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옛 글자꼴의 발굴과 개발에 관한 연구 (2) -17-18세기 옛 문헌 글자꼴의 조형성과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유정숙 ( Jung Sook Y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글자꼴의 독특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17-18세기의 옛 문헌 중 산부인과 전문의서인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정토신앙서인 <권념요록>(勸念要錄), 병법 책인 <진법언해>(陣法諺解), 불교경전의 가르침을 노래한 <전설인과곡>(奠說因果曲)의 4개 문헌을 선정 발굴하여 옛 한글 폰트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오늘날 사용하는 글자 중 각 문헌에서 선별된 집자자료를 활용하여 디자인적 관점아래 글자꼴의 조형성 분석과 디지털 기술을 통한 폰트 개발을 실험하였다. 그 논의 내용과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 조형적 특징으로 1608년의 <언해태산집요>는 창제기로 부터 붓글씨 특성으로의 필기도구에 의한 글자체 변화과정을 보였다. 1637년 <권념요록>은 오늘날의 다벌식 탈네모틀 양식과 같은 독특한 개성의 글자체로, 1693년 <진법언해>는 원숙하고 노련한 붓글씨의 필획으로 균정하며 특히 기울기를 가진 특징의 독자적 손글씨에 의한 한글 이탤릭체 원형의 하나로, 1796년 <전설인과곡>은 오늘날의 바탕체와 돋움체 두 가지의 특성이 함께 공존하여 뛰어난 조형성을 이룬 글자체로서의 특징이 파악되었다. 아울러 한문과의 시각적 차이아래 개성 있는 한글의 독자적인 구성과 또는 순 한글로만의 구성으로 가독성과 판독성의 짜임새가 높은 타이포그래피의 특징을 보였다. 디지털 폰트 개발실험에서는 가로짜기 배열에서 필요한 글자 제작 기준의 설정아래 각 글자체의 복고적인 특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통일성을 부여한 아름다운 옛 활자꼴 개발 가능성을 보였다. 이 연구는 오늘날 보다 확장된 17, 18세기의 한글 글꼴의 역사적인 변화과정을 살피게 하는 기초자료로, 또한 역사속의 다양한 글자꼴들이 한글 글꼴 역사의 살아있는 보고이자 문화유산임을 입증하고 밝혀 정보화 시대에 한글 개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아주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담고 있다. 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old Hangul typefaces, particularly those found in the following Korean literature from the 17th and 18th century: Eonhaetaesanjibyo諺解胎産集要, Gwonnyeomyorok勸念要錄, Jinbeobeonhae陣法諺解 and Jeonseolingwagok奠說因果曲.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to collect a selection of letters from the above literature that are still used today, analyze their style and typographic expression and then experiment with the typefaces by employing digital technology. Findings revealed through this study`s experimentation are as follows. Eonhaetaesanjibyo from 1608 exhibits the changes its typeface went through from being written with brushes, influenced by traits of the brush as a writing instrument. Gwonnyeomyorok from 1637 displays a unique style of typeface resembling the current multi-baseline layout of non-square frames. In Jinbeobeonhae from 1693, the brush strokes are evenly laid out and tilted, representing an original form of handwritten italic Hangul. The typeface featured in Jeonseolingwagok from 1796 shows excellent formativeness by bearing a mix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Hangul typefaces Batang and Dotum. The selected texts also present typographic expressions of high readability and legibility through the unique, independent arrangement of Hangul in visual contrast with Chinese characters, or through arrangements purely consisting of Hangul. Subsequent digital experiments that ensued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standardized, aesthetic old typefaces that retain their individual retro characteristics. As su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provision of primary data on the diverse and ongoing historical transformation and a living treasure house of Hangul typefaces from the 17th and 18th century, which may also become fundamental research to be used in reinforcing the field of Hangul development in the information age.

      • KCI등재
      • KCI등재

        한글 옛 글자체의 발굴과 개발에 관한 연구(3) -15-20세기 옛 문헌에 따른 복원 옛 활자체 개발 현황을 중심으로-

        유정숙 ( Yoo Jung So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전 아래 대략 6,000종 이상의 다양한 한글 활자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선조들이 남긴 옛 문헌을 통해 한글문화의 전통성과 정체성을 살려 나가기 위한 옛 활자체 개발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민관을 막론하고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통한 한글 옛 활자체의 개발 현황과 그 사례고찰을 통해 미래에 상응하는 개발 제안을 모색하여, 21세기 정보사회에서 옛 한글 문화를 구축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국내 대표 4개 활자개발회사와 2개 공공기관을 선정, 지금까지 개발된 옛 활자체 현황 및 그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보유 한글 활자체 (±)736종 중 옛 활자체의 보유율은 4%(27여종)의 아주 저조하고 침체된 개발로 파악되었다. 이와 함께 국제화시대에 상응하는 옛 활자체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한글 옛 활자체에 대한 조형적인 연구와 보다 확장된 기술적 개발은 민관을 막론하고 지속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시대적 과제로, 본 연구에서는 21세기의 디지털 기술 환경에 부응하는 복원 옛 한글 활자체 개발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우선 옛 문헌에 있는 글자체의 조형적 특성을 가독성과 판독성을 바탕으로 최대한으로 복원한다. 둘째, 시대적으로 혼합조판을 고려한 통일된 특성의 다국어 활자체의 개발 지원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가로조판 및 전통적인 세로조판의 기술적 완성과 확장 한글 지원 환경을 구축한다. 넷째,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활자가족을 구성한다. 다섯째, 학제간의 확장된 연구 및 개발을 구축한다. 이를 바탕 한 활발한 옛 활자체의 개발을 통해 우리시대 및 미래에 상응하는 새로운 문화적 콘텐츠로서, 또한 역사적 자료 정립의 일환으로서 옛 한글 문화의 확장을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Evolving digital technologies today have enabled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Hangul typefaces that roughly amount to more than 6,000 different kinds. Yet, it is difficult to witness typefaces in old Korean literature being studied in-depth or developed to preserve the Korean alphabet Hangul`s cultural heritage and identity founded by our ancestor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review cases of old Hangul typefaces being developed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and thereby make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in order to contribute to forming a culture for old Hangul typefac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formation society. For this study, four leading type design companies and two public agencies have been selected to analyze their cases of old typeface development. The analysis found that old typefaces accounted for a mere 4% (approximately 27 typefaces) out of the 736 or so different Hangul typefaces developed by the companies or agencies. It also revealed the need to develop old typefaces that better suit today`s age of internationalization. Henc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old Hangul typefaces so that they may meet the demands of the twenty-first century`s digital technology-based environment. First,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Hangul typefaces in old Korean literature needs to be revived as much as possible with legibility and readability. Second, considering the trend of mixed typesetting, an environment needs to be established for developing and supporting typefaces with characteristics common across multiple languages. Third, the technical perfection of horizontal typesetting as well as traditional vertical typesetting should be encouraged. Fourth, type families need to be formed for their efficient use. Fift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needs to be attempted. Based on these suggestions, actively developing old Hangul typefaces should be able to help them sustain their role in our future as an evolving part of Korean culture and also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and study of historical material.

      • KCI등재

        디자인 관점에서 옛 문헌에 나타난 한글 글자(활자)가족의 원형 연구

        유정숙 ( Yoo Jung So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사적으로 공백상태인 창제이후 옛 문헌에 나타난 우리 고유의 한글 글자(활자)가족의 원형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에 창제 이후 두 가지 이상 차별화된 한글양식이 나타난 15세기의 옛 문헌을 연구대상으로 당시 한자음 표기방식 기준 3가지 유형의 문헌을 선정 고찰하였다: 1. 동국정운식 한자음 한글 구성 문헌: <석보상절>1447, <월인석보>1459, <몽산법어언해>1460 2. 범어(산스크리트어)에 한자음 한글 구성 문헌: 한글판 <오대진언>1476, 국한문판 <오대진언>1485 3. 한국 한자음(현실 한자음)한글 구성 문헌: <진언권공>1496, <육조법보단경언해>1496 선정 옛 문헌 본문 유형에 따른 대표 글자를 집자하여 글자체(Typeface), 글자크기(Size), 획의 굵기(Weight), 글자 폭(Width), 경사도(Angle), 조판방법(Typeset) 등의 타이포그래피 기본요소아래 글자가족양식으로서 조형적 특성을 고찰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5세기 대표 옛 문헌 본문구성에 나타난 4가지 유형에 따른 한글양식들은 고유의 한국어, 외국어, 외래어로서 한자어 등을 구분하기 위해 타이포그래피 기본요소의 변화를 통한 차별화를 이루어 활자가족으로서 본문의 내용과 역할을 구분하고 있음이 새롭게 고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옛 문헌의 다양한 본문유형에 따른 글자양식의 활용은 최초 한글 글자가족의 원형으로서 뿐만 아니라, 18세기 서구에서 이미 내용 전달을 위한 강조 및 구분으로써 활용했던 활자가족개념 보다 300여년을 앞선 것임을 실증적 사례로 입증한 것이다. 이 연구는 전통문화로서 오늘날 현대적 의미의 한글 글자가족 원형에 대한 디자인적 가치를 조명하는 연구 및 기초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original form of the Korean alphabet Hangul's type family in old literature published after Hangul's invention, a so far unattended area in the history of research on Korean types. This study, therefore, focused on literature from the 15th century when more than two distinct Hangul styles emerged and grouped such literature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based on how Sino-Korean pronunciation has been transcribed in Hangul. 1. Works with Hangul transcriptions of Sino-Korean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 Dongguk jeongun system: “Seokbo sangjeol” 1447, “Worin seokbo” 1459, “Mongsan beobeo eonhae” 1460 2. Works with Pali (Sanskrit) text and Hangul transcriptions of Sino-Korean pronunciation: Hangul edition of “Odae jineon” 1476, Annotated edition with Chinese characters and Hangul 1485 3. Works with Hangul transcriptions of Sino-Korean pronunciation (actual pronunciation): “Jineon gwongong” 1496, “Yukjo beopbo dangyeong eonhae” 1496 The outcome of examining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below. Examining the various styles of Hangul from different categories of literature representative of the 15th century led to the discovery that vernacular Korean, foreign words, foreign languages, and Sino-Korean words were made distinguishable from one another by differentiating the Typeface, Size, Width, and Weight of types as well as their Typeset and placement within the text. The forms of Hangul and use of different style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is not only meaningful for determining the original form of the first Hangul type family, but serves as proof through empirical examples that they existed nearly three hundred years prior to the various type families used in the West during the 18th century to emphasize and partition text for effective content delivery. H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ecuring basic data for research aimed at shedding light on the design value Hangul's original, traditional form carries for Hangul type families in the contemporary sen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