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교적 본원 가치와 로컬리티의 왜곡 ―근대성 성취 과정의 집중 문제를 중심으로―

        이명수 ( Myung Su Rhee ),이상봉 ( Sang Bong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3

        한국의 근대화는 우리에게 괄목할만한 성취를 안겨 주었지만, 그 이면에 중앙 편중, 이분법적 사물 접근, 획일화, 주변화, 타자화의 “결여의 공간”을 낳았다. 한편 유교는 근대화 과정에 중요 이념적 요소여서 그 성취에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결여 현상에 일정 부분 잘못 이용되기도 하였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두 층위의 유교, 지배 이념적 정치 유학과 본원 유교에 주목하여 그 성찰을 요청한다. 또한 “실학”으로서 유교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현대 한국의 중심화 해소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도 모색해 본다. 그렇게 함으로써 오늘을 사는 한국적 공간에 내재하는 오도된 가치, 국가 아이덴티티, 중앙 집중으로부터 비롯된 본원 가치-문명적 가치(유교)뿐만 아니라 사물이나 장소 가치-의 왜곡된 인식에 대하여 접근한다. 아울러 이 논문은 우리 사회에 만연된 사물이나 지역이 지닌 가치 발현의 문제, 근대화 과정에 만들어진 집중, 쏠림 현상을 벗어나기 위한, “탈중심”의 대안은 없는지에 관한 검토한다. Korea has brought the remarkable modernization which is led by the government, but on the other hand it brought about many negative results such as nation-centralism, the logical dichotomy, standardization, marginalization, lack of space, and so on. In the process, Confucianism not only have played the part of the mental leader in achievement but also misused in formation of “lack of space” as a negative results partly, From these critical mind, this thesis asks for the reflection of Confucianism in the focus of two level that are Political Confucianism and Authentic Confucianism. At the same time we try to find the role of Confucianism as a practical science in solving the negative results of modernization. As a result, we describe the cause of the distortion of Authentic Confucianism inherent in Korean contemporary society. Additionally, this thesis analyzes the possibility of Authentic Confucianism as an alternative value to nation-centralism which has brought about political inequality and social polar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철학 : 로컬리티의 포섭, 갈등, 조화에 관한 존재론적 접근 -진웨린의 보편과 특수 논리를 중심으로-

        이명수 ( Myung Su Rhee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본질적으로 사람이 놓이는 곳, 위치하는 장소에는 반드시 재현 체계가 갖추어져 있다. 거기에는 자기 지식(Local Knowledge), 욕망 그리고 멘탈리티가 내재한다. 그로부터 사람들은 자기 나름의 방향성을 확보하며 존재한다. 이렇듯 로컬 지식이나 이성이 존재하지만 사람들은 주목하지 않는다. 그것은 으레 감성에 묻어 있으므로 그렇겠거니와, 오랜 동일성 가치의 시야에 가리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시대적 흐름 속에 근대적 물질성 추구의 이성, 합리주의는 우리에게 단조로운 ``길``을 가게 한다. 그런데 그 길엔 다양성의 가치나 이성에 대하여 인식할 공간이 없다. 그와 달리 자신뿐만 아니라 타자의 욕망을 억누르지 않는 공유의 이성으로, 개인이나 개체 그리고 지방의 역능이나 가능성을 살리는 ``카오스적 일자``의 길을 갈 때, 그것들이 가진 가치이자 성질로서 로컬리티는 유기적 균형 상태로 존재할 것이다. 이 같은 의미에서 세계, 국가(행정부), 자본 등 곳곳에 놓인 중심 권력은 그 힘을 최소화하여 로컬리티 곧 자기 역동성과 자기 가치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이 세상엔 기층적 가치에 대한 포섭이나 그에 따른 충돌 없이 로컬리티 고유의 여러 가능성이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There are intrinsically representing systems which include local knowledge, desire, mentality in the value of places where man lives. Everyone has lived in his own direction and with his own rationality. Despite we have lived with local knowledge or local rationality like this, we are bound not to take notice of it, probably which results from the fact that it is hided in the man`s feelings and we block our own view under politically identified theories. And the modern rationalism in pursuit of the reason for materials under the currency has been making us the monotonous way, in which diverse values can`t have been existed. On the contrary when we have common ration with which we don`t suppress not only our own but also others` desires, when we go to the way as a chaotic identity in which we can make vital the capacities and activities that individual, individuation and region have, localities as their values and qualities can exist organically in a balanced way. In a sense it is desirable that central power of various dimensions that includes world, country(nation`s administration), and any place should be weakened so as to reveal localities, local values and local activities plentifully. Then we can live in the places where various capacities of locality are coming through without inclusion, collision, exclusion among them.

      • KCI등재

        공간, 장소 그리고 경계에 관한 노장철학적 접근

        이명수 ( Myung Su Rh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1 No.-

        이 논문은 공간, 장소, 공간성, 장소성, 경계의 의미를 살피고, 근대성의 메커니즘에서의 그것들을 둘러싼 문제들을 성찰하되, 노장철학적 시각에서 인간을 위한 궁극경계(sublimity)의 생성을 시도하는 것이다. 오늘날 신자유주의적 물질성 메커니즘의 척도는 공간이나 장소에 대한 관심을 획일화하고 대상이나 타자를 역시 단선적으로 파악한다. 그런 나머지 공간 경계의 다양한 가능성의 응용이나 인문학적 상상력의 의미 생성을 막는다. 현실공간에 있어서도, 그것이 지니는 다양한 가능성과는 무관하게, 렐프가 지적하는 것처럼, 무장소성, 장소성의 상실을 초래하는 단조로운 공간이나 장소의 점유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사회공간에 있어서도 우리의 존재를 위한 진정한 공간이 필요하며, 자기 정체성을 견지하면서 서로 ``관계성``의 공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자신을 위한 ``공리 경계``로 여타의 존재론적 공간 경계를 잠식한다. 이 같은 막힘 현상이 해소되고 서로 ``하나``로 연결되는 새로운 경계의 땅이 마련될 때 우리의 진정한 삶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근대적 합리성에서 비롯한 심성의 공간-물리 공간에서 추상 공간에 이르는 영역-이 유기적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마치 장자의 도통위일(道通爲一)의 언표처럼 대상 세계가 소통하는 주객일체, 만물일체의 경계, 몸과 마음이 수용될 수 있는 존재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This thesis aims to check the concept of space, place, spaciality and boundary, reflect the direction of them under the mechanism of modernity and make the sublimity as a true place for human through Daoistic idea of space (vacancy). Nowadays our concern to spaces and places is very simple and our gazes at objects around us in the capitalism such as Neo-liberal policy measures are also unilinear, which results in keeping u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various capacity of the boundary with the concepts of spaces that are approached from our humanistic imagination. In doing so, we occupy place as a real space regardless of possibilitiy of them, so that it may be responsible for the ``placelessness`` as Edward Relph indicated. We need ``the true place`` for our being in which we maintain our own identities and make the spaces for our relationships. But the boundary of our mentality toward our private unitarianism becomes an obstacle to them and sequently encroach the territory or space we need for being in bo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 We ought to get rid of obstacles like them in order to meet the new boundary where we may live in oneness. Accordingly we must make our mental territory from the mechanism of modernity changed, and produce organic spaces that are inevitably needed for our existences that are not only physical but also spiritual. We should prepare the space of the existence in which we are able to appreciate our individuality and the others` in the idea that the host and hosted should live on their own identities and all creatures under the heaven are in oneness, as Chaung Tzu`s expression, "in the location of the Way, all things are communicatively equal to each other"

      • KCI등재

        최한기의 존재와 인식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

        이명수 ( Rhee Myung-s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7

        최한기의 사유에서 존재와 인식 두 측면에 걸친 패러다임이 근대성의 맥락에서 전환된다. 그에게 만사만물의 근원은 리(理)가 아니고 기(氣)이다. 그 리는 기를 미루어 헤아릴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존재론 차원에서만 있던 ‘리’가 최한 기의 기철학에서는 인식 국면에도 있다. 존재론에 ‘유행의 리’가 있다면 인식 국면에는 ‘추측의 리’가 있다. 또한 그의 사유에서 리는 존재와 인식 모두에 걸쳐 무수히 많다. 이렇다 할 때 리는 메커니즘으로서 이치, 방식, 방법의 의미로 접근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최한기의 생각에서 만물 존재와 인식 모두에 생성, 운동, 변화의 운화기가 내재한다. 최한기의 기학에서는 ‘경험’이 매우 중시된다. 도덕적으로 행위할 줄 아는 것도, 예를 들어 맹자의 측은지심의 발동도 그의 사유에서는 경험, 교접을 통해 획득되는 것이고 도덕 행위의 인식은 심체, 즉 마음의 본질인 신기에 의한 추측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면모로 최한기의 철학에서 존재와 인식의 문제가 대두된다. 사물의 존재의 본질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인식 과정 모두에 걸쳐 운동, 변화가 내재한다. 이런 양태로 최한기의 사유는 실학적이며 근대적인 사유로 나아갔다. The paradigm of existence and recognition was changed in the context of modernity in Choi Han-gi's thought, in which the resource of all things and all affairs was not li but ki and li could be guessed from ki. And there are lis in the sphere of recognition as well as in that of existence in Choi Han-gi's thought, which might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thought system such as Neo-Confutionism. li is called Yuhaenguili in his ontological theory and Chucheukuili as one epistemological part. At anyhow there are many lis, which may be approached as the meaning of mechanism, in his philosophy. Besides there are, not only ontologically but also epistemologically, energetic factors, named as Unhwaki, whch are generating, moving, changing and altering. In his Kihak as an ki categorical thought, above all one's experience is of importance. He believed moral act, for example the expose of saving mind that was called Cheukeunjisim by Mencius, could be derived from social experience or contact. And he thought that the recognition of moral act might be achieved by the action of mysterious energy names as sinki of the essence of mind. Like these aspects, all things and all ones have their active, movable, and changeable natures in the sphere of both existence and recognition in Choi Han-gi's thought. In this way he got out of the previous ideas and presented practical and modern way of life to us.

      • KCI등재

        최한기의 존재론적 관계성 성찰

        이명수 ( Rhee Myung-s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19세기 중엽 이후 동아시아, 그 가운데 특히 한국은 대외적으로 일본을 비롯한 제국주의에 압박을 받았고, 대내적으로는 오랜 정치적 구태 현상, 예를 들어 세도정치와 같은 진부한 상황 때문에, 이른바 내우외환 상태에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을 목격하고 세계정세에 관하여, 거의 전 영역에 걸쳐 독서를 통해 학문적 역량을 쌓고 있었던 유가철학자 최한기는, 이 같은 막힘 현상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철학화하였다. 최한기는 만물이나 만사를 운동변화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사람이나 사물에 내재한 운동, 변화의 에너지, 운화기가 있다고 믿었다. 사물에 내재하는 존재의 원리, 질서까지도 ‘기’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이전의 운동성이 결여된 존재론적 리(理)가 우주에 존재하는, 어떤 것보다 앞서 우월하게 존재하며 그것이 세상을 지배한다는 관점을 바꾸었다. 그로부터 만사만물을 지배하는 정체성으로서, 도 또한 하나가 아니라 다양함을 설파하였다. 이것은 일면 잠정적으로 사물의 상대성을 인정한 것이다. 그러면서 그 상대성을 넘어 만물이 긴밀히 연결되어 존재한다는, 만물일체, 그들이 하나로 어울려 존재한다는 ‘일치’, ‘일통’을 우리에게 가르쳐 주었다. 최한기는 공간에서 뿐만 아니라 시간에 있어서도 사물은 유기적으로 서로 소통하면서 존재한다고 믿었던 것인데, 그것은 그의 운화철학에 두드러진다. 그리하여 존재물들은 자기 안에서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원활한 관계성을 확보하면서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Since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East Asia, especially Korea, was oppressed externally by the imperialism of Japan and others while internally long-lasting political convention like in-law government was driving the country into troubles at home and abroad. Witnessing such a situation and building up scholarly capability through reading over nearly all spheres, a Confucian philosopher, Ch’oe Han-gi (崔漢綺, 1803-1877), philosophized about the clue to the solution of such a choking phenomenon. Ch’oe believed that there was movement, ki (matter, material force, energy) of revolving transformation inherent in all things, people, or objects. Grasping even the principle and order of existence inherent in things from the viewpoint of ki, he tried to change the traditional theory on the law of existence of things that there existed an ontological reason lacking in motility, which was more dominant than anything existing in the universe and which ruled over the world. From this, he elucidated that the Way, an identity that rules over all affairs and things, was not simply one but diverse. This means, on one hand, that he tentatively accepted the relativity of things. On the other hand, he also taught us “oneness in all things” in which all including human beings exist in close connection to each other transcending the relativity or “agreement” in which they exist in harmony as one and “unity” in which they are united into one.

      • KCI등재

        동아시아 사유로 본 공동체와 자기실현 공간

        이명수 ( Rhee Myung-s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이 논문은 동아시아적 사유를 통해, 소통적, 관계적, 자율적, 대안적인 각도에서 판에 박힌 공동체 이념을 성찰하려는 것이다. 공동체란 이 세상의 주체인 내가 타자를 만나 서로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려는 집단적인 형태의 공간이다. 그 공간은 국가, 사회, 민족일 수 있겠지만, 지역 문제, 생태, 환경을 다루거나 동호회와 같은, 사람의 몸과 마음이 바라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느 면에서 공동체는, 제도적인 측면의 국가나 이념적이고 상상적인 민족 공동체와 달리, 개체적인 인간 삶에 주안점을 둔다. 그것은 정해진 제도에 따라 인위적이거나 일률적인 시스템이 작동하는 공간이 아니라, 사람의 몸과 마음이 사랑하고 욕망하는 영토를 마련해주는 곳이어야 한다. 그런 공동체에서는, 참여자의 자율적 생명의 기운이 세상에서 관계적으로 역동하고, 거기에 설사 지도자가 있더라도 `무위`의 정치만 있어서 개개인의 의지가 현실화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렇듯 사람이 본성대로 살 수 있으며 그 취향을 펴는데 장애가 없는 공동체를 희구한다면, 이는 동아시아 사유에서 그 이념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으며, 그런 공동체 이념은 우리 시대에 대안적 성격을 지니고도 남을 것이다. 이 논문은 이 같은 점에 유의하여 공동체의 의미를 접근한다. This thesis is to reflect prevalently stereo-typed community ideas and find alternative ones that have interconnected, relational, and autonomous acting system for our lives. Probably community is the collective space in which `I` as the subject in the world meet others and achieve the desirable objects each other. By the way the community spaces could be nation state, societies, and people of nation or ones that deal local problems, environments, and ecology and clubs ect, which are variable according to our concerns. In a sense community pay attention to not societies such as nations or people but lives of individuals, preparing for the territories where men feel convenient in their bodies and mentalities without artificial manipulation. In such a community the participant`s vital energy can be stretched actively and relationally, and even if the leader be, there is the politics of doing nothingness not to be the obstacle in the way mens` will goes. In those communities they can live their lives at their nature and realize their dreams without barriers to their way. If we find these ideas of communities which are alternative for our period, we should gaze at Asiatic ones that may be scattered in classics of Confucianism, Daoim and ect. With these concepts and concerns, this paper was drawn up.

      • 로컬, 로컬리티 그리고 인문학적 공간

        이명수(Rhee Myung-Su)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이 논문은 로컬리티 인문학의 공간(경계)에 관한 동양학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그리하여 로컬, 로컬리티, 지역, 지방, 주변, 변방 가치의 인문학적 보편성 확보의 가능성, 로컬리톨로지의 동양학적 전망을 탐색한 것이다. 로컬리티는 동아시아 문화적 맥락에서 접근해 볼 때, 시간과 공간이 어우러져 이루어지는 특수한 문화 근거이면서 고유한 문화를 남기는 공간적 조건이거나 로컬적 욕망 표상이나 동질성의 단위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중심주의적 중앙권력에 의해 구석진 야만 문화의 장소로 인식되었는데, 본 논문은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먼저 이 논문에서 구체 공간으로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에 해당하는 동양학적 공간인 지방의 의미를 더듬는다. 나아가 지방이나 지역이라는 근거를 통해 발생하는 인간 발자취로서 인문의 의미, 그리고 인문의 범주인 문명과 문화의 관계를 논의한다. 궁극적으로 문화란 자연의 무늬(이치)가 밝히 인문으로 드러나고, 그것이 변화, 생성의 과정을 겪는 것이다. 곧 동아시아적 자연관으로는 천문과 인문, 문명, 그리고 문화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이 논문은 살펴보았다. 이외에 필자는 인식의 경계, 입경계(入境界)와 탈경계(脫境界)의 문제 등을 또한 차례로 논의하면서, 로컬리톨로지 도달에 관한 동양학적 전망을 내놓는다. This thesis has been written for the purpose of finding the spaces of humanities in the human science of localities and prospecting the possibility of the arrival at localitology, through values of neglected areas such as surroundings, boundary line, outskirts, frontier(border area), derived from Eastern thoughts. In seeing cultural contexts, localities are the background in which human, living with time and space mixed with each other, leaves his own specific culture and means the spatial condition of intrinsic cultures or units of the representations of local desires or areal identifications. Nevertheless, they have been recognized as the fields in which the secluded cultures may be made, which is questioned by this thesis. First of all the writer researches local and localities as concrete spaces, and check the meaning jibang in Eastern culture. In advance human pattern as human track in locals, civilization and culture as a its categories have been discussed. In the end this thesis concludes that culture is revealed as changes and products of human, accordingly heaven pattern, human pattern, civilization and culture are organically related with one another in the view of Eastern thought of nature. Besides the writer discusses the matters of the boundary of recognition, entering the good boundaries(sublimities), crossing the border, and expresses his own prospect of the arrival at localitology through this thesis.

      • KCI등재

        중심의 일상성과 중심주의: 사물,로컬간 이항적 인식 극복을 위한 유가철학적 접근

        이명수 ( Myung Su Rhee )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60 No.-

        이 논문은 우리의 삶에 요구되는 중심의 일상성과 다원성을 살펴, 그것이 자기중심의 왜곡 형태인 중심주의와는 다른 것임을 밝힌 것으로, 중심의 철학이라 할 수 있는 유가철학적 함의를 통해 접근하였다. 수많은 사물들, 사람이나 대상, 개체 또는 개인은 그 존재에 있어 `중심`을 필요로 한다. 적중(的中), 천중(天中), 지중(地中), 시중(時中), 남중(南中), 절중(折中), 집중(執中), 중절(中節)과 같은 자연적이면서 본질적인 중심이 있는가 하면, 미국 중심주의, 유럽 중심주의, 남성중심주의와 같이, 자기 입장을 고수함으로써 개체간, 양단간 소통의 장애 요소가 되는 중심주의도 있다. 이 논문에서 `중심`은 사물이나 일의 존재를 위한 근본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중심주의`는 자기중심과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 중심 찾기란, 중, 중용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유가철학의 본질적 추구와 닿아 있는데, 양자간, 양단간, 다자간의 절충 과정을 거쳐, 사물간의 화해를 기약하기 위한 조화와 균형 찾기이다. 따라서 인간의 욕망이 빚어낸 근대적 메커니즘, 곧 서구 중심주의, 유럽 중심주의, 남성중심주의 등과 같은 함의와는 궤를 달리한다. 아울러 서구의 충격에 의해 만들어진 근대기에 집권층과 그 주변의 학자들에 의해 주장된, 중체서용, 동도서기, 화혼양재와 같은 이분법도 중심 찾기와는 거리가 멀다. 시대상황의 해결을 위한 진정한 중심 찾기가 아니며, 유가 본연의 절충적 중심 찾기도 아니다. 이들 입장은 양단을 잡는 것과, 그것을 통해 중심을 찾는 절충이 생략되었다는 점에서 하나의 이념의 표방에 그친다. 근원을 알 수 없는 누군가의 야망, 아집, 욕망-아마도 그것은 보수완고주의 집권세력이나 기득권층일 것임-이 만들어낸 비본질적 중심 이행 과정이었다. 궁극적으로 만물 존재에는 다양하고 일상적인 중심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본질적으로 추구할 때, 큰 조화의 기운을 보존하고 합하는, 양자간 혹은 다자간 상호 이해는 실현될 것이라는 점을 이 논문은 지적한다. This thesis is to approach to commonality and diversity of centralities in our lives through Confucian reasons and to check extrinsic centralism represented in the world today. There are various centralities which include good hits, the center of heaven, the middle of earth, timely centrality, southing, eclecticism, and so forth, are inevitably needed for the purpose of the existence of natural creatur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centrism such as American centrism, Occidentalism, which means barriers to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of objects, affairs, and nations. By the way on this thesis centrality is considered as the basic factors for existence of things and affairs, and centralism as egocentrism which can be expressed in the mean of the Confucianism and express the state of equilibrium or harmony derived from the eclecticism of the two, both extremes and both ends. Accordingly, centrality on this thesis is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for example American centrism, Occidentalism, Orientalism, androcentrism, etc, And the assertions that the East is the Way and the East is bowl, and Japan is spirit and the western culture is material for their nations, might be for keeping the power elites` own desire, which means not the reality of centralities but the representation of their egocentrism. On these viewpoints, there are the omission of catching extremes as well as seeking the mean of things and their opinion can be no more than isms, which are courses of achieving egocentrism as extrinsic centrism, perhaps made by desires of reactionary conservatives or powers. In the end, mutual understandings between the two or all objects for conserving great harmonious forces will come true when we appreciate that there are various, common centralities to be sought intrinsically, this thesis concl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