park plans were not able to be implemented for three reasons: institutional inertia, lack of resources due to war time condition, and unreasonable planning goals. However, there were efforts to find alternatives to improve parks and green spaces, such as including natural green area to park areas, implementing plans through both land-use zoning and land readjustment projects, and appropriate palaces as parks. Even though the park and green space plans of Gyeongseong could not fully implemented, there were major improvements in park planning throughout the early modernization period, and the plan of 1940 provided the framework of the park system of Seoul after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