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Game-Theoretic Approach To Social Trust

        Yoosik Youm(염유식) 한국사회학회 2007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 No.-

        Although health-related studies has been successful to reveal and confirm the effects of social trust on health, especially at community level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they failed to elaborate the game-theoretic property of social trust. The benefit of social trust is dependent on other people’s behavior and thus, sometimes people with low trust could get better-off. This can help us to explain a counter-intuitiv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ust and health (or mortality rates) in Korea. Korea seems like to have an equilibrium of short-range trust as Fukuyama described as low-trust society while US has an equilibrium of long-range trust. Ecological approach is very useful and even essential to detect effects beyond individual-level, but when we need to explain detected phenomenon, we have to go down to individual-level to be equipped with individual incentives and behavior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형성과 유형에 대한 근거 이론 연구

        염유식(Yoosik Youm),김여진(Yeojeen Kim)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2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유형에 대한 근거 이론 연구이며 이를 위하여 “북한 이주민의 정체성과 사회 적응에 대한 패널 연구”로부터 구축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설문 자료(NKIP: North Korean Immigrant Panel)에 대한 접근을 허가받아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2007년에 남한에 입국한 500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원자료를 검토한 후, 30대에서 50대의 응답자 중 사회연결망의 크기나 남한사회만족도에 있어서 다양한 분포를 보이는 15명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이들의 사회연결망 유형을 파악하였다.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사회연결망의 효과보다는 형성의 과정을 심층면접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우선 적극적으로 남한인들과 사회연결망을 형성하고자 하지만 그 범위는 매우 제한적인 유형이 발견되었다. 특히 비혼(非婚)의 자녀가 없는 여성의 경우에는 남한인 배우자를 만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보이기는 하나 그 범위는 이성친구 또는 배우자라는 비교적 제한적 사회연결망을 형성하고자 한다. 적극적인 연결망 구축 노력을 보이는 또 다른 유형은 몇몇 남성들에게 발견되었는데 이들 남성의 경우에는 가족에게 제한되지 않은, 보다 다양한 사회연결망을 형성하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북한에서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이들로 북한에서의 지위를 생각하며 남한에서 자신도 남한인과 동등한 사회연결망을 갖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흥미롭게도 일반적으로 이들의 경우에 남한에서의 만족도는 도리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소극적 사회연결망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는 북한출신가족들 중심으로 연결망을 구축하거나 아니면 가족에 한정된 연결망을 형성하는 두 가지 경우였다. 전자의 경우에는 북한에 있는 가족을 초청하거나 먼저 입국해 있었던 북한출신가족들과 사회연결망을 형성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망형성에는 노력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후자의 경우에는 자녀가 있는 여성들의 경우로서 자녀와의 연결망 외에는 자발적으로 사회연결망을 절연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주로 자녀의 사회연결망 구축에 방해가 되지 않기 위해서 행하는 행동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입국한 지 3년 남짓으로 오랜 기간이 지나지 않은 북한이탈주민 사이에서도 서로 구별되는 몇 가지 사회연결망 유형이 이미 발전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사회연결망 유형은 성별차이에 따라 가장 크게 나눠지며, 사회연결망과 적응 (또는 생활 만족도)의 관계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드러났다. Out of 500 respondents in the North Korean Immigrant Panel Data Set(NKIPD), this study chose 15 North Korean Immigrants(NKIs) for in-depth interview to examine the social networking processes of North Korean Immigrants based on grounded theory(Glaser, 1992; StraussㆍCorbin, 1990).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of NKIs, this study tried to probe the processes of social network developments of them. All the respondents in the NKIPD entered South Korea in the same year, 2007 and in that sense, we could compare different social network developing strategies and patterns after controlling for the duration in South Korea. The first pattern was identified among the people who actively seek social networks with South Korean but within a very limited range, ie. marriage. Some non-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focused on finding potential South Korean spouse but didn't show much interest in building other types of social networks. The second type of active strategy was found among male whose socio-economic status were relatively high in North Korea and search for many South Korean ties with diverse backgrounds. They even avoid meetings with North Korean to build up South Korean only networks. The third strategy was employed by the people who brought their North Korean families or relatives into South Korea. Or they were moved into South Korea by the arrangement of their North Korean families or relatives who already lived in South Korea. They usually didn't try to extend their networks outside their own North Korean families. The last one was found among women with children. Their ties are extremely limited to North Korean and they even actively sever their ties with South Korean in order to leave their chidlren's ties with other South Korean untouched. This result reveals that NKIs didn't share a single mode of social networking. They showed four distinctive patterns, instead. Gender seemed to be most essential factor to decide a specific patter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types and satisfaction seemed to be more complicated than usual.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과 정착 수준의 변화

        염유식 ( Yoosik Youm ) 남북하나재단 2010 연구총서 Vol.2010 No.0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networking pattern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its possible relationship with settlement and adjustment of them in South Korea. Without proper social embeddedness through social ties, North Koreans cannot be assumed to be settled in South Korea. We used the data that contained 1,200 North Korean refugees who entered South Korea from year 2,000 to 2,010. Especially we utilized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wo layers of social networks: family networks and social intimates. Family structure and networks turned out to be very important because North Korean refugeees’ family structure is quite different from South Koreans because during several years of stay in China (or other foreign countries) before arrival in South Korea, there usually were many re-marriages and multiple-marriages. Important findings with regard to four dimensions were made: (1) family formation, (2) social intimates, (3) female-headed household, and (3) economic adjustments. While many female North refugees were married to South Koreans, other females remained being single especially when they are old. This issues leads to the issue of high prevalence of female-headed households. Femal-headed household are well-known as being more likely to be poor and unemployed. Also their social intimates showed strong homophily in terms of occupation, sex, age, and employment status. This type of strong homphily implied that the ties of North Korean refugees were still limited to specific section of South Korea. As a result of all these limitations in social networks, North Korean refugees seemed like suffering from high proportion of unemployment, low incomes.

      • KCI우수등재

        두 불평등 이야기 : ‘직종 간 불평등’과 ‘직종 내 불평등’으로 검토한 노동시장에서의 성 불평등

        염유식(Yoosik Youm),Kazuo Yamaguchi,성기호(Kiho Sung)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4

        노동시장에서의 남녀불평등은 크게 보아 직종 간 불평등과 직종 내 불평등으로 나눌 수 있다. 직종분리는 직종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참여 비율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의미하는데, 직종별로 임금 수준의 차이가 크다면 이러한 직종분리가 남녀임금의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 직종분리와는 별개로 동일한 직종내에서 남녀간에 불평등이 존재한다면 이 역시 임금의 불평등을 가지고 오게 된다. 이 논문은 반사실적 분해 분석(counterfactual decomposition)을 사용하여, 성별 임금격차를 직종 간, 직종 내 격차로 나누어 다년간(2009~2019) 추이를 분석하고 직종 내 격차의 한 원인인 직급분리(유리천장)의 장기간 추세(1990~2019)를 검토한다. 그 결과 1) 한국 노동시장의 성별 임금불평등은 직종간 격차보다는 직종 내 격차에서 훨씬 더 크게 기인한다. 반사실적 기법으로 인적자본에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 직종 간 성별 월급의 차이는 10만 원 이하였지만 직종 내에서는 80만 원 정도에 이르렀다. 2) 또한 직급분리에 따른 반사실적 임금분석의 결과, 동일직급 내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약 30만 원 정도의 월급을 적게 받았는데 관리직으로 진급한 여성에 비해 그러지 못한 여성은 평균 약 210만 원 정도 월급을 적게 받았다. 즉, 한국 노동시장에서 직종 내 성별 임금격차는 여성들이 진급을 하지 못해 남성보다 적은 월급을 받는 데에서 상당 부분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된다. 인적자본이 동일하다고 통계적으로 처리를 했을 때, 관리직 진급에서의 남녀 차이는 적어도 약 70%는 설명할 수 없었다. 3) 이러한 경향은 검토기간동안 대체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악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4) 반사실적 기법을 이용하여 남녀사이의 인적자본을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직종 분리가 도리어 더 악화되는 ‘직종분리의 역설’이 일본처럼 확인되었다. We examined two types of gender inequalities in Korea’s labor market: Inter-(between) and Intra-(within) occupational inequalities. We employed counterfactual statistical methods utilizing multi-year data sets (2009~2018 for decomposing gender wage gap into Inter- and Intra-occupation gap, and 1990-2019 for glass ceiling (rank segregation) as a major cause of Intra-occupation gender inequality), then measured the magnitude of inequalities in terms of the monthly wage. The results we found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a-occupation gender wage gap has a much bigger effect on wage than Inter-occupation wage gap in Korea. Second, about 70% of the gender gap for managerial positions could not be explained even after controlling for human capital utilizing a counterfactual decomposition method. Third, although the trend was stable to a large degree during the period analyzed, it became exacerbated in recent years. And lastly, an ‘occupational paradox’ was confirmed, meaning occupational segregation becomes stronger, under the counterfactual situation where there were no human capital difference across gender.

      • KCI등재

        계급간 사교육비 지출 격차에 관한 연구

        김위정(Kim Wuijeong),염유식(Youm Yoosik) 한국사회학회 2009 韓國社會學 Vol.43 No.5

        이 연구에서는 브린과 골드소프(Breen and Goldthorpe, 1997)의 합리적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한국에서의 계급 간 사교육비 지출 격차를 논의하고, 경험적으로 부합하는지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패널의 중2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다층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계급 간 사교육비 지출 초기치(중2 때 사교육비)와 그 변화율에 있어서 계급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문계 진학생의 경우 사교육비 지출이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학년이 됨에 따라 사교육율의 전반적인 감소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부모의 경제적ㆍ사회적 자원을 통제한 후에도 사교육비 초기치에 대해서는 계급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후에 부모의 교육기대수준을 통제하였을 때, 부모계급 번수의 회귀계수의 크기와 통계적 유의미성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서 한국의 사교육 투자에서도 브린과 골드소프가 가정하고 있는 상대적 위험회피 메커니즘이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교육비 지출에 있어서 계급과 성적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하층계급일수록 성적 변화에 따른 사교육비 지출 변화의 폭이 더 커서, 사교육 투자에 따른 성공 또는 실패의 가능성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는 부모의 경제적 자원을 통제하면 사라져,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가 주로 계급 간 경제적 자원의 차이에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ystematic differences in expenses on private tutoring across social classe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rational action theory elaborated by Breen and Goldthorpe (1997). A multi-level growth model was applied to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Three interesting findings could be emphasized. First, discrepancy between different social classes with regard to the initial amount of expenses and its change rate over years were confirmed. Second,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es, class discrepancies in the initial amount of expenses was still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once we controlled for parental aspiration further, the effect of social classes was greatly decreased. This finding strongly implied that the 'relative risk aversion' assumed by Breen and Goldthorpe might be also valid for the explanation of different pattern of educational expenses across social classes in Korea. Third, the interacting effect between social classes and student's performance was revealed. Lower classes were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or in other words, the elasticity of expenses on academic performance was greater among lower class parents. This interacting effect disappeared once we control for economic resources of households. This implies a possibility that economic hardship would produce negative effects on lower class more and thus, lead to more serious class inequality through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과 주관적 행복

        김경미(Kyungmi Kim),염유식(Yoosik Youm) 한국정보사회학회 2014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5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2014년 실시한 전국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해 성별로 분석했으며, 스마트폰 사용 효과를 조절하는 변인도 탐색했다. 먼저, 스마트폰 사용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다소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지수는 여학생과 남학생 집단 모두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친 한편, 스마트폰 과사용은 여학생 집단에서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머니관계는 스마트폰 사용이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분석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의 부적 영향이 어머니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강화된 한편, 어머니관계가 낮은 집단은 주관적 행복감이 전반적으로 낮게 형성돼 있어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변화가 완만했다. 여학생의 경우 스마트폰 과사용의 영향은 어머니관계에 따라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어머니관계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스마트폰 과사용이 주관적 행복을 증가시킨 한편, 어머니관계가 낮은 집단은 스마트폰 과사용이 주관적 행복을 감소시켰다. 다시 말해, 여학생의 경우 어머니와의 관계가 좋다면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별 문제가 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주관적 행복에 관한 분석에서 성차를 발견함으로써 스마트폰 연구에서 젠더 특화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했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smartphone usage by Korean students influences their subjective happiness. A gender-based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 parent-relationship variable was examin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me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mpact of smartphone usage. For example, an addiction to smartphone usage posed a negative influence over both of male and female groups, while an over-usage (more than 3 hours a day) variabl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emale group. Second, the parent-relationship variable could moderate the effect of smartphone usage. Interestingly, in case of the female group, the impact of smartphone over-usage showed contrasting results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user. In the group with high-level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the over-usage increased the subjective happiness, while in the low-level group the subjective happiness was decreased. That is, the duration of smartphone usage does not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female students as long as th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is good.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gender-focused approach in smartphone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자살충동

        김경미(Kyungmi Kim),염유식(Yoosik You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 차이를 분석했다. 전국 규모의 자료를 사용해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평일 수면시간은 남학생 집단에서만 자살충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평일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남학생이 자살충동을 경험할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약 1.9배 높았으며, 이 효과는 관련 변인을 통제했을 때도 유의했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평일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학생이 자살충동을 경험할 가능성이 약 1.3배 높았지만, 이 효과는 스트레스 변인 등을 통제했을 때 유의하지 않게 변했다. 한편, 주말 수면시간은 성별에 관계없이 자살충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주말에는 일반적으로 등교부담이 없어 수면부족을 덜 경험하기 때문에 수면시간의 자살충동 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수면시간의 자살충동 효과에서 나타나는 평일과 주말 수면시간, 성별 집단에 따른 차이를 밝힘으로써 수면시간 연구에서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leep duration on Korean adolescents’ suicidal impulse. A gender-base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ekday sleep du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male adolescents. Male adolescents who sleep less than seven hours on a weekday are likely to experience suicidal impulse by 1.9 times higher than the others. This effect remained significant even when other relevant variables were controlled. On the other hand, female adolescents who have less than seven hours of sleep on a weekday have about 1.3 times higher chances to experience suicidal impulse. However, this effect became insignificant when other variables such as stress were controlled. Meanwhile, weekend sleep durat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By demonstrating the different effects between weekday/weekend sleep duration and male/female adolescents, this study supports the claim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a social approach in studying sleep duration.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

        김경미(Kyungmi Kim),염유식(Yoosik Youm),박연민(Younmi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본 연구는 학교폭력 경험이 한국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학교폭력 경험을 피해형, 가해형, 피해-가해형, 무경험형으로 구분해, 주관적 행복감과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2013년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의 조사 자료를 이용, 다중 회귀와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학교폭력은 피해, 가해 등 경험 유형에 상관없이 학생들의 자살위험을 높였다. 특히, 학교폭력 피해와 가해를 중복적으로 경험한 양자형의 자살충동은 무경험형과 비교해 7.1배나 높았다. 한편, 학교폭력 경험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즉, 피해 경험과 피해-가해 중복 경험만이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해경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주관적 행복감 분석에서는 통제변인으로 사용된 스트레스 변인의 영향력이 부각됐다. 특히, 친구관계에서 비롯된 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경험의 영향을 부정적 안녕감(자살충동) 측면에서만 다루지 않고, 긍정적 안녕감(주관적 행복감)까지 동시에 분석한 최초의 시도로서, 학교폭력 경험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가능케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chool violence on South Korean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earch is designed to analyze how different types of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 victim, perpetrator, victim-perpetrator, and non-involvement ? influence students’ suicidal impulse and sense of happiness. Empirical data was gained from a national-scale survey conducted by Social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at Yonsei University in 2013, and was analyzed using binary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Findings suggest that any types of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had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mpulse. In particular, the likelihood of victim-perpetrator to experience suicidal impulse was 7.1 times stronger than non-involvement. However, the effect of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on students’ sense of happiness was insignificant. While the impact of school violence on sense of happiness among victims and victim-perpetrators was significant, its impact among perpetrators proved insignificant. Rather, stress factor - in particular, stress from peers ? had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students’ happin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multiple effect of school violence by examining both negative and positive dimensions of psychologic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