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헤겔의 근대 자연법론 비판 -이성의 "분화와 통합" 개념을 중심으로-

        조극훈 ( Keuk Hun Ch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24

        이 논문은 홉스와 로크의 경험론으로부터 칸트와 피히테의 독일관념론에 이르기까지 근대 사회정치 철학의 중요한 문제인 자연법에 관한 헤겔의 비판의 논리와 방법을 이성의 분화와 통합이라는 논리로 해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장에서는 헤겔의 예나 시대 저작인 피히테와 쉘링의 철학체계의 차이 , 믿음과 지식 등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헤겔 철학의 지향점이 무엇인지 발견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대의 분열``이 철학의 욕구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헤겔은 시대의 분열을 주관성과 객관성의 분열로 규정하고 두 규정의 통일의 역할을 하는 이성에 의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의 철학의 과제는 시대의 분열을 극복하는 역할을 하는 이성의 논리와 방법을 규명하는 데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제3장에서는 근대 자연법의 두 형식인 경험주의적 자연법과 형식주의적 자연법에 대한 헤겔의 비판을 헤겔 사회철학의 핵심 개념인 ``인륜성`` 개념에 근거하여 규명하였다. 홉스와 로크의 경험주의적 자연법 비판과 칸트와 피히테의 형식주의적 자연법 비판을 통해서 근대 자연법의 두 형식의 문제는 그 원리와 방법이 보편적이지 못하고 자기 모순적이라는 점을 주목하였다. 제4장에서는 헤겔의 근대자연법 비판에 나타난 이성의 분화와 통일의 논리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성의 분화와 통일의 논리는 주관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의 사변적인 통일이라는 점에서 변증법적 사변적인 논리이며 그 의미는 헤겔의 사회 철학의 핵심 개념인 인륜성에 의해서 근대적 삶의 생생함과 총체성을 회복하는 데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헤겔의 이성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이성은 현대사회에서는 통합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고 근대철학에서 분리되었던 이성의 규범성을 자연법 비판에 적용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이성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유효하다. 왜냐하면 근대 자연법에 대한 헤겔의 비판은 좀 더 좋은 삶을 위한 사회 철학적 방법과 비판적 사고에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Using the notion of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of reason, this paper studies Hegel`s Critique of the Modern Natural, a crucial question to be asked of the modern social and political philosophy of such figures as Hobbes, Locke, Kant and Fichte, whose philosophies are more or less based on the idea of the absolute Sittlichkeit. The second section examines Hegel`s earlier Jena writings, Differenzschrift, Glauben und Wissen etc., trying to find out where Hegel`s philosophy is headed to. Hegelian philosophy is activated by ``Entzweiung der Zeit`` which needs to be sutured by reason which functions to unit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into one. The third section examines two features (the empirical natural law and the formalistic natural law) of the modern natural law and Hegel`s critique of them, based on the crucial idea of his social philosophy, Sittlichkeit. This section also looks at the empirical critique of Hobbes Locke and the formalistic one of Kant and Fichte about the natural law, arguing that the problems of two forms of the modern natural law are not universal and self-contradictory. The fourth section explores the logic and significance of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of reason in Hegel`s critique of the modern natural law. Hegel`s logic is dialectical and speculative since Hegel tends to unite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in speculative terms, and its significance lies in the desire to restore the vivid totality of the modern life by using the idea of the absolute Sittlichkeit, a crucial concept in Hegel`s social philosophy. There exist opposing arguments to Hegelian reason for its inability to resolve problems in the modern society and, further, for its having applied its normative terms to the critique of the modern natural law. But Hegelian reason is still valid for the resolution of diverse problems of the modern society. For Hegel`s critique of the modern natural law is believed to serve still as social philosophical method and critical thought for a better good human life.

      • KCI등재

        소춘 김기전의 동학이해와 생명사상

        조극훈(Cho, Keuk-Hun)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소춘 김기전은 야뢰 이돈화와 함께 동학 천도교의 대표적인 사상가이다. 그는 천도교의 대표적인 월간지인 『개벽』의 편집국장을 역임한 민족문화운동가로, 소파 방정환과 함께 어린이 운동을 전개한 교육운동가로, 여성의 평등을 주장한 여권신장주의자로, 서구철학과 사상을 국내에 소개한 사상가로 다채로운 면모를 갖추고 있는 인물이다. 그동안 김기전 연구는 주로 어린이와 여성 관련 논의가 중심을 이루었고 그의 동학관련 사상적 종교적 면모에 대해서는 소홀했다. 이 연구에서는 김기전의 사유의 근거를 동학의 생명사상에 있다는 점을 논의함으로써 그의 근대계몽활동의 사상적 면모를 부각하고자 했다. 김기전의 사상은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와 해월 최시형의 사인여천, 이천식천, 성경신 등과 같은 동학사상을 수용함으로써 형성되었다. 어린이와 여성 해방운동, 언론 및 정치활동, 니체, 루소, 제임스, 러셀 등의 서구사상의 수용 등에서 나타난 평등과 평화에 대한 지향은 김기전의 사상이 생명사상임을 보여준다. 김기전의 생명사상은 인간생명, 자연생명, 민족생명, 역사생명, 우주생명 등으로 다채롭게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Sochun Kim Gijeo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hinkers of Donghak Cheondoism including Yaroi Lee Donhwa(야뢰 이돈화). He held various positions as a national-cultural activist who served as a managing editor of the representative monthly magazine of Cheondoism. “The Dawn of Civilization”, as an educational activist who developed a movement for children together with Sopa Bang Jung-hwan(소파 방정환), as a feminist who insisted on female equality, and as a thinker who introduced western philosophies and thoughts to Korea. The existing studies regarding Kim Gijeon focus on the discussion about children and women, while there are few studies on religious aspec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onghak ideology. The present study aims to put emphasis on ideological aspects of his modern enlightenment activities, through the discussion on that his thoughts were based on the thought of life of Donghak. His thought was formed by accepting the Donghak thoughts including Sicheonju(Serving the Heavenly God) of Suun Choi Jeu(수운 최제우), Sainyeocheon (treating people just the same way to serve the heaven), Icheonsikcheon (serving God with God), and Seonggyeongsin (fundamental virtues of Donghak; sincerity, respect and belief) of Haewol Choi Sihyeong(해월 최시형). Considering his orientation towards peace and equality, which appeared in children and women’s liberation movements, media and political activities, and the acception of western ideologies of Nietzsche, Rousseau, James, and Russel, his thoughts are believed to be the thought of life.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at his thought of life can be interpreted as a representation of various aspects including human life, natural life, ethnic life, historical life, and universal life.

      • KCI등재후보

        헤겔의 형벌론과 회복적 사법 -회복적 사법의 철학적 근거로서의 헤겔의 형벌론을 중심으로-

        조극훈 ( Keuk Hun Ch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2

        이 논문의 목적은 교정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논의되고 있는 회복적 사법의 철학적 근거로 헤겔의 형벌철학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회복적 사법은 사법 당국과 가해자 중심의 응보주의적 사법이나 공리주의적 사법과 다르다. 회복적 사법이 범죄자의 사회복귀에 목적이 있다면, 응보주의적 사법은 범죄자의 처벌에 주안점이 있다. 또한 공리주의적 사법이 범죄억제나 예방에 형벌의 목적을 두는 데 반해서, 회복적 사법은 가해자와 피해자를 포함, 범죄와 관련된 피해를 종합적으로 회복하자는 공동체성의 복귀에 목적을 둔다. 회복적 사법의 특징으로는 문제해결 중심, 미래중심, 대화 중심, 공동체 의식 등을 들 수 있다. 헤겔의 형벌론은 부정의 부정의 논리를 통한 법의 회복에 있다. 법이 최초의 긍정적인 것이라면 범죄는 법을 부정하는 것이고, 범죄에 대한 처벌은 부정된 법을 다시 부정하는 것으로, 형벌은 부정의 부정의 논리에 근거한 법의 회복이다. 부정의 부정의 논리에 의하면 형벌은 범죄자를 자유의지를 가진 인격체로 존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헤겔 형벌론의 상호승인 근거는 형사사법에서 회복적 사법의 철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응보주의적 사법과 공리주의적 사법과 달리 회복적 사법은 범죄자의 자유의지의 실현일 뿐만 아니라 가해자와 피해자 그리고 그 가족, 관계 기관 및 지역공동체의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형벌 패러다임이다. 따라서 그것은 자유의지와 공동체적 상호승인이라는 특성을 지니며, 그 철학적 기반은 헤겔의 변증법적 형벌론이다. In this paper I take an argument about the philosophical ground of restorative justice through Hegel`s theory of punishment. The restorative justice is differed from the retributive Justice. Because the one aims at rehabilitation of the criminal, but the other aims at desert of the criminal. It is also differed from the utilitarian justice of being its deterrence. The restorative justice take a character of the solving problem, the principle of conversation, community, and future According to Hegel the punishment aims at the rehabilitation of the law[Wiederholung des Rechts] through the logic of the negation of negation. Its logic means that the criminal negates the law, the punishment again negates the negated law, also the punishment positives the law. And the punishment take regards the criminal as a person having the free will. In this respect, Hegel`s dialectical theory of punishment gives a philosophical ground of the restorative justice. Dislike the retributive justice and the utilitarian justice, the restorative justice is the punishment paradigm of being capable of the realization of the free will and the communication of the offenders and victims, and their family, the organs concerned and isolated communities. It also has a character of the free will and community. Its philosophical ground lies at the hegelian dialectical theory of punishment.

      • KCI등재

        헤겔철학에서 용서담론과 회복적 정의

        조극훈(Keuk-Hun, Ch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헤겔의 용서담론을 근거로 회복적 정의의 실현과 참된 용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헤겔은 용서를 인격적 주체들간의 상호인정으로 규정하였다. 회복적 정의의 전제인 인간의 자율성, 공동체성의 근거가 된다. 그리고 회복적 정의의 궁극적인 목적은 참된 용서를 통해 정의를 회복하는 데 있는데, 헤겔의 용서담론은 이러한 회복적 정의를 실현하는데 철학적 근거를 제시한다. 용서에 관한 선행 연구는 주로 죄와 벌에 대한 피해자의 심리적 보상에 주안점을 두었다. 심리적 보상은 가해자의 사죄와 보상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형사사법은 가해자의 사죄와 보상의 정도에 따라 사면 절차를 두고 있다. 이러한 의미의 용서는 가해자의 반성과 보상을 전제로 하는 조건적 용서이다. 조건적 용서의 한계는 조건이 변화되었을 때 용서가 지속되지 못한다는 데 있다. 그에 반해서 가해자의 반성과 보상이라는 조건과 무관하게 용서하는 무조건적인 용서가 있다. 무조건적인 용서는 “용서할 수 없는 것을 용서하는 것”으로 도덕적 용서이다. 이 논문은 조건적 용서와 무조건적 용서의 화해의 가능성을 헤겔의 상호인정에서 발견하고자 한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헤겔의 형벌론과 회복적 정의 개념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헤겔의 용서담론을 회복적 정의의 맥락에서 살핀다. 이후 데리다의 무조건적인 용서를 둘러싼 논란을 제시하고 영화 <밀양>분석을 통해 참된 용서의 가능성을 살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storative justice and the possibility of true forgiveness based on Hegel’s forgiveness discourse. Hegel defined forgiveness as the mutual recognition of the personal subjects. It is the basis of human autonomy and community, which is the premise of restorative justice. And the ultimate goal of restorative justice is to restore justice through true forgiveness, and Hegel’s forgiveness discourse provides a philosophical basis for realizing this restorative justice. Until now, studies on forgiveness have focused mainly on victims’ psychological compensation for sin and punishment. Psychological compens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the offender’s apology and compensatio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has amnesty procedures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apology and compensation of the perpetrator. Forgiveness in this sense is a conditional forgiveness on the premise of the perpetrator’s reflection and compensation. The limit of conditional forgiveness is that forgiveness persists when conditions change. On the contrary, there is unconditional forgiveness irrespective of the conditions of the abuser’s reflection and reward. Unconditional forgiveness is moral forgiveness as “to forgive what can not be forgiven”.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between conditional forgiveness and unconditional forgiveness in Hegel’s mutual recognition. The order of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Hegel’s theory of punishment and restorative justice are presented. Next, we examine Hegel’s forgiveness discourse in the context of restorative justice. And then, we present the controversy surrounding Derrida’s unconditional forgiveness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rue forgiven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vie Miryang.

      • KCI등재

        막스 호르크하이머의 ‘헤겔 이성개념’에 대한 이해와 비판이론의 구상

        전석환(Jun, Suck-Hwan),조극훈(Cho, Keuk-H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비판이론의 역사에서 호르크하이머의 공헌은 지대하다. “전통이론과 비판이론”에서부터 “도구적 이성 비판”을 거쳐 “계몽의 변증법”에 이르는 그의 비판이론의 구축과정은 비판이론의 형성사와 다름이 없다. 그리고 자본주의 문화에 대한 수많은 현대적 담론은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비판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데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이론의 구축과정에서 헤겔의 이성개념이 미친 영향은 무엇보다도 컸지만 그동안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미진한 편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구적 이성 비판”을 중심으로 헤겔 이성 개념에 대한 호르크하이머의 이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비판이론의 구축 과정에서 헤겔의 이성 개념의 의미를 반성하는 데 있다. 먼저 이성이 비판성을 상실하고 도구화되는 과정을 주관적 이성의 실증화와, 객관적 이성의 낭만주의화 과정으로 서술하고 있는 호르크하이머의 논증을 규명한다. 이성의 도구화를 극복하는 전략으로 객관적 이성의 재정립과 주관적 이성과 객관적 이성의 화해를 제시한 그의 의도를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헤겔의 이성 개념이 사변적이면서도 비판성을 잃지 않고 객관적 이성을 재구축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는 점을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헤겔의 이성 개념에 대한 이러한 이해가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이론 구축에 미친 영향과 후속 담론이 발생하게 된 모티브를 밝힌다. It can be said that Max Horkheimer has contributed much to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Theory of Frankfurt School. His achievements are just all the same as the history of the Critical Theory of Frankfurt School. And the modern discourses about the capitalistic culture are based on the Horkheimer"s Critical Theory. Although Hegel"s concept of reason had an important effect upon building the Critical Theory of Horkheimer, there has not been full-scale research about it. Focusing on the Critique of the Instrumental Reas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flect critically Horkheimer"s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reason of Hegel. First of all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closely his thought: "Just as subjective reason tends to vulgar materialism, so objective reason displays an inclination to romanticism." And we will also examine his intention that suggests the reconciliation between objective reason and subjective reason as the means of overcoming instrumentalization of reason. However, in this process he asserted that Hegel"s concept of reason is speculative without losing critic, and has the incomparable force to rebuild the objective reason. Finally, we will explain the effect of this kind of understanding about Hegel"s concept on Horkheimer and disclose the motive caused subsequent dis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