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창원시 정병산 용추계곡의 관속식물상

        이기숙,이재순,문현식,Lee, Ki-Suk,Lee, Jae-Soon,Moon, Hyun-Shik 한국환경과학회 202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ational management plan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by comprehensive analyzing the flora distributed in Yongchu valley, Changwon-si. The flora of Yongchu valley were summarized as 319 taxa including 93 families, 212 genera, 285 species, 3 subspecies, 6 forms and 25 varieties. The endemic plants were 5 taxa such as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Impatiens koreana, Lespedeza maritima, Thalictrum acteifolium and Weigela subsessilis. The rare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I. koreana, Prunus yedoensis and Magnolia kobu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including I. koreana, Jeffersonia dubia., M. kobus and P. yedoensis which are class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Solanum americanum, Aster pilosus, Crassocephalum crepidioides and Cerastium glomeratum and so forth and invasive alien plants among these plants was 1 taxa of A.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8 taxa including Corydalis turtschaninovii of northern plant, I. koreana of endemic plant, and Meliosma myriantha of southern plant.

      • KCI등재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한 울산 대왕암 도시숲의 관리방안

        김충열 ( Kim Chung-yeol ),문현식 ( Moon Hyun-shik ),김태운 ( Kim Tae-woon ),조민기 ( Cho Min-gi ),강미영 ( Kang Mee-young ),안기완 ( Ahn Ki-wan ),임효인 ( Im Hyo-i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을 대상으로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인 도시숲 관리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대왕암 도시숲을 방문한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특성으로 남녀의 비율이 크게 차이나지 않고, 30~40대가 주요 이용 방문객이며, 주부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지역 거주자가 주요 이용 방문객이나 타 지역 거주자도 상당비율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2~3회 방문비율이 가장 높았고, 주로 가족과 친척 단위로 1시간~2시간 정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객 만족도 분석에 있어 `주요 기능`, `숲 상태`, `경관/조화` 분류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산책로 상태`, `시설물 상태` 분류에서는 보통이상 수준의 만족도를 나타내며, 재방문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대왕암 도시숲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산책로 상태`, `시설물 상태`의 보통 이상의 만족도는 앞으로 만족도 향상을 위한 향후 개선방안과 관리전략 수립이 필요하여 여러 측면을 고려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울산 지역 거주자와 타 지역 거주자에 따른 만족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방문빈도와 방문목적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용객들은 대왕암 도시숲이 타 수종으로의 전환 보다는 현재 곰솔림으로 유지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곰솔 후계림 조성,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등을 통해 곰솔림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지시키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대왕암 도시숲 이용객의 주된 방문목적이 운동과 산책 보다 휴식의 비율이 높은 점으로 볼 때, 대왕암 도시숲은 도시환경 속에서 휴식처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이용객 모니터링은 대왕암 도시숲의 통합적 관리에 있어 보다 확고한 목표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체계적인 관리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서, 고품질의 자연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도시생태계 회복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도시환경 속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도시숲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용 방문객 중심의 맞춤형 도시숲은 앞으로 도시숲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며 대왕암 도시숲은 이러한 맞춤형 도시숲의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etter management plan of Daewnagam urban forest based on visitor monitoring. On-site survey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carried out in August 2016, and in total 220 data were analyzed. Visitors were inclusive of all age groups and most of them lived nearby the Daewangam urban forest. Behavior patterns showed that the users visited this area by car 2 or 3 times a month. Visitors used the Daewangam urban forest mainly for their relaxa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Daewangam forest as a city urban forest in terms of the forest condition, landscape and harmony. However, visitors were not satisfied with some specific items, such as the walkway and facilities condit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pecific items such as the satisfaction on main function, forest, landscape/harmony, walkway and facility condition between residential areas. Also, the purpose of visit between residential areas differed. The result showed higher rate in relaxation for Ulsan residential area, whereas for other areas, tourism was the main purpose of visi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isitor management system that could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wo groups as well as its conservation.

      • KCI등재

        경상남도 거제시 초등학교 학교정원의 식재 현황

        강미영 ( Kang Mee-young ),문현식 ( Moon Hyun-shik ),주정운 ( Joo Jeong-woon ),김소진 ( Kim So-jin ),허무룡 ( Huh Moo-ryong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경남 거제시에 위치한 6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정원 내 식재 현황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학교정원을 환경교육의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향후 학교정원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명상숲 조성 학교와 일반 학교로 구분하여 학교정원 현황, 정원 내 식재 현황, 교목과 교화의 식재 현황, 정원 내 식물과 교과서 식물의 일치율, 정원의 생태적 건강성 등을 분석하였다. 학교정원 면적, 녹지비율, 1인당 녹지면적은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명상숲 조성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비율과 1인당 녹지면적도 명상숲 조성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정원에 식재된 식물상은 명상숲 조성 학교가 66∼70종으로 일반 학교의 32∼48종보다 학교정원 내 식물 종이 많았으며, 학교정원 내 식재된 식물의 개체 수도 명상숲 조성학교가 평군 597개체로 일반 학교의 331개체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로 울타리용과 경관용으로 식재되는 영산홍과 남천, 산철쭉, 덩굴장미 등은 개체 수가 많았으나 은행나무, 왕벚나무 등 교목성 수종의 개체 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정원 내에 분포하는 식물과 교과서에 언급되는 식물의 일치율은 명상숲 조성학교 약 40%, 일반 학교 36%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초등학교라는 특성을 고려하면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라도 학교정원 내 수종과 교과서 언급식물의 일치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조사 대상 학교의 교목은 소나무와 느티나무, 향나무, 은행나무, 팽나무 등이었으며, 교화는 동백꽃과 개나리, 목련 등이 주로 지정되어 있었다. 녹지면적은 명상 숲 조성 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조금 넓었으나,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명상 숲 조성 학교와 일반 학교 간에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학교정원 내 식재된 식물 종의 종 다양도는 명상 숲 조성 여부에 따라 가장 차이가 크게 조사되었다. 녹지 연계성은 교외 환경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는데, 학교 주변에 녹지면적이 부족하면 학교정원이 도시림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확대 조성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적 건강지수는 명상 숲조성 학교(3.17점)가 일반 학교(2.56점)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reation of school gardens in order to utilize them as a pla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lanting statu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eoje-city, Gyeongnam. The study classified distinctly the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normal schools while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school gardens, planting statuses of school gardens, planting statuses of school trees and school flowers, the concordance of plants in school gardens an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he ecological health of school garden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chools, school garden areas, green area ratios, and green areas per person of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re higher than in normal schools. Plants planted in school gardens consisted of 66-70 species in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there were more plant species in these school gardens than the 32-48 species in normal schools. The amount of plantings of species such as Rhododendron indicum, R. yedoense for. poukhanense and Nandina domestica, which are planted for fences and landscapes, are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nts planted in school gardens and plants mention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bout 40% for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36% for normal schools. School trees were Pinus densiflora, Zelkova serrata, Juniperus chinensis var. chinensis, Ginkgo biloba and Celtis sinensis, and school flowers were Camellia japonica, Forsythia koreana and Magnolia kobus. The green areas of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was found to be a little wider than that of normal schools, but the green rate and green volume fact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those without. Species diversity is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tation forest. Connectivity to green belts is absolutely influenced by the suburban environment. If there are insufficient green areas around the school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hool gardens so that they can function as urban forests. The ecological health index of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is also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chools.

      • KCI등재

        거제도 노자산의 관속식물상

        정명희 ( Jung¸ Myung-hee ),문현식 ( Moon¸ Hyun-shik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거제도 노자산의 소중한 식물자원과 자생지에 대한 합리적인 보호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2019년 7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총 32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노자산의 관속식물상은 126과 390속 636종 5아종 67변종 14품종 등 총 71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로는 백양꽃, 변산바람꽃, 두메대극, 백운산원추리 등 29분류군이 관찰되었고, 특산율은 3.8%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로는 멸종위기종에 왕벚나무(식재), 애기송이풀 등 2분류군, 위기종에 백운기름나물, 백양꽃, 대흥란, 갈매기난초 등 4분류군, 취약종에 느리미고사리, 백작약, 애기등, 두메대극 등 12분류군, 약관심종은 왜구실사리, 변산바람꽃, 수정난풀 등 6분류군으로 합계 24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희귀식물 중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생물 2급인 대흥란과 애기송이풀의 자생지가 확인되었는데, 대흥란과 애기송이풀의 개체수는 각각 약 1,000개체, 500개체였다. 특히 대흥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노자산이 우리나라 최대 자생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귀화식물은 43분류군이 관찰되었고,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도 각각 6.0%, 13.4%로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귀화도가 4등급이면서 귀화시기가 3기인 식물로 유럽점나도나물, 미국실새삼, 큰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사리, 큰김의털, 울산도깨비바늘, 서양금혼초, 만수국아재비 등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서양금혼초와 돼지풀은 자생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모니터링을 통한 주기적인 제거와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요구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으로 애기지네고사리, 애기등, 두메대극, 단풍박쥐나무, 애기송이풀, 갯취, 대흥란 등 8분류군, Ⅳ등급은 산꽃고사리삼, 남도현호색, 섬딸기, 비진도콩 등 14분류군, Ⅲ등급은 처녀이끼, 육박나무, 생달나무 등 37분류군, Ⅱ등급은 왜구실사리, 각시고사리, 백작약 등 22분류군, 1등급은 실고사리, 발풀고사리, 풀고사리 등 49분류군으로 총 13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분포 변화가 쉽게 나타나는 식물구계학적 가치가 있는 Ⅲ~Ⅴ등급은 모두 59분류군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노자산의 지리적, 기후적 특성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은 특산식물로 지리고들빼기, 갯취, 두메대극, 변산바람꽃 등 15분류군, 남방계 식물로 좀딱취, 나도밤나무, 남오미자 등 37분류군, 북방계 식물로 참쑥과 왜미나리아재비 2분류군, 합계 5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노자산은 12 ㎢인 조사면적에 비해 관속식물이 719분류군으로 식물다양성이 아주 풍부한 곳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산식물 29분류군, 희귀식물 2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30분류군,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54분류군 등 생태적으로 중요한 식물들도 노자산에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생물 2급인 대흥란과 애기송이풀은 전국 최대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노자산의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노자산의 생육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특산·희귀식물 등의 자생지를 보호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protection measures for the precious plant resources and native habitat of Nojasan(Mt.) in Geoje-do. Field surveys of 32 times were conducted from July 2019 to March 2021. The vascular flora of Nojasan was identified as a total of 719 taxa, including 126 families, 390 genera, 636 species, 5 subspecies, 67 variants, and 14 varieties.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9 taxa;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Eranthis byunsanensis, Euphorbia fauriei,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so forth.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24 taxa. There were 2 taxa as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such as Pedicularis ishiidoyana, 4 taxa as endangered species such as Cymbidium macrorrhizum, 12 taxa as vulnerable species such as Calanthe discolor, and 6 taxa as near threatened species such as Monotropa uniflor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3 taxa; Cerastium glomeratum, Cuscuta pentagona and so forth, and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Hypochaeris radicata.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ed index was 13.4% and 6.0%, respectively. As a plant with a naturalization degree of 4 and a naturalization period of 3, 8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Tagetes minuta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30 taxa; 8 taxa such as Dryopteris decipiens var. diplazioides and Cymbidium macrorrhizum of grade Ⅴ, 14 taxa such as Sceptridium japonicum and Dumasia truncata of grade Ⅳ, 37 taxa such as Paeonia japonica and Selaginella helvetica of grade Ⅲ, 22 taxa such as Hymenophyllum wrightii and Actinodaphne lancifolia of grade Ⅱ, and 49 taxa such as Lygodium japonicum and Gleichenia jaoinica of grade Ⅰ.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54 taxa; 15 taxa of endemic plants, 37 taxa of southern plants and 2 taxa of northern plants. It was confirmed that Nojasan is a place with very rich plant diversity with 719 taxa of vascular plants compared to the surveyed area of 12 ㎢. And, many ecologically important plants such as 29 taxa of endemic plants, 24 taxa of rare plants, 130 taxa of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and 54 taxa of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were also found growing in Nojasan. Considering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Nojasan, a fundamental alternative should be prepared to minimize changes in the growth environment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nd to protect the habitats of endemic and rare plants.

      • KCI등재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대흥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 거제시(도) 노자산을 중심으로 -

        정명희 ( Jung¸ Myung-hee ),문현식 ( Moon¸ Hyun-shik ),김태운 ( Kim¸ Tae-woon ),주정운 ( Joo Jeong-woon ),김소진 ( Kim¸ So-jin ),원종태 ( Won¸ Jong-tae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거제도 노자산은 우수한 경관과 보전가치가 높은 생태자원이 풍부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개발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환경부 멸종위기식물이면서 산림청희귀식물인 대흥란이 거제도 노자산에서 대규모로 확인되어 대흥란 자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된 조사지 6곳을 선정하여 입지환경, 토양환경, 식생구조, 종간상관관계 등 생태적 특성을 2020년 6월~8월사이에 현장조사하였다. 대흥란 자생지는 해발고 84m에서 137m의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사도는 2~12o로 비교적 완경사지였다. 노암률은 평균 16.2%였으며 범위는 9%에서 22% 사이였다. 유효토심과 낙엽층 두께는 각각 19.3 cm와 10.9 cm로 나타났다. 조사구별 대흥란 개체수는 1번 조사구 212개체, 2번 조사구 63개체, 3번 조사구 45개체, 4번 조사구 117개체, 5번 조사구55개체, 6번 조사구 200개체로 확인되었다. 대흥란 개체수가 가장 많이 확인된 조사구 1과 6에서 노암률과 유효토심 그리고 낙엽층 두께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토양수분 함량은 평균 25.9% (24.2∼27.9%)로 비교적 습한 환경이었으며, pH는 5.76(5.52∼5.99), 유기물함량은 6.86%(5.25∼8.48%), 전질소는 0.34%(0.28∼0.42%), 유효인산은 5.52 ppm(3.0∼10.8 ppm), CEC는 16.9 cmol+/kg(15.2∼18.9cmol+/kg)의 값을 보였다. 치환성양이온 함량은 Mg2+>K+>Ca2+>Na+ 순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경향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조사구의 교목층에서는 중요치의 값의 차이는 있지만 곰솔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의 중요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목층에서는 덜꿩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초본층에서는 모든 조사구에서 주름조개풀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층에서 0.520∼0.980, 아교목층 0.718∼1.133, 관목층 0.919∼1.201의 범위에 있었으며, 균재도와 우점도는 각각 교목층에서 평균 0.730, 0.270, 아교목층에서 0.722, 0.278, 관목층에서 0.847, 0.153로 조사지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earson의 종간 상관관계에서 대흥란은 가지청사초, 옥녀꽃대 계요등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마와는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Spearman의 순위상관에서 대흥란은 산족제비고사리, 둥근털제비꽃, 그늘사초, 우산나물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mbidium macrorrhizum habitats in Nozasan (Mt.) of Geoje-city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ield investigations including site characteristics,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were conducted in 24 sites from Jun. to Aug. 2020. The altitude of C. macrorrhizum habitats ranged from 84 m to 137 m with slopes of 2∼12o. The rock exposure rate was on average 16.2%, and it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9% to 22% for each site. Effective soil depth and litter depth were on average 19.3 cm and 10.9 cm, respectively. Rock exposure rate, effective soil depth, and litter depth were relatively high in sites 1 and 6, where the number of C. macrorrhizum was large. In soil environments, it was found out that average soil moisture content was 25.9% (24.2 to 27.9%); 5.76 (5.52 to 5.99) for soil pH; 6.86% (5.25 to 8.48%) for soil organic matter; 0.34% (0.28 to 0.42%) for total N content; 5.52 ppm (3.0 to 10.8 ppm) for available phosphorous, and 16.9 cmol+/kg (15.2to18.9cmol+/kg) for CEC. Exchangeable cations were decreased in order of Mg2+>K+>Ca2+>Na+, which was different from general results decreasing in order of Ca2+>Mg2+>K+>Na+ in forest soils. The dominant species of site 1 were Pinus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and Sorbus alnifolia at the subtree layer, Viburnum erosum at the shrub layer,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 2 were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E. japonica at the subtree and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 3 was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 japonica at the sub-tree layer, Callicarpa japonica at the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s 4, 5 and 6 were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 japonicus and L. erythrocarpa at the sub-tree layer, with Callicarpa japonica, Lindera erythrocarpa and Zanthoxylum piperitum at the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dex ranged 0.520 (site 5)∼0.980(site 1) at the tree layer, 0.718 (site 3)∼1.133 (site 6) at the sub-tree layer and 0.919 (site 5)∼1.201 (site 6) at the shrub layer. Evenness and dominance were on average 0.730 and 0.270 at the tree layer, 0.722 and 0.278 at the sub-tree layer, and 0.847 and 0.153 at the shrub layer, which illustr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udy sites. In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 macrorrhizum had positive association with Carex polyschoena, Chloranthus fortunei and Paederia scandens but negative association with Discorea batatas. C.macrorrhizum had negative association with Dryopteris bissetiana, Viola collina, Carex lanceolata, and Syneilesis palmata in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hich identifi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 macrorrhizum habitats,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 macrorrhizum.

      • KCI등재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태운 ( Kim Tae-woon ),문현식 ( Moon Hyun-shik ),김충열 ( Kim Chung-yeol ),강미영 ( Kang Mee-young ),임효인 ( Im Hyo-in ),조민기 ( Cho Min-gi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대왕암 도시숲의 식생구조와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대왕암 도시숲의 생물종다양성을 보존하고, 향후 관리방안 확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항목은 토양특성, 중요치, 종다양도, 연륜생장량과 절간생장량, 치수발생량 등이었다. 토양특성은 토양 pH 6.70~7.19의 약알카리성을 나타내어 토양산도 관리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유기물(0.47~0.56%)과 전질소(0.47~0.56%)도 유효범위 내에 있거나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인산 함량(10.08~22.82 ppm)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용적밀도는 0.47~0.52g/cm3로 나타나 토양의 입단구조발달이 활발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요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상층에서는 곰솔, 중층에서는 왕벚나무, 하층에서는 주름조개풀과 억새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대왕암 도시숲은 전체적으로 층위별 출현종수도 적고 중층의 발달이 빈약하여 불안정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종다양도 지수는 상층에서 0.153~0.289, 중층 0.316~0.327, 하층 1.270~1.291로 분석되었으며, 상층과 중층의 균재도와 우점도는 각각 0.321~0.452, 0.548~0.679로 나타났다. 최대종다양도에 대한 종다양도의 값이 근접할수록 안정적인 구조인데, 본 조사지의 상층과 중층에서 종다양도와 최대종다양도 지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대왕암 도시숲의 상층과 중층의 식생이 불안정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곰솔 성목의 평균연륜생장량은 혼효림 2.20 mm/yr, 곰솔 성목림 1.80mm/yr, 해안가 곰솔림 1.60 mm/yr의 생장량을 보였으며, 평균연륜생장량에 대한 조사지별변이계수는 혼효림 37%, 곰솔 성목림 56%, 해안가 곰솔림 65%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의 평균연륜생장량은 혼효림 1.60 mm/yr, 곰솔 성목림 1.56 mm/yr, 해안가 곰솔림 1.27 mm/yr로 모든 조사지에서 생장감소가 나타났고, 평균연륜생장량 대비 각각 27%, 13%, 21%의 생장감소율을 보였다. 곰솔 성목의 형상비는 혼효림 41.5, 곰솔 성목림 47.0, 해안가 곰솔림 46.6으로 대왕암 도시숲의 곰솔은 수목의 건전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곰솔 식재목의 절간생장량은 35.3~50.4cm의 범위에 있었으며, 천연갱신된 곰솔은 27cm의 절간생장량을 보였다. 치수발생량은 해안가에 위치한 곰솔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by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ewangam urban forest. This study analyzed soil properties,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annual ringwidth increment, internodal growth and seedlinggenesis of P. thunbergii. The soil pH was 6.70~7.19 and the contents of OM, TN, available P were 6.76~8.85%, 0.47~0.56% and 10.08~22.82ppm, while the soil bulk density was 0.47~0.52g/cm3.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analysis, P. thunbergii for upper layer, Prunus yedoensis for middle layer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for lower layer were respectively high. The species diversity of Shannon ranged from 0.153 to 0.289 for upper later, 0.316 to 0.327 for middle layer and 1.270 to 1.291 for lower layer. The evenness and dominance for upper and middle at all sites ranged from 0.321 to 0.452 and 0.548 to 0.679. The average annual ringwidth increment of mature P. thunbergii was 2.20 mm/yr for mixed forest, 1.80 mm/yr for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1.60 mm/yr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CV) was 37% for mixed forest, 56% for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65%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The average shape ratio of mature P. thunbergii was 41.5 for mixed forest, 47.0 mature forest of P. thunbergii and 46.6 for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This indicates that P. thunbergii in Daewangam urban forest has high health. Internodal growth of planted and natural regenerated P. thunbergii ranged from 27 to 50.4cm, and the P. thunbergii forest in seashore showed the highest seedlings.

      • KCI등재

        용추계곡을 포함한 창원시 정병산의 관속식물상

        이기숙 ( Lee Gi-sook ),문현식 ( Moon Hyun-shik ),김태운 ( Kim Tae-woon ),이재순 ( Lee Jae-soon )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창원시 정병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물자원의 보전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2014년 2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9개 코스에서 평균 30회 이상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정병산의 관속식물상은 107과 275속 404종 5아종 10품종 45변종 등 총 46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용추계곡 주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상은 총 319분류군으로 전체의 약 69%를 차지하였다. 특산식물은 자란초, 처진물봉선, 광릉골무꽃, 은꿩의다리 등 14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특산율은 3%,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약 4%에 해당하였다.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인 처진물봉선, 목련, 왕벗나무(식) 등 3분류군, 위기종은 깽깽이풀, 백양꽃 2분류군, 취약종은 금붓꽃 1분류군, 약관심종은 쥐방울덩굴, 광릉골무꽃, 이팝나무, 덩굴꽃마리, 말나리, 뻐꾹나리 등 6분류군, 자료부족종은 옥녀꽃대 1분류군 등 총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뻐꾹나리와 금붓꽃을 제외한 11분류군은 자생지가 계곡 주변에서 확인되었다. 이들 희귀식물 분류군에 대해서는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려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귀화식물은 미국까마중, 미국쑥부쟁이, 유럽점나도나물 등 1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4.1%였다. 산림으로의 심각한 침입이 우려되는 4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달맞이꽃,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3분류군이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 그리고 자생잡초인 환삼덩굴 3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 19분류군 중 11분류군이 용추계곡 주변에서 확인되었는데, 향후 지속적인 탐방객 증가와 간헐적인 공사로 생육환경의 교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계곡부 주변으로의 귀화식물 유입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Ⅰ등급으로 금붓꽃, 자란초 등 37분류군, Ⅱ등급이 층꽃나무, 노랑제비꽃 등 3분류군, Ⅲ등급이 연복초 등 12분류군, Ⅳ등급이 가는범꼬리, 산복사나무 등 4분류군, Ⅴ등급이 깽깽이풀, 백양꽃 등 5분류군으로 총 6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13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특산식물로 해변싸리, 처진물봉선 등 4분류군, 북방계식물로 조선현호색 1분류군, 남방계식물로 옥녀꽃대, 둥근배암차즈기 등 8분류군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lant resourc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vascular flora distributed in Jeongbyeong(Mt.), Changwon-city.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average more than 30 times in 9 courses from February 2014 to November 2020,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vascular flora of Jeongbyeongsan(Mt.) was summarized as 464 taxa including 107 families, 275 genera, 404 species, 5 subspecies, 10 forms and 45 varieties. Among them vascular flora identified around Yongchu valley was 319 taxa, accounting for about 69% of the total. The endemic plants were 14 taxa such as Impatiens korean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and so forth,, and endemic plants rate was 3.01% and 3.89% of 360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The rare plants were 13 taxa There were 3 taxa as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such as Impatiens koreana and Magnolia kobus, 2 taxa as endangered species such as Jeffersonia dubia and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1 taxa as vulnerable species such as Iris minutiaurea, 6 taxa as least concerned species such as Aristolochia contorta, and 1 taxa as data deficient species such as Chloranthus fortunei. Among these rare plants, 11 taxa except for Tricyrtis macropoda and Iris minutoaurea were found in the vicinity of the Yongchu valley. For these rare plants, research to elucid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habitats should be conduct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9 taxa including Solanum americanum, Aster pilosus and so forth, and the naturalized index was 4.1%.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ster pilosus. The plants of concern for serious invasion into forests were 4 taxa such as Oenothera biennis, Aster pilosus and Erigeron annuus. Of the 19 taxa of naturalized plants, 11 taxa were identified around the Yongchu valley.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growing environment will be disturbed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visitors and intermittent construction, the spread of naturalized plants around the valley area should be monitored.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1 taxa; 37 taxa such as Betula schmidtii and Aconitum jaluense of grade I, 3 taxa such as Caryopteris incana and Lilium distichum of grade II, 12 taxa such as Acer palmatum and Adoxa moschatellina of grade III, 4 taxa such as Fallopia sachalinensis and Prunus davidiana of grade IV, 5 taxa such as Impatiens koreana and Jeffersonia dubia of grade V,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13 taxa; 4 taxa of endemic plants, 1 taxa of northern plant, and 8 taxa of southern 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