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봉산탈춤 팔목중과장의 순환구조로 본 구나성

        김연진 ( Kim Yeonjin ),전은자 ( Jun Eunja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무용역사기록학 Vol.39 No.-

        본 연구는 봉산탈춤의 제2과장인 `팔목중춤`의 생성적 의미구조와 순환구조를 분석하여, 이 과장을 통해 표현되는 구나(驅儺)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구나는 역(疫: 염병 등 전염병)을 쫓는 행위 또는 그 의식을 말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사진자료는 봉산탈춤 보존회에서 제공받은 1992년 5월 31일의 정기공연 영상이며, 이를 캡쳐하였다. 제2과장 팔목중춤을 3가지 구조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우선 첫목중의 생성하는 구조; 둘째, 팔목중의 1:1 등·퇴장 구조; 셋째, 회무의 순환구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진적인 움직임의 특징을 지니는 첫목중의 춤은 木의 오행 생성적 구조양상을 드러낸다. 음양적 교합 생성과 생장의 형상이자, 자연현상을 모방한 행위이다. 자연의 순환회귀 속에서 구나는 역이 스스로 물러나는 특성을 갖는다. 둘째, 팔목중춤은 1:1 등·퇴장 구조의 반복적 순환 속에서 구나성을 발견할 수 있다. 첫목중을 시작으로 팔목중까지 1:1로 계속 반복되는 등퇴장 구조는 음양의 순환관계를 표시한다. 서로 다른 성격을 지닌 목중들의 음양적 맞수를 통해 대대적이거나 교합하는 조화를 이룬다. 여기에서는 음양이 교체되는 모습을 통해 앞 시간은 뒷 시간에 밀려 스스로 쫓겨 물러나는 자연 순환을 상징한다. 이로써 앞 시간에 해당하는 역병은 뒤시간에 해당하는 왕성한 힘에 밀려서 쫓겨나는 자연의 구나성을 표현했다. 셋째, 팔목중의 `8`이라는 역수(易數)가 땅 위에서 원형으로 펼쳐져 돌아가는 순환의 원리가 포착된다. 선의 종시가 만나 원형을 이루며, 주이부시 순환을 행동하는 팔목중의 회무는 처용무에서 발견되는 계절이 지속적으로 돌아가는 자연모방의 순환을 닮았다. 처용무와 유사한 구나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봉산탈춤 팔목중춤 과장에서는 자연의 순환구조가 춤의 중요한 양식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또 사계절의 치우치지 않는 올바름과 당당함을 표현한다. 이로써 역병은 앞선 계절의 헌것으로서 새것에게 자리를 내어주고 쫓겨 나갈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는다. 음양 간의 대대적 상태에서 힘(기운)을 소진한 역신(疫神)은 쫓겨 물러나고 왕성하게 충천하듯 들어오는 음양 교체는 곧 역신이 스스로 퇴장하는 동작으로써 구나적 특성이 표현됨을 나타낸다. 본 _______연구를 통해 한국의 봉산탈춤에 내재한 고유 사상을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다각적 시야를 확보하는 정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guna, which are ritual actions to dispel epidemics,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formative meaning and circulation in palmokjungchum (the dance of eight mokjung), the second chapter of Korea`s traditional Bongsan mask dance. Figures in this research depict images of a dance performance that took place on May 31, 1992, which were provided by the Society for Preserving Bongsan Mask Dance. The second chapter of the dance was divided into three structural stages: an appearance of the first mokjung, the one-to-one entrance and exit of the eight mokjung, and the circulating structure of the rotating da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oreography of the first mokjung was incremental, representing the qualities of wood (木), which is one of the five primary elements. The dance during this stage embodies birth and growth through the union of yin and yang and emulates this natural phenomenon. Just as circulation is found in nature, epidemics retreat on their own accord during the ritual of guna.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guna are depicted by the one-to-one entrance and exit of the mokjung and by repetition of the same choreography. The entrances and exits are repeated, signifying the circulating relationship of yin and yang. The yin-yang juxtaposition of the mokjung is depicted by different characters, who go back and forth between confrontation and union. This alternation is indicative off the presence of circulation in nature, where time is continuously pushed back and replaced by subsequent time. This concept is represented by the character of guna, who dispels epidemics. Third, the number eight is the number of divination, and when laid out in circular forms, it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circulation.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line forms a circle, and the dance by the palmokjung incorporates continuous rotational moves (juibusi) that are reminiscent of the nature-emulating circulation observed in the Cheoyongmu (the dance of Cheoyong). The two dances share epidemic-dispelling characteristics. This indicates that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Bongsan mask dance, nature`s circulation is a key motive for the choreography, which reveals the righteousness and confidence of nature, unbiased by any of the four seasons. Like nature, epidemic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old is inevitably replaced by the new.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guna relates to how epidemics retreat from confrontation, where two opposing forces are not able to overcome the other,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harmonious existence between yin and ya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a more insightful understanding of the unique ideas and beliefs inherent in Korea`s traditional Bongsan mask dance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more diversified perspectives in the study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기반으로 한 무용학 자료의 빅데이터 분석

        이정민 ( Lee Jungmin ),전은자 ( Jun Eunja ),채정민 ( Chae Jungmin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2 No.-

        본 연구는 무용학 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의 학제간 연구 사례를 마련하고, 무용학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에 도달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글 속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내는 텍스트 마이닝을 연구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형태소 분석, 사용자 사전 구축, 사회연결망 분석을 진행하여 춤 정보로서 유의미한 개체명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연구 과정에서 수집한 10,231건의 논문 데이터와 연구 결과인 품사 정보, 개체명 분류표를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에 탑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형태소의 종류는 25종으로 빈도수 100 이상 등장한 단어의 개수는 24,691개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춤`, `무`, `댄스`, `dance`를 포함한 문장에서 형태소 2차 분석을 진행한 결과, 빈도수 10 이상의 품사는 명사 3,057개, 고유명사 602개, 동사 352개, 숫자 205개, 형용사 135개, 부사 35개로 명사형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사용자 사전은 분류 형태인, 상위어·하위어 구조로 계층화할 수 있었다. 구축된 사용자 사전에 포함된 용어의 개수는 2,404개이고, 주제, 인물, 작품, 장르, 이론, 기능, 요소, 시대 등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사회연결망 분석에 따르면 빅데이터의 지식은 `무용`을 중심으로 연결되며, 네트워크 안에서 `춤`, `예술`, `무용수`, `교육`, `문화`가 매개 중심성이 높았다. `댄스`는 별도의 노드로 `댄스스포츠`, `재즈` 등으로 연결되었다.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춤 기록에 적용하여 무용학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첫 시도라는데 의의를 가진다. 이를 초석으로 하여 앞으로 무용학 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의 접점을 다각도로 밝히고 그 활용 방안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dance studies and big data analysis. To this end, the text mining technique, which extracts meaningful information from text, was adopted as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process of text mining, original PDF texts on the themes of Chum/Muyong(dance), morphological analysis, user dictionary construction,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collected to extract significant named entities and clarify the relations between them. The outcomes of the process, which comprised the extracted text data (total 10,231 copies), a named entity classification table, and a network of named entities, were loaded into the big data analysis system under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25 total morpheme types, with 24,691 words with a frequency of more than 100. From these, a second morphemic analysis of sentences containing words such as “Chum” (춤), “Mu” (무), and “dance” (댄스) was conducted. It was revealed that in parts of speech with a frequency of 10 or more, there were 3,057 nouns, 602 proper nouns, 352 verbs, 205 numbers, 135 adjectives, and 35 adverbs. Second, a user dictionary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a taxonomy with stratification between hyperonym and hyponyms. The dictionary contained 2,404 words, which were classified by theme, person, dance piece, genre, theory, function, element, and period. Third, social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rms “Muyong,” “Chum,” and “arts and culture” were closely interconnected at the heart of the network. In contrast, dance deviated somewhat from the center. “Dance” was the only word to be connected with the network of dance sports and jazz.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represents the first attempt to apply text mining to written records on dance. In addition, it could suggest ways to expand the use of big data analysis to dance studies. Based on the study, a big data analysis system that is specialized in dance was developed, and the contents will be updated continuously.

      • KCI등재

        한국 창작뮤지컬 안무의 시대적 흐름에 관한 고찰

        전유정 ( Chon Yuchong ),전은자 ( Jun Eunja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무용역사기록학 Vol.39 No.-

        본 연구는 한국 창작 뮤지컬의 역사를 시대적 상황에 따라 되짚어 봄으로써 창작 뮤지컬 작품들 속 안무가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한국의 창작뮤지컬은 시대적으로 뮤지컬 발아기(1940년대~1950년대), 토착기(정착기)(1960년대~1980년대), 성장기(1990년대~2010년대)로 구분해서 볼 수 있다. 발아기에는 악극 형태의 독자적인 뮤지컬 형태가 행해졌으며 비록 우리가 알고 있는 서구 형태의 뮤지컬이라는 형식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나 한국적 소재와 다양한 무용을 접한 안무가들의 참여로 뮤지컬의 초기 형태를 띠어 한국 창작뮤지컬이 본격적으로 발달할 수 있게 그 기반 역할을 해주었다. 토착기에는 한국 창작뮤지컬이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시기로 국가주도의 극단 `예그린악단`과 민간 극단들의 활동으로 뮤지컬에 대한 관심과 관객의 폭도 늘고 뮤지컬의 대중화, 토착화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던 시기이다. 또한 외국의 뮤지컬들의 수입으로 뮤지컬 시장이 다양화, 대형화, 전문화되어 상업성을 띠기 시작하였다. 이시기는 국가적으로 전통의 현대화 및 대중화와 전통예술의 국제화가 주요정책으로 국제적 행사들로 보여주기 위한 효과를 위해 대작에 스펙타클한 대형 군무, 화려한 춤과 함께 기존의 한국무용을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을 갖춘 대중성 있는 안무들을 선보여 한국적 창작 뮤지컬 안무의 국제적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주요 안무가들로 김백봉, 임성남, 최현, 백성규 등이 활동을 하였다. 성장기에는 많은 전문 민간단체들이 생겨 뮤지컬의 제작 편수도 많이 늘고 대극장이 아닌 소극장에서도 창작뮤지컬들이 제작되었다. 해외라이센스뮤지컬 작품들의 흥행성공으로 뮤지컬이 산업화되어 창작 뮤지컬 안무도 기존의 한국무용에 다양한 장르를 혼합한 쇼적 분위기를 선보이며 극의 현대화와 한국적 색깔의 안무로 대중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대표적인 뮤지컬 전문 안무가로는 한익평, 서병구 등이 있다. 한국 창작 뮤지컬의 안무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아 안무의 내용과 형태가 달라졌으며 극에서의 안무 비중은 커졌지만 창작 작품의 위축으로 안무의 역할 위치는 예전에 비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을 보이고 있다. This thesis presents an interpretation of Korean musical history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horeography of each era.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al theatre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ages. In the antecedent stage (1930s-1950s), the first musical production were like operas, but these were very different from Western musical theater. Korean traditional dance also remained popular. The dance themes focused on politics or parodied current events. The famous choreographers in this era were Kim Minja and Jang Chuhwa. In the development stage (1960s-1980s), Western influence on Korean musical theatre was pronounced. Commercial efforts were made to develop a music industry. Spectacular shows were produced, and these represented an attempt to target global markets. The famous choreographers in this era included Kim Bekbong, Lim Sungnam, Choi Hyun, and Bek Sungku. The golden age (1990s-2010s) brought dramatic change to Korean musical theater. While the original Korean musicals had been established as the basic form of musical theatre, Western musicals became a major branch in the Korean music industry. Each branch was a thriving institution, artistically and commercially, and each had its own place and purpose. The famous choreographers in this era included Han Ikpung and Seo Byungku. Korean musical theater has been a part of the dramatic presentations of the times. Due to the emergence of modern Western musical theater, many structural elements changed, and choreography in musical theater became an important part of produ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