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관한 탐색: 표상을 넘어 사건으로

        유혜령(Yeu, Haeryung)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9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최근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혁신과 함께 부각되고 있는 놀이중심 교육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하고 그 구체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유아보육 및 교육에서 전통적으로 강조되어온 놀이중심 교육이 이론적ㆍ실천적으로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는지 살펴보고, 개정된 누리과정이 지향하는 바 놀이중심 교육의 원리가 유아 놀이의 유동성과 생성력을 어떠한 차원에서 격려하고 열어가야 할 것인지 궁구하였다. 그 결과, 종래 놀이중심 교육의 원리가 일과 놀이의 이분법적 구도 및 상호모순 된 현장 적용의 원리 하에 운영되었으며, 구조주의적인 분류법 사상과 대응관계적 진리 개념을 기초로 한 표상적 사유의 한계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직된 구조주의적 교육관의 논리와 언어를 넘어 수업 현장의 복잡성과 역동적인 사건성에 충실한 새로운 논리와 언어로 놀이와 배움을 말할 것을 제안한다. 즉, 운동적이고 생기하는 놀이 경험 내부의 현상적 차원을 중심으로 논의를 활성화할 것을 강조하면서, 놀이를 통한 배움이란 어떠한 현상인가, 유아가 현장의 인적ㆍ물적 요소들과 감응하며 전개해나가는 놀이의 흐름은 과연 어떠한 성격의 활동인가, 또한 유아는 이러한 놀이를 통해 어떠한 주체 경험을 하게 되는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oke a full-scale discussion on the principle of play-based education at the time of the national reforma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is is to explore the concrete direction for more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play-based principle in the field along with the poststructuralist sprit of the time. First, it is attempted in the study to discuss what have been problematic in the traditional play-based education in its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levels. Next, it is explored at what levels and in what dimensions we need to open and encourage the vitality and the becoming power of children’s play, maximizing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intended by the play-based principle of the newly revised Nuri-curriculum. As a result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raditional play-based principle has been implemented in educational settings under the condition of the confused dualism of work versus play and the inter-contradicto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its application. This reveals the hidden admiration of structuralist orderings of the world, i.e., hierarchic classifications of play forms and types within the limits of representational thinking based on corresponding theory of truth. It is suggested that we do need to speak of children’s play with new logic and languages more faithful to the genuine complexity and dynamic event-nature of children’s activity and play. This calls for the paradigmatic shift from the structuralist point of view to the poststructuralist on human beings and the world. Conclusions are made that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and active discussion be made on the very dimension of phenomenality of inner reality of children’s play experience. More specifically, findings of this study center around three main questions: what kinds of phenomena children’s learning in play is, what natures the play activity includes when children affect each other with both humane and inhumane(material) things during play, and in what ways the transformations of children’s being would be made into new ontology as active agents of their own creation of play reality.

      • KCI등재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교사 관계론

        이현주(Lee HyunJoo),유혜령(Yeu HaeR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4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교육론이 지배적인 현대에 교육적 상황의 정서적 측면이나 분위기 요소의 현상학적 중요성을 주장한 독일의 실존교육론자 Otto F.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어떠한 형태의 어린이와 교사간 관계가 강조 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는 어린이의 입장에서 볼 때 교육적인 분위기는 안정과 즐거움이 깃든 것이어야 하고, 어린이의 자발적인 감사와 순종의 본성을 북돋아줄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교사의 입장에서는 어린이에 대한 신뢰, 사랑과 인내의 덕목이 교육적 분위기의 핵심 요소가 된다고 하였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맺어지는 어린이-교사 관계는 ’근원적 마음씀’의 관계, 지평융합적 나-너의 관계 만남의 관계, 기다림과 희망의 관계로 해석된다. 교육 현장의 분위기의 현상적 특성과 관계맺음의 성격은 교육이 근원적으로 인간관계에 기초하며 그 관계기 엮어내는 각각의 구체적인 맥락과 분리될 수 없는 것임을 알려 준다.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question what might be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in the Otto F. Bollnow's notion of "pedagogical atmosphere." This is to reconceptualize the genuine nature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going beyond the scientific notion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that is hierarchical, uni-directional, and power-laden. The Bollnow's notion of "pedagogical atmosphere" is the foremost example of his phenomenological analyses on educational reality, and thereby this study focuses on the anthrop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In his analyses on pedagogical atmosphere, Bollnow emphasizes, from child's perspective, the voluntary gratitude and obedience as the child's intrinsic natures, and suggests that pedagogical atmosphere for child should be filled with the feeling of security and joy. From teacher's perspective, he stresses the trust in child's being and capability and the virtues of love and patience as the crucial components of being a teacher. In such atmosphere child and teacher get into the process of mutual "Bildung," i.e. the relationship of the fundamental care(Sorge) of and waiting for each other's being, the I-Thou relationship leading to a true "encounter" and to the fusion of different horizons of each other. This relationship would be truely pedagogical as it relates a child to a teacher and vice versa, within which they come to belong to mutual hope for each ot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